KR101011794B1 - 배관 파이프 패킹 - Google Patents

배관 파이프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94B1
KR101011794B1 KR1020090012537A KR20090012537A KR101011794B1 KR 101011794 B1 KR101011794 B1 KR 101011794B1 KR 1020090012537 A KR1020090012537 A KR 1020090012537A KR 20090012537 A KR20090012537 A KR 20090012537A KR 101011794 B1 KR101011794 B1 KR 10101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sound absorbing
ribs
rib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384A (ko
Inventor
박종철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이석재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재, 박종철 filed Critical 이석재
Priority to KR102009001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7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파이프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이프를 통해 주로 액체 물질을 수송하는 경우 지름이 서로 다른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연결하고, 또한 흡음 및 방진 기능을 갖는 배관 파이프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름이 큰 파이프와 밀착되는 외부 리브부와, 지름이 작은 파이프와 밀착되는 내부 리브부와, 지름이 큰 파이프의 끝 단을 밀폐하는 덮개부와, 패킹의 내부에 흡음홀이 형성된 제 1 흡음부와, 패킹의 외부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패킹의 양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 3 흡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파이프 패킹{Packing system for plumb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파이프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이프를 통해 주로 액체 물질을 수송하는 경우 지름이 서로 다른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연결하고, 또한 흡음 및 방진 기능을 갖는 배관 파이프 패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은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 지름의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을 본 발명인 패킹으로 연결하여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배관 파이프 패킹은 주로 선박이나 유동성이 있는 설비를 가진 건축물 등에서 배관 파이프를 통하여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곳에서 사용된다.
파이프를 통하여 수송하는 물질은 주로 물이나 오일이 될 수 있고 이 밖에 기타 액체물질, 가스, 그리고 각종 통신을 위한 케이블 류가 될 수도 있다.
종래의 배관 파이프 패킹은 지름이 다른 두 개 파이프 간의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목적만을 가지고 있어서 선박이나 유동성이 있는 설비를 가진 건축물에서 사용할 때 파이프 간의 소음 및 진동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패킹이 쉽게 노후화되어 패킹 및 배관 파이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두 개의 지름이 다른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지름의 차이에서 생기는 공간을 본 발명인 패킹으로 연결하여 채움에 따라 배관 파이프를 통하여 물질을 안전하게 수송하거나, 각종 케이블 류의 설비를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패킹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이나 유동성이 있는 설비를 가진 건축물에서 지름이 다른 두 개 파이프 간의 연결하여 사용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에 대하여 흡음 및 방진을 통해 배관 파이프 및 설비를 보호하고 패킹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패킹을 제공하는 데 있다.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 파이프 패킹에 있어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 고 상기 각 리브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외부 리브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와,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패킹의 양 끝단에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 3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일 끝단에 상기 외부 리브부의 각 리브보다 반경이 크고, 외부 리브부와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지름이 다른 두 개의 배관 파이프를 통하여 물질을 안전하게 수송하게 하고, 각종 케이블 류의 설비를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효과가 있고, 또한 지름이 다른 두 개 파이프 간의 연결 시 사용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에 대하여 흡음 및 방진을 통해 배관 파이프 및 설비를 보호하고 패킹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파이프 패킹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은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 파이프 패킹에 있어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파이프 연결 방향과 수직인 외부 리브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와,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패킹의 양 끝단에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 3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일 끝단에 상기 외부 리브부의 각 리브보다 반경이 크고, 외부 리브부와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 파이프 패킹에 있어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파이프 연결 방향과 수직인 외부 리브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와,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패킹의 일 끝단에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 3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일 끝단에 상기 외부 리브부의 각 리브보다 반경이 크고, 외부 리브부와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흡음부와 상기 덮개는 상기 패킹의 같은 방향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관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흡음부가 패킹의 양 끝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 끝단에만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제 3 흡음부의 걸림턱은 배관 파이프를 통해 물, 오일 등의 액체 물질을 수송하는 경우 더 욱 효과적으로 밀폐를 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송하는 물질이나 배관 파이프를 설치하는 시설물의 용도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제 3 흡음부를 일 끝단 한 곳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방향으로의 상기 패킹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패킹의 외부 원주 일부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에서 방사상, 수평 방향 등으로 패킹의 외부 원주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리브 높이는 상기 내부 리브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리브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은 실린더 형태로서, 패킹의 재질은 주로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파이프의 연결 시 확실한 밀폐가 가능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패킹 내외부 구성의 올바른 성형을 위하여 패킹의 내부로 관통하는 파이프의 방향과 나란하게 두 개의 절단된 모양으로 각각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어 두 개의 단면을 접착하여 배관 파 이프의 패킹을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패킹의 외부에는 복수 개의 리브(12)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12)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파이프 연결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 외부 리브부(10)가 구성된다.
지름이 큰 파이프에 패킹을 삽입하는 방향을 향해 리브(12)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패킹을 삽입하면서 각 리브(12)가 파이프의 내부에 밀착되어 수송하는 물질이 액체인 경우 흐르지 않게 한다.
패킹을 삽입하는 방향과 반대쪽 패킹의 일 끝단에는 외부 리브부(10)의 각 리브(12)보다 반경이 크게 형성되는 덮개가 구비된 덮개부(60)가 구성된다. 지름이 큰 파이프에 패킹을 삽입하는 경우 패킹이 파이프의 끝단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파이프에 패킹을 조립하거나, 수송하는 물질의 압력이 큰 경우 덮개부(60)가 손상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60)와 외브 리브부 리브(12)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62)가 형성되어 덮개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패킹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리브(22)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22)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24)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20)가 구성된다.
외부 리브부(10)의 각 리브(12)와는 달리 내부 리브부(20)의 리브(22)는 파이프의 연결 방향과 나란하게 접촉면(24)이 형성되어 패킹의 내부에 연결하는 파이 프와 밀착된다.
외부 리브부(10)의 돌출되는 리브(12) 높이는 상기 내부 리브부(20)의 돌출되는 리브(22) 높이보다 높게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지름이 큰 파이프와 작은 파이프 간에 패킹 조립 시의 편리함과 지름의 차이에 따른 수송하는 물질로 인한 압력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패킹 제조 시의 단면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패킹의 내부 리브부(20)와 외부 리브부(10)의 사이에 흡음을 위한 흡음홀(32)이 형성된 제 1 흡음부(30)가 구성된다. 기다란 타원 모양으로 주로 상하에 두 개의 흡음홀(32)이 형성되고, 패킹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반대쪽에서 같은 수와 크기의 흡음홀(32)이 구비된다. 흡음홀(32)은 같은 크기로 일정 길이만큼 패킹의 내부로 패여서 형성되며, 단면과 수직 방향으로 패인 것이기 때문에 패킹의 외부 리브부(10)의 기능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깊이만큼만 패인다.
패킹 제조 시의 단면이 아닌 패킹의 각 단면 부위를 접착한 완성된 패킹을 기준으로 흡음홀(32)을 설명한다면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 한 개가 접착된 상태로 완성된 모습을 보면 제 1 흡음부의 흡음홀(32)은 패킹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두 개와, 연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두 개씩 총 4개의 흡음홀(32)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흡음부(40)를 표시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 방향과 수 직 방향인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패킹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패킹의 외부 리브부(10)에는 복수 개의 리브(12)가 형성되어 있는데, 패킹의 중간쯤 외부 리브부(10)의 리브(12)와 리브(12)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42)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40)가 구성된다. 복수 개의 돌기(42)는 상기 제 1 흡음부(30)의 흠음홀(32)처럼 패킹 내부 단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 형상인 패킹의 구조상 중심축을 향하는 돌기(42)는 길이가 짧고, 중심축을 향하는 돌기(42)보다 상대적으로 외곽에 있는 돌기(42)의 길이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음부(40)의 돌기(42) 중 패킹의 반대 부위의 단면과 맞닿는 곳에 있는 돌기(42)는 단면과 수직 방향이 아닌 패킹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패킹 내부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음부(30)의 상하 흠음홀(32)의 중간 위치에 제 2 흡음부(40)의 돌기(4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 쪽 외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흡음부(30)와 제 2 흡음부(40)의 각 구성은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제 2 흡음부(40)의 각 돌기(42)는 상기와 같이 패킹 내부 단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로 필요에 따라 파이프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에서 방사상, 수평 방향 등으로 패킹의 외부 원주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패킹의 양 끝단의 내부 방향으로 걸림턱(52)이 형성된 제 3 흡음부(50)가 구 성된다. 걸림턱(52)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54)가 형성되어 파이프의 유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며, 걸림턱(52)은 갈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수송하는 물질이 제 2 흡음부(40)로부터 새어 날 수 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흡음부(50)는 필요에 따라 수송하는 물질이나 배관 파이프를 설치하는 시설물의 용도 및 위치에 따라 제 3 흡음부(50)를 일 끝단 한 곳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과 파이프 간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연결 상태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 방향으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은 도 3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배관 파이프 패킹과 파이프 간의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 리브부
12 : 외부 리브부의 리브
20 : 내부 리브부
22 : 내부 리브부의 접촉면
30 : 제 1 흡음부
32 : 제 1 흡음부의 흡음 홀
40 : 제 2 흡음부
42 : 제 2 흡음부의 돌기
50 : 제 3 흡음부
52 : 제 3 흡음부의 걸림턱
60 : 덮개부

Claims (3)

  1.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 파이프 패킹에 있어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외부 리브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와,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패킹의 양 끝단에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3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일 끝단에 상기 외부 리브부의 각 리브보다 반경이 크고, 외부 리브부와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패킹.
  2. 벽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 파이프 패킹에 있어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외부 리브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연결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리브부와,
    상기 패킹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며, 상기 연결 방향으로는 복수 개인 흡음홀이 형성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패킹의 일 끝단에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안쪽 면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 3 흡음부와,
    상기 연결 방향으로 상기 외부 리브부의 일 끝단에 상기 외부 리브부의 각 리브보다 반경이 크고, 외부 리브부와의 연결 부위가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흡음부와 상기 덮개는 상기 패킹의 같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패킹.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패킹의 상기 외부 리브부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나의 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방향으로의 상기 패킹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패킹의 외부 원주 일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과,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의 방향으로 패킹의 외부 원주 전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패킹.
KR1020090012537A 2009-02-16 2009-02-16 배관 파이프 패킹 KR10101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37A KR101011794B1 (ko) 2009-02-16 2009-02-16 배관 파이프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37A KR101011794B1 (ko) 2009-02-16 2009-02-16 배관 파이프 패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84A KR20100093384A (ko) 2010-08-25
KR101011794B1 true KR101011794B1 (ko) 2011-02-07

Family

ID=4275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537A KR101011794B1 (ko) 2009-02-16 2009-02-16 배관 파이프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7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373A (ja) * 1992-04-15 1993-11-09 Noriatsu Kojima 排水管継手における横枝管接続用パッキン
JPH07224943A (ja) * 1994-02-09 1995-08-22 Nippon Reinz Co Ltd 金属シール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70661A (ja) * 1995-12-19 1997-06-30 Koyo Kagaku Kk ガスケット
JP2001012665A (ja) 1999-06-24 2001-01-16 Kana Flex Corporation Kk 管接続用のシール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373A (ja) * 1992-04-15 1993-11-09 Noriatsu Kojima 排水管継手における横枝管接続用パッキン
JPH07224943A (ja) * 1994-02-09 1995-08-22 Nippon Reinz Co Ltd 金属シール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70661A (ja) * 1995-12-19 1997-06-30 Koyo Kagaku Kk ガスケット
JP2001012665A (ja) 1999-06-24 2001-01-16 Kana Flex Corporation Kk 管接続用のシール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84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6067B2 (ja) パイプやケーブルが挿入される導管スリーブを動的に封止するシステム
JP4890617B2 (ja) パイプ又はケーブルが延在する少なくとも1つの導管を動的に封止するシステム
KR20130112714A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KR100377275B1 (ko) 맨홀의 벽체에 매설되어 케이블 보호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
KR20080056531A (ko)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EP3034924A1 (en) Flange joint containment device
KR101011794B1 (ko) 배관 파이프 패킹
US8875905B2 (en) Plug assembly
KR101647820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밀봉 연결 구조
JP6238693B2 (ja) 鋼管矢板連結構造
JP2005304104A (ja) シール構造
KR102066746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용 패킹
JP2002194824A (ja) 止水用具
JP6378662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装置
JP5384022B2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保護構造
JP2017032098A (ja) 二重管の液漏れ対応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KR101168600B1 (ko) 배관용 방수 고무링
JP6378663B2 (ja) マンホール周壁の継目構造
KR100720683B1 (ko) 지하 공동구 이음부 누수방지시설
KR200277321Y1 (ko) 3중벽관
KR20090034848A (ko) 해저에 침강되는 유연관 구조
KR100988335B1 (ko) 콘크리트관의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0411149Y1 (ko) 맨홀연결부 틈새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