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374B1 -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374B1
KR101011374B1 KR1020100086958A KR20100086958A KR101011374B1 KR 101011374 B1 KR101011374 B1 KR 101011374B1 KR 1020100086958 A KR1020100086958 A KR 1020100086958A KR 20100086958 A KR20100086958 A KR 20100086958A KR 101011374 B1 KR101011374 B1 KR 10101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road
rail
repeater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섭
이민자
Original Assignee
대민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민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대민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10008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드레일 또는 낙석방지책에 외부충격(사고,낙석 등)이 가해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안내표시기에 재난 경고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사고 및 교통정체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시에 감지신호와 현장의 영상신호가 관리자서버에 전송되어 현장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상에 재난이 발생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재난 유무를 확인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가드레일(1)의 지주(10)와 레일(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20)에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지주(10)와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센서(31)를 구비한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50) 및 경고안내표시기(60)에 전송하도록 제어부(41)를 구비한 중계기(40)와;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50)와; 상기 감지부(30)가 설치된 도로구간에서 0.1 ~ 2㎞ 전방의 도로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레일(20)을 상기 지주(10)로부터 탄성시키는 스프링(32)과; 상기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31)와; 상기 스프링(32) 및 거리감지센서(31)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지주(10)와 레일(20)에 각각 결합된 제1커버(33) 및 제2커버(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MISFORTUNE PERCEPTION SYSTEM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드레일 또는 낙석방지책에 외부충격(사고,낙석 등)이 가해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안내표시기에 재난 경고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사고 및 교통정체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시에 감지신호와 현장의 영상신호가 관리자서버에 전송되어 현장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지주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과, 지주와 레일을 연결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다.
또한, 레일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도로를 진행하는 자동차가 사고로 인하여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경우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그런데, 도심지의 경우에는 차량사고의 인지가 용이하나, 도심지의 외곽이나 교외에서는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차량사고를 1차적으로 완화해줄 수는 있으나 차량사고의 인지가 어려워 차량사고의 수습이나 인명구조에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심지의 외곽이나 교외, 커브길, 고속도로 등에서의 차량사고는 상기와 같이 차량사고를 인지하지 못한 채 뒤따라오는 차량들에 의해 제2차, 제3차 추돌로 이어져 더욱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크나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드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변의 절개지에서는 홍수나 풍해 등으로 인하여 돌이나 흙이 도로변으로 떨어져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들에게 불의의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석방지책를 입설하여 낙석 또는 토사 등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낙석방지책는 절개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옹벽 상단에 소정간격으로 입설된 지주와, 이 지주들 간에 연결되는 금속재 망으로 이루어져서, 낙석 및 토사들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오직 상기 지주와 지면 간의 고정력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킨 다수의 낙석방지책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중량이 큰 낙석 및 토사들로부터 절대적으로 안전할 수는 없었다.
특히, 고속도로변이나 인적이 뜸한 곳에 설치된 낙석방지책의 경우에는 낙석이나 토사들로 인한 초기상황을 해당 관리자가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현장수습에 대한 후속 조치의 시간이 지체되어 교통사고 또는 교통정체 등의 2차적인 추가 피해를 피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에 재난이 발생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서버 및 경고안내표시기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재난현장의 수습과 인명구조에 지체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재난을 인지하지 못한 채 뒤따르는 차량들에 의해 발생되는 잇따른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장치를 통해 촬영된 재난 현장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관리자서버에 전달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재난유무 및 재난상황을 정확히 가늠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은 가드레일(1)의 지주(10)와 레일(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20)에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지주(10)와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센서(31)를 구비한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50) 및 경고안내표시기(60)에 전송하도록 제어부(41)를 구비한 중계기(40)와;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50)와; 상기 감지부(30)가 설치된 도로구간에서 0.1 ~ 2㎞ 전방의 도로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레일(20)을 상기 지주(10)로부터 탄성시키는 스프링(32)과; 상기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31)와; 상기 스프링(32) 및 거리감지센서(31)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지주(10)와 레일(20)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커버(33) 및 제2커버(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은 낙석방지책(70)의 방지책지주(72)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75)과; 상기 수평프레임(75)과 방지책지주(7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75)에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방지책지주(72)와 수평프레임(75)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센서(81)를 구비한 감지부(80)와; 상기 감지부(8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100) 및 경고안내표시기(105)에 전송하도록 제어부(91)를 구비한 중계기(90)와;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100)와; 상기 감지부(80)가 설치된 도로구간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80)는, 상기 수평프레임(75)을 상기 방지책지주(72)로부터 탄성시키는 스프링(82)과; 상기 수평프레임(75)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81)와; 상기 스프링(82) 및 거리감지센서(81)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방지책지주(72)와 수평프레임(75)에 각각 결합된 제1커버(83) 및 제2커버(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계기(40,90)에는 상기 제어부(41,9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재난현장을 촬영하는 영상장치(45,9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41,91)는 재난발생시 상기 감지부(30,80)에 의한 감지신호와 상기 영상장치(45,95)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관리자서버(50,10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로 하여금 도로상의 재난발생 여부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재난현장의 수습과 인명구조에 지체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재난발생시 경고안내표시기에 재난발생 경고 메시지를 표시해주어 잇따른 교통사고와 교통정체 등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에 설치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에 설치된 감지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에 설치된 감지부의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연결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책에 설치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책에 설치된 감지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에 설치된 감지부의 단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은 가드레일(1)의 지주(10)와 레일(20) 사이에 위치하는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50) 및 경고안내표시기(60)에 전송하는 중계기(40)와,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관리자서버(50)와,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6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3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32)과, 거리감지센서(31)와, 제1커버(33) 및 제2커버(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철판을 파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도로에 접하는 전면에는 상기 레일(20)의 형상과 같이 파형으로 절곡된 충격보호대(22)가 덧대어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손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충격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충격보호대(22)는 상기 레일(20)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상측에 걸림편(23)이 굴곡된 형상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보호대(22)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를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에는 완충 및 소음방지를 위해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지주(10)와 레일(2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10)와 레일(20)에는 상기 제1커버(33)와 제2커버(34)가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주(10)와 레일(20)의 결합시 상호 끼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2)은 상기 지주(10)에 결합된 제1커버(33)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커버(34)를 탄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2)은 제2커버(34)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레일(20)을 탄성시켜 상기 레일(20)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완충작용을 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31)는 상기 지주(10)에 결합된 제1커버(33)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32)에 의해 이격된 상기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일(2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레일(20)과의 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중계기(4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거리감지센서(31)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중계기(40)는 중계기에 구비된 제어부(41)를 통해 상기 관리자서버(50) 및 경고안내표시기(6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서버(50)는 상기 제어부(41)에 의해 상기 거리감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와 후술되는 영상장치(45)로부터 촬영된 현장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어 인명구조와 현장수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고안내표시기(60)는 상기 제어부(41)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재난 유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상기 경고안내표시기(60)는 상기 감지부(30)가 설치된 도로구간에서 0.1Km ~ 2Km 전방의 도로구간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뒤따라오는 차량들에게 사고에 따른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제2차, 제3차로 이어지는 연속 추돌사고를 예방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중계기(40)에는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고현장을 촬영하는 영상장치(45)가 별도로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영상장치(45)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41)에 의해 상기 관리자서버(50)로 전송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사고유무 및 사고현장의 상태를 확인하여, 현장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은 낙석방지책(70)의 방지책지주(72)에 지면과 수평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75)과, 상기 방지책지주(72)와 수평프레임(75) 사이에 위치하는 감지부(80)와, 상기 감지부(8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100) 및 경고표시부(105)에 전송하는 중계기(90)와,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관리자서버(100)와,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10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8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감지부(30)와 동일하게 스프링(82)와, 거리감지센서(81)와, 제1커버(83) 및 제2커버(84)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낙석방지책(70)은 절개지나 법면 등에 설치되어져 낙석이 도로내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이며, 통상 도로변의 옹벽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방지책지주(72)와, 상기 방지책지주(72)와 방지책지주(72) 사이에 설치된 낙석방지망(7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지책지주(72)는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는 H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 수평프레임(75)이 상기 방지책지주(72)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75)은 상기 방지책지주(75)에 감지부(8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져 상기 수평프레임(75)에 낙석 등으로 인해 외부충격이 발생된 경우 상기 감지부(80)가 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감지부(8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감지부(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아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30)의 구성 중 제2커버(34)가 레일(20)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감지부(80)의 구성은 제2커버(84)가 상기 수평프레임(75)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그 작동과정이 동일함에 따라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감지부(80)는 상기 수평프레임(75)에 낙석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75)과의 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중계기(9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상기 중계기(90)는 상기 관리자서버(100)와 경고안내표시기(105)에 감지된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재난감지 시스템에도 상기 거리감지센서(81)에 의한 감지신호와 함께 현장의 영상신호를 관리자서버(1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중계기(90)에는 영상장치(95)가 구비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영상장치(95)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눈으로 직접 확인함으로써 낙석발생의 유무 및 현장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여 신속하게 현장을 수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재난감지 시스템에도 일실시예와 같이 경고안내표시기(105)가 설치되어져 제어부(9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경고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통행중인 차량들은 상기 경고안내표시기(105)에 표출된 메시지를 통해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중계기(40,90)에는 제어부와 영상장치 및 경고표시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력 발전을 위한 솔라셀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풍력 발전을 위해 다수의 날개편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서버(50,100)에서는 감지부(30,80)를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와 영상장치(45,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도로상에서의 차량사고나 낙석사고의 진위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재난발생시 현장수습과 인명구조에 지체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난 발생 구간의 전방에 경고안내표시기(60,105)를 통해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뒤따라오는 후방의 차량들이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2차, 3차의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며, 도로내의 재난을 감지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동종업계의 기술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가드레일 10: 지주
20: 레일 22: 충격보호대
23: 걸림편 24: 통공
30,80: 감지부 31,81: 거리감지센서
32,82: 스프링 33,83: 제1커버
34,84: 제2커버 40,90: 중계기
41,91: 제어부 45,95: 영상장치
50,100: 관리자서버 60,105: 경고안내표시기
70: 낙석방지책 72: 방지책지주
74: 낙석방지망 75: 수평프레임

Claims (3)

  1. 도로상에 재난이 발생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재난 유무를 확인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가드레일(1)의 지주(10)와 레일(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20)에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지주(10)와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센서(31)를 구비한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50) 및 경고안내표시기(60)에 전송하도록 제어부(41)를 구비한 중계기(40)와;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50)와;
    상기 감지부(30)가 설치된 도로구간에서 0.1 ~ 2㎞ 전방의 도로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레일(20)을 상기 지주(10)로부터 탄성시키는 스프링(32)과; 상기 레일(2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31)와; 상기 스프링(32) 및 거리감지센서(31)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지주(10)와 레일(20)에 각각 결합된 제1커버(33) 및 제2커버(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2. 도로상에 재난이 발생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재난 유무를 확인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낙석방지책(70)의 방지책지주(72)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75)과;
    상기 수평프레임(75)과 방지책지주(7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75)에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방지책지주(72)와 수평프레임(75)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센서(81)를 구비한 감지부(80)와;
    상기 감지부(8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서버(100) 및 경고안내표시기(105)에 전송하도록 제어부(91)를 구비한 중계기(90)와;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100)와;
    상기 감지부(80)가 설치된 도로구간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중계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는 경고안내표시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80)는, 상기 수평프레임(75)을 상기 방지책지주(72)로부터 탄성시키는 스프링(82)과; 상기 수평프레임(75)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81)와; 상기 스프링(82) 및 거리감지센서(81)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방지책지주(72)와 수평프레임(75)에 각각 결합된 제1커버(83) 및 제2커버(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40,90)에는 상기 제어부(41,9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재난현장을 촬영하는 영상장치(45,9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41,91)는 재난발생시 상기 감지부(30,80)에 의한 감지신호와 상기 영상장치(45,95)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관리자서버(50,1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KR1020100086958A 2010-09-06 2010-09-06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KR10101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58A KR101011374B1 (ko) 2010-09-06 2010-09-06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58A KR101011374B1 (ko) 2010-09-06 2010-09-06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374B1 true KR101011374B1 (ko) 2011-01-28

Family

ID=4361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958A KR101011374B1 (ko) 2010-09-06 2010-09-06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3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131B1 (ko) * 2015-10-16 2016-06-28 홍영근 비상 알림 경고장치
KR101894859B1 (ko) * 2017-09-16 2018-09-04 신덕순 분해조립형 사방댐
KR102053874B1 (ko) 2019-06-14 2019-12-09 조규현 충돌 감지와 충돌 감지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가드레일
KR102189851B1 (ko) 2019-09-19 2020-12-11 (유)엠탑코리아 재난 예·경보 및 붕괴감지 기능이 구비된 낙석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25A (ja) * 1993-04-21 1994-11-01 Tsutomu Watanabe 高速道路の緊急掲示システム
JP2000227989A (ja) 1999-02-05 2000-08-15 Ntt Hokkaido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事故検知装置、事故検知システムおよびケーブルロープ
KR20060015000A (ko) * 2004-08-13 2006-02-1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통신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감시 시스템
KR20100110617A (ko) * 2009-04-03 2010-10-13 엘시스템 주식회사 가드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25A (ja) * 1993-04-21 1994-11-01 Tsutomu Watanabe 高速道路の緊急掲示システム
JP2000227989A (ja) 1999-02-05 2000-08-15 Ntt Hokkaido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事故検知装置、事故検知システムおよびケーブルロープ
KR20060015000A (ko) * 2004-08-13 2006-02-1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통신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감시 시스템
KR20100110617A (ko) * 2009-04-03 2010-10-13 엘시스템 주식회사 가드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131B1 (ko) * 2015-10-16 2016-06-28 홍영근 비상 알림 경고장치
WO2017065511A1 (ko) * 2015-10-16 2017-04-20 홍영근 비상 알림 경고장치
US10176713B2 (en) * 2015-10-16 2019-01-08 Tle. Inc Emergency alert and warning apparatus
KR101894859B1 (ko) * 2017-09-16 2018-09-04 신덕순 분해조립형 사방댐
KR102053874B1 (ko) 2019-06-14 2019-12-09 조규현 충돌 감지와 충돌 감지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가드레일
KR102189851B1 (ko) 2019-09-19 2020-12-11 (유)엠탑코리아 재난 예·경보 및 붕괴감지 기능이 구비된 낙석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35895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公路桥梁用防护拦
US7220077B2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KR101011374B1 (ko) 도로의 재난감지 시스템
CN105189873B (zh) 用于道路的防护性护栏
KR102189851B1 (ko) 재난 예·경보 및 붕괴감지 기능이 구비된 낙석 방지장치
CN203084927U (zh) 一种道路限高预警装置
WO2016196852A1 (en) Anti-ram sliding crash gate
KR20220025390A (ko) 경사지의 붕괴 예경보 시스템 및 그 경사지의 보강방법
EA022575B1 (ru) Дорожное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2053874B1 (ko) 충돌 감지와 충돌 감지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가드레일
KR101132848B1 (ko) 가드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CN208830181U (zh) 一种感知防护网
CN116429060A (zh) 一种道路声屏障结构安全预警的监控系统
KR20080000147U (ko) 건축 구조물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CN113622339A (zh) 一种基于电子光幕的桥涵防护系统
CN212906565U (zh) 地灾报警装置
KR20200088106A (ko) 충돌사고발생신호 송출기능이 있는 도로 안전 시설물
JP2007188173A (ja) 緊急地震速報対応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及び緊急地震速報対応交通信号機制御方法
Burlacu et al. The Need for Safer and Forgiving Roads
Price et al. Post weld and epoxy anchorage variations for w-beam guardrail attached to low-rill culverts.
CN217579907U (zh) 一种能够监测交通事故的门型防撞护栏
CN210597133U (zh) 一种公路护栏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Hurwitz et al. Evaluation of effects associated with advanced vehicle detection systems on dilemma-zone protection
Faller et al. Long-span guardrail system for culver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