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292B1 -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 - Google Patent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292B1
KR101010292B1 KR1020087020560A KR20087020560A KR101010292B1 KR 101010292 B1 KR101010292 B1 KR 101010292B1 KR 1020087020560 A KR1020087020560 A KR 1020087020560A KR 20087020560 A KR20087020560 A KR 20087020560A KR 101010292 B1 KR101010292 B1 KR 10101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node
base station
data packets
transmission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569A (ko
Inventor
알란 에드워드 존스
윌리엄 존 존스
Original Assignee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filed Critical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9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04B7/269Master/slav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Abstract

본 발명의 양태들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지국들에 의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를 포함한다. 이 루트 노드는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시간 지연과, 이들 시간 지연들 중 최대 시간 지연과,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한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한다. 루트 노드는 기지국들에게 타이밍 레이턴시를 제공한다. 이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지국은 타이밍 레이턴시의 만료후에 루트 노드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개시한다. 대안으로서, 루트 노드는, 기지국 대신에,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고, 이들 데이터 패킷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기지국들에 도달하도록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동기 전송, 루트 노드, 타이밍 레이턴시, 버퍼링

Description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QUASI SYNCHRONOUS TRANSMISSION IN CELLULAR NETWORKS}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듀플렉스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지원에 관한 것이나, 배타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모바일 무선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3 세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몇몇 널리 채택되고 있는 제3 세대 통신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스(FDD)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 CDMA-전용 시스템에서, 사용자 분리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 및 동일한 시간 구간의 사용자들마다 상이한 확산 코드 및/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들마다 상이한 시간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분리가 달성되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TDD는 업링크 전송, 즉, (종종 무선 가입자 통신 유닛 또는 사용자 장비, "UE"라 불리는) 모바일 무선 통신 유닛으로부터 셀을 서빙하는 무선 기지국을 경유한 통신 인프라구조로의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 즉, 통신 인프라구조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경유한 모바일 무선 통신 유닛으로의 전송, 양자 모두에 대해 사용되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제공한다. TDD에서, 캐리어 주파수는 시간 영역에서 일련의 타임슬롯들로 분할된다.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가 일부 타임슬롯들에 동안에는 업링크 전송에 할당되고, 다른 타임슬롯들 동안에는 다운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는, 3GPP에 의해 부분적으로 명시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TDD 옵션이다.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서로 근접한 커버리지 셀들을 서빙하는 기지국들은 미중첩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다. 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에서, 서로 근접한 셀들을 서빙하는 기지국들은 (업링크 방향 및 다운링크 방향 양자 모두에서 사용될) 별개의 확산 코드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각각의 셀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해 공통의 확산 코드를 사용하지만, 셀 내의 각각의 UE에 대해서는 상이한 셀-고유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각각의 셀에서 효과적으로 구분되는 확산 코드들로 이어진다.
향상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3 세대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상이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이와 같은 향상된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모바일 전화 및 기타의 휴대 장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향후 수년에 걸쳐 급속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달될 데이터 컨텐츠의 속성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높은 대역폭의 전송 채널을 요구한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를 채택하는 이와 같은 셀룰러 시스템에 서, 무선 가입자 유닛은 하나의 무선 서빙 통신 유닛, 즉, 한 셀의 기지국에 '접속'된다. 네트워크의 다른 셀들 내의 기지국들은 전형적으로 관심대상의 무선 가입자 유닛에 대하여 간섭 신호를 발생한다. 이들 간섭 신호들은 무선 가입자 유닛에서 유지될 수 있는 최대 달성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한 접근법은,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니캐스트(즉,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과는 반대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뉴스, 영화, 스포츠 등을 운반하는 수십개의 채널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는 수요가 많으므로, 가능한한 많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장 넓은 서비스 선택 범위를 모바일 전화 사용자(가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펙트럼적으로 효율적인 전송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의 지상 텔레비전/무선 전송과 유사한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UMTS를 위한 MBMS(Mobile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와 같은, 셀룰러 시스템을 통해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들이 지난 수년 동안 개발되어 왔다. 이들 브로드캐스트 셀룰러 시스템에서,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미중첩하는 물리적 자원을 통해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 내의 인접한 셀 들에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무선 가입자 유닛에서, 수신기는 자신이 접속된 셀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검출은, 인접한 셀들의 미중첩 물리적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잠재적으로 간 섭하는 추가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브로드캐스팅(DVB) 기술들이 최근 진화하여 모바일 핸드헬드(DVB-H)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트 비디오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종종, 이와 같은 네트워크들에서 무선 인프라구조 전송기들은 무선 리피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제어 시그널링 및 업링크 사용자 트래픽을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신호를 제공하여 DVB를 이용한 DVB-H 단말기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개의 구분되는 기술, 대개 셀룰러 전화 기술이 사용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실질적으로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경향이 있는 2개의 독립된 네트워크(셀룰러 및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가 요구된다. 이것은 인프라구조의 관점에서는 비용과 셀 싸이트 장비 재사용 면에서 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무선 전송을 위해 제안되거나 구현된 기술들은 브로드캐스트 목적 전용의 별도의 스펙트럼을 요구하거나, 각각의 주파수에 있는 구분되는 브로드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모바일 수신기 내의 이중 회로를 요구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형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위해 구상된 높은 대역폭을 달성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전송에 요구되는 높은 처리율을 달성하도록 인접 셀들로부터의 간섭이 완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브로드캐스트 전송의 지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메커니즘이 유익할 것이다. 특히, 셀룰러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전송의 설비가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과 공존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이 유익할 것이다.
한 접근법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네트워크의 모든 셀들 내의 기지국들에 의해, 또는 서로 근접한 셀 클러스트 내의 기지국들에 의해, 동일한 물리적 자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되는 반면, 유니캐스트 서비스는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와 같이, 인접한 셀들 내의 미중첩 물리적 자원들을 통해 전달되도록,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드 양자 모두에서 유니캐스트 서비스외에도 다운링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TD-CDMA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전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동일한 확산 코드(들)을 이용하는 셀 클러스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반면, 유니캐스트 트래픽은 인접 셀들 내의 구분되는 확산 코드들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전송은 상이한 타임슬롯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것은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동안 모바일 수신기가 겪는 간섭을 저감시킨다. 요건은, 상이한 셀들로부터의 신호가 유사-동기임을, 즉,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이 공칭 시간 윈도우 내에서 UE 수신기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제어기들로부터 기지국들에 도달하는 데이터 패킷들은, 동일한 시점에서 전송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도달해야 한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들은 동기화 포트를 통해 동기화된다고 가정된다. 전형적으로 GPS는 3GPP UMTS에서 기지국들의 동기화를 위한 한 방법이다. GPS 신호는 기지국의 동기화 포트에 인가된다.
전형적으로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비동기이다. 이와 같은 경우, 데이터 패킷들은 실질적으로 상이한 시점에서 기지국들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들이 국부적으로 동기화되고, 에어-인터페이스에서 동기화되더라도, UE 수신기에서 관찰될 때의 셀들로부터의 전송은 데이터 패킷 레벨에서는 비동기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만일 이들이 패킷 데이터 레벨에서 정말로 동기가 어긋난 것처럼 보인다면, 동기가 어긋난 셀들로부터의 신호들은,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해 상이한 데이터 패킷들이 동시에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간섭으로서 나타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신호대 잡음비는 악화될 수 있고, 따라서 처리율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뿐만 아니라 에어-인터페이스에서도 데이터 패킷은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지국들에 의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를 포함한다. 이 루트 노드 내의 처리 로직은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시간 지연, 이들 시간 지연들 중 최대 시간 지연, 및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한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한다. 타이밍 레이턴시는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클 수 있다. 루트 노드는 타이밍 레이턴시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지국은 타이밍 레이턴시의 만료후에 루트 노드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루트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지연은 루트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여 기지국들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기초한다. 그 경우,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대해, 루트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제어기까지의 단일 시간 지연, 및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그 네트워크 제어기에 대응하는 기지국들까지의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 제어기 그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간 지연은 루트 노드와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왕복 데이터 패킷 전송 지연에 기초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처리 로직은 요청 내에 제1 타임 스탬프를 병합하고, 그 요청을 기지국들에 전송하고, 각각의 기지국에 대해, 제1 타임 스탬프와, 루트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병합되는 제2 타임 스탬프 사이의 차이를 판정함으로써 시간 지연을 판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 대신에 루트 노드가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한다. 그 경우, 루트 노드 내의 처리 로직은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시간 지연을 판정하고, 그 시간 지연들 중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고, 최대 시간 지연과,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대응하는 기지국까지의 시간 지연 사이의 대응하는 레이턴시 차분(differential)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루트 노드는 최대 시간 지연과 연관된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고; 제2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제2 기지국과 연관된 레이턴시 차분의 만료후에 개시할 수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 패킷들 중 제1 데이터 패킷은, 각각의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와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가입자 단말기에 의한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수신을 예시한다.
도 2는 인프라구조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3은 연관된 노드간 전송 지연과 더불어, 네트워크 노드들의 트리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루트 노드가 전송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버퍼링을 예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수개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기계적, 구성적, 구조적, 전기적, 및 동작상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여겨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몇몇 부분은, 프로시져, 단계, 논리 블럭, 처리, 및 컴퓨터 메모리 상에 수행될 수 있는 데이터 비트들에 관한 연산의 기타 상징적 표현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프로시져, 컴퓨터 실행되는 단계, 논리 블럭, 프로세스 등은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단계들 또는 명령들의 일관성있는 시퀀스인 것으로 간주된다. 단계들은 물리적 양의 물리적 조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들 양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저장되고, 전송되고, 결합되고, 비교되고, 기타의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전기, 자기, 또는 무선 신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신호는 때때로 비트, 값, 엘리먼트, 심볼, 캐릭터, 항, 숫자 등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각각의 단계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이하에 기술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3GPP UMTS 시스템, 명세, 및 권고안을 참고하여 기술되지만, 더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과 동일한 캐리어 상에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의 개념이 앞서 설명되었다. 브로드캐스트 전송에 대한 셀 처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동일한 신호가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전송된다. 모바일 수신기는 이들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들을 다중경로 성분으로서 처리하고, 이들 신호를 수신기 처리의 일부로서 최적의(또는 거의 최적의)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것이, 브로드캐스트 모드에서 전송하는 2개의 기지국의 경우에 대해 도 1에 예시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든 네트워크 요소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사용자 장비)은 프로세서들 및/또는 기타 로직의 제어하의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102)은 기지국(103)보다 모바일 수신기(101)에 물리적으로 더 가깝 다. 각각의 신호 전파 거리는 각각 106 및 109로 라벨링되어 있다. 그래프(104)는, (비록 실제로 물리적으로 실현가능한 신호가 전송되지만) 통신 이론의 배경에서 기지국(102) 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중경로 신호 임펄스 응답의 시간에 관한 크기 플롯이다. 여기서, 수신기에 도달하는 신호들은 공칭 동일 시점에 나타난다. 즉, 이들은 유사-동기인 것처럼 보인다(이들은 시간적으로 정렬 또는 거의 정렬됨을 의미). 비록 단 하나의 임펄스가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지만, 복수의 전파 경로에 대응하는 신호 반사로부터 복수의 임펄스(105)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임펄스 응답은 시간적으로 희미해진다(smear out). 이것은 때때로 채널 분산이라 불린다.
종종, CDMA 수신기는 채널 분산을 보상하기 위해 개개의 다중경로 성분들을 분해하고 이들을 적절한 지연과 결합하는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를 이용한다. 그래프(107)는, 기지국(103) 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중경로 신호 임펄스 응답의 시간에 관한 크기 플롯이다. 여기서, 108은 대응하는 복수의 임펄스이다. 비록 기지국들(102 및 103)은 표면적으로는 동일한 시간(또는 거의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전파 경로(109)가 전파 경로(106)보다 길기 때문에, 신호들이 모바일 수신기(101)에 의해 수신될 때, 이들은, 시간에 관한 크기 플롯(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오프셋된다. 기지국(103) 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클러스터(112)는, 전파 경로(109)가 전파 경로(106)보다 더 길기 때문에, 기지국(102) 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클러스터(111)보다 늦게 도달한다. 그래프(110)에서 시간 구간(113)은 경로(109)와 경로(106) 사이의 전파 시 간에서의 차이이다. 시간 구간(114)은, 이 시간 구간이 충분히 짧다면, 레이크 수신기와 같은 수신기 신호 처리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결합된 기지국 전송에 대한 유효 채널 분산이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쳐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들(206 내지 209)은 모바일 수신기들에게 무선 전송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제어기들(204 및 205)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들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무선 자원을 제어하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20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203)는 세션 관리 및 외부 네트워크로의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공한다. 서비스 센터(202)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스케쥴링을 제공하고, 컨텐츠 프로바이더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보안과 인증을 제공할 수도 있다. 3GPP 용어에서, (i) 기지국은 노드 B이고; (ii) 네트워크 제어기는 RNC이며; (iii) 코어 네트워크는 3G 코어 네트워크로서, RNC 내에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iv) 서비스 센터는 3G 코어 네트워크의 GGSN 내에 인터페이싱하는 BM-SC(Broadcast Multicast - Service Center)이다. 컨텐츠 프로바이더(201)로부터의 데이터는 서비스 센터(202)(BM-SC)와 코어 네트워크를 통과한다. 이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복수의 네트워크 제어기들로 전송된다. 주목할 점은, 각각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3GPP 기술 명세 TS23.246 v6.4.0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MBMS); 프랑스 발본 소피아 안티폴리스 루트 데 루시올레 650에 위치한 3GPP Support Office 에 의해 발행된 Architecture and Functional Description(Release 6)"는 더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인용된다.
만일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이 유사-동기이면, 즉,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이 공칭 기간 내에서 UE 수신기에 도달하면, 개개의 다중경로 신호 성분들은 모두 분해되고 UE 수신기의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적절한 시간 지연과 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들로부터 기지국들에 도달하는 데이터 패킷들은 동일한 시점에서 재전송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도달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데이터가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들은 동기화 포트를 통해 국부적으로 동기화된다고 가정된다. GPS는 기지국들의 동기화를 위한 한 방법이다. GPS 신호는 기지국의 동기화 포트에 인가된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전형적으로 비동기이다. 이와 같은 경우, 데이터 패킷들은 실질적으로 상이한 시점에서 기지국들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들이 국부적으로 동기화되고, 에어-인터페이스에서 동기화되더라도, UE 수신기에서 관찰할 때 셀들로부터의 전송은 데이터 패킷 레벨에서는 비동기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만일 이들이 정말로 데이터 패킷 레벨에서 동기가 어긋난 것처럼 보인다면, 상이한 데이터 패킷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해 동시에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동기가 어긋한 셀들로부터 신호들은 간섭으로서 나타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신호대 잡음비는 악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율은 저감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동기가 어긋난 경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는 하기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59869638-pct00001
여기서, P 1 은 111의 수신된 전력이고, P 2 는 112의 수신된 전력이며, n은 열잡음이다. 만일 모든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이 동기이면, 그 전송들은 UE에서는 다중경로 성분들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일단 이들이 식별되고 나면, 통상의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코히어런트식(coherently)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결과, 원하는 신호 성분은 증가되고 추가적으로 간섭 성분은 저감되기 때문에, 유효 SNR이 대단히 증가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동기의 경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는 하기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59869638-pct00002
따라서, 데이터 패킷들은 기지국들뿐만 아니라 에어 인터페이스에서도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사 동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규한 기술을 제공한다.
이 문제는 네트워크 제어기들이 동기화될 때에도 역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해 보면, 만일 전파 지연(210)이 전파 지연(211)보다 작다면, 코어 네트워크(203)로부터의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 #2(205)에 도달하기 이전에 네트워크 제어기 #1(204)에 도달할 것이다. 네크워크 제어기들이 마스타 동기화 신호를 통해 동기화되었더라도, 네트워크 요소들간의 전송 지연은, 상이한 전파 지 연들(212 내지 215) 때문에, 여전히 기지국들에서의 상이한 도달 시간들로 귀결될 것이다. 명백히, 유사-동기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가능케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이 기지국들 모두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동일한(또는 거의 동일한) 시간에 전송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관심대상의 모든 기지국들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이 데이터 패킷 레벨에서 실질적으로 동기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도를 고려해 보자. 트리 내의 노드들은 네트워크 요소들(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제어기, 및 기지국)이며 노드들 사이의 접속은 요소들간 지연이다. 이 아키텍쳐는 계층적인 것으로 가정되고, 이 예에서는 3개 계층으로 구성된다. 이 도면은 3 계층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계층 0는 루트 노드에 대응하고, 계층 1은 루트 노드에 접속되고 K개 네트워크 요소를 가지며, 계층 2는 계층 구조내에서 최하위 계층(또는 터미널 노드 계층)이며 계층 1의 각각의 네트워크 요소에 대하여 Qk개의 네트워크 요소를 가진다. 우리는 네트워크 요소 N 0 를 소스 노드 또는 루트 노드라고 정의한다. 한 실시예에서, 루트 노드는 물리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요소 N 0 N k 사이의 지연(여기서 k=1, K), Kd k 에 의해 정의되고, 네트워크 요소 N k N k,q (여기서, q=1, K)사이의 지연, Q k d k,q 에 의해 정의된다. 지연은 초단위로 정의된다. 네트워크 요소 N 0 로부터 네트워크 요소 N k (k≠0) 를 통해 네트워크 요소 N k,q 까지의 최대 지연은
Figure 112008059869638-pct00003
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함수 max(K)는 k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범위 1 내지 Qk에 걸쳐 q를 변경함으로써 최대값을 판정한다. 벡터 D = (D1, D2, K, Dk)가 지연 세트라고 하자. 그리고 루트 노드로부터 계층 2까지의 최대 지연을 하기와 같이 정의하자.
Figure 112008059869638-pct00004
도 4는, 루트 노드가 네트워크 요소 N k N k,q 와 연관된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루트 노드 N 0 는 네트워크 요소 N k,q 에 메시지 "REQUEST"를 전송한다. 루트 노드로부터의 메시지 "REQUEST"는 네트워크 요소 Nk,q로부터 "RESPONSE" 메시지를 요청한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요소 N k N k N k,q 사이에서 메시지 포워딩을 제공한다. 루트 노드가 메시지 "RESPONSE"를 수신하면, 전체 지연은 왕복 지연으로서 2Dk와 같을 것이다. 편도 지연(one way delay)을 얻기 위해, 왕복 지연은 반분된다.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지연을 가질때까지 최하위(터미널 노드) 계층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요소에 대해 상기 프로시져를 반복한다. 루트 노드가 모든 지연을 추정하면,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 내의 가장 긴 지연을 추정하기 위해 등식 (2)를 사용한다.
최대 지연 Dmax가 주어지면, 루트 노드는 이제 최하위 계층(예를 들어, 기지 국 계층) 내의 네트워크 요소 N k,q 에 의해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 요소들 N k,q 모두에게 전송에 대한 타이밍 레이턴시를 시그널링한다. 타이밍 레이턴시 기간은 Dmax와 같거나 크다. 그 다음, 루트 노드는 최하위 계층(즉, 기지국)의 네트워크 요소들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한다.
당업자라면, 루트 노드와 단말기 노드 사이의 지연이 동등하지 않다면(업스트림 지연과 다운스트림 지연이 다르다면), Dmax에 충분한 여유폭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루트 노드로부터 최하위 계층까지의 편도 지연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루트 노드와 최하위 계층 네트워크 요소에서 타임 스탬핑을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메시징 "REQUEST" 및 "RESPONSE"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즉, RESPONSE 메시지는 최하위 계층에서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을 루트 노드에게 제공할 것이다. 그 시간은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되었던 시간과 비교될 수 있다. 전송된 REQUEST 시간은 REQUEST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고, 그리하여, RESPONSE 메시지가, 최하위 계층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계산될 수 있는 편도 지연을 나타내는 차이를 포함하도록 허용한다. 여유폭을 추정하는 추가적인 방법은, 통신 시스템 설계 분야의 당업자라면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이한 네트워크 터미널 노드들과 루트 노드 사이에서 네트워크 지연이 상이할 가능성은 대단히 높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하위 계층(예를 들어, 기 지국)의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데이터 패킷의 버퍼링이 사용된다. 적어도 최대 지연("타이밍 레이턴시")에 도달하는 때까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버퍼링이 요구된다. 이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단 2개의 계층이 있다. 루트 노드 N 0로부터 제1 네트워크 요소 N1까지의 지연은 루트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 요소 N2까지의 지연보다 작다. 루트 노드는 4개의 연속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데이터 버퍼는 제2 네트워크 요소가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 2개의 데이터 패킷을 저장한다. 타이밍 레이턴시는 적어도 최대 지연으로 세트된다. 타이밍 레이턴시에 도달하면, 제1 데이터 패킷이 제1 및 제2 네트워크 요소들(예를 들어, 기지국)로부터 동시에 전송되어,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유사-동기 전송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전송은 4개 데이터 패킷 모두가 전송될때까지 계속된다.
한 3GPP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3개 계층을 가진다: 루트 노드 또는 계층 0의 네트워크 요소는 SGSN이고, 계층 1의 네트워크 요소는 RNC이며, 계층 2의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 B이다. 또 다른 3GPP 실시예에서, 단 2개의 계층이 있고, 루트 노드 또는 계층 0의 네트워크 요소는 RNC이고, 계층 1의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 B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계층을 지원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각각의 실시예는 하나의 루트 노드를 요구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위 계층 네트워크 요소(이 예에서는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는 대신에, 시스템은 루트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 하고, 그 데이터 패킷들을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 상이한 시간에 전송하여, 데이터 패킷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예를 들어,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에 기지국들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은 타이밍 레이턴시가 기지국에 시그널링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에, 루트 노드는, Dmax와,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 BSi 사이의 지연 간의 차이 △i를 계산한다. 최대 지연 Dmax와 연관된 기지국 BSmax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한 이후에, 루트 노드는 대응하는 기지국 BSi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기 전에 그 차이 △i의 만기를 기다린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들 및 예시적 도면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예들 또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이, 적절하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세스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와이어드 로직의 제어하에 (총칭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라 일컬어지는) 디지털 회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기타의 어떤 프로세스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료성의 목적을 위해, 상기 설명은 상이한 기능 유닛 및 프로세서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기능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들 사이에서 기능의 임의의 적절한 배분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개의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된 기능이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한 기능 유닛에 대한 참조는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나 조직을 가리키는 것이라기 보다는 기술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대한 참조로서 파악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몇가지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특정한 형태만으로의 제한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추가적으로, 한 특징이 특정한 실시예와 연계하여 기술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당업자라면,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개별적으로 나열되었지만, 복수의 수단들, 요소들, 방법 단계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유닛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개개의 특징들이 상이한 청구항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이들은 유익하게 조합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청구항들에 포함된다는 것이, 특징들의 소정의 조합이 가능성이 없거나 및/또는 유익하다거나 하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한 카테고리의 청구항에 소정 특징이 포함된다는 것이, 그 카테고리만으로의 제한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특징은 적절하다면 기타의 청구항 카테고리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할 것이다.

Claims (65)

  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복수의 기지국에 의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루트 노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복수의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시간 지연으로부터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하여, 사용될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복수의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대해,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까지의 단일 시간 지연과,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대응하는 기지국까지의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 동일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간 지연은 상기 루트 노드와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왕복 데이터 패킷 전송 지연에 기초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요청 내에 병합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을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와, 상기 루트 노드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병합된 제2 타임 스탬프 사이의 차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는 3GPP UMTS 인프라구조이고 상기 루트 노드는 3G 코어 네트워크인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대응하는 기지국까지의,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상기 시간 지연 사이의 대응하는 레이턴시 차분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연관된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 제2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레이턴시 차분의 만료후에,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중 제1 데이터 패킷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제1 데이터 패킷은 각각의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7.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전송 지연을 판정하기 위해 루트 노드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되는 타이밍 레이턴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하며,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상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에 기초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재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가 만료할 때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때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를 상기 루트 노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는 3GPP UMTS 인프라구조이고, 상기 기지국은 노드 B인 것인,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3.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복수의 기지국에 의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루트 노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최대 시간 지연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하여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대응하는 기지국까지의,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상기 시간 지연 사이의 대응하는 레이턴시 차분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연관된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 제2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레이턴시 차분의 만료후에,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중 제1 데이터 패킷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제1 데이터 패킷이 각각의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8.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복수의 기지국에 의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루트 노드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하며,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상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가 경과한 후에,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9. 제23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는 3GPP UMTS 인프라구조이고, 상기 루트 노드는 3G 코어 네트워크인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0. 삭제
  31.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판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로서,
    데이터 패킷과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복수의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와;
    상기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답성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최대 데이터 패킷 전송 지연을 계산하고, 상기 최대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큼―를 계산하기 위한 처리 로직
    을 포함하는 루트 노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전송기가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게끔 동작가능한 것인, 루트 노드.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지연은 상기 루트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왕복 데이터 패킷 전송 지연에 기초하는 것인, 루트 노드.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지연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상기 기지국들에게 발행된 요청과 연관하여 상기 루트 노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 내에 병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임 스탬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과 연관하여 상기 기지국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응답성 데이터 패킷에 병합된 적어도 하나의 응답성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성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인, 루트 노드.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각각의 대응하는 기지국까지의,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상기 시간 지연 사이의 대응하는 레이턴시 차분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상기 전송기에 의해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루트 노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최대 시간 지연과 연관된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을 개시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 제2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레이턴시 차분의 만료후에, 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인, 루트 노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중 제1 데이터 패킷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게끔 전송을 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루트 노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중 제1 데이터 패킷이 각각의 기지국의 스케쥴링 구간 내에 각각의 기지국에 도달하게끔 전송을 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루트 노드.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동일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루트 노드.
  40.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용의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의 루트 노드로부터 제1 데이터 패킷, 제3 데이터 패킷, 및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되는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로서,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루트 노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최대 시간 지연에 기초하며,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는 상기 최대 시간 지연보다 큰 것인,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루트 노드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공통 타이밍 레이턴시의 만료후에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를 포함하는 기지국.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이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2 데이터 패킷 내에 병합하기 위한 처리 로직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KR1020087020560A 2006-01-23 2007-01-22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 KR101010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38,062 2006-01-23
US11/338,062 US7711008B2 (en) 2006-01-23 2006-01-23 Quasi synchronous transmission in cellular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569A KR20080096569A (ko) 2008-10-30
KR101010292B1 true KR101010292B1 (ko) 2011-01-25

Family

ID=3802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560A KR101010292B1 (ko) 2006-01-23 2007-01-22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11008B2 (ko)
EP (1) EP1980037B1 (ko)
JP (1) JP4966318B2 (ko)
KR (1) KR101010292B1 (ko)
CN (1) CN101395824B (ko)
WO (1) WO2007082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6901A1 (en) * 2005-12-09 2007-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of an object for presentation of multiple sources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said method
US7711008B2 (en) * 2006-01-23 2010-05-04 Ipwireless, Inc. Quasi synchronous transmission in cellular networks
WO2008024822A2 (en) * 2006-08-22 2008-02-28 Brilliant Tele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ynchronizing distribution of packet services across a distributed network
JP4830787B2 (ja) * 2006-10-25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mbmsデータ送信方法
CN101689935B (zh) * 2007-05-09 2014-02-26 Lg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的延迟控制
CN101350664A (zh) * 2007-07-18 2009-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广播/组播同步方法
JP2009038444A (ja) * 2007-07-31 2009-02-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CN102067550B (zh) * 2007-10-23 2014-10-29 皇家Kpn公司 用于对终端组进行同步的方法和系统
FR2924545B1 (fr) * 2007-11-29 2009-12-11 Alcatel Lucent Dispositif et procede de synchronisation d'entites logiques d'acces radio d'un reseau de communication sans fil
US7860107B2 (en) * 2007-11-30 2010-12-28 Ip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ing for transmissions
US8213405B2 (en) * 2008-02-01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ynchronization
JP5125572B2 (ja) * 2008-02-12 2013-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のトラヒック性能評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527674B (zh) * 2008-03-04 2011-04-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US8654988B2 (en) * 2008-05-05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f signals for multiple data sinks
JP5112229B2 (ja) * 2008-09-05 2013-0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8169999B2 (en) * 2009-01-16 2012-05-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content timing across femtocell interfaces via timestamp insertion
EP2445286B1 (en) * 2009-06-15 2017-08-09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63322B1 (ko) * 2009-08-25 2016-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동기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동기를 위한 스테이션
US8458362B2 (en) 2010-09-30 2013-06-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livering content in multiple formats
US20120189074A1 (en) * 2011-01-21 2012-07-26 Cisco Technology, Inc. Diversity for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380327B2 (en) * 2011-12-15 2016-06-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iming across multiple streams
JP5825131B2 (ja) * 2012-02-09 2015-12-02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エイ装置、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動作期間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670157B1 (en) 2012-06-01 2019-10-02 Koninklijke KPN N.V. Fingerprint-based inter-destination media synchronization
US9226266B2 (en) * 2013-09-03 2015-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determining delay parameters for user data flow synchronization for eMBMS
US9603113B2 (en) * 2013-10-2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algorithm for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CN104333444A (zh) * 2014-10-31 2015-02-04 西安交通大学 一种3d mimo实验验证平台基带处理单元同步方法
US9596558B2 (en) * 2015-03-19 2017-03-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ssociation request transmission method
US10063306B2 (en) * 2016-10-24 2018-08-2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s using quasi-synchronous distributed CDD systems
CN108631946A (zh) * 2018-05-14 2018-10-09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时延调节方法及相关设备
CN109714700B (zh) * 2018-12-11 2021-02-0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方法、定位方法、主基站及定位系统
EP3874773A4 (en) 2018-12-11 2022-01-26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A TERMINAL
EP4187986A4 (en) * 2020-07-22 2024-05-15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428B1 (en) * 1998-10-07 2001-02-06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modifying base station transceiver resources for time of arrival measurements
US6212171B1 (en) * 1998-06-22 2001-04-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ap count determination
US20010040902A1 (en) 2000-03-03 2001-11-15 Rao Manjuprakash Rama Embedded loop delay compensation circuit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5155B1 (it) 1993-07-14 1996-10-31 Italtel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equalizzare l'istante di trasmissione di una pluralita' di stazioni radio base
US6049720A (en) * 1996-04-12 2000-04-11 Transcrypt International / E.F. Johnson Company Link delay calcul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US5892754A (en) * 1996-06-07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controlled adaptive flow control for packet networks
KR19980049458A (ko) 1996-12-19 1998-09-15 김광호 디지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들간의 거리차에 의한 동기 신호 지연검출 회로 및 방법
US6501771B2 (en) * 1997-02-11 2002-12-31 At&T Wireless Services, Inc. Delay compensation
US6108315A (en) * 1997-05-06 2000-08-22 Motorola, Inc. Radio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with location computation
US6999440B2 (en) * 1997-10-22 2006-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DMA radio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ransmit timing by using measured delay time
US6373834B1 (en) 1997-12-19 2002-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nchronization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DE19818325A1 (de) 1998-04-23 1999-10-28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JPH11331228A (ja) * 1998-05-08 1999-11-30 Toshiba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US7068746B1 (en) * 2000-03-01 2006-06-27 Lucent Technologies Inc. Base station transceiver to radio network controller synchronization filtering function
AU3587501A (en) * 2000-03-17 2001-09-2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Synchronised data delivery
US7123616B2 (en) * 2000-06-09 2006-10-17 Ixia Determining round-trip time delay
US6717917B1 (en) * 2000-06-09 2004-04-06 Ixia Method of determining real-time data latency and apparatus therefor
JP3376444B2 (ja) * 2000-07-07 2003-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装置及びタイミング調整方法
US7281053B2 (en) * 2000-10-13 2007-10-09 Aol Ll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latency management and drift correction
DE60019981T2 (de) * 2000-12-11 2006-02-23 Nokia Corp. Konfigurierung einer datenübertragungsschnittstelle in einem kommunikationsnetz
US7012900B1 (en) * 2001-08-22 2006-03-14 Packeteer, Inc. Method for measuring network delay using gap time
WO2003105356A1 (en) * 2002-06-07 2003-12-18 Ember Corporation Ad hoc wireless network using gradient routing
JP2004229117A (ja) * 2003-01-24 2004-08-12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マルチキャスト交換装置、通信方法
US7535932B2 (en) * 2003-12-26 2009-05-19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s system,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base station
KR100651466B1 (ko) * 2004-01-2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스트림의 동기화 시스템및 방법
WO2005079536A2 (en) * 2004-02-19 2005-09-01 Ember Corporation Directing packets in a mesh network
US7626926B2 (en) * 2004-12-09 2009-12-01 Airvana, Inc. Traffic management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7978682B2 (en) * 2005-05-09 2011-07-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of data packets in a data network
US20070147435A1 (en) * 2005-12-23 2007-06-28 Bruce Hamilton Removing delay fluctuation in network time synchronization
US8089938B2 (en) * 2005-12-28 2012-01-03 Alcatel Lucent Method of synchronizing with an uplink channel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 propagation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711008B2 (en) 2006-01-23 2010-05-04 Ipwireless, Inc. Quasi synchronous transmission in cellular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171B1 (en) * 1998-06-22 2001-04-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ap count determination
US6185428B1 (en) * 1998-10-07 2001-02-06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modifying base station transceiver resources for time of arrival measurements
US20010040902A1 (en) 2000-03-03 2001-11-15 Rao Manjuprakash Rama Embedded loop delay compensation circuit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15014A1 (en) 2010-08-26
EP1980037B1 (en) 2014-01-01
US7711008B2 (en) 2010-05-04
JP2009524313A (ja) 2009-06-25
JP4966318B2 (ja) 2012-07-04
WO2007082953A1 (en) 2007-07-26
US8081597B2 (en) 2011-12-20
KR20080096569A (ko) 2008-10-30
WO2007082953B1 (en) 2007-10-11
CN101395824B (zh) 2014-03-12
CN101395824A (zh) 2009-03-25
US20070171853A1 (en) 2007-07-26
EP1980037A1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292B1 (ko)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유사 동기 전송
US9025509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ess gateway, wireless base station,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71184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のチャネル構成
EP2078374B1 (en) Communication on a plurality of carriers
CA2691154A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ervices
WO2008009228A1 (fr) Procédé d'émission-relais, appareil et système pour assurer la connexion de signaux à large bande sans fil
KR101178440B1 (ko) 백홀 링크들을 통한 순방향에서의 호 트래픽의 동기화
CN101193094B (zh) 一种发送广播/组播业务的方法及系统
US20140010143A1 (en) Cooperative relay in mbms transmission
US9277593B2 (en) Downlink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995145B1 (en) Elimination of muting during evolved multicast broadcast service (embs) service change
KR20070105103A (ko) 패킷 네트워크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512262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下りリンクの信号を送信する基地局
KR20120005940A (ko) 송신 방법
Wang et al. Inter node B node synchronization in SFN for MBMS transmission
JP2012147381A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ofdm)を用いた無線マルチホップ協調通信装置及び通信方式
KR20110087057A (ko) 멀티 셀 환경에서 단말의 물리 채널 변경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