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64B1 -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64B1
KR101010164B1 KR1020040005393A KR20040005393A KR101010164B1 KR 101010164 B1 KR101010164 B1 KR 101010164B1 KR 1020040005393 A KR1020040005393 A KR 1020040005393A KR 20040005393 A KR20040005393 A KR 20040005393A KR 101010164 B1 KR101010164 B1 KR 10101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operating
starting
discharge lamp
circuit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290A (ko
Inventor
베른트 루돌프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6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5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Abstract

선 전류(line current)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Lp1, Lp2)를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는, 램프의 시동시 에너지 불균형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램프(Lp1, Lp2)에 충분한 점화 전압이 발생되고, 임계 스위치(MOV, TH)가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포함된 인버터의 주파수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ARTING AND OPERATING DISCHARGE LAMPS}
도 1은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블록회로도이다.
도 2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A: 증폭기 C: 커패시터
CONT: 제어기 D: 다이오드
INV: 인버터 L: 코일
Lp: 방전 램프 MOV, TH: 임계 스위치
N: 노드 전위 R: 저항
STO: 주 에너지 저장기 T: 트랜지스터
UNI: 전자 펌핑 스위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방전 램프를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소위 선 전류(line current)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하 펌프와 관련이 있다.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방전 램프용 전자 동작 장치에 사용된다. 하기에서 방전 램프의 시동이라 함은 적어도 점화 단계에서의 점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점화 단계의 예열 단계에 속하는 전극 필라멘트의 예열이 점화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장치가 선 전압(line voltage)에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동작 장치는 선 전류(line current) 고조파와 관련된 규정(예: IEC 1000-3-2)에 부합하여야 한다. 상기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선 전류 고조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회로 조치들이 필요하다. 그러한 조치로는 소위 전하 펌프(charge pump)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전하 펌프의 장점은 상기 전하 펌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회로의 복잡도가 낮다는 것이다.
선 전압에서 구동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선 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
- 주 에너지 저장기(main energy store)
- 주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에너지를 끌어와 인버터 출력부에 선 주파수(line frequency)보다 훨씬 더 높은 인버터 주파수를 가진 인버터 전압을 발생시키는 인버터
- 방전 램프가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매칭 네트웍(matching network)
주 에너지 저장기가 정류기로부터 직접 충전되면, 상기 규정에 위배되는 충전 전류 피크가 발생한다.
전하 펌프의 토폴로지(topology)는 정류기가 전자 펌핑 스위치를 통해 주 에너지 저장기와 연결됨을 의미한다. 그로 인해 정류기와 전자 펌핑 스위치 사이에 펌핑 노드가 형성된다. 펌핑 노드는 펌핑 네트웍(pumping network)을 통해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된다. 펌핑 네트웍은 매칭 네트웍에도 동시에 할당될 수 있는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 펌프의 원리는 인버터 주파수의 1/2 주기동안 선 전압으로부터 펌핑 노드를 통해 에너지가 방출되어 펌핑 네트웍에 임시 저장되는 것이다. 그에 이어 후속하는 인버터 주파수의 나머지 1/2 주기에서는 임시 저장된 에너지가 전자 펌핑 스위치를 통해 주 에너지 저장기로 공급된다.
따라서 에너지는 인버터 주파수와 타이밍을 맞추어 선 전압으로부터 인출된다. 전자 동작 장치는 일반적으로 인버터 주파수 또는 인버터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 놓인 선 전류의 스펙트럼 성분을 억제하는 필터 회로를 포함한다. 선 전류의 고조파가 상기 규정에 부합될 정도로 충분히 낮도록 전하 펌프가 설계될 수 있다. 아래의 문서들에 방전 램프용 전자 구동기의 전하 펌프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Qian J., Lee F.C., Yamauchi, T. : "Analysis, Design and Experiments of a High-Power-Factor Electronic Ballast",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4, No. 3, 1998년 5/6월호
Quia J., Lee F.C., Yamauchi, T. : "New Continuous Current Charge Pump Power-Factor-Correction Electronic Ballast", IEEE Transaction on Industry Applications, Vol.35, No.2, 1999년 3/4월호
EP 0 621 743 (Mattas)에는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를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2배의 선 주파수를 가진 인버터 주파수의 변조를 일으키는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방전 램프에 가해지는 램프 전류의 파고율(crest factor)을 개선한다는 목표가 달성된다. 그럼으로써 램프의 수명이 증가된다.
전술한 매칭 네트웍은 공진 커패시터 및 램프 인덕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한다. 공진 회로는 공진 회로의 댐핑(damping) 없이도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에 놓이는 공진 주파수를 갖고 있다.
방전 램프의 점화를 위해 인버터가 우선 고유 주파수보다 높은 인버터 주파수에서 동작된다. 점화 단계에서는, 고유 주파수 근처에서 공진 회로가 방전 램프에 높은 전압을 발생시키고 방전 램프를 점화시킬 때까지 인버터 주파수가 낮아진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한편으로는 방전 램프가 점화되기 전에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뚜렷한 에너지 소비가 일어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하 펌프가 동작되어 주 에너지 저장기에 에너지를 계속 저장한다. 그 결과,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유입된 에너지와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방출된 에너지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한다. 방전 램프가 적시에 점화되지 않으면 주 에너지 저장기가 파괴되든지, 아니면, 스위치 오프 수단이 그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경우에는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스위치 오프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위와 같은 경우 점화 단계동안 인버터 주파수의 선택을 위한 최적화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으로는 전술한 에너지 불균형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시간이 짧아야 한다. 그럼으로써 고유 주파수에 가까운 인버터 주파수를 요구하는 높은 점화 전압에 도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주 에너지 저장기가 과부하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최대한 길어지고 그에 따라 점화 단계도 최대한 길어질 수 있도록, 에너지 불균형이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이는 방전 램프의 신뢰성 있는 점화에는 바람직하나, 가능한 한 고유 주파수보다 훨씬 더 높은 인버터 주파수를 요구한다. 최적화 작업은 예컨대 방전 램프의 점화 특성, 주변 온도 및 부품 공차와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더 어렵다.
종래 기술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가지 해결책이 제시되어 있다. 즉, 방전 램프의 신뢰할 수 없는 점화를 감수하는 것, 아니면 주 에너지 메모리 및 램프 인덕터와 같은 부품들의 치수를 과도하게 크게 설계하는 것으로, 이는 가격 상승 및 부피 증가를 초래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신뢰성 있게 램프가 점화될 수 있게 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들에 의해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가지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 EP 0 621 743(Mattas)에는 제 1 제어기 입력부를 가진 제어기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어기 입력부에는 램프 단자에서 동작하는 방전 램프의 제 1 동작 변수에 상응하는 전기적 변수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는 제 2 제어기 입력을 가진다. 상기 제 2 제어기 입력에는 제 2 동작 변수에 상응하는 제 2 전기적 변수가 공급되며, 상기 제 2 전기적 변수는 공진 회로 내에서 공진하는 무효 에너지(reactive energy)의 측정치(measure)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 2 전기 변수는 임계 스위치를 통하여 제 2 제어기 입력부에 공급된다. 제 2 전기적 변수의 값이 임계 스위치(threshold switch)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인버터 주파수가 증가된다.
임계값 및 주파수 증가를 선택함으로써 전하 펌프 내에서의 최대 에너지 불균형이 세팅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부품 활용이 최적일때 최대 점화 전압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저렴한 부품을 사용하여도 방전 램프의 신뢰성 있는 점화가 가능하다.
하기에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하기에서 저항은 문자 "R"로, 트랜지스터는 "T"로, 코일은 "L"로, 증폭기는 "A"로, 다이오드는 "D"로, 노드 전위는 "N"으로, 그리고 커패시터는 "C"로 표기되며, 상기 문자 뒤에 각각 숫자가 표시된다. 또한 하기에서 상이한 실시예의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 부품에는 모두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블록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접속 단자(J)에서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선 전압원으로부터 선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선 전압은 처음에 블록 "(FR)"에 공급된다. 한 편으로 상기 블록은 공지되어 있는 장애 필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블록이 AC 전압인 선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기를 포함한다. 그러한 정류기로는 일반적으로 브릿지로 연결된 전파 정류기(full-wave rectifier)가 사용된다.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구현되는 전하 펌프의 기능에 있어서, 회로 어레인지먼트로부터 선 전압원으로 에너지가 흐르도록 하는 전류를 허용하지 않는 정류기의 특성이 중요하다.
정류된 선 전압은 전자 펌핑 스위치(UNI)로 공급되고, 이 때 정류기(FR)와 전자 펌핑 스위치(UNI) 사이의 연결점에 펌핑 노드(N1)가 형성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전자 펌핑 스위치(UNI)가 펌핑 노드(N1)로부터 펌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 흐름만을 허용하는 펌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펌핑 다이오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펌핑 스위치(UNI)의 경우에 사용되는 MOSFET과 같은 임의의 전자 스위치도 가능하다.
전자 펌핑 스위치(UNI)를 통과하는 전류는 주 에너지 저장기(STO)에 전원을 공급한다. 주 에너지 저장기(STO)는 일반적으로 전해질 커패시터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커패시터도 가능하다. 원칙적으로는 커패시터에 대해 이중 형태의 에너지 저장기도 가능한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주 에너지 저장기(STO)가 코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비용이 더 저렴하고 효율은 더 나은 커패시터가 주 에너지 저장기(STO)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펌핑 분기(pumping branch)를 여러 개 포함하는 전하 펌프도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전자 펌핑 스위치(UNI)가 병렬로 연결된다. 그 결과 다수개의 펌핑 노드(N1)가 생긴다. 펌핑 노드들의 상호 디커플링(mutual decoupling)을 위해 정류기와 펌핑 노드 사이에 각각 다이오드가 연결된다. 2개의 펌핑 분기를 포함하는 형성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주 에너지 저장기(STO)는 자신의 에너지를 인버터(INV)에 제공한다. 인버터(INV)는 교대 변수(alternating variable), 일반적으로 AC 전압을 발생시키며 MN 및 PN으로 표기된 블록에 공급된다. "MN"은 매칭 네트웍으로서의 블록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 기능과 관련하여, 블록 "MN/PN"이 방전 램프(L)에 연결될 수 있다. "PN"은 펌핑 네트웍으로서의 블록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 기능과 관련하여, 블록 "MN/PN"이 펌핑 노드(N1)에 연결된다. 도 1에서 펌핑 노드(N1)와 블록 "MN/PN" 사이의 연결선 양쪽 단부에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에너지가 펌핑 노드(N1)로부터 블록 "MN/PN"으로 및 그 반대로 교대로 흐른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개별 부품들이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할당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매칭 네트웍 및 펌핑 네트웍의 기능이 블록 "MN/PN"에서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동작 변수의 제어를 위해, 인버터(INV)에 작용하는 조작 변수를 사용하는 제어기(CONT)가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인버터에 의해 전달된 교대 변수의 파라미터, 예컨대 동작 주파수 또는 펄스 폭이, 제 1 동작 변수의 변동이 방해되는 방식으로 변동된다. 제 1 동작 변수는 단자(B1)를 통해 제어기의 제 1 입력부에 전달된다. 제 1 동작 변수는 램프의 동작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단자 "B1"이 방전 램프(L)의 블록에서 시작된다. 예컨대 제 1 동작 변수로는 램프 전류 또는 램프 전력이 사용된다. 이러한 변수들이 방전 램프(L)에서 직접 검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블록 "MN/PN"에서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CONT)가 제 2 입력부를 갖는다. 상기 제 2 입력부에는 임계 스위치(TH)를 통해 제 2 동작 변수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 동작 변수는 블록 "MN/PN"에 포함된 공진 회로에서 공진하는 무효 에너지의 측정치이다. 따라서 제 2 동작 변수는 블록 "MN/PN"에서 단자 "B2"에 의해 탭핑(tapping)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램프 전압 같은 램프 동작 변수로부터 상기 무효 에너지의 측정치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방전 램프(L)의 점화를 위해 공진 회로 내에 무효 에너지가 생성된다. 무효 에너지는 전하 펌프와 부품들의 부하간의 에너지 불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 2 동작 변수가 임계 스위치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본 발명에 따라 무효 에너지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정류기가 제어기(CONT)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인버터(INV)의 동작 주파수의 증가로 인해 일어난다. 제어기(CONT)는 제어기 입력부에 존재하는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기 입력부의 신호가 제 2 제어기 입력부의 신호를 클램핑(clamping)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실하게 보증되어야 한다. 제 2 제어기 입력부의 신호가 제 1 제어기 입력부의 신호를 초과하면, 제 2 제어기 입력부의 신호가 결정적인(decisive) 제어기 신호가 되어야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자 "J1" 및 "J2"에 선 전압이 연결될 수 있다. 선 전압은 2개의 커패시터(C1, C2) 및 2개의 코일(L1, L2)을 포함하는 필터를 통해 다이오드들(D1, D2, D3, D4)을 포함하는 풀 브릿지(full-bridge) 정류기에 공급된다. 풀 브릿지 정류기는 자신의 양(+)의 출력부, 즉 노드(N21)에 기준 노드(N0)와 관련하여 정류된 선 전압을 제공한다.
정류된 선 전압은 다이오드(D5 및 D6)를 통해 2개의 펌핑 노드(N22 및 N23)에 공급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는 2개의 펌핑 분기를 갖는다. 펌핑 분기들의 상호 디커플링을 위해 다이오드(D5 및 D6)가 필요하다. 펌핑 분기가 단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펌핑 노드가 정류기 출력부, 즉 노드(N2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정류기에서 사용된 다이오드들이 인버터 주파수를 따라가기(follow)에 충분히 빠른 속도로 스위칭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펌핑 분기가 단 1개인 경우에도 정류기 출력부와 펌핑 노드 사이에 고속 다이오드가 연결되어야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펌핑 노드들이 정류기의 양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다. 펌핑 노드들이 정류기의 음(-)의 출력부와 커플링되는 전하 펌프 토폴로지도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펌핑 노드(N22 및 N23)로부터 각각 다이오드(D7 및 D8)로서 형성된 전자 펌핑 스위치가 유도되어 노드 "N24"로 통한다. "N24"와 "N0" 사이에는 전패 커패시터(C3)로서 형성된 주 에너지 저장기가 접속된다.
"C3"는 하프 브릿지(half-bridge)로서 형성된 인버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예컨대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또는 풀 브릿지와 같은 다른 컨버터 토폴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램프 출력이 5W 내지 300W 사이인 경우에는 하프 브릿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출력이 최저 비용의 토폴로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하프 브릿지는 본질적으로 2개의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T1 및 T2)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와 2개의 커플링 커패시터(coupling capacitor)(C4 및 C5)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 직렬 접속부는 모두 "C3"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의 접속 노드(N25)와 커플링 커패시터의 접속 노드(N26)가 인버터 주파수를 가진 구형파(square-wave) 인버터 전압이 인가되는 인버터 출력부를 형성한다.
"N25"와 램프 전압 노드(N27) 사이에는 램프 인덕터(L3)가 연결되어 있다. "N27"에는 실시예에서 2개의 방전 램프(Lp1 및 Lp2)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가 연결되어 있는 단자(J3)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전 램프(Lp1 및 Lp2)를 통하는 전류는 단자(J8)를 지나 측정 트랜스포머의 권선(W1)을 통해 노드(N26)로 흐른다. 그 결과, 인버터 전압이 2개의 방전 램프(Lp1, Lp2) 및 램프 인덕터(L3)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에 인가된다.
"J3"로 공급된 전류는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해 그리고 제 1 방전 램프(Lp1)의 외부 필라멘트를 통해 단자 "J4"로 흐른다. 상기 단자(J4)로부터 전류가 계속해서 가열 트랜스포머의 권선(W4), 가변 저항기(R1)를 지나 측정 트랜스포머의 권선(W3)을 통해 단자 "J7"으로 흐른다. 단자 "J7"에는 제 2 방전 램프(Lp2)의 외부 필라멘트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필라멘트의 다른 쪽 단부는 단자 "J8"으로 통한다. 방전 램프(Lp1 및 Lp2)의 2개의 내부 필라멘트는 각각 단자 "J5" 및 "J6"를 통해 가열 트랜스포머의 권선(W5)에 연결된다. 본 단락에서 설명하는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인버터 전압이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을 통해 전류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필라멘트를 통해 가열 트랜스포머를 지나는 가열 전류 및 방전 램프(Lp1, Lp2)의 내부 필라멘트를 통하는 가열 전류를 발생시킨다. 단 1개의 방전 램프만 동작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가열 트랜스포머가 생략될 수 있다.
방전 램프(Lp1, Lp2)의 점화 이전에 예열 단계동안 필라멘트들의 예열을 위한 예열 전류로서 상기 가열 전류가 필요하다. 가열 전류의 값은 주로 가변 저항(R1)에 의해 결정된다. 예열 단계동안에는 램프 데이터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가열 전류가 달성될 정도로 "R1"의 값이 매우 낮다. 예열 단계 이후에는 "R1"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에 비해 아주 적은 양의 가열 전류가 흐른다. 실시예에서는 "R1"이 소위 PTC 또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서미스터는 냉각 상태에서 낮은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이다. PTC 서미스터가 가열 전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상기 PTC 서미스터의 저항값이 증가된다. "R1"은 예열 단계에서는 폐쇄되고 예열 단계 이후에 개방되는 전자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스위치에 직렬로 일정한 저항값을 가진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열 단계로부터 점화 단계로의 신속한 전환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필라멘트 예열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예열 단계동안 다음 단락에 기술되는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댐핑으로 인해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보다 더 낮아진다. 높은 가열 전류를 얻음으로써 예열 단계를 단축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예열 단계동안 고유 주파수보다 작은 인버터 주파수가 선택된다.
램프 전압 노드(N27)는 제 1 공진 커패시터(C6)를 통해 펌핑 노드(N23)에 연결된다. "N23"와 "N0" 사이에 제 2 공진 커패시터(C7)가 접속된다. "C6"와 "C7"이 램프 인덕터(L3)와 함께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를 고정하기 위해 "C6"와 "C7"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유 주파수와 관련하여 "C6"와 "C7"의 유효 커패시턴스 값은 "C6"와 "C7"의 커패시턴스 값의 곱과 합의 지수(quotient)가 된다. 공진 회로가 상기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에 가깝게 자극(stimulate)되면, 램프 전체에 방전 램프의 점화를 야기하는 점화 전압이 발생한다. 점화 후에는 "L3"가 "C6" 및 "C7"과 함께 인버터의 출력 임피던스를 방전 램프의 동작에 필요한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매칭 네트웍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C6"과 "C7"이 펌핑 노드(N23)에 연결됨에 따라, "L3", "C6" 및 "C7"의 결합이 공진 회로 및 매칭 네트웍으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펌핑 네트웍으로서도 작용한다. "N23"에서의 전위가 일시적인 선 전압보다 낮으면, 펌핑 네트웍(L3, C6, C7)이 선 전압으로부터 에너지를 끌어온다. "N23"에서의 전위가 주 에너지 저장기(C3)에서의 전압을 초과하면, 선 전압으로부터 받아들인 에너지가 "C3"로 방출된다. "C6"과 "C7"의 커패시턴스 값 비율의 선택을 통해 네트웍(L3, C6, C7)의 펌핑 네트웍으로서의 효력이 조정될 수 있다. "C7"의 커패시턴스 값이 더 크게 선택될수록, 네트웍(L3, C6, C7)의 펌핑 네트웍으로서의 효력은 감소된다.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T1, T2)의 접속 노드(N25)와 "N23"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8)에 의해서도 펌핑 효과가 발생한다. "C8" 역시 펌핑 네트웍으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스너버 커패시터(snubber capacitor)의 역할도 한다. 스너버 커패시터란 일반적으로 인버터 내에서의 스위치 부하 경감(switch relief)을 위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제 2 펌핑 분기용 펌핑 네트웍은 펌핑 인덕터(L4)와 펌핑 커패시터(C9)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펌핑 네트웍은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T1, T2)의 접속 노드(N25)와 펌핑 노드(N2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펌핑된 에너지가 다수의 부품들에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펌핑 분기가 사용된다. 따라서 부품들이 더 저렴한 비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방전 램프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펌핑 에너지의 의존도의 설계시 자유도(a degree of freedom)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 1개의 펌핑 분기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T1, T2)는 MOSFET으로서 설계된다. 이를 위해 다른 전자 스위치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1" 및 "T2"의 게이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집적 회로(IC1)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IC1"은 International Rectifier사에서 제조한 IR2153 타입의 회로이다. 예컨대 STM사의 "L6571"과 같은 상기 타입의 대안적 회로들도 유통되고 있다. IR2153 회로는 소위 하이사이드(High-Side)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사이드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T1)가 기준 전위(N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이오드(D10) 및 커패시터(C10)가 필요하다.
"IC1"의 동작 전압은 "IC1"의 단자(1)를 통해 공급된다. 도 2에서는, 상기 목적을 위해 IC1의 단자(1)와 "N0" 사이에 전압원(VCC)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전압원(VCC)이 구현될 수 있는 수많은 방법들이 이미 일반화되어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정류된 선 전압으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해 "IC"에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IC1"은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를 위한 드라이브 회로 외에도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오실레이터의 발진 주파수는 단자 "2"와 "3"을 통해 세팅될 수 있다. 오실레이터의 발진 주파수는 인버터 주파수와 일치한다. 단자 "2"와 단자 "3" 사이에 주파수를 결정하는 저항기(R3)가 접속된다. 단자 "3"과 "N0" 사이에 주파수 결정 커패시터(C11)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3)의 이미터-콜렉터 경로의 직렬 접속부가 접속된다. T3의 이미터-콜렉터 경로에 병렬로 다이오드(D9)가 연결됨에 따라 "C11"이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인버터 주파수는 "T3"의 베이스 단자와 "N0" 사이의 전압에 의해 세팅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어 회로를 위한 조작 변수를 형성한다. "T3"의 베이스 단자는 조작 변수 노드(N28)에 연결된다. 그 결과, "T3", "IC1" 및 이들의 와이어링(wiring)이 제어기로 간주될 수 있다.
"IC1"의 기능과 와이어링은 드라이버 회로를 통해 하프 브릿지 트랜지스터를 활성화하는 임의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또는 전류 제어 오실레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는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해 발생한 전류를 제어 변수로서 기록한다. 이를 위해, 측정 트랜스포머에 권선(W2)이 제공된다. 측정 트랜스포머의 권선 방향은 권선 "W3"의 가열 전류가 권선 "W1"의 전체 전류로부터 감산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권선 "W2"에는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한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다이오드 "D11", "D12", "D13" 및 "D14"로 형성된 풀 브릿지 정류기는 권선 "W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전류를 저항값이 낮은 측정 저항기(R4)를 통해 "N0"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R4"에서의 전압 강하가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한 전류의 측정치가 된다. "R4"에서의 전압 강하는 저항기(R5) 및 커패시터(C13)로 형성된, 평균화(averaging)를 위한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여 비반전 측정 증폭기의 입력부에 도달한다.
측정 증폭기는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연산 증폭기(AMP) 및 저항기(R6, R7, R8)에 의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 증폭기의 이득은 대략 "10"으로 세팅되어 있다. "R4"에서의 전압 강하가 조작 변수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는 값을 가지는 경우, 측정 증폭기가 생략되거나 예컨대 이미터 팔로워(emitter follower)와 같은 임피던스 컨버터로 교체될 수 있다.
측정 증폭기의 출력부는 다이오드(D15)를 통해 조작 변수 노드(N28)에 연결된다. 그 결과, 방전 램프(Lp1, Lp2)의 가스 방전에 의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폐쇄된다. 다이오드(D15)는 "N28"의 전위가 측정 증폭기에 의해 사전설정된 값보다 높은 값으로 증가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D15"의 애노드는 제 1 제어 입력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임계 스위치가 배리스터(MOV)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임계 스위치는 커패시터(C12), 저항기(R2) 및 다이오드(D17)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 내에 놓여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D17)는 전압 노드(N27)를 조작 변수 노드(N28)에 연결한다. "D17"의 애노드는 제 2 제어 입력부를 나타낸다. "N28"은 저항기(R9)와 커패시터(C14)의 병렬 연결을 통해 "N0"에 연결된다.
"N27"에는 "N0"에 대하여 "L3", "C6" 및 "C7"로 형성된 공진 회로에서의 무효 에너지 공진의 측정치인 전압이 존재한다. 상기 전압이 배리스터(MOV)의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전류가 "R9"를 통해 흐르고 "C14"가 충전된다. 그 결과, 조작 변수 노드(N28)에서의 전압이 증가된다. 이는 인버터 주파수의 증가를 야기하고, 상기 인버터 주파수는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로부터 더욱 멀리 편이(shift)되기 때문에 공진 회로에서의 무효 에너지 공진이 감소된다.
"R2"와 "D17"의 연결점과 "N0" 사이에 다이오드(D16)가 접속된다. 그로 인해 "C12"와의 협동 하에 배리스터(MOV)가 통과해도 되는 전압의 양의 진폭(positive amplitude)과 음의 진폭(negative amplitude)의 합이 "N28"에 인가된다. 배리스터(MOV) 대신, 예컨대 제너 다이오드 또는 억제 다이오드(suppressor diode)로 설계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임계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리스터(MOV)의 임계값은 250Vrms로 선택된다. 더 높은 값을 선택하면 공진 회로에서 더 많은 무효 에너지가 허용되고, 그 결과 방전 램프(Lp1, Lp2)의 점화 전압이 더 상승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부하도 더 커진다. 따라서 배리스터(MOV)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원하는 최적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저항기(R2)의 값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변수 노드(N28)에서의 제어 회로에 대한 개입(intervention)의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조작 변수 노드(N28)에서의 전압과 인버터 주파수 사이의 비선형 관계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선형 관계는 응용예에서 "T3"의 비선형 특성곡선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비선형 관계는 또한 "IC1"의 단자(3)에서의 전압에 대한 "IC1"의 오실레이터 주파수의 의존도의 영향을 받는다. 비선형성으로 인해 "N27"에서의 전압이 크게 증가됨에 따라 인버터 주파수가 과도하게 증가되고, 그 결과 예컨대 "C3"의 전압 부하 또는 "T1" 및 "T2"의 전류 부하와 같은 부품들의 과부하가 방지된다.
전압 대신 공진 회로의 전류가 공진 회로에서의 무효 에너지 공진의 측정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L3"의 추가 권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신뢰성 있게 램프가 점화될 수 있게 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방전 램프들(L, Lp1, Lp2)을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로서,
    선 전압의 접속을 위한 제 1 및 제 2 선 단자들(J1, J2)을 포함하고,
    상기 선 단자들에 연결된 정류기 입력부 및 정류된 선 전압이 인가되는 정류기 출력부(N21)를 가진 정류기(D1, D2, D3, D4)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기 출력부(N21)가 전자 펌핑 스위치(UNI, D7, D8)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자 펌핑 스위치(UNI, D7, D8)에 제 1 펌핑 노드(N1, N23)가 형성되고,
    상기 정류기 출력부(N21)에서 떨어진 쪽을 향하는 상기 전자 펌핑 스위치의 측면이 주 에너지 저장기(C3)에 연결되며,
    상기 주 에너지 저장기(C3)는 인버터(INV)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상기 인버터(INV)는 인버터 출력부(N25, N26)에 상기 선 전압의 주파수보다 높은 인버터 주파수를 가진 인버터 전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인버터 출력부(N25)는 펌핑 네트웍(pumping network)(PN, L3, C6, C7)을 통해 상기 제 1 펌핑 노드(N1, N23)에 연결되고,
    상기 방전 램프들(L, Lp1, Lp2)은 고유 주파수를 가진 공진 회로(L3, C6, C7)를 포함하는 매칭 네트웍(matching network)(MN, L3, C6, C7)을 통해 상기 인버터 출력부(N2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 신호(actuating signal)를 출력하는 제어기 출력부를 가진 제어기(CONT)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 출력부는 상기 작동 신호가 상기 인버터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도록 상기 인버터(INV)에 연결되며,
    제 1 동작 변수에 상응하는 제 1 전기적 변수가 공급되는 제 1 제어기 입력부(B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제 2 제어기 입력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제어기 입력부에는 임계 스위치(threshold switch)(TH, MOV)를 통해 제 2 동작 변수(B2)에 상응하는 제 2 전기적 변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 2 동작 변수(B2)는 상기 공진 회로(L3, C6, C7)에서 공진하는 무효 에너지(reactive energy)의 측정치(measure)이며,
    상기 임계 스위치(TH, MOV)의 임계값이 초과되면, 상기 제 2 전기적 변수의 값에 의해 상기 인버터 주파수의 값이 더 커지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제어기 입력부들의 전기적 변수들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펌핑 스위치(UNI)는, 에너지가 제 1 펌핑 다이오드(D7)를 통해 상기 주 에너지 저장기(C3)로 공급될 수 있도록 극성화(polarize)된 상기 제 1 펌핑 다이오드(D7)로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출력부(N21)는 제 2 펌핑 다이오드(D5)를 통해 상기 제 1 펌핑 노드(N23)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펌핑 다이오드(D5)는 에너지가 상기 정류기로부터 상기 제 2 펌핑 다이오드(D5)를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극성화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출력부(N21)는 제 3 펌핑 다이오드(D6) 및 제 4 펌핑 다이오드(D8)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를 통해 상기 주 에너지 저장기(C3)와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 3 펌핑 다이오드(D6) 및 제 4 펌핑 다이오드(D8)의 연결점에 제 2 펌핑 노드(N2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펌핑 노드(N22)에 인버터 출력부(N25)가 전달하는 에너지의 일부가 공급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핑 노드(N23) 또는 상기 제 2 펌핑 노드(N22)가 펌핑 인덕터(L4) 및 펌핑 커패시터(C9)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을 통해 상기 인버터 출력부(N25)에 연결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출력부(N25)는 램프 인덕터(L3)를 통해 방전 램프(Lp1)용 단자(J3)에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기 단자에 램프 전압 노드(N27)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 전압 노드(N27)는 공진 커패시터(C6)를 통해 상기 제 1 펌핑 노드(N23) 또는 상기 제 2 펌핑 노드(N22)에 연결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8. 제 5항에 있어서, 전류가 방전 램프를 통해 상기 제 1 펌핑 노드 또는 상기 제 2 펌핑 노드로 공급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출력부(N25)는 램프 인덕터(L3)를 통해 방전 램프용 단자(J3)에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기 단자에 램프 전압 노드(N27)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 전압 노드(N27)에서 상기 제 2 전기적 동작 변수(B2)가 탭핑(tapping)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스위치(TH)가 배리스터(varistor)(MOV)로 구현되어 커패시터(C12) 및 저항기(R2)와 직렬로 연결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변수(B1)는 동작된 방전 램프들(Lp1, Lp2)을 통해 흐르는 전류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R1)가 폐쇄되어, 상기 인버터 전압은 접속된 방전 램프(Lp1, Lp2)의 전극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가열 전류를 발생시키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기(R1)는 PTC 서미스터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기(R1)는 전자 스위치인,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비선형 특성을 갖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6. 제 1항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사용하여 방전 램프들을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접속된 방전 램프들의 필라멘트들을 통해 공진 회로(L3, C6, C7)를 댐핑(damping)시키는 단계,
    고유 주파수보다 낮은 인버터 주파수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공진 회로의 상기 댐핑을 제거하는 단계,
    제 2 동작 변수(B2)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 2 동작 변수(B2)를 사전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작 변수(B2)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040005393A 2003-01-28 2004-01-28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KR101010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3276.2 2003-01-28
DE10303276A DE10303276A1 (de) 2003-01-28 2003-01-28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Start und Betrieb von Entladungslam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290A KR20040069290A (ko) 2004-08-05
KR101010164B1 true KR101010164B1 (ko) 2011-01-20

Family

ID=3260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393A KR101010164B1 (ko) 2003-01-28 2004-01-28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3681B2 (ko)
EP (1) EP1443807B1 (ko)
KR (1) KR101010164B1 (ko)
CN (1) CN1558705B (ko)
AT (1) ATE352976T1 (ko)
CA (1) CA2456371A1 (ko)
DE (2) DE10303276A1 (ko)
TW (1) TWI340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5774A1 (de) 2004-05-26 2005-12-2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orschaltgerät für Entladungslampe mit Dauerbetriebs-Regelschaltung
DE102004044180A1 (de) 2004-09-13 2006-03-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mit Pumpschaltung für Entladungslampe mit vorheizbaren Elektroden
DE102005007346A1 (de) * 2005-02-17 2006-08-3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von Gasentladungslampen
DE102005008483A1 (de) * 2005-02-24 2006-08-3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VG für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Strommesseinrichtung
DE102005058484A1 (de) * 2005-12-07 2007-06-1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LED
US8736189B2 (en) * 2006-12-23 2014-05-27 Fulham Company Limited Electronic ballasts with high-frequency-current blocking component or positive current feedback
CO6530147A1 (es) * 2011-09-23 2012-09-28 Panacea Quantum Leap Technology Llc Balaso electrónico
GB2499020B (en) * 2012-02-03 2016-04-20 Tridonic Gmbh & Co Kg Lamp ballast
DE102013201438A1 (de) * 2013-01-29 2014-07-31 Osram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und Dimmen mindestens einer LED
DE102014114954A1 (de) * 2014-10-15 2016-04-21 Beckhoff Automation Gmbh Halbbrücke mit zwei Halbleiterschaltern zum Betreiben einer La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743A1 (en) * 1993-04-23 1994-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factor correcting circuit
US5747942A (en) 1996-07-10 1998-05-05 Enersol Systems, Inc. Inverter for an electronic ballast having independent start-up and operational output voltag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082A (en) 1993-04-23 1995-04-0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High frequency inverter with power-line-controlled frequency modulation
US5410221A (en) 1993-04-23 1995-04-2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Lamp ballast with frequency modulated lamp frequency
EP0677982B1 (de) * 1994-04-15 2000-02-09 Knobel Ag Lichttechnische Komponenten Verfahren zum Betrieb eines Vorschaltgeräts für Entladungslampen
US5612597A (en) * 1994-12-29 1997-03-1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Oscillating driver circui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electronic lamp ballast employing same and driver method
US5604411A (en) * 1995-03-31 1997-02-1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Electronic ballast having a triac dimming filter with preconditioner offset control
US5742134A (en) * 1996-05-03 1998-04-2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Inverter driving scheme
US6144169A (en) * 1998-12-29 2000-11-0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Triac dimmable electronic ballast with single stage feedback power factor inverter
JP2001015289A (ja) * 1999-04-28 200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灯点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743A1 (en) * 1993-04-23 1994-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factor correcting circuit
US5747942A (en) 1996-07-10 1998-05-05 Enersol Systems, Inc. Inverter for an electronic ballast having independent start-up and operational output volt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3681B2 (en) 2005-08-23
TW200501830A (en) 2005-01-01
DE10303276A1 (de) 2004-07-29
US20040150349A1 (en) 2004-08-05
CN1558705B (zh) 2010-05-12
DE50306367D1 (de) 2007-03-15
TWI340608B (en) 2011-04-11
EP1443807A3 (de) 2005-10-26
KR20040069290A (ko) 2004-08-05
ATE352976T1 (de) 2007-02-15
CN1558705A (zh) 2004-12-29
EP1443807A2 (de) 2004-08-04
EP1443807B1 (de) 2007-01-24
CA2456371A1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572B1 (ko) 적어도 하나의 led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Qian et al. Charge pump power-factor-correction technologies. II. Ballast applications
US6184630B1 (en) Electronic lamp ballast with voltage source power feedback to AC-side
US5396155A (en) Self-dimming electronic ballast
JP2003520407A (ja) 多ランプ動作用の電力帰還力率修正方式
KR101010164B1 (ko) 방전 램프를 시동 및 동작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EP1118253A2 (en) Ballast circuit with lamp current regulating circuit
EP1057374A1 (en) Self-oscillating resonant converter with passive filter regulator
JP4503859B2 (ja) 力率補正回路
KR101171686B1 (ko) 예열가능 전극들을 갖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펌프 회로를 갖는 전자 안정기 및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A2438719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discharge lamps
KR101009518B1 (ko) 가열가능한 전극 필라멘트를 갖는 가스 방전램프의 시동및 동작을 위한 회로 및 방법
RU2390107C2 (ru) Отключающая схема
US5510680A (en) Electronic ballast with special voltage waveforms
US5489823A (en) Electronic ballast for gas discharge lamp
KR100607394B1 (ko) 저압 방전램프 동작회로
US6954036B2 (en) Circuit having global feedback for promoting linear operation
JP2005310755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308322Y1 (ko)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
KR100493922B1 (ko)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
JP2005183291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EP1695596A1 (en) Electronic ballast with open circuit voltage regulation
Ponce et al. Evaluation of the class E amplifier with two current sources used as a high-power-factor electronic ballast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JPH10302987A (ja) 放電灯点灯装置
WO2002102114A2 (en) Electronic lighting ball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