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862B1 -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862B1
KR101009862B1 KR1020080087791A KR20080087791A KR101009862B1 KR 101009862 B1 KR101009862 B1 KR 101009862B1 KR 1020080087791 A KR1020080087791 A KR 1020080087791A KR 20080087791 A KR20080087791 A KR 20080087791A KR 101009862 B1 KR101009862 B1 KR 10100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hibian
amphibians
chamber
main bod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855A (ko
Inventor
백문기
김연각
이상철
배양섭
Original Assignee
백문기
배양섭
이상철
김연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문기, 배양섭, 이상철, 김연각 filed Critical 백문기
Priority to KR102008008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45Boxes or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양서류의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또는 기존 생태 복원지역에 양서류의 이입시 이송에 따른 폐사 또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해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이 반영된 양서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다수의 공기순환구를 갖고 열전도율이 낮도록 구성된 다중 벽체와, 수중챔버와 육지챔버로 구획시키는 내부 격벽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서, 수중챔버의 일측벽에는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포발생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와;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서류를 투입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투입도어, 공기순환을 위한 냉각팬을 갖는 뚜껑과;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중챔버와 육지챔버를 각기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및 냉매제가 설치되어 있는 냉각 박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서류, 이송장치, 생존장치, 법적보호종, 맹꽁이, 금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무미목, 유미목

Description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Transporting tools for amphinian considering it's ecology}
본 발명은 자연지에 서식하는 양서류 또는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는 양서류의 일시적 또는 장기적인 장소 이동을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지외 보전의 방법에 이용되는 장치이며, 대상이 되는 양서류의 생태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이송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생태적 도구를 제공하는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양서류의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또는 기존 생태 복원지역에 양서류의 이입시 이송에 따른 폐사 또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해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이 반영된 양서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국가 중요생물이 다수 포함된 양서류를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친환경적 장치이다. 특히, 법적보호종인 맹꽁이 및 금개구리의 알·유생·성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착탈식 내부 부재로 수중챔버와 육지챔버를 조성할 수 있는 내부 공간 그리고 이송을 편하게 하기 위한 외부 손잡이, 투입을 쉽게 할 수 있는 개폐식 투입도어 그리고 양서류 생존의 제한요인인 습도, 온도, 빛 등을 보정하기 위한 외부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법적보호종이 포함된 양서류의 안전한 이송을 위하여 양서 류의 생태적 특성과 생존에 필요한 제한요인을 반영한 친환경적인 장치일 뿐만 아니라 본 이송장치의 구성물들은 대상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크기, 모양, 색 등을 자유롭게 구성되며,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생산이 가능하고, 착탈식 내부 부재는 다양하게 발명할 수 있어 그 응용력이 크다. 또한 온도·습도 조절장치 또한 기존 제품을 착용할 수 있는 등 저렴하게 만들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생물다양성 보전의 근간을 이루는 생물종은 장구한 세월의 진화과정을 거쳐 형성된 생태계의 기본단위이자 생물학 연구의 실체로서 자연의 생태학적 과정과 생물부양체제의 지속을 유지하게 할 뿐 아니라, 오늘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감소되는 생물학적 자원을 말한다. 생물종의 효율적 보전은 지속적 이용을 가져다 줄 뿐 아니라, 항시 재생 가능케 해주지만 보전에 실패할 경우 영원히 사라지거나 파괴되기 때문에 필수적인 중요 문제이다. 최근 생물종 보전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지고 있으나 아직도 개발위주의 경제논리와 보전목표와 전략적 개념의 부재, 기술적인 개발의 낙후 등으로 그 실효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생물종의 보전 및 관리에는 현지 내 보전(in-situ conservation)과 현지 외 보전(ex-situ conservation)을 들 수 있다. 현지 외 보전(ex-situ conservation)은 대상 종을 생육지로부터 이동시켜 인위적으로 보전하는 방법이다. 현재 수많은 동식물이 사라져 가고 있다. 그 중 오래된 원시 종으로서 세계적으로 그 수와 종수가 가장 적은 양서류에 있어서 특히 심각한 상태로 세계적으로 많은 종이 절멸하고 있 으며 이러한 요인에 있어서는 기상이변, 서식지 감소 등의 여러 가지 원인이 발표되고 있다. 생물종 자체에 대한 가치가 최고의 가치로 인식되는 가운데 멸종위기에 있는 종을 복원하고 자연성을 회복시기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국가적인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대형 동물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준으로, 생태계 기반이 될 수 있는 소형동물에서는 그 움직임이 전무한 실정으로 양서류에 있어서 특히 심각한 실정이다.
양서류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연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양서류는 크게 도롱뇽류과 개구리류로 나눌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수중과 육상을 단계에 따라 이동하여 생활하는 특성을 지닌다. 생육단계에 따라 난과 유생은 수중에 위치하며, 성체는 대부분 수변 또는 근접지역에 생활하는 생태적 특성으로 물을 완전히 떠나 살 수 없는 변온동물이다. 따라서 이송시 작용하는 제한요인 중 습도, 온도가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한다.
변온성인 양서류는 주변 환경이 갑작스럽게 변화되는 것에 매우 취약하며, 건조 상태의 지속적인 환경은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 조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장치는 적정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단시간에 온도와 습도가 변화 되는 것을 막아주며,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키는 것,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산소의 안정적인 제공을 주요한 요인으로 착안하였다.
양서류 생태를 고려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 0039797호 “양서류가 이동하는 통로를 갖는 유자형 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246786호 “양서류 이동로를 겸비한 배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13086호 “양서류, 파충류용 자연 동면구조”,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13208호 “양서파충류 서식지용 유도펜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18467호 “양서파충류용 유도수로” 등이 있으나 양서류 이송 장치에 관련된 기술은 아니다.
또한 동물류 보관, 사육 및 이송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4821호 “어패류 보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75522호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86021호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37513호 “유충사육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84035호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사육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이 있으며, 동물류 이송장치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21999호 “휴대용 애완동물 이송가방” 등 있으나 양서류의 보관, 사육 및 이송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아니다.
따라서 양서류의 생존 제한요인을 감안하고, 그 생태적 특성이 반영된 양서류의 이송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양서류 생태를 고려한 이송장치가 없어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또는 기존 생태 복원지역에 양서 류 이입시 이송에 따른 폐사 또는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송 대상 생물군인 양서류의 알·유충·성체의 생태적 특성과 생존에 필요한 습도, 온도 등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양서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이송장치는 법적보호종인 맹꽁이 및 금개구리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그 구성물들의 크기, 모양, 색 등을 자유롭게 구성되며, 수생태계와 육지생태계를 일시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내부 부재는 필요에 따라 크기 및 착용 여부 등의 조정할 수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발명되고, 온도·습도 조절장치 또한 기존 제품을 착·탈할 수 있게 하여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다수의 공기순환구를 갖고 열전도율이 낮도록 구성된 다중 벽체와, 수중챔버와 육지챔버로 구획시키는 내부 격벽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서, 수중챔버의 일측벽에는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포발생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와;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서류를 투입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투입도어, 공기순환을 위한 냉각팬을 갖는 뚜껑과;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중챔버와 육지챔버를 각기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및 냉매제가 설치되어 있는 냉각 박스가 포함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에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팬과, 냉각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에는 기포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플러그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박스에는 상기 냉각장치에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시가잭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내의 육지챔버 바닥에는 양서류에 습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스펀지 또는 헝겊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는, 양서류의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또는 기존 생태 복원지역에 양서류 이입시 사용하면 이송에 따른 폐사 또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법적보호종인 맹꽁이 및 금개구리의 생태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어 이들 국가 중요생물자원의 보호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송·보관·제작 하는데 있 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양서류의 제한요인을 보정하기 위한 각종 공기·온도·습도 등의 조절 장치는 필요에 따라 구성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활용도 및 경제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서류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와,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0) 및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각박스(300)로 구성된다.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는 열전도율이 낮은 다중 벽체(101)로 구성되고, 벽체(101)의 상부 일개소에는 다수의 공기순환구(403)를 갖는다. 또한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중챔버(108)와 물이 없는 육지챔버(109)로 구획시키는 내부 격벽(102)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수중챔버(108)의 일측벽에는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포발생장치(104)가 걸이홈(40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게 되어 있다. 기포발생장치(104)의 전원공급플러그(105)는 상기 뚜껑(200)에 설치된 콘센트(2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고, 콘센트(203)는 배터리(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는 이동과 운반을 위해 양측벽에 손잡이(401)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내의 육지챔버(109) 바닥에는 양서류에 습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함수율이 높은 스펀지(106)(또는 헝겁)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뚜껑(200)은 이송대상체(알, 유충, 성충 등)를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투입도어(205)와, 공기순환을 위한 냉각팬(201)이 설치되어 있고, 냉각팬(201)은 뚜껑(200) 내부의 배터리(202)의 전원을 통하여 공급받게 되어 있다.
냉각박스(300)는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중챔버(108)와 육지챔버(109)를 각기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3) 및 냉매제(305)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장치(303)에는 냉각소자와 냉각소자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포함된다.
냉각박스(300)에는 냉각장치(303)에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시가잭 플러그(304)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와 냉각박스(300)는 접합면 가까이 서로 결속시키기 위해 결속장치(103,30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집된 양서류의 알이나 유충 등은 도 4와 같이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수중챔버(108)에 입수되고, 성체는 육지챔버(109)내 물을 함유하고 있는 스펀 지(106)상에 올려진다.
이때 커버(200)내 배터리(2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기포발생장치(104)에 의해 수중챔버(108)에 입수된 알 또는 유생들은 산소 공급을 받아 생명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차량 전원에 접속된 시가잭 플러그(3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냉각장치(303)의 냉각 작용으로 수중챔버(108)내 수중 온도는 적정한 냉각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수중챔버(108) 및 스펀지(106)에서 발생된 습기로 인해 양서류 성체에 필요한 적정한 습도가 유지된다.
또한 냉각팬(201)의 작동으로 공기순환구(403)를 통해 육지챔버(109)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수중챔버(108)에는 기포발생장치(104)를 제거하여 육지챔버(109)와 동일한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양서류 이송장치를 양서류의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또는 기존 생태 복원지역에 양서류 이입시 사용하면 이송에 따른 폐사 또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특히, 법적보호종인 맹꽁이 및 금개구리의 생태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어 이들 국가 중요생물자원의 보호하는데 있어 유효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서류 이송장치는 이송 대상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구조, 크기, 모양, 색 등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송보관제작 하는데 있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고, 양서류의 제한요인을 보정하기 위한 각종 공기온도 습도 등의 조절 장치는 필요에 따라 구성할 수 있도록 착탈식이므로 그 활용성이 높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의 분해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의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
101: 다중 벽체
102: 내부 격벽
104: 기포발생장치
106: 스펀지
108: 수중챔버
109: 육지챔버
200: 뚜껑
201: 냉각팬
202: 배터리
205: 투입도어
300: 냉각박스
303: 냉각장치
304: 시가잭 플러그

Claims (4)

  1. 다수의 공기순환구(403)를 갖고 열전도율이 낮도록 구성된 다중 벽체(101)와, 수중챔버(108)와 육지챔버(109)로 구획시키는 내부 격벽(102)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서, 수중챔버의 일측벽에는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포발생장치(10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와;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서류를 투입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투입도어(205), 공기순환을 위한 냉각팬(201)을 갖는 뚜껑(200)과;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중챔버(108)와 육지챔버(109)를 각기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3) 및 냉매제(305)가 설치되어 있는 냉각 박스(3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에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팬(201)과, 냉각팬(2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02)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에는 기포발생장치(10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플러그(105)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박스(300)에는 상기 냉각장치(303)에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시가잭 플러그(304)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서류 이송장치 본체(100)내의 육지챔버(109) 바닥에는 양서류에 습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스펀지(106) 또는 헝겁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KR1020080087791A 2008-09-05 2008-09-05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KR10100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791A KR101009862B1 (ko) 2008-09-05 2008-09-05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791A KR101009862B1 (ko) 2008-09-05 2008-09-05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55A KR20100028855A (ko) 2010-03-15
KR101009862B1 true KR101009862B1 (ko) 2011-01-19

Family

ID=4217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791A KR101009862B1 (ko) 2008-09-05 2008-09-05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8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034A (zh) * 2012-03-07 2012-07-18 安徽省旌德博仕达农业科技有限公司 蟾蜍养殖装置及蟾酥采集方法
CN103329845A (zh) * 2013-08-07 2013-10-02 贵州金大地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高密度工厂化的石蛙养殖装置
CN103843719A (zh) * 2012-11-28 2014-06-11 翟文 北方林蛙活体安全仓
CN103988804A (zh) * 2014-05-26 2014-08-20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中华鲟研究所 一种长鳍吻鮈长途运输的安全方法及运输装置
CN104137808A (zh) * 2014-07-21 2014-11-12 安徽诺阳禽业有限公司 一种肉鸭网上养殖方法
CN109362634A (zh) * 2018-08-21 2019-02-22 天集装箱科技(深圳)有限公司 鲜活水产品运输方法及其运输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693A (zh) * 2016-11-24 2017-02-15 贵州大学 一种稚鲵培育池及稚鲵培育方法
CN106922619B (zh) * 2017-04-24 2020-02-18 浙江海洋大学 一种棘胸蛙的投喂装置及其投喂方法
CN109526868B (zh) * 2018-12-28 2021-04-06 桑植县唯美大鲵生物科技有限公司 以混合降温增加溶氧量降噪的大鲵养殖池给水排水系统
CN111011303A (zh) * 2019-12-25 2020-04-17 丽水学院 一种崇安髭蟾的养殖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60A (ja) * 1992-05-08 1994-03-01 Hoechst Ag ポリアリーレンシロキサンと非晶質高性能ポリマーとの混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7155088A (ja) * 1993-12-03 1995-06-20 Hironobu Ota 閉鎖環境下における動植物の育成装置および育成方法
JPH119126A (ja) * 1997-06-27 1999-01-19 Nippon Zeon Co Ltd 動物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60A (ja) * 1992-05-08 1994-03-01 Hoechst Ag ポリアリーレンシロキサンと非晶質高性能ポリマーとの混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7155088A (ja) * 1993-12-03 1995-06-20 Hironobu Ota 閉鎖環境下における動植物の育成装置および育成方法
JPH119126A (ja) * 1997-06-27 1999-01-19 Nippon Zeon Co Ltd 動物容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034A (zh) * 2012-03-07 2012-07-18 安徽省旌德博仕达农业科技有限公司 蟾蜍养殖装置及蟾酥采集方法
CN103843719A (zh) * 2012-11-28 2014-06-11 翟文 北方林蛙活体安全仓
CN103329845A (zh) * 2013-08-07 2013-10-02 贵州金大地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高密度工厂化的石蛙养殖装置
CN103988804A (zh) * 2014-05-26 2014-08-20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中华鲟研究所 一种长鳍吻鮈长途运输的安全方法及运输装置
CN104137808A (zh) * 2014-07-21 2014-11-12 安徽诺阳禽业有限公司 一种肉鸭网上养殖方法
CN104137808B (zh) * 2014-07-21 2016-08-17 安徽诺阳禽业有限公司 一种肉鸭网上养殖方法
CN109362634A (zh) * 2018-08-21 2019-02-22 天集装箱科技(深圳)有限公司 鲜活水产品运输方法及其运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55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862B1 (ko) 양서류의 생태가 반영된 이송장치
Hirsch et al. Effects of water level regulation in alpine hydropower reservoirs: an ecosystem perspective with a special emphasis on fish
Babbitt et al. Effects of cover and predator size on survival and development of Ranautricularia tadpoles
Maneja et al. The swimming kinematics of larval Atlantic cod, Gadus morhua L., are resilient to elevated seawater p CO 2
US10631517B2 (en) Transportation container blower for mortality prevention and welfare during livestock transportation
JP5343209B2 (ja) 活魚輸送装置およびイカの活魚輸送装置
CN105831014A (zh) 一种新型的蚯蚓室内养殖专用组合架及其应用方法
KR101824358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Denoël How do paedomorphic newts cope with lake drying?
Villanueva et al. Abiotic influences on embryo growth: statoliths as experimental tools in the squid early life history
TW200601976A (en) Methods for controlling molluscs
JP2016185113A (ja) 魚類捕獲装置、魚類捕獲方法および魚類捕獲装用運搬船
CN105284707A (zh) 一种提高小龙虾虾苗运输成活率的装置
KR101779379B1 (ko) 양식장의 적조방제 부양막
KR101142038B1 (ko) 어류의 다배성 난각 부화장치
Kim et al. Possible food caching and defence in the Weddell seal: observations from McMurdo Sound, Antarctica
Takegaki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1758)(Gobiidae)
CN207443898U (zh) 一种生物实验室用放置箱
KR20150069216A (ko) 활어수조 덮개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Derakhshan et al. Thermal tolerance limits and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green toad, Bufotes viridis.
KR20080014917A (ko) 천연의 물이 수면위치보다 높은곳에 자연 유통되는 밀폐형양어, 양식 시스템.
KR20190094569A (ko) 애완 동물 사육 장치
JP2013240315A (ja) 生物農薬用容器及び生物農薬の保存方法
Flinn et al. Modeling the effects of insect stage and grain temperature on phosphine-induced mortality for Rhyzopertha dominica
JP7301366B2 (ja) 送粉昆虫用巣箱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