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435B1 -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435B1
KR101009435B1 KR1020100101187A KR20100101187A KR101009435B1 KR 101009435 B1 KR101009435 B1 KR 101009435B1 KR 1020100101187 A KR1020100101187 A KR 1020100101187A KR 20100101187 A KR20100101187 A KR 20100101187A KR 101009435 B1 KR101009435 B1 KR 10100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 shaft
fuel
driving
movab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경진
송영식
송원기
송원찬
송중식
송인정
채제완
채헌
Original Assignee
송경진
송영식
송원기
채헌
송중식
송인정
채제완
송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진, 송영식, 송원기, 채헌, 송중식, 송인정, 채제완, 송원찬 filed Critical 송경진
Priority to KR102010010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4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435B1/en
Priority to PCT/KR2011/006434 priority patent/WO201205373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mechan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PURPOSE: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is provided to cut off the power of an engine and increase a fuel ratio when the rotation speed of a drive wheel is faster about the generating power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CONSTITUTION: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comprises a driving shaft(10), an operation cylinder(20), an output shaft(30), an actuating member(40) and a controller. The actuating member transfers the operation cylinder back and forth using trigger pressure. The actuating member comprises a driving pump and a connector.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mp and a connection pipe. The connector has a chamber in which the trigger pressure actuates upon the inner side.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FUEL SAVING DEVICE OF VEHICLE}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바퀴의 회전비가 엔진의 출력 회전비 보다 높은 경우 동력을 단절시켜 탄력주행을 통한 연비 절감이 가능한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면서 제작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fuel consumption by driving power when the wheel rotation ratio of the wheel is higher than the output rotation ratio of the engine while driving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av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 전달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동력 전달방식에 따라 전륜구동과 후륜구동으로 구분되며, 엔진-클러치-변속기-드라이브축(후륜구동의 경우)-종감속장치 및 차동 기어장치-구동차축-구동 바퀴의 순으로 전달된다.Generally,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a vehicle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from an engine to a driving wheel, and is classified into a front wheel drive and a rear wheel drive according to a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n engine-clutch-transmission-drive shaft (in the case of a rear wheel drive) Transmission in the order of the gearbox and the differential gear-drive axle-drive wheel.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부착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장치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는 장치로서 엔진을 기동할 때에 엔진을 무부하 상태로 하기 위함과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 엔진의 회전력을 일시 차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러한 클러치는 마찰클러치와 유압클러치로 구분된다. The clutch is attach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nd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power of the engine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temporarily stop the engine's rotational force when the engine is unloaded when the engine is started and when the gear of the transmission is shifted. It is necessary to block. These clutches are divided into friction clutches and hydraulic clutches.

변속기는 엔진과 드라이브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차량이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서 구동 바퀴로 전달하는 장치로써, 수동변속기와 유압제어장치 및 유성기어를 이용한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운전석에 클러치 페달이 없고, 조작 레버에는 L(저속)·D(전진)·N(중립)·R(후진)·P(주차) 등의 선택표지가 있다. N으로 하고 기관을 시동한 다음 D로 하고 가속 페달을 밟으면 원활하게 출발하여 자동적으로 최고속도까지 가속된다.The transmission is install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drive shaft and transmits the engine power to the driving wheels by changing the rotational force and speed so that the vehicle is suitable for driving conditions. The transmission is divided into a manual transmission, a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an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a planetary gear. do. In the cas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s, there are no clutch pedals in the driver's seat, and the operating levers include L (low speed), D (forward), N (neutral), R (reverse), and P (parking). If you set it to N and start the engine, then set it to D and press the accelerator pedal, it starts smoothly and automatically accelerates to the maximum speed.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구성은 토크변환기와 자동적으로 조작되는 2∼4단의 유성(遊星)기어 변속장치, 차속과 기관의 부하(負荷) 및 운전자의 변속위치의 선택을 입력(入力)으로 하여 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에 비해 효율이 약간 낮아서 최고속도·가속능력·연료소비율 등이 약간 저하된다. This automatic transmission is composed of two to four-speed planetary gear transmissions that are automatically operated with a torque converter, selection of vehicle speed and engine load, and driver's shift position as inputs. There are three parts of the controlling device. Automatic transmissions are slightly less efficient than manual transmissions, resulting in slightly lower top speed, acceleration capacity and fuel consumption.

드라이브축을 통하여 뒤쪽으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종감속 기어장치에서 구동차축으로 전해지고 동시에 최종적으로 감속된다. 종감속 기어장치의 기어비의 대소는 고속형·저속형 등 자동차의 속도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이러한 종감속 기어장치에는 차동 기어장치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The rotating power transmitted rearward through the drive shaft is transmitted from the longitudinal reduction gear to the drive ax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finally decelerated. The magnitude of the gear ratio of the longitudinal reduction gear dev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peed performance of a vehicle such as a high speed type and a low speed type, and a differential gear devic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ongitudinal reduction gear device.

그러나, 종래의 동력 전달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상관없이 엔진의 구동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행 상태에 따른 최적의 동력전달 특성을 보장하지 못함에 따라 연료 소비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to the driving wheel regardles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el consumption is not efficient as it does not guarantee the optimum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8227호를 통해 개량된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fuel saving device for an improved vehicle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8227.

본 출원인이 제안한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기관의 드라이브축 및 이에 연결되어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관성 주행시 연료분사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드라이브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타단에는 외면이 매끈한 슬립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그 나사선홈의 끝단측 형상이 곡면으로 융기 가공 처리된 전·후진 구동나사부를 구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단이 선단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입구측에 상기 전·후진 구동나사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제1공간부 및 이 제1공간부의 후방측과 분리 구비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진 가동 실린더와; 일단이 차량의 구동차축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공간부에 회전은 방지되면서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게 끼움되어 가동 실린더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력축과; 상기 제2공간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축에 의해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실린더를 상기 구동축의 전진 구동나사부에 체결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와; 차량의 구동차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공간부에 회전은 방지되면서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가동 실린더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삽입된 단부 일측에 탄성체가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가동 실린더의 서로 인접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가동 실린더를 후방측으로 후퇴 이동시키는 가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에 비해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높은 경우 연료분사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e shaft of the engine and the driving axle connected to the wheel and connected to the engine, and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to adjust the injection amount of the fuel injector during inertial driving, one end of the drive shaft A drive shaft having a forward / reverse drive screw part having a screw lin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groove on the other end with a smooth slip portion on the other end thereof so as to rotate on the other end there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the movable part consisting of a first space portion having a fastening portion for selectively faste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screw portion on the inlet side and a second space portion separated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A cylinder; An output 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axle of the vehicle and interlocked with the other en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ace, thereby allowing the axial slide movement to be inserted to support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cylinder; An elastic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space part and supported by the output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able cylinder to be fastened to the forward drive screw of the drive shaf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xle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o prevent the rotation and is axially slideable to enabl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cylinder. An elastic body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inserted end portion. An output shaft; Movable means provided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output shaft and the movable cylinder to retreat the movable cylinder to the rear side by a control signal;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s higher than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fuel injector to adjust the injection amount.

이러한 구성의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구동 바퀴의 회전력이 엔진의 출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퓨얼컷 상태에서의 관성 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연비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nables inertia driving in the fuel cut state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wheel is higher than the output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fuel economy.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출력축의 직선 이동을 전자석과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갖는 탄성체로 제어하게 되는데,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적인 제조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전자석의 경우 동작의 응답성이 늦을 뿐만 아니라 전선을 배선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탄성체의 경우에는 사용정도에 따라 탄성력이 저하되므로 장기간 균일한 탄성력으로 출력축의 복귀 동작을 수행하기 곤란한 단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However,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to control the linear movement of the output shaft to an elastic body having an electromagnet and a coil spring form, the complex structure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and economical manufacturing is difficul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ctromagnets, the responsiveness of the operation is not only slow,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wiring the wires, and in the case of the elastic body, the elastic force is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us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guarante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양산성을 높임으로써 경제적인 제조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정확하고 균일한 동작 수행을 보장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mass production,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economical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and accurate and uniform even in long-term use It is to provide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that can ensure the operation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출력에 대해 구동 바퀴의 회전력이 높은 경우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고 관성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연비절감을 기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sav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reduce fuel consumption by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engine and enabling inertia driving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wheel is high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hav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일단이 기관의 드라이브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외면이 매끈한 슬립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전·후진 구동나사부를 구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타단이 선단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입구측에 상기 전·후진 구동나사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제1공간부 그리고 이 제1공간부의 후방측과 분리 구비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진 가동 실린더 및 일단이 차량의 구동차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공간부에 회전이 방지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끼움되어 가동실린더의 직선 이동을 지지하는 출력축 및 상기 가동실린더를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가동수단 및 상기 구동축에 비해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높은 경우 연료분사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연료 분사를 중단 또는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은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압을 흡입 또는 송출하는 구동펌프 및 이 구동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측에 작동압이 작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부 내로 작동압이 공급되게 하거나 또는 공급된 작동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that one end is rot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engine,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with the slip part having a smooth outer surface therebetween. A first space portion having a drive shaft having a forward / reverse drive scre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being inserted into the front end, 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for selectively fastening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screw portions to an inlet side; and a rear of the first space portion. A movable cylinder comprising a second space portion separated from the side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xle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slidably fitt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to prevent the rotation thereof, thereby supporting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cylinder. An output shaft relative to the drive shaft and the movable means for moving the output shaft and the movable cylinder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ler for stopping fuel injection or adjust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fuel injector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is high, the movable means sucks the operating pressure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 driving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mp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iving pump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a connecting body having a chamber in which an operating pressure is applied, and the driv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chamber, The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operating pressure is suppli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or the supplied operating press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챔버에 작용하는 작동압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챔버의 양측으로 챔버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은 제1공간부의 내부에 위치한 끝단의 지름을 확장하고 그 외면으로 제1공간부를 밀폐되게 하는 헤드 패킹이 구비된 헤드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ody is provided with chamber packings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so that the working pressure acting on the chambe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e drive shaft has a diameter of the end loc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 head having a head packing is provided which extends and seals the first space part to an out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구동축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회전 지지를 위한 베어링 요소가 더 구비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aring element for rotational support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ive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연결체의 챔버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제1유입출구가 하나 또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에 위치한 타측면에 제2유입출구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shaft is formed on the one side facing the chamber of the connecting body a plurality of first inlet or outlet at one or the same interval, the second on the other side loc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Inlet and outlet are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2공간부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출력축의 단부에는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드 끼움되게 축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pac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ail in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slide into the rail groove at the end of the output shaf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It is in this being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진 구동나사부(11)와 슬립부(12)와 후진 구동나사부(13)는 각각 15:25:15의 구간 비율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에 있다.
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the slip portion 12 and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is provided to have a ratio of 15:25:15,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구동 바퀴의 회전력이 엔진의 출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엔진 기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최소의 연료만 소모되는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관성 주행이 가능하므로 연료 소비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연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fuel sav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wheel is higher than the output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ertial driving is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is stopped or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only the least fuel is consumed. As a result, fuel consumption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by minimizing fuel consumption.

특히, 본 발명의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는 종전에 비해 구조가 간소하여 양산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하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r than before, so that mass productivit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economical dissemination is possible and operation reliability can be guarante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전진 주행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중립 상태 및 관성주행, 엔진회전 중단시 내리막길 주행상태 및 전진 전환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후진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후진상태에서 전진 전환 주행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엔진 브레이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엔진 브레이크 상태에서 전진 전환 주행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연결체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체결요소의 나선 및 가스켓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서 기관 정지시의 조명장치 및 조향장치 및 제동장치의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figuration of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during the forward driving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neutral state and inertia driving, downhill driving state and forward switching when the engine stops in the vehicle fuel 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reverse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conversion driving in the reverse state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brake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during the forward switching driving in the engine brake state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ody in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a spiral and a gasket of a fastening element in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for generating power of a light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nd a braking device when an engine stops in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fuel saving device.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1)는 내연기관이나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내연기관의 경우 차량 기관(2)의 드라이브축(3)과 이 드라이브축(3)에 연결되어 바퀴(W)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차축(5)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관성 주행시 연료분사기(6)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를 중단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마찬가지로 드라이브축(3)과 구동차축(5)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관성 주행시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한 내연기관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therein, the fuel saving device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ehicle driven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n electric motor, and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drive shaft 3 of the vehicle engine 2 and th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e axle (5)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wheel (W) to stop the injection of the fuel injected by the fuel injector (6) during the inertial driving of the vehicle or to adjust the injection amount of the fuel In the case of a vehicle using the electric motor as a driving source, the vehicle may be similarly installed between the drive shaft 3 and the drive axle 5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during inertia driving of the vehic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gasoline or diesel as a fue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1)는 상기 엔진과 변속기를 포함하는 기관(2)의 드라이브축(4)에 연결되는 연동 회전하는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후단이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결속 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거나 구동력이 단절되는 요소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실린더(20)와,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후단측에 선단이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슬립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출력축(30)과, 상기 가동 실린더(20)를 작동압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가동수단(40) 그리고 상기 연료분사기(6)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연료의 분사를 중단 또는 그 분사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7)로 구성된다.
The fuel saving device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shaft 10 which is interlocked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 of the engine 2 including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nd a rear end of the drive shaft 10. A movable cylinder 20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by being inserted therein to receive a driving force or move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an element for which driving force is cut off, and a tip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side of the movable cylinder 20 in the axial direction. The output shaft 30 constrai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integrally rotated while the slip movement is possible, the movable means 40 for moving the movable cylinder 20 before and after by the operating pressure, and the fuel injector 6. The controller 7 applies a control signal to stop the injection of fuel or adjust the injection amount thereof.

구동축(10)은 일단이 기관(2)의 드라이브축(3)에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에는 외면이 매끈하게 가공된 슬립부(12)가 형성되고, 이 슬립부(12)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외면에 동일한 나선을 갖는 전진 구동나사부(11)와 후진 구동나사부(13)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전진 구동나사부(11)는 차량의 전진 주행시 후술할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와 나사체결되어 결속되고, 상기 후진 구동나사부(13)는 차량의 후진 주행시 체결부(21a)와 나사체결되어 결속되며, 차량의 관성 주행시에는 상기 슬립부(12) 부분이 체결부(21a)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가동 실린더(20)와의 결속이 해제된다.One end of the drive shaft 10 is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 shaft 3 of the engine 2,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lip portion 12 having a smooth outer surface, and the slip portion 12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and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each having the same spir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back are formed,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is screwed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forward, and the backward drive screw portion 13 is the fastening portion 21a when the vehicle travels backward. ) And is coupled to the movable cylinder 20, the binding with the movable cylinder 20 is released by the slip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fastening portion (21a) during inertial driving of the vehicle.

이러한 구성의 구동축(10)에서 상기 전진 구동나사부(11)와 후진 구동나사부(13) 그리고 이에 나사체결되어 결속되는 체결부(21a)의 각 나선의 끝단측 형상은 곡면으로 가공처리하여 나선의 끝단측에서 전진 구동나사부(11)와 체결부(21a) 그리고 후진 구동나사부(13)와 체결부(21a)가 억지 끼움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d side of each helix of the forward drive screw section 11 and the backward drive screw section 13 and the fastening section 21a which is screwed and fastened to the drive shaft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to the end of the spi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and the fastening portion 21a and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and the fastening portion 21a are formed so as not to be forcibly fitted at the side.

가동 실린더(20)는 축 방향으로 제1공간부(21)와 제2공간부(23)가 서로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이들 제1공간부(21)와 제2공간부(23)는 각각 선단측과 후단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movable cylinder 20 is formed as a space in which the first sp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3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sp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3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orm open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이러한 가동 실린더(20)는 상기 선단측 입구 즉, 제1공간부(21)의 입구측에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21a)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체결부(21a)는 상기 전·후진 구동나사부(11,13)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구동축(10)과 가동 실린더(20)를 결속시켜 연동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21a)의 내측에 상기 슬립부(12)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구동축(10)과 가동 실린더(20)의 결속이 해제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구동축(10)의 구동력이 단절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movable cylinder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21a having a spiral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inlet, that is, the inlet 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21,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21a is By selectively faste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screw portions 11 and 13, the drive shaft 10 and the movable cylinder 20 are engaged as a result, thereby acting as interlocking rotation. In addition, when the slip part 12 is positioned inside the fastening part 21a, as the binding between the drive shaft 10 and the movable cylinder 20 is release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haft 10 is disconnected as a result. Is achieved.

출력축(30)은 일단이 차량의 구동차축(5)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으로, 타단은 상기 제2공간부(23)에 회전은 방지되면서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게 끼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의 출력축(30)은 상기 가동 실린더(20)내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레일(3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실린더(20)는 상기 레일(33a)에 대응되는 끼움요소로 상기 제2공간부(23)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레일홈(23a)이 형성된다.
One end of the output shaft 30 is connected to and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axle 5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23 while preventing rotation thereof so that the axial slide movement is fitted. As an element support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cylinder 20, the output shaf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il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shown in the figure so as to prevent rotation in the movable cylinder 20. A 33a is formed, and the movable cylinder 20 has a rail groove 23a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pace portion 23 as a f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rail 33a.

컨트롤러(7)는 상기 구동축(10)에 비해 출력축(30)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경우 연료분사기(6)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연료의 분사를 중단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요소로서, 차량에 탑재된 공지의 ECU나 TCU가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put shaft 30 is higher than the driving shaft 10, the controller 7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fuel injector 6 to stop the injection of fuel or to adjust the injection amount of the fuel. On board a known ECU or TCU can be used.

이러한 컨트롤러(c)는 상기 구동축(10)에 비해 출력축(30)의 회전비가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가 전진 구동나사부(11)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후퇴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슬립부(12) 부분이 체결부(21a) 내측에 위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주행 감지기(9)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관성주행 감지기(9)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연료분사기(6)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게 된다. The controller c retreats when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released from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ratio of the output shaft 30 is higher than that of the drive shaft 10. As a result, the part of the slip part 12 is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part 21a,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ertial driving sensor 9 for detecting the same.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o the fuel injector 6 is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일례로, 관성주행 감지기(9)를 통해 차량의 중립 주행 상태가 확인되면, 기관(2)에 공급되는 연료를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퓨얼컷(Fuel-Cut) 상태로 운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조명 및 조향장치 및 제동 장치의 기능을 유지 가능한 상태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을 기동시키고, 상기 기관(2)의 구동을 정지시켜 연료 소모를 차단한 상태에서 주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neutral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inertial driving sensor 9,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2 is temporarily cut off so that the vehicle runs in a fuel-cut state, or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Although it is possible to start a separate drive source (not shown) in a state capable of maintaining the functions of the lighting and steering device and the braking device, and stop the driving of the engine 2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driving in the state of cutting off fuel consumption. .

즉, 연료가 차단되어 기관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조명 및 조향장치 그리고 제동 장치가 안정된 동작이 보장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도 1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30)에 발전기를 연결하고, 이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조향장치 및 제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it is necessary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lighting and steering device and the braking device even when the engine is stopped because the fuel is cut off. For this purpose, a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30 as shown in FIG.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drive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lighting device, the steering device and the braking device.

그리고 상기 기관(2)이 정지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관성주행 감지기(9)를 통해 중립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기관(2)을 재 시동시켜 연료가 공급되게 하여 동력 주행을 부활시켜 운행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engine 2 is in a stopped state, if the neutral state is detected through the inertial driving sensor 9, the engine 2 is restarted to supply fuel and reactivate the driving. You can do i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축(10), 가동 실린더(20), 출력축(30) 그리고 컨트롤러(c)는 종전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이 컨트롤러(c)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동수단(40)의 제공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drive shaft 10, the movable cylinder 20, the output shaft 30, and the controller c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means 40 for enabling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movable cylinder 20 to be precis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가동수단(40)은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압을 송출 또는 흡입하기 위한 구동펌프(41)와, 이 구동펌프(41)와 연결관(43)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작동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즉, 구동축이 회전하는 경우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연결체(42)와, 상기 연결체(42)와 연결되는 유로(15)를 형성하는 구동축(10)으로 구성된다.Movable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drive pump 41 for transmitting or sucking the operating pressure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c), the drive pump 41 and the connecting pipe 43 and selectively operating pressure In this way, the connecting body 42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shaft 10, that is, to maintain a fixed state when the driving shaft rotates, and the flow path 15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42 are provided. It consists of the drive shaft 10 to form.

상기 구동펌프(41)는 상기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컨트롤러(c)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유체압 또는 기체압으로 된 작동압을 생성하고, 이를 일측에 연결된 연결관(43)을 통해 고압으로 송출하거나 또는 연결관(43)으로 송출된 작동압을 고흡입압으로 흡입해서 제1공간부(21)를 고압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고음압 상태를 만드는 요소이다.The drive pump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c) generates a working pressure of the fluid or gas pressure, and the connection pipe 43 connected to one side It is an element that makes the first space portion 21 to a high pressure state or a high sound pressure state by sending a high pressure through the suction or the working pressure sent to the connecting pipe 43 at a high suction pressure.

이러한 구동펌프(41)는 상기 가동실린더(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며, 유체압 또는 기체압을 작동압으로 한 공지의 유압 또는 기압 펌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rive pump 41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able cylinder 20, and a known hydraulic or pneumatic pump using a hydraulic pressure or a gas pressure as an operating pressure may be used.

상기 연결체(42)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그 일단이 브라켓트(b)에 의해 차체 또는 기관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부재로, 외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43)의 타단이 연결되는 접속포트(42a′)가 마련되며, 이 접속포트(42a′)는 그 내측면에 고리형의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챔버(42a)에 연결된다. The connecting body 42 is a member having an annular shap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or the engine by a bracket (b)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4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The connection port 42a 'is provided, and this connection port 42a' is connected to the chamber 42a provided in the annular groove shape in the inner surface.

이때의 상기 챔버(42a)는 상기 연결관(43)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압이 임시적으로 체류하는 일종의 공간이며, 후술할 구동축(10)의 유로(15)와 연결되게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chamber 42a is a kind of space in which the working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 temporarily stays,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15 of the drive shaft 1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연결체(42)는 상기 챔버(42a)에 작용하는 작동압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도 10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챔버(42a)의 양측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42a)의 상·하측에 챔버 패킹(42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상기 챔버 패킹(42b)은 석면질이나 금속재 및 천연,합성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the connecting body 42 has both sides of the chamber 42a, that is, the chamber 42a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e working pressure acting on the chamber 42a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mber packing 42b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hamber packing 42b. As the chamber packing 42b may be made of asbestos, metal, natural, synthetic rubber, or the like, it may be carried out by a known technique.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상기 연결체(42)는 도 1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 요소(42c)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베어링 요소(42c)는 상기 챔버(42a) 및 챔버 패킹(42b)과 위치 간섭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이며,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ng member 42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element 42c for reducing friction during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 wherein the bearing element 42c may be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said chamber 42a and the chamber packing 42b, and may be implemented by a well-known technique.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챔버(42a)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부(21) 내로 작동압이 공급되게 하거나 또는 공급된 작동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15)가 형성된다.The drive shaft 10 is connected to the chamber 42a so that a working pressure is supplied into the first space 21 or a flow path 15 is formed so that the supplied working press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챔버(42a)와 마주하는 일측 외면에 작동압을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받은 작동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유입출구(15a)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21) 내에 위치한 타측면으로는 상기 제1공간부(21) 내로 작동압이 작용하도록 제2유입출구(15b)가 형성된다.That is, the drive shaft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rst inlet or outlet 15a for receiving the working pressure or discharging the supplied working pressure on one outer surface facing the chamber 42a. On the other side located in the first space 21, a second inlet and outlet 15b is formed to act the working pressure into the first space 21.

한편,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제1공간부(21)의 내부에 위치한 타측 끝단의 지름을 확장하고 그 외면으로는 제1공간부(21)를 밀폐될 수 있게 외면에 헤드 패킹(14p)이 구비된 헤드(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료분사기(6)서 상기 헤드 패킹(14p)은 앞서 설명한 챔버 패킹(42b)과 마찬가지로 석면질이나 금속재 및 천연,합성 고무 등이 사용되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driving shaft 10 extends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first space 21 and the head packing 14p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10 to seal the first space 21 with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provided head 14 is integrally formed. As the head packing 14p in the fuel injector 6, asbestos, metal, natural, synthetic rubber, and the like ar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hamber packing 42b described abov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구성의 가동수단(40)은 컨트롤러(c)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펌프(41)에서 작동압을 연결관(43)과 연결체(42) 그리고 유로(15)를 통해 제1공간부(21)에 공급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공간부(21)에 공급된 작동압을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실린더(20)를 출력축(30)으로 후퇴 이동시키거나 또는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The movable means 40 of such a configuration us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c to control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driving pump 41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 the connecting body 42, and the flow path 15. The movable cylinder 20 is retracted or moved forward to the output shaft 30 by supplying it to the 21 or by sucking and discharging the operating pressur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21.

한편, 도 12는 구동축(10)의 구동나사부(11,13)의 끝단부에는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와의 체결시 끼임 방지를 위한 방지 스톱퍼(a)가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방지 스톱퍼(a)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대 부재가 서로 완전하게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the end of the drive screw portion (11, 13) of the drive shaft 10 is formed with a stop stop (a) for preventing the pinch when the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The stop stopper (a)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has a feature of preventing the mating members from being completely sandwiched by each other by screw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4 to 9 the operation of the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의 (a)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기관(2)의 드라이브축(3)에 구동축(10)이 연결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 실린더(20)에 고압으로 배압 즉, 흡입압을 작용하면 상기 가동 실린더(20)가 도면을 기준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가 상기 구동축(10)의 전진 구동나사부(1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은 상태로 되어 출력축(30)을 회전시켜 기관(2)의 동력이 구동축(10)에 전달된다.
As shown in (a) of FIG. 4, the driving shaft 10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 of the engine 2 to rotate back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uction pressure is applied, the movable cylinder 20 moves forwar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fastened to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of the drive shaft 1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output shaft 30 is rotated so that the power of the engine 2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10.

도 5의 (a)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내리막길 주행, 관성 주행, 중립 주행, 주행중 엔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축(10)이 기관(2)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기관(2)의 회전보다 바퀴(w)에 연결된 구동차축(5)의회전이 빠르게 된다. 이때, 전진 구동나사부(11)에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가 분리되어 가동 실린더(20)의 회전이 기관(2)의 회전보다 더 빨라져서 출력축(30)도 빨리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차축(5)도 빨리 회전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실린더(20)부의 제1공간부(21)에 고배압을 작용하면 가동 실린더(20)를 계속 전진 위치로 유지시켜야 한다.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driving shaft 1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engine 2 in the downhill driving, inertial driving, neutral driving, and running of the engine, the engine 2 is rotated. Rotation of the drive axle 5 connected to the wheel w is faster than the rotation of the). At this time, since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separated from the forward drive screw 11 so that the rotation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faster than the rotation of the engine 2, the output shaft 30 also rotates quickly. The drive axle 5 also rotates quickly, resulting in a higher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At this time, when high back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the movable cylinder 20 should be kept in the forward position.

도 5의 (b)는 상기 도 5의 (a) 상태 즉, 중립, 관성 주행, 내리막길 주행 상태에서 다시 기관(2)의 회전으로 전진 주행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5B illustrates that the vehicle is to move forward with the rotation of the engine 2 again in the state of FIG. 5A, that is, in a neutral, inertial, and downhill driving state.

기관(2)의 회전을 가동 실린더(20)에 비해 빠르게 하면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고배압을 작용하면 상기 가동 실린더(20)가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while the rotation of the engine 2 is made faster than the movable cylinder 20, the movable cylinder 20 moves forwar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one.

도 6은 후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verse state.

상기 구동축(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고압의 작동압이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공급되면 상기 가동 실린더(20)가 도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체결부(21a)가 후진 구동나사부(13)에 체결된다.
When the drive shaft 1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high operating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the movable cylinder 20 is moved backwards based o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fastening portion 21a is fastened to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도 7은 후진에서 전진 주행으로 전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switching from reverse to forward driving is performed. FIG.

후진에서 전진으로 전환시킬 때에는 상기 구동축(10)을 가동 실린더(20)보다 시계 방향으로 빨리 회전시켜서 후진 구동나사부(13)에서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를 이탈시키는 동시에 고배압으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실린더(20)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가 전진 구동나사부(11)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구동축(10)의 회전에 의해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When switching from reverse to forward, the drive shaft 10 is rotated clockwise faster than the movable cylinder 20 to release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from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and at a high back pressure. The movable cylinder 20 is moved forward by acting on the first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fastened with the forward drive screw part 11 so that the forward driving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

도 8은 엔진 브레이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gine brake state.

이때는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회전보다 구동축(10)의 회전을 월등히 느리게 하는 동시에 고압의 작동압을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작용하면 상기 가동 실린더(20)가 도면을 기준으로 후퇴 이동되면서 체결부(21a)가 후진 구동나사부(13)에 체결되어 구동축(10)을 시계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관(2)을 회전시키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기관(2)은 저속 회전 상태이므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회전이 억제됨에 따라 엔진 브레이크가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 i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rotation of the movable cylinder 20, and the high pressure working pressure acts on the first space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the movable cylinder 2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part 21a is fastened to the reverse drive screw part 13 while being retracted based on the force, thereby forcibly rotating the drive shaft 10 clockwise. Therefor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engine 2 is rotated occurs. At this time, since the engine 2 is in a low speed rotation state, the engine brake is performed as the rotation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suppressed.

도 9는 도 8의 엔진 브레이크 상태에서 전진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switching from the engine brake state of FIG. 8 to the forward state.

도 9의 (a)와 (b)를 참조하면, 엔진 브레이크 상태에서 전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구동축(10)을 가동 실린더(20)의 회전속도보다 빨리 회전시키는 동시에 고배압의 작동압을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작용한다. 그러면 상기 가동 실린더(20)는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체결부(21a)가 전진 구동나사부(11)에 체결되어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in order to switch from the engine brake state to the forward state, the drive shaft 10 is rotated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vable cylinder 20 and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high back pressure is increased. It acts on the 1st space part 21 of (20). Then, the movable cylinder 20 is moved forwar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while the fastening part 21a is fastened to the forward drive screw part 11 to perform the forward movement.

한편, 도 9의 (c)는 상기 도 9의 (b) 상태에서 내리막길 주행, 관성 주행, 중립 주행, 주행중 엔진 정지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회전이 구동축(10)의 회전보다 빠르며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제1공간부(21)에 고배압이 작용하면, 상기 구동축(10)이 슬립부(12)에서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가 위치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Meanwhile, FIG. 9C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engine is in a down state of driving downhill, inertia, neutral, and stopped while driving in the state of FIG. 9B. When the rotation is faster than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 and the high back pressure acts on the first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cylinder 20, the drive shaft 10 is fastened to the movable cylinder 20 at the slip portion 12. The portion 21a is positioned to achieve a state of rotation.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2 : 기관
3 : 드라이브축 6 : 연료분사기
7 : 컨트롤러 10 : 구동축
11,13 전·후진 구동나사부 12 : 슬립부
20 : 가동 실린더 21 : 제1공간부
23 : 제2공간부 23a : 레일홈
30 : 출력축 33a : 레일
40 : 가동수단 41 : 구동펌프
42 : 연결체
1: vehicle fuel saving device 2 engine
3: drive shaft 6: fuel injection machine
7 controller 10 drive shaft
11,13 Forward / reverse drive screw part 12: Slip part
20: movable cylinder 21: first space part
23: second space portion 23a: rail groove
30: output shaft 33a: rail
40: movable means 41: drive pump
42: connector

Claims (6)

일단이 기관의 드라이브축(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외면이 매끈한 슬립부(12)를 사이에 두고 전·후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전·후진 구동나사부(11,13)를 구비하는 구동축(10) 및 상기 구동축(10)의 타단이 선단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입구측에 상기 전·후진 구동나사부(11,13)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21a)가 형성된 제1공간부(21) 그리고 이 제1공간부(21)의 후방측과 분리 구비되는 제2공간부(23)로 이루어진 가동 실린더(20) 및 일단이 차량의 구동차축(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공간부(23)에 회전이 방지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끼움되어 가동실린더(20)의 직선 이동을 지지하는 출력축(30) 및 상기 가동실린더(20)를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가동수단(40) 및 상기 구동축(10)에 비해 출력축(30)의 회전속도가 높은 경우 연료분사기(6)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연료 분사를 중단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40)은 컨트롤러(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압을 흡입 또는 송출하는 구동펌프(41) 및 이 구동펌프(41)와 연결관(43)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0)의 상부에 구동축(1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측에 작동압이 작용하는 챔버(42a)가 형성된 연결체(42)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챔버(42a)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부(21) 내로 작동압이 공급되게 하거나 또는 공급된 작동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A drive shaft having forward and backward drive screw parts 11 and 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 of the engine and being rotated with the slip part 12 having a smooth outer surface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a screw thread formed thereon ( 10) and the first space portion 21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10 is inserted into the tip end, and a fastening portion 21a is formed on the inlet side to selectively engage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screw portions 11 and 13. And a movable cylinder (20) consisting of a second space portion 23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21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ive axle (5)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space portion An output shaft 30 support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cylinder 20 and the movable means 40 for mov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cylinder 20 by being slidably axially movable while preventing rotation to the 23. ) And fuel fraction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30 is higher than that of the drive shaft 10. In the fuel-sav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group (6), the controller (c) to be applied by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fuel or stops the fuel injection control signals to,
The movable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mp 41 and the driving pump 41 and the connecting pipe 43 for sucking or sending the operating pressure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 and the driving shaft 10 of the driving shaft 10. The drive shaft 1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42, the chamber 42a is formed in which the working pressure acts,
The drive shaft 10 is connected to the chamber 42a so that the operating pressure is supplied into the first space 21 or the flow path 15 is formed so that the supplied operating press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uel saving device for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42)는 상기 챔버(42a)에 작용하는 작동압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챔버(42a)의 양측으로 챔버 패킹(42b)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0)은 제1공간부(21)의 내부에 위치한 끝단의 지름을 확장하고 그 외면으로 제1공간부(21)를 밀폐되게 하는 헤드 패킹(14p)이 구비된 헤드(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42 is provided with chamber packing (42b)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42a) so that the operating pressure acting on the chamber (42a)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e drive shaft 10 has a head 14 having a head packing 14p extending the diameter of the end located inside the first space 21 and sealing the first space 21 to an outer surface thereof. Fuel saving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42)는, 상기 구동축(10)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회전 지지를 위한 베어링 요소(42c)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0)의 구동나사부(11,13)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가동 실린더(20)의 체결부(21a)의 끼임 방지를 위한 방지스톱퍼(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nector 42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aring element (42c) for rotational support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ive shaft 10,
Each end of the drive screw (11, 13) of the drive shaf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ention stopper (a) for preventing the pinch of 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movable cylinder 20 is further formed Fuel Sa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연결체(42)의 챔버(42a)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제1유입출구(15a)가 하나 또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21) 내에 위치한 타측면으로는 제2유입출구(15b)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23)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레일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23)에 일단이 삽입되는 출력축(40)의 단부에는 상기 레일홈(23a)에 슬라이드 끼움되게 축방향으로 레일(3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shaft 10 is a plurality of first inlet and outlet 15a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chamber 42a of the connecting body 42 at equal intervals, the first A second inlet and outlet 15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located in the space 21.
A rail groove 23a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pace portion 23, and a slide is formed in the rail groove 23a at an end portion of the output shaft 40 into which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23. Fuel saving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33a)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f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구동나사부(11)와 슬립부(12)와 후진 구동나사부(13)는 각각 15:25:15의 구간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2. The fuel sav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 drive screw portion (11), the slip portion (12), and the reverse drive screw portion (13) each have a section ratio of 15:25: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30)에 연동하여 발전을 행하는 것으로 차량의 조명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또는 기타 전력이 필요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2.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a light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or other device requiring electric power by generating power in association with the output shaft 30. Fuel saver
KR1020100101187A 2010-10-18 2010-10-18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KR101009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87A KR101009435B1 (en) 2010-10-18 2010-10-18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PCT/KR2011/006434 WO2012053737A2 (en) 2010-10-18 2011-08-31 Apparatus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by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87A KR101009435B1 (en) 2010-10-18 2010-10-18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435B1 true KR101009435B1 (en) 2011-01-19

Family

ID=4361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87A KR101009435B1 (en) 2010-10-18 2010-10-18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9435B1 (en)
WO (1) WO2012053737A2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390Y1 (en) * 1986-02-25 1989-04-05 김기태 Vekide running device using the running inertia
KR20040067135A (en) * 2003-01-21 2004-07-30 김석암 A power maintenance apparatus for reducing of fuel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car
KR20100012776A (en) * 2008-07-29 2010-02-08 강성삼 Fuel saving device by inertial force of vehicle
KR100978227B1 (en) * 2010-06-18 2010-08-30 송경진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390Y1 (en) * 1986-02-25 1989-04-05 김기태 Vekide running device using the running inertia
KR20040067135A (en) * 2003-01-21 2004-07-30 김석암 A power maintenance apparatus for reducing of fuel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car
KR20100012776A (en) * 2008-07-29 2010-02-08 강성삼 Fuel saving device by inertial force of vehicle
KR100978227B1 (en) * 2010-06-18 2010-08-30 송경진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737A2 (en) 2012-04-26
WO2012053737A3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030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US8568274B2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1636425B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130066508A1 (en) Hybrid vehicle accelerator pedal depressing force control device
US20080146412A1 (en) Vehicular power outpu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5593088B (en) The control device of vehicle
KR20160007610A (en) Vehicle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US20090018757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WO2009093395A1 (en) Par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573739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575732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576658A (en) Speed - change controller for automatic speed variator
JP2012056432A (en) Apparatus for assisting vehicle starting on slope
KR101009435B1 (en)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US7727109B2 (en) Vehicular driv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ehicular drive system
JP6291656B2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12140777A1 (en) Shift determination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JP6338332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978227B1 (en) Fuel saving device of vehicle
JP2011037329A (en) Power train of vehicle
JP2010149707A (en) Power train of vehicle
JP2009228778A (en) Control device of variable capacity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JP4722280B2 (en) Automatic clutch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4909134B2 (en) Powertrai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4845780B2 (en) Powertrai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