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317B1 - 저압 잠수 장치 - Google Patents

저압 잠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317B1
KR101009317B1 KR1020080077817A KR20080077817A KR101009317B1 KR 101009317 B1 KR101009317 B1 KR 101009317B1 KR 1020080077817 A KR1020080077817 A KR 1020080077817A KR 20080077817 A KR20080077817 A KR 20080077817A KR 101009317 B1 KR101009317 B1 KR 10100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pipe
hole
low pressur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012A (ko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섭 filed Critical 유인섭
Priority to KR102008007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186Mouth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잠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압 잠수 장치에 있어서, 부구와, 부구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에 공급하는 흡입관부와, 흡입관부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부와, 흡입관부 및 배출관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잠수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마우스부와, 흡입관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시키는 공기구동부와, 공기구동부를 수압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여 잠수부가 수중에서 평기압으로 호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잠수, 수압, 호흡, 모터

Description

저압 잠수 장치{Equipment breathe in the water}
본 발명은 흡입공기가 흡입관, 마우스, 배기관을 순환 배출되는 구조의 저압 잠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발생되는 수압에 관계없이 잠수부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저압 잠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중 호흡기는 무거운 장비 (산소탱크 등)를 잠수부가 등에 걸어 메고 수중에 들어가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로 호흡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호흡기는 호흡이나 활동에는 불편함이 없었으나 고가여서 일반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였고 탱크 내의 공기가 건조하며 또한, 산소 저장량이 한정되어 일정시간 이후에는 탱크를 교체하여 산소를 재공급 받아야 했기에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중 호흡기의 문제점을 극복한 저압 잠수 장치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잠수장치의 하나로써, "수중 호흡 기"(출원번호 : 특1989-0000558)가 1989년 01월 18일자로 출원된 바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중 호흡기는 형 부구체 외둘레에 공기유입공을 뚫고 내저부의 중량체 중앙에 통기파이프를 종설하되 상측은 다수의 통기공이 뚫린 칸막이판과 하측에는 방수칸막이판을 적정위치에 형성하여 부력유지 공간부와 공간부를 구획하고 공간부의 통기파이에는 통공이 뚫린 모니터밸브를 유착하고 공기유입호스에 연결된 마스크의 사이에는 흡입밸브가 내설된 흡입기를 연결하여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수중 호흡기는 물속에서 호흡공기를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잠수부의 위치가 점차 깊어질수록 높아지는 수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평기압으로 자연스럽게 흡입하고 배출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부가 수중에서 평기압으로 호흡할 수 있는 저압 잠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압 잠수 장치에 있어서, 부구와, 부구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에 공급하는 흡입관부와, 흡입관부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부와, 흡입관부 및 배출관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잠수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마우스부와, 흡입관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시키는 공기구동부와, 공기구동부를 수압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수부의 수중위치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자연적으로 호흡하거나 강제적으로 호흡할 수 있으므로, 잠수부는 항상 평기압으로 호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부의 의도에 따라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구(10)와, 부구(10)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에 공급하는 흡입관부(20)와, 흡입관부(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부(30)와,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잠수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마우스부(40)와, 흡입관부(20)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시키는 공기구동부(50)와, 공기구동부(50)를 수압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구(10)는 물에 뜨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튜브, 스티로폼, 목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순환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각각의 일단은 물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부구(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각각의 타단은 마우스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는 각각 공기가 유동 순환될 수 있는 호스(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공기구동부(50)는 흡입관부(20)에 연결되어 흡입관부(20)로 공급되는 공기를 마우스부(40)로 강제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기구동부(50)는 부구(10)에 구비된 배터리(도시생략)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구동부(50)는 모터(51)와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할 수 있는 소형 공기압축기(52)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소정길이를 갖는 전선(도시생략)에 의해 공기구동부(50)와 연결되며, 잠수부가 파지할 수 있고, 수중에서 수압에 의해 스위칭동작 되어 공기구동부(50)는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전선의 길이는 흡입관부(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관(21)은 외부의 공기가 일시저장 되는 팽창부(80)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팽창부(80)는 외부의 공기가 저장되므로, 잠수부가 수중에 깊은 곳에 위치하여도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팽창부(80)는 상,하로 수축,팽창이 가능한 주름관이며 흡입관(21)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의 주름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팽창부(80)는 수압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름관은 흡입관(21)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외부의 공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부(2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21)과, 흡입관(21)의 상부에서 분기되어 공기구동부(50)에 연결되는 상부분기관(22)과, 공기구동부(50)에 연결되고 흡입관(2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분기관(23)과, 상부분기관(22) 및 하부분기관(23)의 사이에 위치되게 흡입관에 설치되어 공기공급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밸브(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구동부(50)가 구동되지 않을 때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관(21)을 통하고 공기제어밸브(24)를 통하여 잠수부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구동부(50)가 구동되면 압축 공기는 흡입관(21)의 상부를 통하고 상부분기관(22) 및 하부분기관(23)을 통하며 흡입관(21)의 하부를 통하여 잠수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공기구동부(5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하부분기관(23)에서 체크밸브인 공기제어밸브(24)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외부공기는 공기제어밸브(24)의 차단에 의해 흡입관(21)의 상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잠수부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흡입관(21)의 상부끝단은 외부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망(2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는 공기 이외의 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상단이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크밸브인 공기제어밸브(24)는 흡입관(21)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부로 분리 및 결합되는 케이스(24a)와, 케이스(2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부재(24b)와, 원통부재(24b)의 내부에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24c)과, 원통부재(24b)의 상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24d)과, 원통부재(24b)의 내부에서 복수개의 관통홀(24d)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24e)과, 원통부재(24b)의 상부를 커버하며, 피스톤(24c)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홀(24f)이 형성된 커버부재(24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4a)는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상호 나사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구동부(50)가 구동되면 압축 공기는 흡입관(21)의 하부에서 공급되므로 피스톤(24c)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24c)은 공기홀(24f)을 커버하게 되어 흡입관(21)의 상부를 통해 공기구동부(50)에 의해 구동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4c)은 하부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피스톤(24c)은 살파기를 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공기압에 의해 쉽게 상승될 수 있다.
또한, 공기구동부(50)가 구동되지 않으면 피스톤(24c)의 무게에 의해 피스톤(24c)은 아래로 하강되어 걸림턱(24e)에 걸리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홀(24d)은 개방되므로 외부의 공기는 흡입관(21)을 통해 잠수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통홀(24d)이 개방될 때는 공기구동부(5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잠수부는 자신이 직접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공기제어밸브(24)는 공기구동부(5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 되어 외부공기를 잠수부에게 강제로 또는 자연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부구(10)와 상기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부(70)에 의해 부구(10)와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70)는 부구(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부구판(71)과, 부구판(71)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72)과, 홀(72)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수결합부재(73)와,수결합부재(73)와 연결되는 암결합부재(74)와, 수결합부재(73)에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가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홀(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결합부재(73)의 복수의 홀(75)에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한다. 이때,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는 복수개의 홀(7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결합부재(73)의 상부에는 돌출턱(7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결합부재(73)의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암결합부재(74)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상호결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부(40)는 흡입관부(20)에 연결되는 흡입연결부(41)와, 배출관부(30)에 연결되는 배출연결부(42)와, 흡입연결부(41) 및 배출연결부(42)가 양측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마우스몸체(43)와, 흡입연결부(41)로 공급되는 공기를 마우스몸체(43)의 내부에 공급시키는 흡입밸브(44)와, 마우스몸체(43)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배출연결부(42)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밸브(45)와, 마우스몸체(43)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잠수부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마우스홀(46)과, 마우스홀(46)의 외측에 형성되어 잠수부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마우스부재(47)와, 마우스홀(46)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우스몸체(43)에 설치되는 마개부재(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몸체(43)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마우스몸체(43)의 양측에 흡입연결부(41) 및 배출연결부(42)가 연결된다. 그리고 마우스몸체(43)의 중앙에는 마우스홀(46) 및 마우스부재(47)가 형성되어 잠수부는 마우스부재(47)를 입으로 물고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할 수 있다.
이때, 마우스홀(46)을 개폐하는 마개부재(48)는 마우스홀(46)에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마우스몸체(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연결부(41) 및 배출연결부(42)의 구성은 공기제어밸브(24)와 동일하므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마개부재(48)는 마우스몸체(43)에 결합되는 암결합부재(48a)와, 암결합부재(48a)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 암나사홀(48b)과, 암나사홀(48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48c)이 형성된 노브(48d)와, 노브(48d)의 타단에 형성되어 마우스홀(46)을 개폐하는 개폐판(48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잠수부는 잠수하는 상태에서 마우스부(40)를 입에서 떼고자하는 경우에, 마개부재(48)를 이용하여 마우스홀(46)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물이 마우스홀(46)을 통하여 마우스몸체(4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수부가 수중에서 호흡하고자 할 때는 마우스부(40)를 입으로 물고 있는 상태에서 마개부재(48)를 역회전시켜서 마우스홀(46)을 개방시키면 외부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공기구동부(5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부재(61)와, 스위치부재(61)를 동작시키는 고무판(62)과, 고무판(62)이 커버되고, 스위치부재(61)가 내장되는 하부케이스(63)와, 하부케이스(63)와 결합되며, 고무판(62)에 수압이 전달되도록 형성된 수압홀(64)이 형성되고, 암나사산을 갖는 조절홀(65)이 형성된 상부케이스(66)와, 조절홀(65)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산을 갖는 조절손잡이(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재(61)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기구동부(50)에 인가하도록 '+', '-'의 전원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자를 하부케이스(63)에 고정시키고, 다른 단자를 고무판(62)의 수축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부케이스(63)의 중앙에 배치된 고무격판(69)에 설치된다. 이때, 잠수부가 수중에서 더욱 깊은 곳으로 이동하면 수압이 증가되므로 고무판(62)이 수축되어, '+', '-'의 전원단자는 상호 접촉되어 공기구동부(50)는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66)와 하부케이스(63)가 결합될 때, 고무판(62)과 함께 결합되므로, 고무판(62)에 의해 하부케이스(63)의 내부는 수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실링부재(도시생략)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손잡이(67)는 상부케이스(66)의 조절홀(65)에 나사결합되므로, 조절손잡이(67)를 정회전시키면 고무판(62)은 수축되게 된다.
한편, 하부케이스(63)의 외측에는 클립(63a)을 설치하여 잠수부가 몸에 부착하여 휴대가 용이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판(62)과 조절손잡이(67)를 연결하는 탄성부재(68)를 더 포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68)는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판스프링의 양단이 고무판(62)과 조절손잡이(67)에 각각 공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절손잡이(67)를 회전시키면 판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고무판(62)은 미리 압축되어 있거나, 또는 미리 늘려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잠수부가 조절손잡이(67)를 정회전시켜 고무판(62)을 미리 압축시키면 비교적 낮은 수면에서도 제어부(60)가 작동되므로, 공기구동부(5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는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이는 잠수에 초보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잠수부가 조절손잡이(67)를 역회전시켜 고무판(62)을 미리 늘려서 부풀리면 상대적으로 깊은 수면에서도 제어부(6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공기구동부(50)를 통하지 않고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는 흡입할 수 있다. 이는 잠수에 경력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의 전력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더욱 오랜 시간동안 잠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 잠수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제어밸브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마우스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부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구 20 : 흡입관부
30 : 배출관부 40 : 마우스부
50 : 공기구동부 60 : 제어부
70 : 결합부 80 : 팽창부

Claims (11)

  1. 저압 잠수 장치에 있어서,
    부구(10);
    상기 부구(10)에 설치되어 흡입관(2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잠수부에 공급하되, 상기 흡입관(21)에 팽창부(80)가 형성된 흡입관부(20);
    상기 흡입관부(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부(30);
    상기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잠수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마우스부(40);
    상기 흡입관부(20)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시키는 공기구동부(50);
    상기 공기구동부(50)를 수압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부(2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21);
    상기 흡입관(21)의 상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공기구동부(50)에 연결되는 상부분기관(22);
    상기 공기구동부(5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2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분 기관(23);
    상기 상부분기관(22) 및 하부분기관(23)의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어 공기공급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밸브(24)를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밸브(24)는
    상기 흡입관(21)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부로 분리 및 결합되는 케이스(24a);
    상기 케이스(2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부재(24b);
    상기 원통부재(24b)의 내부에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24c);
    상기 원통부재(24b)의 상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24d);
    상기 원통부재(24b)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24d)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24e);
    상기 원통부재(24b)의 상부를 커버하며, 피스톤(24c)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홀(24f)이 형성된 커버부재(24g)를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0)와 상기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70)를 더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0)는
    상기 부구(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부구판(71);
    상기 부구판(71)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72);
    상기 홀(72)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수결합부재(73);
    상기 수결합부재(73)와 연결되는 암결합부재(74);
    상기 수결합부재(73)에 상기 흡입관부(20) 및 배출관부(30)가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홀(75)을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80)는
    상기 흡입관(21)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의 주름관 인 저압 잠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40)는
    상기 흡입관부(20)에 연결되는 흡입연결부(41);
    상기 배출관부(30)에 연결되는 배출연결부(42);
    상기 흡입연결부(41) 및 배출연결부(42)가 양측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마우스몸체(43);
    상기 흡입연결부(41)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마우스몸체(43)의 내부에 공급시키는 흡입밸브(44);
    상기 마우스몸체(43)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배출연결부(42)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밸브(45);
    상기 마우스몸체(43)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잠수부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마우스홀(46);
    상기 마우스홀(46)의 외측에 형성되어 잠수부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마우스부재(47);
    상기 마우스홀(46)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우스몸체(43)에 설치되는 마개부재(48)를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48)는
    상기 마우스몸체(43)에 결합되는 암결합부재(48a);
    상기 암결합부재(48a)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 암나사홀(48b);
    상기 암나사홀(48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48c)이 형성된 노브(48d);
    상기 노브(48d)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홀(46)을 개폐하는 개폐판(48e)을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공기구동부(5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부재(61);
    상기 스위치부재(61)를 동작시키는 고무판(62);
    상기 고무판(62)이 커버되고, 상기 스위치부재(61)가 내장되는 하부케이스(63);
    상기 하부케이스(63)와 결합되며, 상기 고무판(62)에 수압이 전달되도록 형성된 수압홀(64)이 형성되고, 암나사산을 갖는 조절홀(65)이 형성된 상부케이스(66);
    상기 조절홀(65)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산을 갖는 조절손잡이(67)를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62)과 조절손잡이(67)를 연결하는 탄성부재(68)를 더 포함하는 저압 잠수 장치.
KR1020080077817A 2008-08-08 2008-08-08 저압 잠수 장치 KR10100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17A KR101009317B1 (ko) 2008-08-08 2008-08-08 저압 잠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17A KR101009317B1 (ko) 2008-08-08 2008-08-08 저압 잠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012A KR20100019012A (ko) 2010-02-18
KR101009317B1 true KR101009317B1 (ko) 2011-01-18

Family

ID=4208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817A KR101009317B1 (ko) 2008-08-08 2008-08-08 저압 잠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012A2 (en) * 2010-03-25 2011-09-29 Carmichael, Robert, Manuel Air on demand breathing system using a dynamic transducer for controlling air
KR101975145B1 (ko) * 2018-05-28 2019-05-03 최창규 휴대용 자동과급장치를 이용한 수중호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4014B (zh) * 2017-07-26 2019-05-14 肖文字 一种可自由呼吸的浮潜游泳面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81A (ko) * 1989-06-30 1991-01-30 정몽헌 대전 장치
JPH07101388A (ja) * 1993-10-06 1995-04-18 Grand Blue:Kk 半閉鎖式呼吸装置
KR100500326B1 (ko) * 2003-12-22 2005-07-11 고원종 드라이 슈트용 발광 배기밸브
KR100571579B1 (ko) * 2004-03-31 2006-04-17 김낙구 부유형 휴대 급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81A (ko) * 1989-06-30 1991-01-30 정몽헌 대전 장치
JPH07101388A (ja) * 1993-10-06 1995-04-18 Grand Blue:Kk 半閉鎖式呼吸装置
KR100500326B1 (ko) * 2003-12-22 2005-07-11 고원종 드라이 슈트용 발광 배기밸브
KR100571579B1 (ko) * 2004-03-31 2006-04-17 김낙구 부유형 휴대 급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012A2 (en) * 2010-03-25 2011-09-29 Carmichael, Robert, Manuel Air on demand breathing system using a dynamic transducer for controlling air
WO2011120012A3 (en) * 2010-03-25 2012-01-19 Carmichael, Robert, Manuel Air on demand breathing system using a dynamic transducer for controlling air
KR101975145B1 (ko) * 2018-05-28 2019-05-03 최창규 휴대용 자동과급장치를 이용한 수중호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012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545A (en) Underwater breathing device
KR101009317B1 (ko) 저압 잠수 장치
CN209051570U (zh) 一种能够实现快速呼气功能的浮潜呼吸器
US6478024B1 (en) Snorkeling equipment
US7165545B1 (en) Splash protection device for snorkel
US5524612A (en) Drinking device for divers
CN205707246U (zh) 潜水设备
KR20100007900U (ko) 수중공기 호흡장치
CN109110089A (zh) 浮潜呼吸器
CN101811565B (zh) 潜水呼吸器
CN201321155Y (zh) 水下呼吸器
CN201647108U (zh) 潜水呼吸器
CN208882085U (zh) 浮潜呼吸器
KR200471085Y1 (ko)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CN209535416U (zh) 一种水上水下航行器
WO2020078162A1 (zh) 浮潜呼吸器
RU94950U1 (ru)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WO1991001251A1 (en) Simple diving apparatus
JP3012692U (ja) ダイバー向け飲用装置
KR200334467Y1 (ko) 잠수용 에어 호흡기
CN211711036U (zh) 水下呼吸机
RU2734207C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подводному пловцу
CN216102715U (zh) 增压式潜水器
KR100682333B1 (ko) 수중에서 수상공기 수동식 인입장치
KR200466386Y1 (ko) 잠수용 공기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