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113B1 -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 Google Patents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113B1
KR101009113B1 KR1020080072760A KR20080072760A KR101009113B1 KR 101009113 B1 KR101009113 B1 KR 101009113B1 KR 1020080072760 A KR1020080072760 A KR 1020080072760A KR 20080072760 A KR20080072760 A KR 20080072760A KR 101009113 B1 KR101009113 B1 KR 10100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upport
air bag
vehicle
connecting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509A (en
Inventor
김태우
김병구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8007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113B1/en
Publication of KR2010001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필러 길이를 가지는 차종에 동일한 사이드에어백을 적용할 수 있도록, 버클과 사이드에어백 간을 이어주는 연결띠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사이드에어백을 장착할 때의 불량을 최소화하며, 장착된 사이드에어백이 돌발 상황에서 작동할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버클이 회전할지라도 연결띠가 겹치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예기치 못한 충돌시에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for an automobile side air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elt connecting the buckle and the side air bag so that the same side air bag can be applied to models having various filler lengths, and the side air bag Minimizes defects when installing the product, and secures the connecting strap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or tip to one side even if the buckle is rotated by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mounted side airbag is operat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It is to provide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 bag that can protect a passenger.

그 기술적 구성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사이드에어백과 연결된 연결띠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상기 버클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buckle for the side air bag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buck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side air bag and the buckle by using a connection belt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사이드에어백, 버클, 연결띠, 길이, 조정, 조절, 차종, 적용 Side airbag, buckle, strap, length, adjustment, adjustment, model, application

Description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Buckle for car side airbag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필러에 연결띠를 이용하여 사이드에어백을 고정하되,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결띠의 길이 조절을 가능케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for an automobile side air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buckle for fixing a side air bag using a connection strip to a vehicle filler, an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strip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ehicles.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은 충돌사고가 났을 때 생기는 충격력이나 고속주행중의 급정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고시 충격 강도에 따른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 속에 압축가스를 순간적으로 주입하여 급속히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In general, a car airbag is equipped with a sensor that can detect the impact force generated in the event of a crash or sudden stop during high-speed driving, by injecting compressed gas into the airbag instantaneously and rapidly inflating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impact strength in case of an accident It is a safety device that protects the driver as well as the occupants.

최근 자동차는 평일 출퇴근뿐 아니라 주말에 휴식을 위한 나들이에도 이용되는 등 현대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 생활에 편리함을 주고 있지만, 점차 그 수요가 늘게 되면서 도로는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Recently, cars are used as commodities essential to modern life as they are used not only for commuting on weekdays but also for weekend breaks, but they are convenient for living.However, as the demand increases, road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It's getting bigger.

이 때문에 자동차에는 충돌 등의 돌발사고에 대비하여 정면에어백과 사이드에어백 등과 같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가지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러한 안전장치에 대한 수요자들의 욕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For this reason,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safety devices for the safety of occupants such as front airbags and side airbags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and demands for these safety devices are increasing.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드에어백이 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에어백이 필러에 설치된 대표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side airbag is mounted on a pillar. As shown in FIG. 1, 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in which a side airbag is installed in a pillar is shown.

우선, 필러(10)의 내측에 사이드에어백(20)이 장착되어 버클(30)로 고정되고, 사이드에어백(20)과 버클(30)은 연결띠(40)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이드에어백(20)에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인플레이터(21)가 작동된다.First, the side airbag 20 is mounted inside the pillar 10 and fixed with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and the buckle 30 are 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strip 40, and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owever, the side airbag 2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inflator 21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ensor.

이와 같은 사이드에어백(20)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외부의 장애물이나 차내 구조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필러(10)에 설치된 사이드에어백(20)의 후면 단부에 상기 사이드에어백(20)을 전개시키는 가스가 내장된 인플레이터(21)가 구비된다.Such a side air bag 20 is provided to protect passengers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external obstacles or in-vehicle structures during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t the rear end of the side air bag 20 installed in the filler 10. An inflator 21 having a gas for deploying the side airbag 20 is provided.

반면, 필러(10)에 설치된 사이드에어백(20)의 전면 단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21)로 팽창 및 전개되는 사이드에어백(20)을 고정하기 위한 버클(30)이 나사 피스로 차체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airbag 20 installed in the filler 10, a buckle 30 for fixing the side airbag 20 that is inflated and deployed with the inflator 21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with a screw piece.

도 2의 (a), (b),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00)은 긴 직사각형 홀(110)에 연결띠(20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버클(100)과 연결띠(200)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할 수 있다.(A), (b), (c) is a figure which shows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2 (a), the buckle 1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onnection strip 200 is coupled to the long rectangular hole 110, the buckle 100 and the connection strip 200 is properly coupled You may not be able to.

도 2(b)에서는, 상술한 직사각형 홀(110)에서 연결띠(200)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직사각형 홀(110) 내에서 연결띠(200)가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에 사이드에어백을 장착할 때, 버클(100)의 상태가 양품인지 불량인지를 파악하여 돌아간 버클(100)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려야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었다.In FIG. 2B, since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strip 200 flows in the aforementioned rectangular hole 110 is provided,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necting strip 200 rotates in the rectangular hole 110 may occur. , Due to this, when the side airbag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buckle 100 that has been returned after grasping whether the state of the buckle 100 is good or bad may be added to the original position.

도 2(c)에서는, 차량이 충돌하여 사이드에어백이 작동할 때,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가스 폭발력으로 인하여, 버클(100)이 사이드에어백 측으로 당겨짐으로 해서, 연결띠(200)가 홀(110) 하부면으로 쏠리게 되므로 사이드에어백의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다.In FIG. 2 (c),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side airbag is operated, the buckle 100 is pulled to the side airbag side due to the instantaneous gas explosion force generated in the inflator, so that the connecting strip 200 is connected to the hole 110. The side airbag may be unstable because it is slid to the bottom surface.

또,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생기는 마찰로 인하여, 연결띠를 버클에 고정시키는 고정끈이 끊어질 수 있고, 측면 충돌시 사이드에어백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팽창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연결 띠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지 않아 다양한 차종에 동일한 사이드에어백을 적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friction generated in the above process, the fixing strap for fixing the connecting strap to the buckle may be broken, the side air bag may not be inflated in the normal direction during side impact,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trap This was not possibl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not being able to apply the same side airbag to various model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양한 차종에 적용가능하도록, 연결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 bag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strip to be applicable to a variety of mode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띠를 버클에 연결할 때, 연결이 용이하도록 연결띠가 삽입되는 부분을 막아놓지 않음으로써 연결띠의 결합 복잡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le for an automobile side air bag that can minimize the coupling complexity of the connection strip by not blocking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strip is insert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hen connecting the connection strip to the buck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드에어백을 고정할 때 사용되는 버클의 홀에서, 연결띠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사이드에어백을 장착할 때 생산현장에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고정 구조에 불량이 없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le of the buckle used to secure the side air bag, to prevent the connection band is rotat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t the production site when the operator is equipped with the side air bag, the fixing structure is b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e for a side airbag of a car that is made to be fre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사이드에어백과 연결된 연결띠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상기 버클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ckle for a side air bag mounted on an automobile, wherein the buckle is a length adjusting part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between the side air bag and the buckle using a connection band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그리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버클과 연결된 연결띠를 그 하부로 통과 및 고정시키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를 통과한 연결띠의 일측 단부가 감싸 져 고정되고, 상기 연결띠를 그 상부로 통과시키는 중앙 돌기부; 상기 중앙 돌기부를 통과한 상기 연결띠를 그 하부로 통과시켜, 상기 연결띠의 타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연결되도록 통과 및 고정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gth adjusting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for pass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strip connected to the buckle to the bottom thereof; A central protrusion having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being wrapped and fixed therethroug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pport for pass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strip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rojec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trip is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와 중앙 돌기부와 제2 지지부는 돌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 중앙돌기부, 제2 지지부 간은 요홈을 이루고 있어, 상기 요홈에 상기 연결띠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the projec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grooves, it is formed so as to restrain the connection belt to the grooves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E』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E" shape.

더불어, 상기 중앙 돌기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를 좁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중앙 돌기부 사이,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에서 상기 연결띠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por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may protrude so as to narrow the inle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is inserted, so that the connecting strap is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central protrusion an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또한, 상기 버클은 상기 연결띠가 통과하는 버클의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양 단부에 상기 중앙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확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과 확장홀에 연결부위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위의 모서리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ckle has an extension hol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hole of the buck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passes and the central hole,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hole and the expansion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connection portion.

이때,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를 좁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중앙 돌기부 사이,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에서 상기 연결띠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narrow the inlet in which the connecting strip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strip is formed to be restrained.

더불어, 상기 버클은 상기 연결띠가 통과하는 버클의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양 단부에 상기 중앙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확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과 확장홀에 연결부위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위의 모서리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ckle has an expansion hol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hole of the buck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passes and the central hole,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hole and the expansion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connection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 사이의 요홈은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 요홈은 넓게 형성되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central protrusion has a narrow inlet in which the connection strip is inserted, and the other groove of the inlet is rounded to form a wide groove.

여기서, 상기 버클은 상기 연결띠가 통과하는 버클의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양 단부에 상기 중앙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확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과 확장홀에 연결부위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위의 모서리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uckle is formed in the central hole of the buck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passes and an expansion hol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hole at both ends of the central hole,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hole and the expansion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connection portion.

또, 상기 중앙 돌기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은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 요홈은 넓게 형성되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narrowly formed in the inlet in which the connecting strip is inserted, the other groove of the inlet is rounded to be formed w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드에어백과 버클 간의 연결띠가 유동성을 가지고 길이 조정이 될 수 있고, 버클에 연결된 연결띠가 돌아가서 생기게 되는 장착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드에어백의 작동시 발생되는 힘에 의해 버클이 돌아간 다 하더라도 연결띠가 겹치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가능케하고, 생산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이드에어백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odels, the connection band between the side airbag and the buckle can be adjusted in length with fluidity, and the mounting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is produced Poor defects can be minimized, and even if the buckle is turned by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air bag, it is possible to fix the joint so that it does not overlap or be pulled to one side to enable normal operation. This results in shorter working hours and improved productivity.

본 발명은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에어백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필러의 길이가 각각 다른 차량에도 고정된 버클에 길이가 증감될 수 있도록 연결띠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버클에 두 개의 요홈부와 한 개의 돌기부를 형성시켜 일측에서 두 겹의 연결띠를 상기 요홈부와 돌기부로 연결시키는 수단을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elt so that the lengt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buckle fixed to the vehicle of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side air bag can be mounted on a variety of models, for this purpose two grooves and one Formation of the projections is made to solve the problem by means of connecting the two folds of the connecting strip to the groove portion and the projection on one si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30)과 버클에 연결된 연결띠(40)가 사시도로 도시된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ba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buckle 30 and a connecting strip 40 connected to the buckle are shown in perspective view.

여기서, 상기 버클(30)의 안쪽에는 필러(10)에 고정되기 위한 설치홀(33)과, 사이드에어백(20)에 연결되는 연결띠(40)가 통과하는 버클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클홀(H)은 연결띠(40)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클 중앙 홀(31)과 그 양 단부에 버클 중앙홀(3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의 확장홀(32)이 형성된다.Here, the inner side of the buckle 30 is provided with a buckle hole (H) through which the installation hole 33 to be fixed to the filler 10, and the connecting band 40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20 passes. In order to prevent the buckle hole H from turning, the buckle hole H has an extension hole 32 having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buckle center hole 31 at both ends of the buckle center hole 31 and the buckle center hole 31. do.

즉, 버클(30)에서는 도 3(a)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 프레임에 볼트 결합하여 버클(30)을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의 고정을 돕는 걸림부(35)와, 연결띠(40)가 결합되는 버클홀(H)이 구비되어 있다.That is, in the buckle 30, as shown in Fig. 3 (a), the mounting hole 33 for fixing the buckle 30 to the vehicle body by bolting to the vehicle frame is formed, the locking portion to help fix the vehicle body 35 and a buckle hole H to which the connecting strip 40 is coupled is provided.

또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설치홀(33)이 있는 부분과 버클홀(H)이 있는 부분 사이에는 밴딩(Banding, 34) 처리되어 단차와 각이 있도록 분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nding (Banding, 34) between the portion having the installation hole 33 and the portion having a buckle hole (H) is separated so that there is a step and an angle for easy installation.

더불어, 버클(30)의 중앙홀(31)은 직사각형의 장 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양 단부에 연결된 장 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의 확장홀(32)이 형성되어 있고, 양 끝의 확장홀(32)과 중앙홀(31)의 연결부위는 경사면을 이룬다.In addition, the central hole 31 of the buckle 30 has a rectangular long hole shape, the expansion hole 32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ng hole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is formed, and the expansion holes at both ends ( 32)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entral hole 31 forms an inclined surface.

상술한 중앙홀(31)의 형상에서 평행을 이루는 두 모서리가 연결띠(40)의 움직임을 구속해 자동차에 장착 전에 버클(30)이 돌아가지 않도록 하여 장착시의 불량을 없앤다.The two corners parallel to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central hole 31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strip 40 so that the buckle 30 does not rotate before the vehicle is mounted, thereby eliminating the defects during installation.

즉, 도 3(b)를 보면, 운행중 돌발 상황에서의 사이드에어백(20) 작동시 가스가 폭발하는 순간적인 힘에 의해 차체에 볼트(38)로 고정된 버클(30)이 사이드에어백(20) 측으로 당겨진다 하더라도, 연결띠(40)는 처음 끼워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띠(40)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끊어지지 않는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b), the side airbag 20 has a buckle 30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a bolt 38 by an instantaneous force of exploding gas during operation of the side airbag 20 in an unexpected situation while driving. Even if pulled to the side, since the connecting strip 40 can maintain the first fitted shape, the connecting strip 40 is not bent or broken to one side.

또한, 생산현장에서 사이드에어백(20)을 자동차에 장착할 때, 버클(30)의 상태가 양품인지 불량인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돌아간 버클(30)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려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side airbag 20 is mounted on the vehicle at the production site, the buckle 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checking whether the state of the buckle 30 is good or bad. This is easy.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고정 버클(30)은 버클 홀(H)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3의 도시된 버클(30)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buckle 30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similar or identical to the buckle 30 shown in FIG. 3 except for the shape of the buckle hole H. As shown in FIG.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pply to the same components.

상술한 버클(30)의 중앙홀(31)과, 중앙홀(3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확장홀(32)의 연결 부위 근방에 돌출된 네 개의 걸림턱(36)이 있어, 연결띠(40)가 유동시 걸림턱(36)에 걸리도록 한다.The center hole 31 of the buckle 30 and the four engaging jaw (36) protruding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xpansion hole 32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hole 31, the connection strip 40 to be caught in the locking step 36 during the flow.

그래서, 연결띠(40)가 상측이나 하측으로 접히지 않게 되며, 반대로 돌아가거나 하는 유동이 없어지며, 버클(3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구속된다.Thus, the connecting strip 40 is not fold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flow is reversed or disappears, and is firmly fixed to the buckle 30 is constrain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사이드에어백(20)의 고정 버클(30)은 버클홀(H)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3의 도시된 버클(30)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ckle for a side airbag of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buckle 30 of the vehicle side airbag 20 is similar to or identical to the illustrated buckle 30 of FIG. 3 except for the shape of the buckle hole H.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pply to the same components.

본 실시예에서 버클 중앙홀(31)이 대항하는 양측면이, 중앙을 향해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고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side surfaces of the buckle center hole 31 are convexly curved toward the center.

즉, 버클 중앙홀(31)의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That is,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center of the buckle central hole 31.

이와 같은 실시예는, 사이드에어백(20)에 연결된 연결띠(40)가 접히거나 하측에 몰리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사이드에어백(20)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진 버클(30)을 설치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by installing the buckle 30 made so that the side airbag 20 is properly operated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connection belt 40 connected to the side airbag 20 from being folded or driven downward. It will be able to protect the passengers.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길이 조절부가 적용된 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으로 형성된 연결띠(40)는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을 연결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부(39)를 통하여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length adjusting unit applied to a buckle for a side airbag of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two-ply connecting strip 40 connects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and at the same time,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20 is formed to adjust the length between.

도 6의 길이 조절부(39)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단면 및 평면도이다. 도 7(a)는 길이 조절부(39)의 평면도이다. 도 7(a)를 보면, 길이 조절부(39)는 제1 지지부(39a), 중앙 돌기부(39b), 제2 지지부(39c)로 이루어져『E』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띠(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7 to describe the length adjuster 39 of FIG. 6 in detail.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of FIG. 6. 7A is a plan view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39. Referring to FIG. 7 (a),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is formed of an “E” shape consisting of a first support part 39a, a central protrusion part 39b, and a second support part 39c to form a length of the connecting strip 40. It is made to adjust.

도 7(b)를 보면, 연결띠(40)는 두 겹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은 사이드에어백(20)과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에어백(20)에서 나온 연결띠(40)는 버클(30)의 중앙홀(H)을 통과하며, 통과된 연결띠(40)는 길이 조절부(39)의 중앙 돌기부(39b)에 고정된다.Referring to Figure 7 (b), the connecting strip 40 is formed in two layer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20, the connecting band 40 from the side air bag 20 is buckle 3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hole (H), the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strip 40 is fixed to the central projection (39b)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39).

다시 말하면, 사이드에어백(20)에서 나온 연결띠(40)는 길이 조절부(39)의 제2 지지부(39c)의 하부면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지지부(39c)의 하부면을 통과한 연결띠(40)는 중앙 돌기부(39b)의 상부면을 지나 제1 지지부(39a)의 하부면을 지나며, 이는 버클(30)의 중앙홀(H)을 통과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strip 40 from the side airbag 2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9c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39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9c. The band 40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39a,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ral hole H of the buckle 30.

그리고 나서, 버클(30)의 중앙홀(H)을 통과한 연결띠(40)는 다시 제1 지지부(39a)로 되돌아 가는데, 이때 제1 지지부(39a)의 하부면을 지나갔던 연결띠(40)의 하부면을 지나가고, 다시 중앙 돌기부(39b)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되, 상기 중앙 돌기부(39b)의 하부면을 지나갔던 연결띠(40)의 하부면을 지나가야 한다.Then, the connecting strip 4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hole H of the buckle 30 is returne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39a again, at which time the connecting band 4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39a. Pass the lower surface of the), and then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39b), but must pas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trip 40 that pas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39b).

따라서, 상술한 중앙 돌기부(39b)에 고정되는 연결띠(40)의 타측은 중앙 돌기부(39b)를 감싸면서, 그 끝이 재봉으로 고정되어 연결띠(40)의 타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ip 40 fixed to the above-described central protrusion 39b surrounds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end thereof is fixed by sewing,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ip 40 can be fixed.

즉, 길이 조절부(39)가 버클(30) 측으로 이동될수록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길이 조절부(39)가 사이드에어백(20) 측으로 이동될수록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That is, the length between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becomes longer as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moves to the buckle 30 side, and as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moves to the side airbag 20 side, the buckle ( The length between 30 and the side airbag 20 is shortened.

도 8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39)의 제1 지지부(39a), 제2 지지부(39c), 중앙 돌기부(39b)가 완전한 직선을 이루고 있는 경우, 연결띠(40)를 연결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충격을 받는 경우 막히지 않은 쪽으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6.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support part 39a, the second support part 39c, and the central protrusion part 39b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form a perfect straight line, the connecting strip 40 is not connected. It's convenient, but if you're shocked, you can get out of the wa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 사이의 요홈부 입구가 좁혀지도록,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b) 사이의 요홈부 역시 입구가 좁혀지도록 중앙 돌기부(39b)의 단부에 상기 입구를 좁히도록 돌기를 형성시킨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 projection part so that the inlet part between the central projection part 39b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9b is also narrowed so that the inlet part entr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9a and the central projection part 39b is narrowed. A proj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39b to narrow the inlet.

그래서, 상기 중앙 돌기부(39b)가 돌기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기를 더 형성시키며, 상기 돌기로 인하여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 사이의 요홈에 연결띠(40)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고,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c) 사이의 요홈에 연결띠(40)가 구속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Thus, the center projection 39b further forms a proj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on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strip 40 is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39a and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39b due to the projection. It is formed so that, and the connection band 40 is made to be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ject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 (39c).

도 9는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39)의 제1 지지부(39a), 제2 지지부(39c), 중앙 돌기부(39b)가 완전한 직선을 이루고 있는 경우, 연결띠(40)를 연결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충격을 받는 경우 막히지 않은 쪽으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9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6. As shown in FIG. 9, when the first support part 39a, the second support part 39c, and the central protrusion part 39b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form a perfect straight line, the connecting strip 40 is not connected. It's convenient, but if you're shocked, you can get out of the wa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 사이의 요홈부 입구가 좁혀지도록,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b) 사이의 요홈부 역시 입구가 좁혀지도록 제1 지지부(39a)와 제2 지지부(39b)의 단부에 상기 입구를 좁히도록 돌기를 형성시킨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9b is also narrowed so that the entrance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39a and the central protrusion portion 39b is narrowed. Projection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support 39a and the second support 39b to narrow the inlet.

그래서, 상기 제1 지지부(39a)와 제2 지지부(39b)가 돌기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기를 더 형성시키며, 상기 돌기로 인하여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 사이의 요홈에 연결띠(40)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고,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c) 사이의 요홈에 연결띠(40)가 구속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Thus, the first support 39a and the second support 39b further form protrusion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form grooves between the first support 39a and the central protrusion 39b. The connecting strip 40 is formed to be constrained, and the connecting strip 40 is formed to be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 39c.

도 10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39)의 제1 지지부(39a), 제2 지지부(39c), 중앙 돌기부(39b)가 완전한 직선을 이루고 있는 경우, 연결띠(40)를 연결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충격을 받는 경우 막히지 않은 쪽으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6.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first support portion 39a, the second support portion 39c, and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39b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39 form a perfect straight line, it is convenient to connect the connecting strip 40. However, if you are shocked, you can get out of the way.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 사이의 요홈부 입구가 좁혀지도록,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b) 사이의 요홈부 역시 입구가 좁혀지도록 형성시킨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 39b is also narrowed so that the recess of the recess between the first support 39a and the central protrusion 39b is narrowed. To form.

즉, 연결띠(40)가 구속되는 요홈은 라운딩을 주어 요홈의 폭을 크게 형성시키고, 반대로 제1 지지부(39a)와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b)의 단부는 라운딩으로 각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groove in which the connecting band 40 is constrained gives a rounding, there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groove, and conversely,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9a,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9b are rounded. It is to form so that the interval of the narrow.

그래서, 중앙 돌기부(39b)와 제2 지지부(39c) 사이의 요홈에 연결띠(40)가 구속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Thus, the connecting strip 40 is made to be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39b and the second support 39c.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 및 길이 조절부가 차량에 적용된 예를 비교도시한 도이다. 도 11(a)에는 비교적 필러의 길이가 긴 차종에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b)에는 비교적 필러의 길이가 짧은 차종에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1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example of the vehicle side airbag buckle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appli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 illustrates an example applied to a vehicle model having a relatively long filler, and FIG. 11 (b) illustrates an example applied to a vehicle model having a relatively short filler.

도 11(a)를 보면,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가 L1 으로 표시되고, 도 11(b)를 보면,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가 L2 로 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1 (a), the length between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is represented by L1, and in FIG. 11 (b), the length between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is represented by L2. It is.

여기서, L1은 L2 보다 크며, 이와 같은 경우, 도 11(a)에서는 길이 조절부(39)가 버클(30) 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도 11(b)에서는 길이 조절부(39)가 사이드에어백(20) 측으로 이동되어 있다.Here, L1 is larger than L2, and in this case, in FIG. 11A,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is moved toward the buckle 30, and in FIG. 11B,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is a side airbag ( 20) is moved to the side.

그 이유는, 길이 조절부(39)가 버클(30) 측으로 이동될수록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길이 조절부(39)가 사이드에어백(20) 측으로 이동될수록 버클(30)과 사이드에어백(20) 간의 길이는 짧아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 length between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becomes longer as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is moved toward the buckle 30, and as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is moved toward the side airbag 20 side. This is because the length between the buckle 30 and the side airbag 20 is shorten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클(30) 및 길이 조절부(39)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연결띠(40)를 이용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에어백(20)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buckle 30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3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he side airbag 20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using the connecting strip 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may be made as appropriate.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드에어백이 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side airbag is mounted on the filler.

도 2의 (a), (b),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도.Figure 2 (a), (b), (c) is a view showing a buck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ba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buckle for a vehicle side airba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길이 조절부가 적용된 도를 도시한 도.6 is a view showing a length adjustment unit is applied to the 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단면 및 평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of FIG.

도 8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도 9는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도 10은 도 6의 길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FIG. 6.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 및 길이 조절부가 차량에 적용된 예를 비교도시한 도.1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example of the vehicle side airbag buckle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appli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자동차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용 버클에 있어서,In the buckle for the side air bag attached to the car, 상기 버클은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연결된 연결띠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상기 버클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The buckle includes a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side air bag and the buckle using a connection belt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상기 버클은 상기 연결띠가 통과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상기 중앙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확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홀과 상기 확장홀의 연결부위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위와 인접한 모서리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The buckle includes a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passes, and expansion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hole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hole,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entral hole and the expansion hole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orner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길이 조절부는The length adjustment unit 상기 버클과 연결된 상기 연결띠를 그 하부로 통과시켜 고정시키는 제1 지지부;A first support portion configured to pass the connecting strip connected to the buckle to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제1 지지부를 통과한 상기 연결띠의 일측 단부가 감싸져 고정되고, 상기 연결띠를 그 상부로 통과시키는 중앙 돌기부;A central protrusion having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being wrapped and fixed, and passing the connection band upward; 상기 중앙 돌기부를 통과한 상기 연결띠를 그 하부로 통과시켜, 상기 연결띠의 타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연결되도록 통과 및 고정시키는 제2 지지부A second support part configured to pass and fix the connecting strip having passed through the central protrusion to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trip is connected to the side air ba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Car side air bag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돌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중앙돌기부, 상기 제2 지지부 간은 요홈을 이루고 있어, 상기 요홈에 상기 연결띠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The first support,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are protrudingly formed, and the first support,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form a recess to constrain the connecting strip to the recess. 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길이 조절부는『E』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중앙 돌기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를 좁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 사이,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에서 상기 연결띠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One end por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may protrude so as to narrow the inle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is inserted, and the connection band may be constrained in 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central protrusion part an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삭제delet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를 좁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 사이,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에서 상기 연결띠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narrow the inle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trip is inserted, and is formed in 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central protrusion portion an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Buckle for the side airba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lt is formed to be restrained. 삭제delet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 사이의 요홈은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 요홈은 넓게 형성되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The groove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central protrusion has a narrow inlet in which the connection strip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groove of the inlet is rounded to form a wider buckl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중앙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의 요홈은 상기 연결띠가 삽입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 요홈은 넓게 형성되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The groov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s a narrow inlet in which the connection strip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groove of the inlet is rounded to form a wide airbag buckle.
KR1020080072760A 2008-07-25 2008-07-25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101009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0A KR101009113B1 (en) 2008-07-25 2008-07-25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0A KR101009113B1 (en) 2008-07-25 2008-07-25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09A KR20100011509A (en) 2010-02-03
KR101009113B1 true KR101009113B1 (en) 2011-01-18

Family

ID=4208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60A KR101009113B1 (en) 2008-07-25 2008-07-25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11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650A (en)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 cordless channel allocation of keep-phone
KR20040017621A (en) * 2002-08-22 2004-0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Static-electricity i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357650Y1 (en) 2004-05-18 2004-07-31 김호기 A string of receptacle carrying
KR200417621Y1 (en) 2006-03-17 2006-06-0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20080065012A (en) * 2007-01-08 2008-07-11 김종수 Multiplex du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uspenders which possess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650A (en)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 cordless channel allocation of keep-phone
KR20040017621A (en) * 2002-08-22 2004-0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Static-electricity i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357650Y1 (en) 2004-05-18 2004-07-31 김호기 A string of receptacle carrying
KR200417621Y1 (en) 2006-03-17 2006-06-0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20080065012A (en) * 2007-01-08 2008-07-11 김종수 Multiplex du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uspenders which poss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09A (en)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55B2 (en) Bracket for securing sid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JP4987540B2 (en) Side airbag guide plate
US8894094B2 (en)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CN109383440B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9283917B2 (en) Curtain airbag device
US8585084B1 (en) Belt integrated airbag
CN110893831B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JP6751581B2 (en) Crew protection device
KR101009113B1 (en)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101090830B1 (en) Curtain airbag module
KR200417621Y1 (en) A buckl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200418224Y1 (en) A clip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20230015720A (en) Tether clip and pillar connection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KR100306436B1 (en) Passenger head protection means of auto- mobile
JP2001114059A (en) Head protecting air bag device
KR100857135B1 (en) Fixing bracket for side airbag
KR100405809B1 (en) Curtain air bag for vehicles
KR100559894B1 (en) Envelopment impact absorbing device of curtain air bag in vehicle
KR100776020B1 (en) A guide plate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100745636B1 (en) A holder for side airbag of vehicle
JP6629785B2 (en) Curtain airbag equipment
KR101053004B1 (en) Air Bag Assembly Clip
KR200420466Y1 (en) A holder for side airbag of vehicle
KR100850921B1 (en) Air bag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420470Y1 (en) A guide plate for side airbag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