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050B1 -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050B1
KR101009050B1 KR1020080062053A KR20080062053A KR101009050B1 KR 101009050 B1 KR101009050 B1 KR 101009050B1 KR 1020080062053 A KR1020080062053 A KR 1020080062053A KR 20080062053 A KR20080062053 A KR 20080062053A KR 101009050 B1 KR101009050 B1 KR 10100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housing
contaminant
cylindrical screen
spir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943A (ko
Inventor
전양근
고인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8006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0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with co-current flow direction of liquid and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처리 시설의 초기 단계에 설치되어 크기 및 중량이 비교적 큰 협잡물 등에 대하여는 1차적으로 스크리닝(screening)하여 후의 오수처리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생활하수, 공업폐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분리를 위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용적을 갖되 하부 일측에는 스크리닝된 오수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막힌 원통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동심의 상태로 그 외주가 하우징의 내주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수용되어 설치되되 그 상부 일측에는 일정 수압 이상으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한편 그 원통형의 벽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소형의 통공이 다수 관통 형성된 원통 스크린; 원통 스크린의 내주면에 외측단이 고정 장착되는 한편 그 인접하는 내측단끼리는 서로 맞닿지 않은 상태로 원통 스크린의 상부 내주부터 하부 내주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수 바퀴 회전되어 설치되되 그 중앙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일정 지름 크기의 협잡물 낙하공간이 형성된 나선 플레이트; 및 나선 플레이트의 협잡물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하게 되는 협잡물이 쌓이게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수거된 협잡물이 하우징의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협잡물 배출구가 형성된 협잡물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오수처리, 스크리닝, 원통 스크린, 나선 플레이트, 협잡물

Description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Device for screening wastes in water}
본 발명은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 공업폐수 또는 초기우수 등을 정화하는 오수처리 시설의 초기 단계에 설치되어 크기 및 중량이 비교적 큰 협잡물 등에 대하여 1차적으로 스크리닝(screening)하여 후의 오수처리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공업폐수 또는 초기우수 등 강이나 바다의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수는 오수처리 시설에서 일정 수준의 수질로 정화처리한 상태로 방류하도록 규제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에 오수가 저장되는 장소 또는 오수가 합류되는 장소 등에는 처리 대상인 오수의 종류에 적합한 형태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오수처리 시설이 설비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설비되는 오수처리 시설을 통해서 생활하수, 공업폐수 또는 초기우수 등은 일정 수준의 수질로 정화된 상태로 하천, 강 또는 바다에 방류됨에 따라서 생태계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오수처리 시설은 처리대상 오수의 오염된 정도에 따라서 1차, 2차, 3차 또는 그 이상의 오수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처리대상 오수의 성질에 따라서 부유물을 걷어내는 단계, 오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오수의 여과단계, 이물질의 흡착단계, 약품처리 단계, 미생물처리 단계 등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단계를 거쳐 요구하는 정도의 수질로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오수처리 과정의 1차적인 공정이 되는 이물질을 침전 또는 제거시키는 공정은 계단상으로 이루어진 수조들에 오수를 통과시키는 방식에 의하거나 망(mesh) 상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통과시키는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52529호의 '오수처리장의 전처리 공정용 분괴 파쇄장치', 특허등록번호 10-402759호의 '하수 및 오폐수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특허등록번호 10-467055호의 '오폐수 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555142호의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제거 및 종합 전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721437호의 '폐수 전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696702호의 '산업폐수 처리를 위한 전처리 시스템', 특허등록번호 10-800559호의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823236호의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등에서는 본격적인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 앞서서 오수 및 폐수 등에 포함된 이물질을 먼저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들의 장치들이 공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대부분의 폐수 또는 오수의 전처리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오수 처리 시설에 호환성이 떨어지게 구성되는 등 그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생활하수, 공업폐수 또는 초기우수 등을 정화하기 위한 오수처리 시설의 1차적인 단계에서 오수에 포함된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있는 협잡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걸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오수처리 시설물에도 쉽게 호환될 수 있는 형태의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부터 1차 스크리닝된 후의 오수가 유출되는 과정까지의 공정이 단일의 몸체로 구성된 유닛(uint)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생활하수, 공업폐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분리를 위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용적을 갖되 하부 일측에는 스크리닝된 오수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막힌 원통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동심의 상태로 그 외주가 하우징의 내주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수용되어 설치되되 그 상부 일측에는 일정 수압 이상으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한편 그 원통형의 벽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소형의 통공이 다수 관통 형성된 원통 스크린; 원통 스크린의 내주면에 외측단이 고정 장 착되는 한편 그 인접하는 내측단끼리는 서로 맞닿지 않은 상태로 원통 스크린의 상부 내주부터 하부 내주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수 바퀴 회전되어 설치되되 그 중앙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일정 지름 크기의 협잡물 낙하공간이 형성된 나선 플레이트; 및 나선 플레이트의 협잡물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하게 되는 협잡물이 쌓이게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수거된 협잡물이 하우징의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협잡물 배출구가 형성된 협잡물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서 원통 스크린의 물 배출구는 나선 플레이트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되 그 상하방향 간격은 상기 나선 플레이트의 피치(pitch)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서 원통 스크린은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하부의 지름이 상부에 비하여 작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서 나선 플레이트의 최하층은 나선 플레이트를 따라 흐르는 물체가 협잡물 호퍼로 집중되게 비나선(non-helica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입력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서 오수가 나선 플레이트를 따라서 스월(swirl)을 일으키며 나선방향으로 흐르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원심력 및 구심력에 의해서 물은 원통 스크린 외부 측으 로 흐르게 되는 한편 협잡물은 협잡물 낙하공간으로 낙하하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오수로부터 협잡물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오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부터 협잡물이 분리된 오수가 유출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단일의 유닛(unit)에 의해서 이루어짐에 따라서 기타의 오수처리 시설에 쉽게 호환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는 협잡물이 포함된 상태의 오수를 1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생활하수, 공업폐수 또는 초기우수 등 오수에 포함된 어느 정도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있는 협잡물이 나선(helical) 형상으로 된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오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원심력 및 구심력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벽과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동심 상으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원통 스크린(120), 원통 스크린(120)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되 그 중앙부에는 협잡물 낙하공간(132)이 마련되는 나선 플레이트(130) 및 협잡물 낙하공간(132)으로부터 떨어지는 협잡물이 담길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수거된 협잡물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협잡물 배출구(142)가 형성된 협잡물 호퍼(14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지상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10)은 내부의 일정 용적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하부면(112) 일측에는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오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1차 스크리닝(screeing)되어 협잡물의 분리가 이루어진 상태의 오수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출구(104)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가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부에 지지대(114)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우징(110)과 동심 상으로 설치되는 원통 스 크린(120)의 상부 일측에는 오수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입구(102)가 마련된다. 원통 스크린(120)의 상부에 마련된 유입구(102)를 통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의 작동시 일정 수압 이상의 오수가 입력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유입구(102)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오수가 유입 초기부터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서 나선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내측단은 나선 플레이트의 상부면 측을 향해 일측으로 치우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 하우징(120)의 벽 상에는 일정 피치(pitch)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122)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통공(122)은 나선 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오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향하는 물이 나선 플레이트(130)의 경로를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통공(122)은 나선 플레이트(130)의 나선 방향을 따라서 상측에 위치되는 나선 플레이트(130) 외측단과 하측에 위치되는 나선 플레이트 외측단 사이의 간격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수압 이상으로 유입구(102)를 통해서 입력된 오수가 나선 플레이트(130) 상에 마련되는 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과정에서 유입된 오수의 수압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월(swirl)을 일으키며 외측을 향하는 물이 원통 스크린(120)의 벽에 마련된 통공(122)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 스크린(120)의 형태에서는 유입구(102)를 통해서 일정 수압 이상으로 유입된 오수는 나 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그 수압이 점차 감소하게 됨에 따라서 일정 높이 이후의 나선 플레이트(130) 상에서는 수압이 낮아짐에 따라서 더 이상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 스크린(120)의 상부 구간에서는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오수의 수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를 충분히 달성될 수 있겠으나,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오수의 수압이 저하되는 하부 구간에서는 대부분의 오수가 통공(122)을 통과하지 못하고 협잡물과 함께 나선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측에 쏠리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는 나선 플레이트(130)의 하부 구간을 통과하는 오수에도 일정 수준의 수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원통 스크린(120)의 통공(122)은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선 플레이트(130)의 상부 구간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오수가 완전히 원통 스크린(120)의 통공(122)을 통과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일정량만이 통과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원통 하우징(11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의 지름에 비하여 하부의 지름이 작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더욱 효과적인 협잡물의 스크리닝(screeing) 능력의 확보를 위해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처럼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오수의 수압이 감소하게 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유량은 계속하여 원통 스크린(120)의 통공(12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나선 플레이트(130)의 회전반경이 줄어든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나선 플레이트(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스크린(120)의 내주면을 따라서 그 외측단이 나선방향으로 수 바퀴 회전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단일의 긴 띠형상으로 된 판재를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 외측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 크기 단위로 제작된 판재를 연결하여 붙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나선 플레이트(130)의 내측단은 나선 상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인접하는 내측단끼리가 서로 맞닿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 중앙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협잡물 낙하공간(132)이 형성된다.
한편,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오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스월(swirl)에 의한 구심력에 의해서 협잡물은 일부의 오수와 함께 협잡물 낙하공간(132)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렇게 협잡물 낙하공간(132)을 통해서 낙하하게 되는 협잡물이 모이도록 하기 위한 협잡물 호퍼(140)가 하우징(110)의 하부 중앙부에 형성된다. 또한, 협잡물 호퍼(140)의 하부 일측에는 일부의 오수와 함께 협잡물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협잡물 배출구(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 플레이트(130)의 최하층(130a)은 나선 플레이트를 따라 흐르는 물체가 협잡물 호퍼(140)로 집중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나선(non-helical)인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나선 플레이트(130)의 최하층(130a)은 그 상층으로부터 연속되는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그 최하단이 상향으로 굽은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오수 및 협잡물 등이 협잡물 호퍼(140)로 집중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협잡물 호퍼(140)가 구성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나, 나선 플레이트(130)의 최하층 아래로 집중되는 오수 및 협잡물을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나선 플레이트(130)의 최하층 아래의 공간이 협잡물 호퍼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가 작동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를 통해서 처리할 수 있는 오수의 대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활하수, 공업폐수, 초기우수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100)는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수의 완전한 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나가는 협잡물을 거르는 1차적인 수준의 정화를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스크린(120)의 상부에 마련된 유입구(102)를 통해서 일정 수압 이상으로 유입된 오수는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서 점차 하측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나선 플레이트(130)의 형상적인 특성에 의해서 오수는 스월(swirl)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나선 플레이트(130)를 따라 흐르는 오수는 원의 외부를 향하려는 원심력 성분과 원의 내부를 향하려는 구심력 성분을 가지게 됨에 따라서 일부의 오수는 나선 플레이트(130) 외측단 측에 마련된 원통 스크린(120)의 통공(122)을 통과하게 되고 일부의 오수는 나선 플레이트(130)의 내측단 측에 마련된 협잡물 낙하공간(132)을 향하게 된다.
특히, 일정 수준의 부피를 가지거나 일정 수준의 중량을 가진 협잡물은 일부의 오수와 함께 협잡물 낙하공간(132)을 향하게 되고, 결국은 협잡물 호퍼(140)로 모이게 된다.
원통 스크린(120) 상에 마련된 통공(122)을 통해서 하우징(110) 내측으로 빠져나간 오수는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유출구(104)를 통해서 다음의 오수처리 시설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한편, 협잡물 배출구(142)를 통해서 일부의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협잡물은 별도의 간단한 필터링(filtering) 과정을 통해서 걸러진 후 적절히 처리되는 한편 함께 배출된 일부의 오수는 재순환되어 유입구(102)를 통해서 재유입되어 처리되거나 별도로 수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102. 유입구
104. 유출구 110. 하우징
112. 하부면 114. 지지대
120. 원통 스크린 122. 통공
130. 나선 플레이트 132. 협잡물 낙하공간
140. 협잡물 호퍼 142. 협잡물 배출구

Claims (4)

  1. 내부에 일정 용적을 갖되 하부 일측에는 스크리닝된 오수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막힌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동심의 상태로 그 외주가 상기 하우징의 내주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수용되어 설치되되 그 상부 일측에는 일정 수압 이상으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입구가 마련되는 한편 그 원통형의 벽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소형의 통공이 다수 관통 형성된 원통 스크린, 상기 원통 스크린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낙하하게 되는 협잡물이 쌓이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수거된 협잡물이 하우징의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협잡물 배출구가 형성된 협잡물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생활하수, 공업폐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분리를 위한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스크린의 내측에는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나선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나선 플레이트의 외측단은 상기 원통 스크린의 내주면에 고정 장착되는 한편 내측단끼리는 서로 맞닿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운데 상기 원통 스크린의 상부 내주로부터 하부 내주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다수 회전되어 설치되되 그 중앙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지름 크기의 협잡물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플레이트의 최하층은 나선 플레이트를 따라 흐르는 물체가 상기 협잡물 호퍼로 집중이 되게 비나선의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통공은 상기 나선 플레이트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스크린은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하부의 지름이 상부에 비하여 작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4. 삭제
KR1020080062053A 2008-06-28 2008-06-28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KR10100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053A KR101009050B1 (ko) 2008-06-28 2008-06-28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053A KR101009050B1 (ko) 2008-06-28 2008-06-28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43A KR20100001943A (ko) 2010-01-06
KR101009050B1 true KR101009050B1 (ko) 2011-01-17

Family

ID=4181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053A KR101009050B1 (ko) 2008-06-28 2008-06-28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68B1 (ko) * 2013-06-07 2014-11-03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나선 유동형 초기 우수 처리용 침전지
CN106049653B (zh) * 2016-05-27 2018-05-15 彭展忠 初期雨水回收装置
CZ2017348A3 (cs) * 2017-06-19 2019-01-16 METAL MB s.r.o. Sedimentační nádrž
CN111375230A (zh) * 2020-05-14 2020-07-07 周全红 水洗浓缩环保分离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784A (ja) 1982-12-22 1984-07-04 同和鉱業株式会社 過流式自動中和,固液分離装置
US6645382B1 (en) * 2000-11-13 2003-11-11 George E. Wilson Energy-efficient head cell entry duct
KR100649180B1 (ko) 2006-06-09 2006-11-24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JP2007032267A (ja) 2005-07-27 2007-02-08 No Yeon Park 中央流入雨水用の渦流型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784A (ja) 1982-12-22 1984-07-04 同和鉱業株式会社 過流式自動中和,固液分離装置
US6645382B1 (en) * 2000-11-13 2003-11-11 George E. Wilson Energy-efficient head cell entry duct
JP2007032267A (ja) 2005-07-27 2007-02-08 No Yeon Park 中央流入雨水用の渦流型の分離装置
KR100649180B1 (ko) 2006-06-09 2006-11-24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43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US20050263448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009050B1 (ko) 오수내 협잡물 처리장치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101273679B1 (ko)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KR100832549B1 (ko) 나선유입식 다층셀형 협잡물 및 침사물 종합처리기
JP2010125417A (ja) 紫外線照射水処理装置
KR101036018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301650B1 (ko) 원추형경사판을 이용한 폐수 정화 처리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06390B1 (ko) 볼텍스 트랩 장치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15501688A (zh) 净水外壳及利用该净水外壳的雨水净化系统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507653B1 (ko) 중수 재활용을 위한 고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101799225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923234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KR100900054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507654B1 (ko) 중수 재활용을 위한 저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