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93B1 -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93B1
KR101007893B1 KR1020080074248A KR20080074248A KR101007893B1 KR 101007893 B1 KR101007893 B1 KR 101007893B1 KR 1020080074248 A KR1020080074248 A KR 1020080074248A KR 20080074248 A KR20080074248 A KR 20080074248A KR 101007893 B1 KR101007893 B1 KR 10100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electrolysis
treated water
wastewater treatment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705A (ko
Inventor
김상용
양정목
조진구
이도훈
김선환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7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합성 폐수의 처리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폐수처리시간의 단축 및 폐수처리에너지의 절감과 같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는, 외관프레임; 외관프레임에 설치되고, 유입된 폐수가 처리수와 오염물질로 전기분해 처리되는 상부반응조; 상부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반응조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되는 하부반응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분해성 폐수처리, 전기분해, 중력여과, 복합공정, 반응조

Description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The hybrid apparatus for treating non-degradable wastewater combined by the electrolysis and gravitational filtration process}
본 발명은 정밀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합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반응기가 2개의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폐수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폐수처리에너지의 절감 및 폐수처리시간의 단축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정밀화학 플랜트에서 배출되는 유기합성 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합성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폐수에 화학반응제를 투입하여 유해물질을 침전시키거나 중화시킨 후 필터링하는 화학-물리적 처리방법과, 폐수에 화학반응제를 투입하여 전기분해하는 펜톤산화 처리방법과, 특정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펜톤산화 처리방법은 다른 방식에 비해 폐수처리설비의 규모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운전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환원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폐수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운전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펜톤산화 처리방법에서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폐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폐수처리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본 발명은, 정밀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외관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에 설치되고, 유입된 폐수가 처리수와 오염물질로 전기분해 처리되는 상부반응조; 및 상기 상부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반응조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되는 하부반응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관프레임은, 하부반응조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받침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반응조와 하부반응조가 지지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반응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간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연결관설치부가 형성된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전극봉삽입구가 관통·형성된 전극봉결합대; 및 상기 전극봉결합대의 전극봉삽입구에 결합하여 외부 정류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음전극봉 및 양전극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설치부에는, 상기 반응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와 하부반 응조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수배출관; 상기 반응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와 연결되어 반응관 내에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배출관; 및 상기 하부반응조와 연통되고, 하부반응조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전극봉은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전극봉은 티타늄(Ti) 재질의 강봉에 산화 루테늄(RuO2)이나 산화 이리듐(IrO2) 중 적어도 하나의 촉매물질을 표면코팅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반응조의 하단부에는 침전물배출구 및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설치구를 관통형성한 하부반응조 마개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여과부재설치구에는 상부반응조에서 전기분해된 처리수를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설치되고, 침전물배출구에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관이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는, 상부반응조의 무게(반응관+음/양전극봉+폐수)와 중력에 의해 하부반응조에서 처리수를 여과처리하므로, 여과처리에 별도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반응조에서 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부반응조에 폐수를 유입시켜 재가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분해처리와 중력에 의한 여과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져 폐수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반응조에서의 전기화학반응(펜톤산화)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침 전공정을 거치지 않고 하부반응조의 여과부재에 의한 여과공정을 통해 입자성 물질과 일부 용해성 물질을 분리해 냄으로써, 색도를 포함한 탁도 및 유기물 등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산화방법은,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라디칼 및 산화제에 의한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것이므로, 양극에서의 산화반응에 의해서는 유기물, 알칼리도, 색도,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등을 처리하고, 음극에서의 환원반응에 의해서는 산도, 중금속 등을 처리할 수 있어 유해물질이 동시에 처리된다.
또한, 충분히 많은 고에너지를 가하면 반응 후에 생성되는 물질이 주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탄화물(COx)과 물(H2O) 그리고 저분자 물질로 완전히 산화분해될 수 있으므로, 슬러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법에 비해, 처리비용이 저렴하고, 처리 전에 pH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화학약품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실시상태도 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100)는, 외관프레임(110)과; 이 외관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폐수가 유입된 후 처리수 및 오염물질로 전기분해 처리되는 상부반응조(120); 및 상부반응조(12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외관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부반응조(120) 내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되는 하부반응조(130)로 구성된다.
외관프레임(110)은 상부반응조(120)와 하부반응조(130)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하부프레임(110a)과 상부프레임(11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a)에는 하부반응조(130)를 통하여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 저장되는 처리수받침대(111)가 구비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수받침대(111)에는 하부반응조(130)의 여과부재(132)를 통해 여과처리된 처리수만이 배출되며, 상부반응조(120)에서의 전기분해처리를 통해 하부반응조(130)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은 하부반응조(130)의 침전물배출관(131)을 통해 배출된다.
상부프레임(110b)은 상부반응조(120)와 하부반응조(130)로 이루어지는 반응기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곳으로서, 상부프레임(110b)은 하부프레임(110a)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반응조(120)는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관(121)과 전극봉결합대(122)와 음전극봉(123) 및 양전극봉(124)으로 구성되며, 반응관(121)에 유 입되는 폐수를 전기분해반응을 통해 처리수와 오염물질인 슬러지로 분해하게 된다.
상기 반응관(121)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간부에 내부공간(121a)이 형성되며, 하부에 연결관설치부(126)가 형성된 것으로서, 반응관(121)의 개방된 상부에는 음전극봉(123)과 양전극봉(124)이 설치된 전극봉결합대(122)가 결합된다.
상기 전극봉결합대(122)에는 다수의 전극봉삽입구(125)가 관통형성되어 있는데, 이 전극봉삽입구(125)에는 음전극봉(123)과 양전극봉(124)이 반응관(121)에 유입되는 폐수의 오염도에 따라 그 갯수가 다르게 설치된다.
음전극봉(123) 및 양전극봉(124)은 외부 정류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유입되는 폐수에 대해 전기분해처리를 한다. 여기서, 음전극봉(123)은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형성되고, 양전극봉(124)은 티타늄(Ti) 재질의 강봉에 산화 루테늄(RuO2) 또는 산화 이리듐(IrO2) 중 적어도 하나의 촉매물질이 표면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전극봉(124)에 표면코팅되는 촉매물질은 유입되는 폐수의 성질에 따라 산화 루테늄(RuO2) 또는 산화 이리듐(IrO2)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산화 루테늄(RuO2)과 산화 이리듐(IrO2)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분해에 의한 유기오염물질의 제거는 직접적인 산화반응과 간접적인 산화반응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분해된다.
먼저, 직접적인 양극 산화반응공정은, 유기오염물질이 양전극봉(124)의 표면에 흡착되어 양극 전자이동 반응에 의해 산화되는 것으로서, 주로 양전극봉(124)의 표면에서 일어나며, 간접적인 산화반응은 주로 폐수용액에서 일어난다.
전기-화학적 산화단계는 전기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반응성이 높은 OH-, O-, HOCl-, OCl- 등에 의해서 폐수 속의 유기물을 직접적으로 산화시키거나, 또는 Cl2, ClO2, O3, H2O2, O2 등과 같은 2차적인 산화제로 분해되면서 유기물의 산화(간접산화)반응에 참여하게 된다. 이때, 염소이온이 포함된 폐수의 경우, 양극 산화반응에 의해 HOCl을 생성시켜 간접적인 산화반응효과를 증가시키며, 수용액 상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켜 전류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정류장치(미도시)를 통해, 음전극봉(123) 및 양전극봉(124)에 공급되는 전류밀도는 약 0.02 내지 0.03 A/㎠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설치부(126)에는 반응관(12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미도시)와 하부반응조(13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수배출관(127)이 설치되고, 반응관(12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미도시)와 연결되어 반응관(121) 내에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배출관(128)이 설치되며, 하부반응조(130)와 연통되어 하부반응조(13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129)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배출관(127) 및 오염물질배출관(128)에는 오염물질 및 처리수 배출의 차단 및 허용을 조절하는 배출관클램프(127a, 128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반응조(120)의 반응관(121)의 하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121b)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오염물질인 슬러지는 오염물질배출관(1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반응조(130) 측으로 보내진다.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하부반응조(130)에서 특별한 에너지의 사용 없이 상부반응조(120)의 무게(반응관+음/양전극봉+폐수) 및 중력에 의해 여과처리된다.
하부반응조(130)는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가 여과처리되는 곳으로서, 도 1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반응조(130)의 하부에는 나사식으로 분리/결합되는 하부반응조 마개(13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개(133)에는 침전물배출관(131)이 결합하는 침전물배출구(131a)와 처리수의 여과처리를 위한 여과부재(132)가 설치되는 다수의 여과부재설치구(132a)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처리공정 이후에는 여과부재(132)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과부재(132)로 사용되는 여과필터는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플럭(floc)의 크기나 양에 따라 0.2, 0.45, 또는 1.1㎛ 등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과부재(132)를 통과한 처리수는 하부프레임(110a)의 처리수받침대(111)로 배출되며, 처리수 내의 오염물질은 침전물배출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 리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부반응조(120)를 하부반응조(130)의 상부로 올린 다음, 외부 클램프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부반응조(120)를 지지하고, 상부반응조(120)의 반응관(121) 내에 폐수를 유입시키게 된다.
상부반응조(120)의 반응관(121) 내에 폐수가 유입되면, 음전극봉(123)과 양전극봉(124)에 의해 전기분해 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전기분해과정에서, 폐수는 오염물질과 처리수로 분해되어, 오염물질은 오염물질배출관(1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반응조(130) 측으로 배출된다.
반응관(121) 내에서 전기분해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공기배출부(129)는 잠겨지며, 오염물질배출관(128)과 처리수배출관(127)도 배출관클램프(127a,128a)에 의해서 각각 잠겨진다.
이후, 전기분해반응이 완료되면, 배출관클램프(127a,128a)를 열어 오염물질은 외부로 배출하고, 처리수는 하부반응조(130)로 배출한다.
하부반응조(130)로 처리수가 완전히 배출되면, 공기배출부(129)를 개방시켜 하부반응조(130)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반응조(120)가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부반응조(120)의 무게(압)에 의해 하부반응조(130)에서는 여과공정이 일어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반응조(120)에 폐수를 유입시켜 재가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반응조(130)에서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받침대(111)로 배출 되며, 침전물은 침전물배출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실시상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0: 폐수처리장치 110: 외관프레임
110a: 하부프레임 110b: 상부프레임
111: 처리수받침대 120: 상부반응조
121: 반응관 122: 전극봉결합대
123: 음전극봉 124: 양전극봉
125: 전극봉삽입구 126: 연결관설치부
127: 처리수배출관 127a,128a: 배출관클램프
128: 오염물질배출관 129: 공기배출부
130: 하부반응조 131: 침전물배출관
132: 여과부재 133: 하부반응조 마개

Claims (6)

  1. 정밀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외관프레임(110);
    상기 외관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유입된 폐수가 처리수와 오염물질로 전기분해 처리되는 상부반응조(120); 및
    상기 상부반응조(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되는 하부반응조(130);
    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반응조(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간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연결관설치부(126)가 형성된 반응관(121);
    상기 반응관(121)의 상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전극봉삽입구(125)가 관통·형성된 전극봉결합대(122); 및
    상기 전극봉결합대(122)의 전극봉삽입구(125)에 결합하여 외부 정류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음전극봉(123) 및 양전극봉(12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프레임(110)은,
    상기 하부반응조(13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받침대(111)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10a); 및
    상기 하부프레임(110a)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반응조(120)와 하부반응조(130)가 지지되는 상부프레임(110b);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설치부(126)에는,
    상기 반응관(12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하부반응조(13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수배출관(127);
    상기 반응관(12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관(121) 내에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배출관(128); 및
    상기 하부반응조(130)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반응조(13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129);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봉(123)은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전극봉(124)은 티타늄(Ti) 재질의 강봉에 산화 루테늄(RuO2) 또는 산화 이리듐(IrO2) 중 적어도 하나의 촉매물질이 표면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반응조(130)의 하단부에, 침전물배출구 및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설치구를 관통형성한 하부반응조 마개(133)가 더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설치구에, 상기 상부반응조(120)에서 전기분해된 처리수를 여과시키는 여과부재(132)가 설치되며,
    상기 침전물배출구에,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관(131)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장치.
KR1020080074248A 2008-07-29 2008-07-29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KR10100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48A KR101007893B1 (ko) 2008-07-29 2008-07-29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48A KR101007893B1 (ko) 2008-07-29 2008-07-29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05A KR20100012705A (ko) 2010-02-08
KR101007893B1 true KR101007893B1 (ko) 2011-01-14

Family

ID=4208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248A KR101007893B1 (ko) 2008-07-29 2008-07-29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937A (ja) 1999-11-25 2001-06-05 Hosho Ro 充填床式電気化学水処理装置
JP2005288386A (ja) * 2004-04-02 2005-10-20 Kobe Steel Ltd 廃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KR20090003855A (ko) * 2007-07-05 2009-01-12 김민 폐수 처리용 전기 반응조
KR20100003671A (ko) * 2008-07-01 2010-01-11 나기태 제올라이트볼을 이용한 전해식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937A (ja) 1999-11-25 2001-06-05 Hosho Ro 充填床式電気化学水処理装置
JP2005288386A (ja) * 2004-04-02 2005-10-20 Kobe Steel Ltd 廃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KR20090003855A (ko) * 2007-07-05 2009-01-12 김민 폐수 처리용 전기 반응조
KR20100003671A (ko) * 2008-07-01 2010-01-11 나기태 제올라이트볼을 이용한 전해식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05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664B1 (ko) 전기화학적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EP2035335B1 (en) Moving electrode electroflocculation process and corresponding device
US6274028B1 (en) Electrolyt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13156002A1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气浮装置
CN105461135B (zh) 一种高浓度难降解有机石化废水预处理工艺
CN105263867A (zh) 用于废水处理的方法和用于实施该方法的装置
Nair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electro-oxidation and its types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090047641A (ko) 전기분해에 의한 폐수처리장치
CN211471172U (zh) 一种有机废水处理系统
KR100691962B1 (ko) 복수탈염설비 재생폐수의 유기탄소와 질소 처리장치 및처리방법
CN113860645A (zh) 一种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处理方法
KR101007893B1 (ko)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CN112551771A (zh) 油田压裂返排液精细处理方法
KR102066016B1 (ko)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CN215208908U (zh) 一种基于电化学电解技术提升二次供水水质的装置
CN212396388U (zh) 一种吸收塔浆液陶瓷膜过滤装置
JP4099369B2 (ja) 排水処理装置
CN203960004U (zh) 一种油墨废水铁碳处理设备
CN210237343U (zh) 一种生化出水的处理系统
KR100664683B1 (ko) 복수탈염설비의 재생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111362478A (zh) 一种成品油库含油污水深度处理方法
KR101568173B1 (ko) 전기분해식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 시스템
KR100650333B1 (ko) 전기분해 및 순환여과법을 이용한 오/폐수의 고도처리와악취제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215828570U (zh) 一种海上平台生活污水生化与电解双处理系统
KR20150067665A (ko) 습식 스크러버 폐세정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