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10B1 -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 Google Patents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10B1
KR101007810B1 KR1020080083949A KR20080083949A KR101007810B1 KR 101007810 B1 KR101007810 B1 KR 101007810B1 KR 1020080083949 A KR1020080083949 A KR 1020080083949A KR 20080083949 A KR20080083949 A KR 20080083949A KR 101007810 B1 KR101007810 B1 KR 10100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arset
call
integrat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255A (ko
Inventor
노태균
노형균
Original Assignee
노형균
노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균, 노태균 filed Critical 노형균
Priority to KR102008008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전자파로부터 머리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로 이어셋을 휴대하는 불편을 해소한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 사용 시 전자파 발생 부분을 머리에서 멀리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이어셋을 휴대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된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폰 본체(S)의 외측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통화 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어폰 또는 스피커(SP)가 설치되어 있는 이어부재(1)와, 상기한 이어부재(1)가 상부로 인출되어 통화를 할 때 말소리를 전송하도록 본체(S)의 상면에 위치된 보조 송화기(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폰, 이어셋,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Description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EARSET INTEGRATED INTO HAND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전자파로부터 머리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로 이어셋을 휴대하는 불편을 해소한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바타입, 폴더타입, 슬라이딩 타입등 여러 가지 종류로 제작이 이루어지고, 휴대가 간편하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폴더형의 경우에는 폴더를 열면 키패드와 송화기(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부분)가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액정화면과 수화기(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바꾸는 부분)이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 타입의 경우에는 키패드가 형성된 아래쪽 본체에 키패드와 송화기가 설치되고, 위쪽 슬라이더 부분에 액정화면과 수화기가 설치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휴대중에는 폴더를 닫거나 슬라이딩되는 부분을 닫아서 부피를 작게 하고, 통화 시에는 폴더를 열거나 슬라이딩되는 부분을 밀어 올려서 길이를 길게 하 여 귀와 입에 송수화기가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송수화기를 통해 말소리를 듣고 말을 상대방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핸드폰을 귀와 입에 밀착시키면서 말을 하고 상대방의 말을 듣게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으로 통화를 할 때 귀와 입에 핸드폰을 밀착시키고 통화를 하게 되면, 한 손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통화가 매우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핸드폰에는 별도의 이어셋을 연결하여 보다 편하게 핸드폰으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으로 통화를 할 때 귀와 입에 핸드폰을 밀착시키고 통화를 하게 되면, 핸드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의 뇌와 가까운 부분에 위치되기 때문에 뇌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핸드폰에서는 통화중에 다량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바, 통화를 위해 머리에 핸드폰을 밀착시킬 때 머리(뇌)에 근접한 위치에서 전자파가 발생되어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핸드폰을 머리에 근접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통화를 하기 위해서 별도의 이어셋을 항상 휴대해야 함과 아울러 통화를 위해서는 핸드폰에 설치된 이어셋 잭에 이어셋을 끼우고 통화하지 않을 때는 분리해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드폰 사용 시 전자파 발생 부분을 머리에서 멀리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이어셋을 휴대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된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폰 본체의 외측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통화 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어폰 또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이어부재와, 상기한 이어부재가 상부로 인출되어 통화를 할 때 말소리를 전송하도록 본체의 상면에 위치된 보조 송화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에 이어셋을 일체화함과 아울러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드폰의 사용 시 머리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을 도시한 사시도와 이어셋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일 경우에는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S)의 외측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단에 이어폰 또는 스피커(SP)가 설치되어 있는 이어부재(1)와, 상기한 이어부재(1)가 상부로 인출되었을 때 말소리를 전송하도록 본체(S)의 상면에 위치된 보조 송화기(마이크)(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 수단은 다단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높이 이어부재(1)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본체(S)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홈(3)과, 상기한 제1가이드홈(3)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타측면에 제2가이드홈(4)이 형성되어 있는 제1승강바(5)와, 상기한 제2가이드홈(4)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이어부재(1)가 형성되어 있는 제2승강바(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제1가이드홈(3)과 제1승강바(5) 및 제2가이드홈(4)과 제2승강바(6)의 사이에는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제1, 2승강바(5, 6)가 이탈되지 않도 록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 2가이드홈(3, 4)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7)과, 상기한 가이드레일(7)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제1, 2승강바(5, 6)의 외주변에 형성된 레일홈(8)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가이드레일(7)은 마찰력이 적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1, 2승강바(5, 6)가 원활하게 승강 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2승강바(5, 6)가 쉽게 승강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형 핸드폰에 장착된 탄성장치 또는 스프링등을 설치하면 보다 쉽게 제1, 2승강바(5, 6)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 2승강바(5, 6)가 본체(S)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제1, 2승강바(5, 6)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쐐기형의 걸림턱(9)과, 상기한 걸림턱(9)이 걸리도록 본체 상단 및 제1승강바(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10)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핸드폰을 휴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 2승강바(5, 6)를 하향시켜서 도 1a와 같은 상태로 휴대를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화가 오게 되면 사용자가 도 1b와 같이 제1, 2승강바(5, 6)를 밀어 올려 제2승강바(6)의 상단에 설치된 이어부재(1)를 귀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이어부재(1)를 이어폰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 귀에 꽂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1, 2승강바(5, 6)가 상승할 때에는 제1, 2승강바(5, 6)가 가이드레일(7)과 레일홈(8)을 타고 원활하게 상승하게 됨과 아울러 도 2와 같이 걸림 턱(9)과 걸림부(10)가 서로 걸려 있는 상태에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2승강바(5, 6)가 상승하여 귀에 이어부재(1)를 위치시키게 되면 핸드폰의 통화버튼을 누르면서 통화를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이어부재(1)와 보조 송화기(2)에 따른 회로 구성은 일반적으로 이어셋을 핸드폰의 잭에 꽂으면 자동적으로 이어셋만으로 통화하도록 하는 종래 회로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원에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한 핸드폰의 통화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통화버튼(미 도시)을 제1, 2승강바(5, 6)등에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2승강바(5, 6)를 상승시키면서 통화를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전자파가 발생되는 핸드폰 본체(S)가 머리(뇌)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서, 전자파가 머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핸드폰의 통화중에도 제1, 2승강바(5, 6)에 의해 전자파 발생 부분이 머리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그냥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려고 하면 제1, 2승강바(5, 6)를 상승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통화와 같이 하면 된다.
종래와 같이 별도의 이어셋을 휴대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할때마다 제1, 2승강바(5, 6)를 상승시키면서 통화를 하게 됨으로써, 핸드폰 사용자의 전자파에 의한 악영향을 감소시키면서도 휴대 및 통화가 간편하게 된다.
여기서, 본원은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예를 들었지만 폴더형의 핸드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제1, 2승강바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b에서 제1, 2승강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어부재 2: 보조송화기
3: 제1가이드홈 4: 제2가이드홈
5: 제1승강바 6: 제2승강바
7: 가이드레일 8: 레일홈
9: 걸림턱 10: 걸림부
S: 핸드폰 본체 SP: 이어폰

Claims (5)

  1. 핸드폰 본체(S)의 외측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통화 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어폰 또는 스피커(SP)가 설치되어 있는 이어부재(1)와, 상기한 이어부재(1)가 상부로 인출되어 통화를 할 때 말소리를 전송하도록 본체(S)의 상면에 위치된 보조 송화기(2)로 구성되는 공지의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이 본체(S)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홈(3)과, 상기한 제1가이드홈(3)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타측면에 제2가이드홈(4)이 형성되어 있는 제1승강바(5)와, 상기한 제2가이드홈(4)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이어부재(1)가 형성되어 있는 제2승강바(6)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3)과 제1승강바(5) 및 제2가이드홈(4)과 제2승강바(6)의 사이에는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제1, 2승강바(5)(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제1, 2가이드홈(3)(4)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7)과, 상기한 가이드레일(7)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제1, 2승강바(5)(6)의 외주변에 형성된 레일홈(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승강바(5)(6)가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2승강바(5)(6)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쐐기형의 걸림턱(9)과, 상기한 걸림턱(9)이 걸리도록 본체 상단 및 제1승강바(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10)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83949A 2008-08-27 2008-08-27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KR10100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49A KR101007810B1 (ko) 2008-08-27 2008-08-27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49A KR101007810B1 (ko) 2008-08-27 2008-08-27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55A KR20100025255A (ko) 2010-03-09
KR101007810B1 true KR101007810B1 (ko) 2011-01-14

Family

ID=421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949A KR101007810B1 (ko) 2008-08-27 2008-08-27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14B1 (ko) 2011-07-27 2012-08-20 안동혁 통신단말기용 자동인출 스피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605A (ko) * 1999-06-16 2001-01-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 제거장치
KR200284358Y1 (ko) 2001-12-06 2002-08-10 고진권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KR20020084358A (ko) * 2001-04-30 2002-11-0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605A (ko) * 1999-06-16 2001-01-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 제거장치
KR20020084358A (ko) * 2001-04-30 2002-11-0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KR200284358Y1 (ko) 2001-12-06 2002-08-10 고진권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14B1 (ko) 2011-07-27 2012-08-20 안동혁 통신단말기용 자동인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55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810B1 (ko)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KR200384472Y1 (ko) 곡선 슬라이드형 휴대전화 단말기
CN201898542U (zh) 抗噪声干扰和保护通话私密性的手机
KR0163257B1 (ko) 개선된 송수화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WO2004091175A3 (en) Mobile phone with simplified dialing of limited amount of telephone numbers
JP2000032106A (ja) 無線通信端末
KR100990405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69613B1 (ko) 이어폰에 의한 전화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09980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000140B1 (ko) 핸드폰에 일체화된 이어셋
CN212543828U (zh) 一种具有防尘防水功能的通信装置
KR20090002514A (ko) 이어 마이크 세트와 그 승강 방법
KR200202418Y1 (ko) 전화기
KR200287418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191437Y1 (ko) 핸즈프리 전화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531493B1 (ko) 휴대전화 케이스
KR100977116B1 (ko) 휴대전화 액세서리형 핸즈프리
JP2001007909A (ja) 携帯通信機器のディスプレー装置
GB2352109A (en) Recoiling "hands free" headset unit for mobile phones
KR200347716Y1 (ko) 돌출형 리시버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203406925U (zh) 一种手机通话辅助装置及背包
JPH03162025A (ja) 携帯無線電話機
KR100650590B1 (ko) 헤드폰 타입 휴대폰
KR19990014414A (ko) 탁상용 핸드폰 충전기의 핸드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