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311B1 - 휠체어 운반기 - Google Patents

휠체어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311B1
KR101007311B1 KR1020090004013A KR20090004013A KR101007311B1 KR 101007311 B1 KR101007311 B1 KR 101007311B1 KR 1020090004013 A KR1020090004013 A KR 1020090004013A KR 20090004013 A KR20090004013 A KR 20090004013A KR 101007311 B1 KR101007311 B1 KR 10100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wheelchair
attached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727A (ko
Inventor
형행신
Original Assignee
형행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행신 filed Critical 형행신
Priority to KR102009000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3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장애인 또는 다리가 불편한 환자 등이 계단 또는 경사진 곳, 평지 등을 쉽고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한쌍의 메인프레임(1)과, 메인프레임(1)의 한 부분에 부착된 구동모터(2)와, 구동모터(2)에 의해 회전토록 구비된 한 쌍의 구동측 풀리(3)와, 메인프레임(1)의 다른 쪽에 구비된 한 쌍의 종동측 풀리(4)를 부착하여 구동측 풀리(3)의 회전에 의해 종동측 풀리(4)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메인 벨트(5)로 이루어진 무한궤도인 메인구동부(10)와,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지지 되는 제1프레임(21)과, 제1프레임(21)의 한 부분에 내재된 종동휠(23)과, 메인구동부(10)의 회전에 의해 종동휠(23)의 회전을 가능케하는 한쌍의 제1벨트(22)로 이루어진 무한궤도인 제1구동부(20)를 구비하고, 메인구동부(10)에 대하여 제1프레임(21)을 운동시켜 제1프레임(21)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장치(40)를 구비하고,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지지 되며 메인구동부(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좌우및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제2프레임(31)과, 제2프레임(31)에 부착된 주행모터(32)와, 주행모터(3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비하는 회전 롤러(33)를 구비한 제2구동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구동부(10)에 회전가능토록 절첩된 제1프레임(21)에 수동휠체어 등을 장착하고 메인구동부(10)와 제1구동부(20)에 의하여 계단 및 경사진 곳 등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으며, 수동휠체어 등을 장착한 제1프레임(21)은 수평조절장치(4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수동휠체어 등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상하로 회전 가능토록 지지 된 제2구동부(30)에 의해 평지 등을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편리성 및 이동성을 제공한다.
수동휠체어, 장애인, 계단, 경사로, 운반기,

Description

휠체어 운반기{Wheelchair carrier}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다리가 불편한 환자 등이 수동휠체어 등에 탑승하여 경사진 곳, 계단, 또는 평지 등을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 등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등에 의지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곳을 쉽게 이동하거나, 계단 등을 오르는 것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의 소망이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일본 공개특허 2000-313367의 무한벨트로 운동하는 "병약자용 무한 궤도차"가 공개되어있다.
그러나 "병약자용 무한 궤도차"는 경사진 곳, 계단 등을 이동할 시 이용자는 항상 "병약자용 무한 궤도차"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좌석에 착석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이용자가 평지 등을 이동할 시에도 "병약자용 무한 궤도차"의 주행장치를 이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는 경사진 곳, 또는 계단 등을 이동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며 별도의 우회도로, 휠체어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리프터 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우회도로, 엘리베이터, 리프터 등은 고정식 형태로 되어있어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휠체어 등이 경사진 곳, 계단 등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동할수 있는 휠체어 운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에 수동휠체어 등의 탈/부착이 가능한 휠체어 운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에 부착된 수동휠체어 등이 수평조절장치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며, 제2구동부에 의해 이용자 등이 평지 등을 이동할시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 운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한쌍의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한 부분에 부착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토록 구비된 한 쌍의 구동측 풀리와, 메인프레임의 다른 쪽에 구비된 한 쌍의 종동측 풀리를 부착하여 구동측 풀리의 회전에 의해 종동측 풀리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한쌍의 메인 벨트로 이루어진 무한궤도인 메인구동부와, 메인구동부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한 부분에 내재된 종동휠과, 메인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종동휠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한쌍의 제1벨트로 이루어진 무한궤도인 제1구동부를 구비하고, 메인구동부에 대하여 제1프레임을 운동시켜 제1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고, 메인구동부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지지가 되며 메인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좌우 및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부착된 주행모터와, 주행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비하는 회전 롤러를 구비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운반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에 의하면 주행용 메인벨트가 장착되는 메인구동부에 의해 경사진 곳, 계단 등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구동부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수동휠체어 등을 지지한 제1구동부가 항상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탑승자(화물 등)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제2구동부에 의해 수동휠체어 등이 평지 등을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편리성 및 이동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휠체어(50)는 전면에 회전되는 회전휠(51)과, 다수의 지지대(53, 54)를 가지며, 또한 지지대(53, 54)로 연결되어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휠(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는 구동모터(2)가 장착되고, 이 구동 모터(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가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과, 구동모터(2)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의 한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구동측 풀리(3)와, 메인프레임(1)의 한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종동측 풀리(4)와, 구동측 풀리(3), 종동측 풀리(4)가 회전에 의해 메인프레임(1)을 이동하게 하는 한 쌍의 메인벨트(5)를 포함한 메인구동부(10)와, 메인 프레임(1)의 한 부분에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에 대해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장치(40)와, 구동측 풀리(3), 종동측 풀리(4)가 회전에 의해 회전이 가능토록 부착된 종동휠(23)을 포함한 제1구동부(20)와, 메인프레임(1)의 한 부분에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고, 메인구동부(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좌우 및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제2프레임(31)과, 제2프레임(31)에 부착된 주행모터(32)와, 주행모터(32)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비한 회전 롤러(33)를 포함한 제2구동부(30)와, 휠체어(50)를 부착하는 결합구(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구동부(20)는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구비된 종동측 풀리(4)의 회전에, 회전이 가능토록 구비된 제1회전봉(24)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제1구동부(20)는 제1프레임(21)과, 제1벨트(22)와, 종동휠(23)을 포함하고, 제1프레임(21)은 휠체어(50) 등을 탈부착할 수 있는 결합구(61)와, 결합구 프레임(63, 64)를 지지한다.
제1프레임(21)에 결합한 결합구 프레임(63, 64)은 결합구를 구비하여 휠체어(50) 등을 결합하고 프레임가이드(65)를 지지한다.
또 다른 결합구 프레임(64)은 프레임 가이드(65)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실예로 제1구동부(20)에 결합한 결합구 프레임(63, 64)에 보조판(도시되지않음) 등을 설치하여 화물 등을 경사진 곳이나, 계단 등을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평지 등을 이동할 때를 도시한 것이다.
제1프레임(21)과 결합구 프레임(63, 64)에 결합한 휠체어(50) 등은 제2구동부(30)가 메인구동부(10) 회전방향에 대해 상하회전에 의해 제2구동부(30)의 회전 롤러(33)는 지면과 일치하며, 휠체어(50)의 회전휠(51)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휠체어(50)는 지면에 닿아있는 휠체어(50)의 고정휠(52)과 제2구동부(30)의 회전 롤러(33)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이룬다.
휠체어(50)는 제2구동부(30)에 구비된 주행모터(32)의 회전에 의해 회전 롤러(33)가 회전함으로써 휠체어(50)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평지 등을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 8까지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계단을 올라가는 동작을 설명한다.
휠체어(50)를 부착한 휠체어 운반기의 제1구동부(20)가 첫 계단(A)의 모서리를 지나면 메인구동부(10)에 부착된 수평조절장치(40)에 의해 제1구동부(20)가 수평을 유지하며 계단 등을 올라간다.
도 7 을 참조하면, 휠체어(50)의 지지대(53, 54)로 연결되어 후면에 설치된 고정휠(52)이 마지막 계단(B)을 지나면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부착된 제2구동부(30)를 하강시킨다.
도 8 을 참조하면, 제2구동부(3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평조절장치(40)에 의해 휠체어(5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도 12까지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을 설명한다.
휠체어(50)의 지지대(53, 54)로 연결되어 전면에 회전되는 회전휠(51)이 첫 계단(C)에 이르면 메인구동부(10)의 한 부분에 부착된 제2구동부(30)를 하강시키고, 휠체어(50)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휠(52)이 첫 계단(C)에 이르면 제2구동부(30)을 상승시키고, 메인구동부(10)에 부착된 수평조절장치(40)에 의해 휠체어(50) 등을 부착한 제1구동부(20)가 수평을 유지하며 계단 등을 내려온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평지를 이동할 때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계단 등을 올라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9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가 계단 등을 내려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프레임 2; 구동모터
10; 메인구동부 20; 제1구동부
23; 종동휠 30; 제2구동부
32; 주행모터 33; 회전 롤러
40; 수평조절장치 50; 휠체어
61; 결합구 70 ; 밧데리

Claims (1)

  1. 휠체어 운반기에 있어서,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구동측 풀리 및 종동측 풀리와, 상기 구동측 풀리의 회전에 의해 종동측 풀리가 회전하도록 하는 메인벨트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
    상기 메인 구동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절첩 가능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내재된 회전가능한 종동휠과, 상기 종동측 풀리의 회전에 따라 종동휠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벨트 및 메인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 가능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부착되어 회전 가능한 주행모터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휠체어의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제1프레임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KR1020090004013A 2009-01-19 2009-01-19 휠체어 운반기 KR10100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13A KR101007311B1 (ko) 2009-01-19 2009-01-19 휠체어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13A KR101007311B1 (ko) 2009-01-19 2009-01-19 휠체어 운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27A KR20100084727A (ko) 2010-07-28
KR101007311B1 true KR101007311B1 (ko) 2011-01-13

Family

ID=4264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013A KR101007311B1 (ko) 2009-01-19 2009-01-19 휠체어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931B1 (ko) * 2020-07-02 2022-02-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평지 진입 구간의 감지가 가능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102647202B1 (ko) * 2022-06-02 2024-03-13 한국기계연구원 계단 승하강이 가능한 휠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957Y1 (ko) 1995-06-21 1999-08-02 황철 등판기능 휠체어
KR20010053957A (ko) * 1999-12-02 2001-07-02 김길환 고춧가루 제조공정의 신미성분 조절방법 및 자동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957Y1 (ko) 1995-06-21 1999-08-02 황철 등판기능 휠체어
KR20010053957A (ko) * 1999-12-02 2001-07-02 김길환 고춧가루 제조공정의 신미성분 조절방법 및 자동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27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37B2 (en) Personal stair lift
EA015023B1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перемещение по лестнице и преодоление препятствий
KR102046151B1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1150165B1 (ko) 계단 통행이 가능한 휄체어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1007311B1 (ko) 휠체어 운반기
KR102235699B1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US11648171B2 (en) Mobility devices with transitional foot plates
KR102382528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를 이용한 계단 승강방법
US8783403B1 (en) Transfer accessible vehicle for disabled person
CN101648525B (zh) 上下楼车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101889754B1 (ko)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CN110353902B (zh) 一种可上下楼梯的轮椅
KR102037880B1 (ko) 교통약자용 계단 이송 장치
JP4038645B2 (ja) 階段昇降可能な四輪独立駆動電動車椅子
KR200266158Y1 (ko) 이동형 휠체어 리프트
JP4439034B2 (ja) 傾斜用昇降機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CN211674965U (zh) 一种全地形电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