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293B1 -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293B1
KR101007293B1 KR1020080128116A KR20080128116A KR101007293B1 KR 101007293 B1 KR101007293 B1 KR 101007293B1 KR 1020080128116 A KR1020080128116 A KR 1020080128116A KR 20080128116 A KR20080128116 A KR 20080128116A KR 101007293 B1 KR101007293 B1 KR 10100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source
cell interference
qo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439A (ko
Inventor
김동회
김효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2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간에 직접적인 정보교환을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eNB)간의 추가적인 메시지 교환없이 셀 간 간섭(ICI)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기지국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 및 분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 결과, 서비스 요구품질(QoS)의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서빙기지국이 자원을 재할당하는 제 2단계; 및 서빙기지국이 인접기지국에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기지국, 셀, 간섭, eNB, OFDMA, 무선 자원, 서비스 요구품질(QoS)

Description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Method for coordinating inter cell interference between BTS}
본 발명은 기지국간 정보 교환을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간 간섭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간에 직접적인 정보교환을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eNB)간의 추가적인 메시지 교환없이 셀 간 간섭(ICI)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3세대 이동통신망 및 개량된 3세대 이동통신망에 있어 기지국 제어기(BSC)의 중계에 의해 기지국(BTS) 간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 셀 환경에서는 주변 셀들[주 : 통상적으로 기지국의 통신 반경을 셀(cell)이라 지칭하는데, 이하 기지국과 셀은 서로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함]의 통신 상태를 반영하여 무선 자원 관리를 하는데 있어, 기지국간의 정보 교환 과정이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야 되는 것으로 인해 다소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규격으로서 3GPP LTE(3GPP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이 개발되 고 있다.
이와 같은, 3GPP LTE-Advanced 표준 규격에서는 독립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능을 갖는 기지국이 존재하며, 기지국간의 무선 자원 정보는 기지국 제어기를 거치지 않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간에 직접적으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지국은 3GPP LTE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에서 eNB(evolved NodeB)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3GPP LTE-Advanced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단위인 RB(Resource Block)는 기지국마다 구비된 독립적인 DRA 스케줄러에 의해 할당됨으로써, ICIC(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를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멀티 셀 환경에서 독립적인 DRA 스케줄러에 의한 RB할당은 X2 인터페이스(k x TTI(Transmit Time Interval), k > 0)를 통해 얻어진 인접 기지국(eNB)의 채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TTI마다 단말의 QoS를 측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QoS를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 단말에게는 RB를 재할당함으로써, 셀 간 간섭(ICI)을 회피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존의 시스템은 eNB 마다의 DRA 스케줄러가 ICIC(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를 위하여 셀 간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무선 자원(RB)을 단말에게 재할당하도록 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셀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TTI마다 기지국간의 정보 교환이 수행되는데, 이때, 기지국 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하 측정 요구 메시지(Resource Status Request) 및 부하 측정 응답 메시지(Resource Status Response)를 서로 주고받아 이를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서빙기지국에 남아있는 RB의 수가 부족하게 되면, 셀 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RB의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없어 사용자 단말의 QoS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셀 간 간섭을 회피하는 과정에 있어 실시간 변화되는 셀 환경을 고려하고, 서빙기지국에 셀 간 간섭(ICI)을 회피하기 위한 잉여 RB가 부족한 경우에도 QoS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여 부반송파(subcarrier) 또는 부채널(subchannel)과 같은 RB(Resource Block)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eNB)간의 추가적인 메시지 교환없이 셀 간 간섭(ICI)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기지국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 및 분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 결과, 서비스 요구품질(QoS)의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서빙기지국이 자원을 재할당하는 제 2단계; 및 서빙기지국이 인접기지국에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자원 재할당을 요청받은 인접기지국이 서빙기지국에서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과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여 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3단계는 서빙기지국이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대한 자원 지수(RB index)를 인접기지국에 제공하고, 제 4단계는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 지수에 해당하는 자원의 사용을 배제하여 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단계는 서빙기지국에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잉여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만 실시되며, 기지국간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 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단계는 서빙기지국과 인접기지국 간의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TTI(Transmit Time Interval)마다 셀 간 간섭을 회피하여 자원이 재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에 따르면, 서빙셀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대한 셀 간 간섭의 직접적인 감쇠를 통해 QoS를 만족하는 단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빙셀에서 요구된 QoS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인접기지국으로의 무선자원(RB) 재할당 요청이 기지국간 채널 할당 정보교환 시점에 이루 어짐에 따라 기존 시스템에 비해 추가적인 정보교환 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기지국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 및 분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 결과, 서비스 요구품질(QoS)의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서빙기지국이 자원을 재할당하는 제 2단계; 및 서빙기지국이 인접기지국에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 해서 이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A 또는 B"는 A, B, A 및 B를 의미한다. 또, 이하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서빙 기지국의 자원(Resource Block) 할당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빙기지국은 호 수락 제어 부(12), DRA 스케줄러(14), QoS 측정부(16) 및 셀 간 간섭 조정부(ICIC, 18) 등을 포함한다.
우선, 서빙기지국(10)에 신규호 및 핸드오버호가 발생하게 되면, 호 수락 제어부(12)에 의하여 호가 수락 또는 거절된다.
이어, 수락된 호들은 DRA 스케줄러(14)에 의하여 각각 무선 자원(Resource Block)을 할당받게 되고, 자원 할당이 완료되면 QoS 측정부(16)를 통해 사용자별 서비스 요구품질(QoS)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서비스 요구품질(QoS)에 대한 측정은 간섭 신호 세기의 검출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소정 기준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 단말이 발생하게 되면, 서빙기지국(10)은 해당 단말에 자원을 재할당한다.
이 때, 자원의 재할당에 필요한 정보는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며, 자원이 재할당되는 시점은 차기(次期)의 TTI(Transmit Time Interval)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빙기지국(10)은 셀 간 간섭 조정(ICIC)을 위하여 인접기지국(20)과 채널 할당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데, 이때, 정보 교환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할당 정보 교환을 통해 획득된 인접기지국(20)의 데이터는 서빙기지국(10)에서 자원(채널)의 재할당 시, 셀 간 간섭(ICI)을 회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중 첫 번째 자원 재할당 과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빙 기지국(10)이 인접 기지국(20)과의 지속적인 채널 할당 정보 교환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인접기지국(20)과의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자원을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서빙기지국(10)에 잉여 자원(RB)이 다수 존재하되, 상기 자원(RB)이 서비스 요구품질(Qos)를 만족하여 셀 간 간섭(ICI)을 회피할 수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즉, 서빙기지국(10)에 셀 간 간섭의 회피 가능한 잉여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의 자원 재할당 과정만으로 셀 간 간섭의 회피가 어려울 수 있다.
이처럼, 서빙기지국(10)에 잉여 자원(RB)이 존재하지 않아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대한 자원의 재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두 번째 자원 재할당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자원 재할당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빙기지국(10)에 잉여 자원(RB)이 존재하지 않거나, 잉여 자원이 존재하더라도 요구된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시키기 못해 셀 간 간섭의 회피를 위한 자원의 재할당이 불가능할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 이때, 서빙기지국(10)은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업데이트 시, 셀 간 간섭 조정(ICIC)을 위해 인접 기지국(20)에 셀 간 간섭이 심한 자원의 인덱스(RB Index)를 알려준다.
인접기지국(20)은 서빙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자원 인덱스(RB Index) 값 을 참고하여 차기 업데이트 시점까지 해당 자원의 할당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자원을 재할당하게 된다.
이때, 업데이트 되는 자원 인덱스(RB Index)는 이전 채널 상태 업데이트 시점부터 최근 채널 상태 업데이트 시점까지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들에 할당되었던 자원 인덱스(RB Index)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인접기지국(20)에서의 자원 재할당을 통해 서빙기지국(10)은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잉여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위한 자원 할당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에 적용되는 자원(Resource Block)의 시간 단위는 TTI(short term)이고, 채널 상태 업데이트의 주기(long term)는 k x TTI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DRA 스케줄러는 호 수락 제어(CAC)에 의해 자원 할당이 요청된 호들에 대하여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는 자원을 각각 TTI 단위로 할당한다.
서빙 기지국의 DRA 스케줄러는 각 TTI 단위마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함으로써 자원의 재할당을 수행하는데, 이때, 자원 재할당 과정에서는 k x TTI마다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셀 간 간섭 조정(ICIC)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간 채널 상태 정보 교환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에는 간섭 정보 및 채널 상황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서빙 기지국의 DRA 스케줄러를 이용한 자원의 재할당 단계는 서빙셀에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는 잉여 RB 자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에서 서빙셀에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는 잉여 RB 자원이 부족하여 서빙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새로운 RB 자원으로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채널 정보, 즉 자원 인덱스(RB Index)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접기지국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사용 단말들의 서비스 요구품질(QoS) 측정은 k x TTI(Long term) 동안 이루어지며, 이때, 요구된 서비스 요구품질(QoS)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의 채널 정보(RB Index)는 기지국간의 주기적인 채널 상태 업데이트 시 함께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빙기지국으로부터 셀 간 간섭이 심한 단말의 채널 정보(RB index)를 수신한 인접기지국은 해당 단말과 동일한 자원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자원을 재할당함으로써, 서빙기지국의 셀 간 간섭을 줄여주게 된다.
이와 같은 셀 간 간섭이 심한 서빙기지국의 단말의 채널 정보(RB index)를 이용하여 인접기지국의 자원을 재할당하는 과정은 차기 업데이트 시점까지 지속된 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크게 2단계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서빙기지국이 자원(RB)을 할당한 각 단말들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한다. 이때, 심한 셀 간 간섭으로 인해 요구된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이 발생하는 경우, 서빙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원의 재할당을 셀 간 간섭을 고려하여 수행한다.
이때, 서빙기지국은 기지국간 정보교환을 통해 획득한 인접기지국의 채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자원의 재할당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기지국간 정보교환은 서빙기지국이 인접기지국에 부하 측정 요구 메시지(Resource status request)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인접기지국이 부하 측정 응답 메시지(Resource status response)와 함께 채널 상태 업데이트 메시지(Resource status update)를 서빙기지국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지국간의 정보 교환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빙기지국은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셀 간 간섭을 회피하는 자원의 재할당 단계를 수행한다. 단, 이때 서빙기지국에는 셀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다수의 잉여 자원(RB)이 존재하고, 상기 잉여 자원이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여야 한다.
가령, 서빙기지국에 셀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잉여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요구된 사용자 요구품질(QoS)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서빙 기지국에서의 채널 재할당 과정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요구품질(QoS)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기지국에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두 번째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는 서빙기지국에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는 잉여 자원(RB)이 부족하여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수 없을 경우에 동작한다.
이때, 서빙기지국은 기지국간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심한 셀 간 간섭(ICI)을 제공하는 인접기지국에게 자원(RB) 재할당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자원(RB)의 재할당 요청을 받은 인접기지국은 서비스 중인 사용 단말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고려하여 서빙기지국에서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했던 단말과 동일한 자원(RB)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자원(RB)의 재할당을 수행한다.
이처럼 서빙기지국에 잉여자원이 부족하여 셀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없는 경우에 서빙기지국은 기지국간의 주기적인 채널 상태 업데이트 시에 인접기지국으로 자원의 재할당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셀 간 간섭이 심한 단말의 채널 정보(RB index)를 같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기지국은 서빙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단말의 채널 정보(RB index)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과 동일한 자원(RB)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자원을 재할당함으로써, 서빙기지국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는 단말의 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은 일차적으로 서빙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자원 재할당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대해 인접기지국으로 해당 단말과 동일한 자원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인접기지국의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3GPP에서 추진하고 있는 3GPP LTE(3GPP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 등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NB(evolved NodeB) 등과 같이 기지국간에 직접적으로 무선 자원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어떠한 통신망/시스템 등에 그 이점이 백분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서비스 요구품질(QoS)에 대한 측정이 간섭 신호 세기의 검출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더라도 무방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서빙 기지국의 자원(Resource Block) 할당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위한 자원 할당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빙기지국 20 : 인접기지국

Claims (6)

  1. 기지국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에 있어서,
    호의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 결과, 서비스 요구품질(QoS)의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에 서빙기지국이 자원을 재할당하는 제 2단계; 및
    기지국간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 시, 상기 서빙기지국이 인접기지국에 자원 재할당을 요청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재할당을 요청받은 인접기지국이 상기 서빙기지국에서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말과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여 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서빙기지국이 서비스 요구품질(QoS)을 만족하지 못하는 단 말에 대한 자원 지수(RB index)를 인접기지국에 제공하고,
    상기 제 4단계는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 지수에 해당하는 자원의 사용을 배제하여 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서빙기지국에 셀 간 간섭을 회피할 잉여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기지국간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서빙기지국과 인접기지국 간의 채널 할당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TTI(Transmit Time Interval)마다 셀 간 간섭을 회피하여 자원이 재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KR1020080128116A 2008-12-16 2008-12-16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KR10100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16A KR101007293B1 (ko) 2008-12-16 2008-12-16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16A KR101007293B1 (ko) 2008-12-16 2008-12-16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39A KR20100069439A (ko) 2010-06-24
KR101007293B1 true KR101007293B1 (ko) 2011-01-13

Family

ID=4236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116A KR101007293B1 (ko) 2008-12-16 2008-12-16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2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07A (ko) * 2000-04-11 2001-11-07 추후제출 셀룰러 전화기 시스템에서 적응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간섭 매트릭스 장치 및 방법
KR20050019945A (ko) * 2003-08-12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자원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8252372A (ja) 2007-03-29 2008-10-16 Kyocera Corp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07A (ko) * 2000-04-11 2001-11-07 추후제출 셀룰러 전화기 시스템에서 적응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간섭 매트릭스 장치 및 방법
KR20050019945A (ko) * 2003-08-12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자원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8252372A (ja) 2007-03-29 2008-10-16 Kyocera Corp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39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간 간섭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763835B2 (ja) 干渉を処理し及び無線リソースを適宜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無線基地局及び無線基地局における方法
CN107005885B (zh) 使用站点间载波聚合平衡流量负载的设备和方法
EP2735190B1 (en)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510090B1 (ko)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간 간섭 조정을 위한 방법,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US20150163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to mobile station by multiple base stations in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937396B (zh) 一种上行资源调度方法、终端和基站
US20100220670A1 (en) Method for Scheduling to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for Voice Communication in OFDMA
WO2007108449A1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方法
WO20130459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JP2009153136A (ja) 通信システム
JP2010178237A (ja) 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端末装置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102836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
CN103298117A (zh) 一种时频资源的指示及确认方法和装置
JP2011114834A (ja) 基地局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US20140073338A1 (en) Multicoordination scheduling
KR201500153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라디오 접속점 간 조직화 방법 및 장치
US8804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use of adaptive partial frequency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48890A1 (en) Service aware interference management
KR1019798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여 하나의 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7413B1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2014531837A (ja) チャネル品質インジケータを受信するための方法、基地局、および集積回路
KR101093219B1 (ko) 셀간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007293B1 (ko) 기지국간의 셀 간섭 조정 방법
EP2543209B1 (en)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