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994B1 -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994B1
KR101006994B1 KR1020080097861A KR20080097861A KR101006994B1 KR 101006994 B1 KR101006994 B1 KR 101006994B1 KR 1020080097861 A KR1020080097861 A KR 1020080097861A KR 20080097861 A KR20080097861 A KR 20080097861A KR 101006994 B1 KR101006994 B1 KR 10100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body assembly
assembly
shr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770A (ko
Inventor
박준형
양승대
장준호
신민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9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수막이 형성되는 디스크에 부착시켜 저수조 조립체에 담긴 물속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가습 및 공기 청정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디스크구동기어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설계상의 오차 등이 있더라도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의 정확한 물림을 행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Body Assembly for Air Washer}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수막이 형성되는 디스크에 부착시켜 저수조 조립체에 담긴 물속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가습 및 공기 청정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디스크구동기어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설계상의 오차 등이 있더라도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의 정확한 물림을 행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로서,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2472호의 공보 또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등록특허(제775384호, 제775385호, 제805666호, 제809468호, 제809470호, 제809471호, 제845595호, 제845596호)의 공보에서는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가 바디커버와 디스크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바디 조립체를 수조 조립체에 조립하면,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 동기어는 움직임이 없이 맞물리기 때문에, 치형의 설계상 오차, 제조상 오차, 위치상 오차 등으로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가 덜 맞물리면, 소음이 크면서 확실한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치형이 약해져 파손될 우려가 크다.
또한,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가 꽉 맞물리는 경우 언더컷이 일어나거나 회전이 불가능하여 기능을 제대로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형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디스크구동기어의 상하 슬라이딩으로 인해 최적의 맞물림을 형성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는,
디스크구동부를 장착한 바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바디 조립체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치형간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디스크구동부의 상하 슬라이딩으로 보상하여 맞물리기 때문에, 덜 맞물리거나 꽉 맞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는,
상기 바디 조립체는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 커버; 상기 바디 커버에 체결되는 슈라이더; 상기 슈라이더에 체결되는 베이스 바디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슈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바디 사이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는,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디스크구동기어와, 상기 디스크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디스크모터와, 상기 디스크모터를 장착하는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슈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측 및 하측을 상하 가이드하는 상하측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부에는 상기 디스크구동기어가 인출할 인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구동부의 상하 슬라이딩 구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는,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하측 가이드부에 걸리는 상하측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치형 오차 범위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때문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맞물림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는,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에는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치형간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디스크구동부의 상하 슬라이딩으로 보상하여 맞물리기 때문에, 덜 맞물리거나 꽉 맞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슈라이더와 베이스 바디에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측 및 하측을 상하 가이드하는 상하측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부에는 상기 디스크구동기어가 인출할 인출공이 더 형성됨으로써, 디스크구동부의 상하 슬라이딩 구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하측 가이드부에 걸리는 상하측 스토퍼가 더 형성됨으로써, 치형 오차 범위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때문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맞물림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에 소음차단부재를 더 설치하여, 디스크모터의 소음을 간단히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흡입그릴을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크게 수조 조립체(100), 디스크 조립체(200) 및 바디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수조 조립체(100)에는 물을 담는 수조통과 이 수조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 위감지센서를 포함하다.
또한, 수조 조립체(100)는 디스크 조립체(200)의 디스크 샤프트(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디스크 조립체(200)는 다수의 디스크(210), 디스크(210)의 양쪽 끝에 배치되는 디스크피동기어(230)(240), 이들 디스크(210)와 디스크피동기어(230)(240)을 지지 회전하는 디스크 샤프트(220)로 구성하여 있다.
디스크피동기어(230)(240)는 양쪽에 있기 때문에 후술된 디스크구동부(430)의 디스크구동기어(435)와 디스크피동기어(230) 또는 디스크구동기어(435)와 디스크피동기어(240)가 항상 맞물린다.
따라서, 디스크 샤프트(220)의 위치가 180도 바뀌어도 회전하는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급이 대단히 편리하다.
바디 조립체(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디 커버(310), 슈라이더(330) 및 베이스 바디(350)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바디 조립체(300)에는 팬구동부(450), 디스크구동부(430), 컨트롤부(410)가 장착되어 있다.
바디 커버(3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311), 전판(313), 후판(315), 측판(317)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판(311)에는 관통한 흡입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317)의 하단에는 베이스 바디(350)에 형성된 토출그릴(353)이 배치되는 토출그릴배치홈(3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또한 전판(313)에는 후술된 디스플레이부(411)가 끼워지는 끼움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311)의 이면에는 흡입구(312) 둘레의 리브(321)에 성형된 체결리브(323a)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리브(323a)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후술된 슈라이더(330)의 체결공(323b)을 통해 체결된다.
또한, 상판(311)의 이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된 컨트롤부(410)의 상면(431a)에 형성된 끼움홈(325b)이 끼워지는 끼움돌기(32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돌기(325a)에 끼움홈(325b)을 맞추고 앞으로 밀면, 디스플레이부(411)가 끼움공(314)에 바로 끼워져 조립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체결리브(323a)가 상판(31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바디 커버(310)의 내면 전체에는 별도의 리브가 없어, 이음매없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어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음매없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서, 두께를 얇게 하여도 좋기 때문에 경량화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한 바와 같이 슈라이더(330)와 베이스 바디(350)가 분할되어 있어서, 바디 커버(310)와의 간접적으로 체결 연결되기 때문에도 체결리브(323a)의 높이가 높지 않고도 충분히 체결강도를 유지함으로써, 내면 전체에 리브 등을 일체로 성형할 필요가 없다.
슈라이더(330)의 중앙에는 관통공(33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31)의 테두리에는 아래로 돌출한 커버(33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33)의 전후측에는 가이드돌기(335)(3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돌기(335)(336)는 후술되는 베이스 바디(350)의 가이드홈(355)(356)에 끼워져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베이스 바디(350)의 체결리브(357)가 슈라이더(330)의 체결리브(337)에 정확히 위치하여 조립공정을 빠르게 한다.
또한, 슈라이더(330)의 전방측에는 PCB장착케이스(415)의 배면과 좌우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ㄷ'자 형태의 지지프레임(33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PCB장착케이스(415)를 체결할 필요가 없어, 바디 커버(310)의 외관이 이음매없는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50)는 슈라이더(330)에 체결되어 바디 커버(310)의 하면을 마감하는 마감 베이스 역할을 한다.
베이스 바디(350)의 중앙에도 흡입구(312), 관통공(331)과 서로 통하는 관통공(35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바디(350)의 측판에는 토출그릴배치홈(318)에 배치되는 토출그릴(353))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그릴(353)은 베이스 바디(350)와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 그 살두께가 얇아 파손될 우려가 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토출그릴(353)이 베이스 바디(35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 토출그릴(353)을 별도로 성형할 수 있어 살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바디 조립체(300)는 바디 커버(310), 슈라이더(330), 베이스 바디(350)로 분할되어 있고, 슈라이더(330)을 통해 바디 커버(310)와 베이스 바디(350)가 간접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하는 갯수가 늘어나 바디 커버(310)의 내측벽에 큰 강도를 위한 체결리브를 둘 필요가 없어, 바디 커버(310)의 외관이 이음매없는 형태를 구현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바디 조립체(300)의 분할로 인해 후술된 컨트롤부(410)를 체결함이 없이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디 커버(310)의 외관이 이음매없는 형태를 구현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한편, 흡입구(312)의 바로 아래에는 흡입팬(470)이 배치되어 있어, 흡입구(312)에는 흡입그릴(34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탈착 가능한 흡입그릴(340)은 2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째, 흡입그릴(340)을 탈거한 후 흡입구(312)을 통해 흡입팬(470)의 청소를 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 조립체(300)을 분해할 필요가 없다.
둘째, 바디 커버에 일체로 흡입그릴을 형성하여도 좋지만, 이 경우에도 토출그릴과 마찬가지로 일체로 하면 살두께가 얇아 위에서 누르기만 하면 쉽게 구부려지거나 파손되는데, 별도로 흡입그릴을 제작하는 경우 살두께를 바디 커버보다 더 두껍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입그릴(340)의 탈착 구조는 크게 2가지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첫째, 양단 모두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변형에 의해 탈착하는 것(걸림돌기와 걸림턱만 이용)이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나 소비자가 쉽게 흡입그릴을 탈착할 수 있어 번거로움이 덜 하지만 흡입그릴이 임의적으로 탈거되는 경우 흡입팬에 소비자가 갑자기 노출되어 부상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안전 규격에 맞출 필요가 생길 수 있다.
둘째, 일단은 비도구를 이용하고(걸림돌기와 걸림턱), 타단은 도구를 이용(너트와 스크류 이용)해서 탈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흡입그릴(340)의 탈착을 위해 도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갑자기 흡입그릴(340)의 탈거를 방지하여 안전 규격에 적합하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40)의 일단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걸림돌기(341)가 형성되고, 바디 커버(31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41)가 걸리는 걸림턱(3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그릴(340)을 바디커버(310)의 흡입구(312) 상에 올려놓은 후 누르면, 걸림돌기(341)는 탄성변형을 통해 어느 정도 휘면서 내려가서 걸림턱(343)에 걸리게 된다.
한편, 흡입 그릴(340)의 타단에는 체결공(345)이 형성되고, 바디 커버(310)의 타단에는 너트(347)가 인서트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349)가 흡입그릴(340)의 체결공(345)을 삽입 통과되어 너트(347)에 체결된다.
너트(347)는 바디 커버(310)에 형성된 너트장착홈(347a)에 장착되고, 장착된 너트(34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347)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편(347b)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장착홈(347a)에는 체결공(345)과 서로 통하는 관통공(347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조립체(200)를 구동하는 디스크구동부(430)가 슈라이더(330)와 베이스 바디(350) 사이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구동부(430)는 디스크 조립체(200)의 디스크(210)를 회전시키는 디스크피동기어(230 또는 240)와 맞물리는 디스크구동기어(435)와, 디스크구동기어(435)를 구동하는 디스크모터(433)와, 디스크모터(433)를 장착하는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431)를 포함한다.
도 6, 도 19,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라이더(330)와 베이스 바디(350)에는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431)의 상측(431a) 및 하측(432a)을 상하 가이드하는 상하측 가이드부(431b)(432b)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부(432b)에는 디스크구동기어(435)의 치형 일부가 인출되는 인출공(432c)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구동부(43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디스크구동기어(435)와 디스크피동기어(230 또는 240)간의 설계나 제작 오차에 따른 맞물림 이상(덜 맞물리거나 꽉 맞물리는 현상)을 상쇄시켜 원활한 구동을 행할 수 있다.
즉 디스크구동부(430)는 중력에 의해 도 20a와 같이 내려와 있다. 이 상태에서 바디 조립체(310)을 수조 조립체(100)에 결합하면, 디스크구동기어(435)와 디스 크피동기어(230)가 맞물리게 되는데,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구동기어(435)가 최적의 맞물림을 위해 위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431)의 상하측에는 상하측 가이드부(431b)(432b)에 걸리는 상하측 스토퍼(S1)(S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급적 맞물림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디스크구동부(430)가 상하 슬라이딩함으로써, 최소한의 맞물림 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431)에는 디스크모터(433)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437)가 끼워지는 게 바람직하다.
소음차단부재(437)는 흡음부재로서 스펀지 계통이 좋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조립체(200) 및 흡입팬(470)을 구동하는 디스크구동부(430) 및 팬 구동부(450)를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부(400)가 바디 조립체(300)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부(410)는 디스플레이부(411)와, 디스플레이부(411)에 접속되는 PCB(415)와, PCB(415)가 장착되는 PCB장착케이스(41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전원스위치와 팬 구동부(4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는 전술한 바디 커버(310)의 끼움공(314)에 끼워지기 때문에, 컨트롤부(410) 전체가 지지되게 된다.
물론, 컨트롤부(410)의 상면은 바디 커버(310)의 상면 이면에 받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장착케이스(417)의 하면에는 위치결정홈(325b)이 형성되고, 바디 커버(310)에는 위치결정홈(325b)이 끼워지는 위치결정돌기(32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결정홈(325b)이 위치결정돌기(325b)에 끼운 후 앞으로 밀면, 디스플레이부(411)가 끼움공(314)에 바로 끼워져 조립이 빠르다.
또한, 바디 커버(310)의 테두리(321) 일부가 PCB장착케이스(417)의 배면 일부를 받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1)의 작동시 뒤로 밀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411)의 좌우측과 배면을 슈라이더(330)의 지지프레임(339)이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프레임(339)은 PCB장착케이스(417)의 일부 아래쪽을 감싸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어느 정도 위쪽에도 가이드돌기(335)에 걸려 받쳐지는 받침돌기(416)가 형성되면, PCB장착케이스(417) 배면 전체를 받치는 구조를 취하여 안정적이다.
또한, 베이스 바디(350)는 슈라이더(330)에 체결되면서 PCB장착케이스(415)의 하면을 지지한다.
즉 베이스 바디(350)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모서리지지프레임(3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부(410)는 기본적으로 바디 커버(310), 끼움공(314), 지지프레임(339) 및 베이스 바디(350)에 의해 체결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PCB장착케이스(415)의 하면에는 끼움홈(451b)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451b) 에는 후술된 팬 구동부(450)의 끼움돌기(451a)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끼움홈(451b)은 아래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는 끼움홈수용홈(352)이 베이스 바디(350)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입팬(47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팬 구동부(450)가 바디 조립체(310)에 장착되어 있다.
즉, 팬 구동부(45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팬(470)을 구동하는 팬모터(455)와, 팬모터(455)가 장착되는 팬모터장착케이스(450a)와, 팬모터장착케이스(450a)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탈착 가능한 커버(450b)를 포함한다.
팬모터장착케이스(450a)에는 거치대(RA)(RB)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RA)의 끝단에는 끼움돌기(451a)가 형성되고, 거치대(RB)의 끝단에는 체결부(45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돌기(451a)는 끼움홈(451b)에 끼워져 결합되고, 체결부(453a)는 슈라이더(330)에 형성된 체결리브(353b)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커버(450b)에는 팬모터(455)의 회전축이 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팬모터(455)의 열을 방출하는 방출공(4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회전축 인출 구멍은 방출공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커버(450b)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끼움돌기(452a)가 거치커버(ra)(rb)에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RA)(RB)에는 끼움돌기(452a)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턱(4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마치 흡입그릴(340)의 비도구 탈착 기구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커버(450b)가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흡입구(312)를 통해 흡입팬(470)을 탈거한 후, 커버(450b)를 벗겨내어 팬모터(455)의 교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디 조립체(300)를 분해하지 않고도 팬모터(455)을 교환할 수 있어, 수리가 편리하다.
또한, 팬 구동부(450)의 일단은 끼워져 결합하고, 타단은 체결요소로 체결하기 때문에, 양쪽 다 체결하는 것 보다 부품수가 줄고 조립 공정이 빠르다.
거치대(RB)과 거치커버(rb) 사이의 공간은 전선이 인출되는 인출공(S) 역할을 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350)에는 흡입된 에어를 디스크 조립체(200)로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는 가이드블레이드판(491)과, 베이스 바디(350)의 안착면(497)에 안착 체결되는 체결판(493a)으로 구성하여 있다.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로 인해 디스크 조립체(200)로의 흡입 에어를 집중 분사시킬 수 있어, 적은 용량의 팬모터를 사용하여도 큰 가습량을 얻을 수 있고 소음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는 베이스 바디(35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높은 가습량이 필요한 경우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를 부착하고, 낮은 가습량이 필요한 경우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를 분해함으로써,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판(493a)에는 체결위치를 결정하는 체결위치결정홈(495a)이 형성되고, 안착면(497)에는 체결위치결정홈(495a)이 끼워지는 체결위치결정돌기(495b)가 형성되면, 체결위치를 정확히 찾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판(493a)이 끼워지는 끼움홈(493b)이 안착면(497)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끼움홈(493b)에 체결판(493a)을 밀어 삽입하면, 에어가이드블레이드(490)가 임시 조립된 상태로 서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가 없어 체결하는 데 대단히 편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구동기어와 디스크피동기어간의 맞물려 작동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그릴을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바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바디 조립체를 상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바디 조립체를 저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바디 커버, PCB장착케이스, 슈라이더를 분해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바디 커버와 PCB장착케이스의 결합 및 슈라이더를 분해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9는 바디 커버, PCB장착케이스, 슈라이더를 결합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0은 컨트롤부, 슈라이더, 팬구동부, 디스크구동부를 결합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디스크 조립체의 주요 부분을 결합 도시한 상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 조립체를 결합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5는 바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바디 커버와 흡입그릴의 결합 단면도.
도 17은 팬 구동부를 상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디스크 구동부와 베이스 바디를 상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20a 및 도 20b는 디스크구동부의 상하 슬라이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21은 에어가이드블레이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팬 구동부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조 조립체 200 : 디스크 조립체
210 : 디스크 220 : 디스크 샤프트
230,240 : 디스크피동기어 300 : 바디 조립체
310 : 바디 커버 312 : 흡입구
314 : 끼움공 318 : 토출그릴배치홈
325a : 위치결정돌기 325b : 위치결정홈
330 : 슈라이더 335,336 : 가이드돌기
339 : 지지프레임 340 : 흡입그릴
341 : 걸림돌기 343 : 걸림턱
347 : 너트 349 : 스크류
350 : 베이스 바디 352 : 끼움홈수용홈
353 : 토출그릴 354 : 모서리지지프레임
355,356 : 가이드홈 410 : 컨트롤부
411 : 디스플레이부 413 : PCB
415 : PCB장착케이스 416 : 받침돌기
430 : 디스크구동부 431 :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
433 : 디스크모터 435 : 디스크구동기어
437 : 소음차단부재 450 : 팬 구동부
450a : 팬모터장착케이스 450b : 커버
451 : 방출공 455 : 팬모터
470 : 흡입팬 490 : 에어가이드블레이드
491 : 가이드블레이드판 493a : 체결판
493b : 끼움홈 497 : 안착면
495a : 체결위치결정홈 495b : 체결위치결정돌기

Claims (5)

  1. 디스크 구동부를 장착한 바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부는 상기 바디 조립체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조립체는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 커버와, 상기 바디 커버에 체결되는 슈라이더와, 상기 슈라이더에 체결되는 베이스 바디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슈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바디 사이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디스크구동기어와, 상기 디스크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디스크모터와, 상기 디스크모터를 장착하는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슈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측 및 하측을 상하 가이드하는 상하측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부에는 상기 디스크구동기어가 인출할 인출공이 더 형성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하측 가이드부에 걸리는 상하측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모터장착케이스에는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설치되는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20080097861A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100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61A KR101006994B1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61A KR101006994B1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70A KR20100038770A (ko) 2010-04-15
KR101006994B1 true KR101006994B1 (ko) 2011-01-12

Family

ID=4221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61A KR101006994B1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9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729Y1 (ko) * 1987-09-23 1990-05-31 오득원 포획식 공기 정화기
KR20050029317A (ko) *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모터조립체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729Y1 (ko) * 1987-09-23 1990-05-31 오득원 포획식 공기 정화기
KR20050029317A (ko) *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모터조립체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70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655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4175407B2 (ja) 空気調和機
KR101006993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1045654B1 (ko) 가습공기청정기
WO2012096100A1 (ja) フィルタ清掃装置、ダストボックス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087248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CN114963339A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1027057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1006994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2010011102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7891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27061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JP5175943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ダストボックス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2145256A (ja)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2145257A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8200170A (ja) 空気清浄機構
JP6262095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2087969A (ja) 空気調和機
KR20040057983A (ko) 공기 조화기
JP6230505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CN217482878U (zh) 一种空调室内机
JP4745887B2 (ja) 空気清浄機
JP6124847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4878211B2 (ja) 空気清浄機
JP4878212B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