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760B1 -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60B1
KR101006760B1 KR1020080069759A KR20080069759A KR101006760B1 KR 101006760 B1 KR101006760 B1 KR 101006760B1 KR 1020080069759 A KR1020080069759 A KR 1020080069759A KR 20080069759 A KR20080069759 A KR 20080069759A KR 101006760 B1 KR101006760 B1 KR 10100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
coil
motor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71A (ko
Inventor
임채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9Restarting, e.g. after power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상 전원으로부터 모터로의 전력공급을 전자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제어 스위치와, 3상 전원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원선과 접속된 트랜스포머의 2차코일의 일단을 자동단자와 수동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자동단자로부터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구동코일 및 제2 제어스위치와, 일단이 제1구동코일과 제2제어스위치 사이에 접속되어 제1구동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되는 제1접점 스위치와, 제1접점 스위치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제어코일과, 제1접접스위치와 병렬접속된 제3제어스위치와, 제1제어코일과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보호 스위치 및 3상 전원의 이상이 판단되면 보호 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는 모터 보호부를 구비하고, 제1제어코일로의 전류도통 유무에 따라 제1 및 제3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되고, 제2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자동모드시 순간 정전 이후 전원공급이 재개되면 모터로의 전력공급이 재개됨으로써 모터의 가동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 어류 양식장에 적용되는 경우 생물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69759
순간 정전, 모터 보호, 자동모드

Description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motor driver recovering from instant power cut}
본 발명은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정전 이후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모터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모터를 기동시키는 방식에는 전자식 개폐기를 이용하여 전원 전압을 직접 모터에 공급하는 직입 기동방식과, 3개의 전자식 개폐기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권선을 기동시에는 스타 결선형태로, 운전중에는 델타 결선형태로 절환시키는 스타-델타 소프트 스타터 방식이 있다.
한편, 모터의 운전 중에도 역상, 결상, 불평형, 과부하, 과전류 등을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근거로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모터를 보호해 주는 전자식 모터 보호용 릴레이(EMPR;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가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식 모터 보호용 릴레이는 전원공급개시를 푸시버튼의 조작에 의해 초기 구동전류가 인가되면 이에 연동 되는 릴레이에 의해 정상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순간 정전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된 후 전 원이 다시 공급되어도 푸시버튼의 조작을 다시 수행하지 않으면 모터 보호용 릴레이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양식장에서 산소 공급 또는 급수를 위해 사용되는 모터의 경우 이러한 순간 정전 이후 전원 공급 재개시에도 모터의 지속적인 구동 중단은 양식 대상 어류 또는 패류의 폐사를 야기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막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터 보호 회로를 적용하면서도 순간 정전 이후 전원공급이 재개되면 모터로의 전력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는 3상 전원과 모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로의 전력공급을 전자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제어 스위치와; 상기 3상 전원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원선과 접속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과 커플링된 2차코일로 된 트랜스포머와; 상기 2차코일의 일단을 자동단자와 수동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상기 자동단자로부터 상기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구동코일 및 제2 제어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구동코일과 상기 제2제어스위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구동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되는 제1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1접점 스위치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제어코일과; 상기 제1접접스위치와 병렬접속된 제3제어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코일과 상기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보호 스위치; 및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3상 전원의 각 상의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3상 전원의 이상 여부 및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 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는 모터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코일로의 전류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되고, 상기 제2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게 구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3상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와 상기 3상 전원 사이에 접속된 차단기와; 상기 수동단자와 상기 제1접점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제1 푸시스위치와; 상기 제1접점스위치와 병렬접속된 제2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푸시스위치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스위치 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푸시스위치는 외력이 인가되면 스위치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 적용된다.
또한, 소프트 스타트 방식을 적용할 경우 상기 모터의 기동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의 접점에 대해 상기 모터가 스타 결선이 될 수 있게 상기 모터의 권선과 접속될 수 마련된 제4제어 스위치와; 상기 모터의 운전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의 접점에 대해 상기 모터가 델타 결선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권선과 상기 3상 전원 사이에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제5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코일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제2접점스위치, 제6제어스위치 및 제2제어코일과; 상기 제6제어스위치 및 제2제어코일과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접속된 타이머 본체와; 상기 제1제어코일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타이머 스위치 및 제2구동코일과; 상기 타이머 스위치와 병렬 접속된 제3접점스위치와; 상기 제2구동코일과 병렬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제7제어스위치 및 제3제어코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4제어스위 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상기 제7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며, 상기 제3제어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5제어 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상기 제6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며, 상기 제2구동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2접점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고, 상기 제3접점 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며, 상기 타이머 본체는 전류공급차단시 상기 타이머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전류가 도통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타이머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도록 구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에 의하면, 자동모드시에는 순간 정전 이후 전원공급이 재개되면 모터로의 전력공급이 재개됨으로써 모터의 가동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 어류 양식장에 적용되는 경우 생물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단기(10)는 모터(100)에 공급되는 3상 전원(13)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허용 전류 이상이 되면 스위치 오프 될 수 있는 공지의 것이 적용된다.
제1제어스위치(MC11)는 3상 전원(13)과 모터(100) 사이의 각 전원공급선에 마련되어 모터(100)로의 전력공급을 제1제어코일(MC11)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전자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트랜스포머(20)는 3상 전원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원선(S, T)과 접속된 1차 코일(21)과, 1차 코일(21)과 커플링된 2차코일(22)을 구비한다.
여기서 트랜스 포머(20)의 2차 코일(22)을 통해 변압된 전력은 모터 보호부(30), 램프(L1 내지 L5)의 구동전력으로 사용된다.
모드 선택스위치(42)는 2차코일(22)의 일단을 자동단자(43)와 수동단자(44) 중 어느 하나를 접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41은 메인 스위치이다.
제1구동코일(RL10) 및 제2제어스위치(MC12)는 자동단자(43)로부터 2차코일(22)의 타단과 전류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렬접속되어 있다.
제1접점스위치(RL11)는 일단이 제1구동코일(RL10)과 제2제어스위치(MC1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접점 스위치(RL11)는 제1구동코일(RL10)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된다. 여기서 제1접점 스위치(RL11)와 제1구동코일(RL10)은 상호 한조를 이루는 릴레이 스위치 구조로 되어 있다.
제3제어스위치(MC13)는 제1접접스위치(RL11)와 병렬접속되어 있다.
제1제어코일(MC10)은 제1접점 스위치(RL11)의 타단과 직렬접속되어 있다.
제1제어코일(MC10)은 제1 내지 제3제어 스위치(MC11)(MC12)(MC13)를 구동하는 구동코일로서 상호 한조를 이루는 릴레이 스위치 구조로 되어 있다.
보호 스위치(32)는 제1제어코일(MC10)과 2차코일(22)의 타단과 직렬접속되어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모터보호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된다.
참조부호 L1은 운전표시램프이고, L2는 수동모드 표시램프이고, L3는 자동모드 표시램프이고, L4는 전원표시램프이고, L5는 과부하 표시램프이다.
또한, 참조부호 34는 모터 보호부(30)에 제어되어 과부하 표시램프(L5)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램프 제어 스위치이다.
모터 보호부(30)는 모터(100)로 공급되는 3상 전원(13)의 각 상(R, S, T)의 전류를 검출하여 3상 전원의 역상, 결상, 과전류 또는 과부하를 판단하고, 이상으로 판단되면 보호 스위치(32)가 오프되게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모터 보호부(30)는 모터(100)로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램프 제어스위치(34)가 온되게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코일(MC10)에 의해 연동되는 제1 내지 제3제어스위치(MC11)(MC12)(MC13)는 릴레이 스위치 방식의 구조가 적용되되, 제1제어코일(MC10)의 전류도통 유무에 따라 제1 및 제3제어스위치(MC11)(MC13)는 스위치 온/오프되고, 제2제어스위치(MC12)는 스위치 오프/온 되게 구성된다.
한편, 제1푸시스위치(71)는 수동단자(44)와 제1접점 스위치(RL11)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제2푸시스위치(72)는 제3제어스위치(MC13)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푸시스위치(71)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2푸시스위치(72)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스위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적용된다. 즉, 제1푸시스위치(71)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외력을 스위치 오프 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야 하고, 제2푸시스위치(72)도 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외력을 스위치 온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야 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수동 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모터(100) 구동을 위해 먼저 제2푸시스위치(72)를 스위치 온되게 조작하면, 2차 코일(22)에서 제2푸시스위치(72)를 통해 제1제어코일(MC10)로 이어지는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되고, 제1제어코일(MC10)의 전류 도통에 연동되어 제1제어스위치(MC11) 및 제3제어스위치(MC13)은 스위치 온되고, 제2제어스위치(MC12)는 스위치 오프 된다. 따라서, 제2푸시 스위치(72)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여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도, 제1푸시스위치(71), 제3제어스위치(MC13) 및 제1제어코일(MC10) 및 보호 스위치(32)로 이어지는 전류루프가 유지됨으로써 모터(100)로의 전력공급은 계속 유지된다.
수동모드로 모터(100)가 가동중인 상태에서 순간 정전에 의해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제1 및 제3 제어스위치(MC11)(MC13)가 오프됨으로써 모터(100)의 가동은 중단되고, 이후 전원 공급이 재개되어도 제2푸시스위치(72)가 오프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터(100)로의 전력공급은 계속 차단된다.
따라서, 수동모드는 관리자가 장치의 작동 상황을 감시하는 경우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는 2차코일(22)에서 제1구동코일(RL10)과 제2제어스위치(MC12)로 이어지는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구동코일(RL10)의 전류 도통에 연동되어 제1접점스위치(RL11)가 스위치 온됨으로써,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제어스위치(MC11)(MC13)는 스위치 온되고, 제2제어스위치(MC12)는 스위치 오프 된다. 이후에도 제1구동코일(RL10), 제1접점스위치(RL11) 및 제1제어코일(MC10)로 이어지는 전류도통 경로를 계속 유지된다. 이러한 자동모드 상태에서 순간 정전이 이루어지면,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100)는 가동이 중단되지만, 이후 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 공급이 재개되어 모터(100)가 재가동된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모터(100)를 기동시에는 스타(Y) 결선형태로, 운전중에는 델타 결선형태로 절환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회로가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제어스위치(MC11)의 타단에는 모터(100)의 기동시 접속될 수 있도록 제1제어스위치(MC11)의 접점에 대해 모터(100)와 스타 결선형태로 접속될 수 있게 모터(100)의 권선(X, Y, Z)을 공통 접속시키는 제4제어스위치(MC24)가 마련되어 있다.
제5제어스위치(MC35)는 모터(100)의 기동 이후 운전시 접속될 수 있도록 제1제어스위치(MC11)의 접점에 대해 모터(100)가 델타 결선이 될 수 있도록 모터(100)의 권선(X, Y, Z)과 3상 전원(13) 사이에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제2제어코일(MC20), 제2접점스위치(RL22), 제6제어스위치(MC36)은 제1제어코일(MC10)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 본체(T)(81)는 제6제어스위치(MC36) 및 제2제어코일(MC20)과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 스위치(Tsw)(82)와 제2구동코일(RL20)은 제1제어코일(MC10)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접점스위치(RL23)는 타이머 스위치(Tsw)(82)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7제어스위치(M27) 및 제3제어코일(MC30)은 제2구동코일(RL20)과 병렬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2제어코일(MC20)과 제4제어스위치(MC24), 제7제어스위치(MC27)은 한조로 쌍을 이루어 상호 연동되는 릴레이 스위치 구조로 되어 있고, 제2제어코일(MC20)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제4제어스위치(MC24)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제7제어스위치(MC27)는 스위치 오프/온 된다.
또한, 제3제어코일(MC30)과 제5제어스위치(MC35), 제6제어스위치(MC36)은 한조로 쌍을 이루어 상호 연동되는 릴레이 스위치 구조로 되어 있고, 제3제어코일(MC30)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제5제어 스위치(MC35)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제6제어스위치(MC36)는 스위치 오프/온 된다.
제2구동코일(RL20)과 제2접점스위치(RL22), 제3접점스위치(RL23)은 한조로 쌍을 이루어 상호 연동되는 릴레이 스위치 구조로 되어 있고, 제2구동코일(RL20)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제2접점스위치(RL22)는 스위치 오프/온 되고, 제3접점 스위 치(RL23)는 스위치 온/오프 된다.
타이머 본체(T)(81)는 전류공급차단시 타이머 스위치(82)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전류가 도통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에 타이머 스위치(82)를 스위치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방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앞서 설명되 바와 같이 2차코일(22)에서 제1구동코일(RL10)과 제2제어스위치(MC12)로 이어지는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된 후, 제1구동코일(RL10)의 전류 도통에 연동되어 제1접점스위치(RL11)가 스위치 온됨으로써,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3제어스위치(MC11)(MC13)는 스위치 온되고, 제2제어스위치(MC12)는 스위치 오프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2접점스위치(RL22) 및 제6제어스위치(MC36) 및 제2제어코일(MC20)으로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되고, 타이머 본체(81)에도 전류공급이 개시된다. 따라서, 제4제어스위치(MC24)는 스위치 온되어 스타 결선방식에 의한 모터(100)로의 전류공급이 개시되며, 제7제어스위치(MC27)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타이머 본체(81)가 전류 도통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 스위치(82)를 턴온 시킴으로써, 제2구동코일(RL20)로의 전류공급이 개시되고, 그에 따라 제2접점스위치(RL22)는 스위치 오프되고, 제3접점 스위치(RL23)는 스위치 온 된다. 그 결과, 제3접점스위치(RL23), 제7제어스위치(M27) 및 제3제어코일(MC30)로의 전류루프를 통한 전류도통 경로가 형성되어 제6제어스위치(MC36)는 스위치 오프 됨으로써 그에 연동되는 제4제어스위치(MC24)는 스위치 오프 되고, 제5제어스위치(MC35)는 스위치 온 되어 델타 결선 방식으로 모터(100)로의 전류공급 이 유지된다.
이러한 자동모드 상태에서 순간 정전이 이루어지면,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100)는 가동이 중단되지만, 이후 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제어코일(MC10)로의 전류 공급이 재개되어 모터(100)가 재가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3상 전원과 모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로의 전력공급을 전자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제어 스위치와;
    상기 3상 전원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원선과 접속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과 커플링된 2차코일로 된 트랜스포머와;
    상기 2차코일의 일단을 자동단자와 수동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상기 자동단자로부터 상기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구동코일 및 제2 제어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구동코일과 상기 제2제어스위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구동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되는 제1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1접점 스위치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제1제어코일과;
    상기 제1접점스위치와 병렬접속된 제3제어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코일과 상기 2차코일의 타단과 직렬접속된 보호 스위치; 및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3상 전원의 각 상의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3상 전원의 이상 여부 및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 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는 모터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코일로의 전류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되고, 상기 제2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며,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3상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와 상기 3상 전원 사이에 접속된 차단기와;
    상기 수동단자와 상기 제1접점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제1 푸시스위치와;
    상기 제1접점스위치와 병렬접속된 제2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푸시스위치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스위치 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푸시스위치는 외력이 인가되면 스위치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 적용되며,
    상기 모터의 기동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의 접점에 대해 상기 모터가 스타 결선이 될 수 있게 상기 모터의 권선과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제4제어 스위치와;
    상기 모터의 운전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스위치의 접점에 대해 상기 모터가 델타 결선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권선과 상기 3상 전원 사이에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제5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코일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제2접점스위치, 제6제어스위치 및 제2제어코일과;
    상기 제6제어스위치 및 제2제어코일과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접속된 타이머 본체와;
    상기 제1제어코일에 대해 병렬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타이머 스위치 및 제2구동코일과;
    상기 타이머 스위치와 병렬 접속된 제3접점스위치와;
    상기 제2구동코일과 병렬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도록 상호 직렬접속된 제7제어스위치 및 제3제어코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4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상기 제7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며, 상기 제3제어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5제어 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고, 상기 제6제어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며, 상기 제2구동코일의 전류 도통 유무에 따라 상기 제2접점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온 되고, 상기 제3접점 스위치는 스위치 온/오프 되며, 상기 타이머 본체는 전류공급차단시 상기 타이머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전류가 도통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타이머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KR1020080069759A 2008-07-17 2008-07-17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KR10100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59A KR101006760B1 (ko) 2008-07-17 2008-07-17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59A KR101006760B1 (ko) 2008-07-17 2008-07-17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71A KR20100009071A (ko) 2010-01-27
KR101006760B1 true KR101006760B1 (ko) 2011-01-11

Family

ID=4181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759A KR101006760B1 (ko) 2008-07-17 2008-07-17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420A (ko) * 1997-11-26 2001-04-16 지. 카파트 2-[2-[4-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톡시]아세트산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의 유사다형태
KR20050072989A (ko) * 2004-01-08 2005-07-13 김영준 모터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420A (ko) * 1997-11-26 2001-04-16 지. 카파트 2-[2-[4-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톡시]아세트산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의 유사다형태
KR20050072989A (ko) * 2004-01-08 2005-07-13 김영준 모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71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8937A (ko) 분리 가능한 권선 모터용 스타터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KR100883507B1 (ko) 삼상유도전동기의 절전구동장치
KR101006760B1 (ko) 모터 순간 정전 복원 장치
JP4533034B2 (ja) 交流電力調整装置
CN108227599B (zh) 排污泵水泵智能控制系统
KR100824051B1 (ko)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가 구비된 엠씨씨
JP2007035388A (ja) 自動機械の電源供給装置
JP5764680B2 (ja) 突入電流防止装置
TWM450893U (zh) 供電保護裝置及供電系統
KR100483573B1 (ko) 전동기 자동전환운전 장치
KR100657063B1 (ko)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CN107546711B (zh) 动力设备系统及动力设备系统的控制方法
JP2008107047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制御装置
KR100919450B1 (ko) 누전검출과 트립코일 구동에 분리된 전원을 사용하는 누전차단기
JP2019186077A (ja) 電源遮断装置
KR100190139B1 (ko) 압축기의 구동모터 전원접속제어장치 및 전원접속제어방법
KR0111963Y1 (ko) 펌프
JP200109101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7267481A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RU247756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й обмотк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101650558A (zh) 智能化单机定时控制器
KR100685461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KR950003016Y1 (ko) 3상모터의 결상보호 자동제어장치
KR200287553Y1 (ko) 전동기 자동전환운전 장치
KR200367006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