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574B1 -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 Google Patents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574B1
KR101006574B1 KR1020080129168A KR20080129168A KR101006574B1 KR 101006574 B1 KR101006574 B1 KR 101006574B1 KR 1020080129168 A KR1020080129168 A KR 1020080129168A KR 20080129168 A KR20080129168 A KR 20080129168A KR 101006574 B1 KR101006574 B1 KR 10100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hinge
pair
lead screw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571A (ko
Inventor
조현덕
Original Assignee
삼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5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프트 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편과, 회전편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되 타측에는 렌치의 손잡이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렌치 결합구를 포함하며, 렌치 결합구에 결합된 렌치가 리드스크류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편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을 제공한다.
차량, 렌치, 결합구, 리프트 잭, 리드스크류, 링크암, 회전편, 손잡이부

Description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LIFT JACK FOR AUTOMOBILE WITH WRENCH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치를 이용하여 리프트 잭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프트 잭은 타이어 교환이나 차량의 하측부 정비 등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의 필수 정비 공구로서,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 잭(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암(11)과 하부암(12)이 마름모꼴로 결합된 구조이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암(11)의 일단은 차체를 지지하는 거치대(13)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암(12)의 일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4)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암(11)과 하부암(12)의 타단은 각각 힌지축(15)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양쪽의 힌지축(15)을 관통하여 리드스크류(16)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6)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 힌지축(15)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좁혀지게 되며, 상부암(11)과 하부암(12)의 경사각이 변화되면서 거치대(13)가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리프트 잭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6)의 일단에 관통홀(17a)을 가진 회전편(17)이 리드스크류(16)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관통홀(17a)에 잭핸들(20)의 일단이 삽입되는데, 잭핸들(20)은 그 일단에 절곡형성된 갈고리(21)가 구비되어 관통홀(17a)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작업자가 잭핸들(20)을 파지하는 손잡이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잭핸들(20)의 손잡이부(22)를 잡고 잭핸들(20)을 축회전시키면, 이 잭핸들(20)이 연결된 회전편(17)이 회전되면서 리드스크류(16)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잭핸들(20)을 사용하는 경우, 갈고리(21)가 구비된 일단에는 상당히 높은 회전토크(torque)가 걸리게 되므로, 잭핸들(20)은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서 제작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소재 구입과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그 무게도 상당히 무겁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잭핸들(20)을 리드스크류(16)와 동일 축선상에 일치시켜 회전시켜야 작업이 용이한데, 이 경우 잭핸들(20)의 구조상 회전시키는 작업자의 손이 지면에 닿아 상처를 입는 경우도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잭핸들(20)의 손잡이부(22)가 지면 가까이에 접근하면 잭핸들(20)을 리프트잭(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회전작업이 용이한 위치로 잭핸들(20)의 갈고리(21)를 리프트잭(10)의 회전편(17)에 결합시켜야 하는 등 사용상 번거로운 점이 있다.
아울러, 잭핸들(20)을 리드스크류(16)와 동일 축선상에 일치시켜 작업하기가 곤란하여 약간 경사지게 기울여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토크가 크게 걸려서 잭핸들(20)의 회전작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며, 작업중 갈고리(21)가 관통홀(17a)로부터 이탈되거나 잭핸들(20)을 분실하는 경우도 있다.
도 2는 렌치(30)를 사용하여 리프트 잭(10)을 작동시키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일단에 갈고리(21')가 형성된 직선 형태의 잭핸들(20')에 렌치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잭핸들(20')의 갈고리(21')는 회전편(17)의 관통홀(17a)에 끼우고, 잭핸들(20')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너트(22')에는 렌치(30)의 손잡이부(31)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32)을 끼운 후,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렌치(30)를 회전시킴으로써 잭핸들(20')과 함께 리드스크류(1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자동차 정비공구로서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렌치(30)를 잭핸들(20')의 손잡이로 사용함에 따라, 잭핸들(20')의 제작비용 감소와 무게감소의 효과가 있다.
반면에, 삽입홀(32) 또는 삽입홀(32)에 끼워지는 너트(22')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곤란하고, 렌치(30)를 회전시키는 동안 렌치(30)의 일단 즉 소켓부(33)가 지면에 닿게 되면, 더 이상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일단 렌 치(30)를 분리한 후, 다시 회전이 가능한 위치로 결합시켜야 하는 등 사용상 번거로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프트 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편과, 회전편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되 타측에는 렌치의 손잡이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렌치 결합구를 포함하며, 렌치 결합구에 결합된 렌치가 리드스크류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편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프트 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편과, 회전편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되 타측에는 렌치의 손잡이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렌치 결합구를 포함하며, 렌치 결합구에 결합된 렌치가 리드스크류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편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이 가능한,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이 제공된다.
여기서 렌치 결합구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함체형으로서, 전면에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양쪽 측벽의 후단에서 서로 대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의 끝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힌지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되, 회전편은 한 쌍의 힌지결합부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손잡이부의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홀의 일측에는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수용홀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힌지결합부는, 한 쌍의 절곡부 끝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한 쌍의 연장부 끝단에 힌지공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한 쌍의 힌지부 양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되, 단턱이 회전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힌지결합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아울러, 삽입홀의 내주면은 마찰에 의한 렌치의 손잡이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디버링(deburring)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에 의하면, 렌치 결합구에 렌치를 결합하여 리프트 잭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잭핸들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비용 절감과 무게 감소에 의한 연비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렌치가 리드스크류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편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연속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잭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프트 잭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 가 구비된 리프트 잭과 렌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렌치 결합구가 회전편의 표면을 따라 회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의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의 전면과 상부에서 각각 바라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이하, '리프트 잭')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링크암(120)과, 하부링크암(120)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링크암(130)과, 하부링크암(120)과 상부링크암(130)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140)과, 양쪽의 힌지축(140)을 관통하여 관통하여 설치되되 한 쪽의 힌지축(140)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150), 및 상부링크암(130)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160)를 포함한다.
또한, 리드스크류(150)의 일단에는 관통공(210)을 가진 회전편(200)이 리드스크류(150)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 회전편(200)을 축회전시킴으로써 리드스크류(150)의 축회전에 의한 거치대(16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회전편(200)에는 렌치 결합구(300)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데, 이때 회전편(200)의 표면 일측에는 걸림턱(220)이 돌출 형성되어 렌치 결합구(300)가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 잭(100) 작동시에는 렌치 결합구(300)에 렌치(1)를 결합하고, 렌치(1)와 리드스크류(150)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렌치 결합구(300)를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킨 후, 회전편(200)과 렌치 결합구(300)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렌치(1)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편(200)과 리드스크류(150)를 함께 회전시켜 리프트 잭(100)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별도의 잭핸들 없이 용이하게 리프트 작업이 가능하다.
렌치 결합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간부(301)를 가진 육면체의 함체형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렌치 결합구(300)의 전면(310)과 후면(320)에는 삽입홀(311,321)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 측벽(330)의 후단에서 한 쌍의 절곡부(340)와 한 쌍의 힌지결합부(350)가 연장 형성되는데, 한 쌍의 절곡부(340)는 서로 대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고, 한 쌍의 힌지결합부(350)는 각각 절곡부(340)의 끝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311,321)은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렌치(1)의 손잡이부(2)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2a)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홀(311,321)의 일측에는 이 걸림돌기(2a)에 대응하여 수용홀(311a,321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돌기(2a)는 렌치 결합구(300)와 렌치(1)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310) 또는 후면(320)의 수용홀(311a,321a)을 통과한 걸림돌기(2a)는, 렌치(1)를 비틀어서 소정 각도 축회전시킴에 따라 전면(310) 또는 후면(320)의 삽입홀(311,321) 외주면에 걸리게 되어, 렌치 결합구(300)로부터 렌치(1)가 예기치 못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홀(311,321)에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삽입되면 삽입홀(311,321)의 내주면(311b,321b)과 손잡이부(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홀(311,321)의 내주면(311b,321b)은 약간 볼록하게 디버링(deburring)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편(200)은 한 쌍의 힌지결합부(350) 사이에 위치되는데, 여기서 한 쌍의 힌지결합부(350)는 절곡부(340) 끝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351)와, 한 쌍의 연장부(351) 끝단 중앙에서 원호 형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힌지공(352a)을 가진 한 쌍의 힌지부(352)와, 연장부(351)로부터 힌지부(352)가 단차져서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351)와 힌지부(352)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353)을 포함한다.
이때, 힌지결합부(350)의 단턱(353)은 렌치 결합구(3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회전편(200)이 한 쌍의 힌지부(352)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렌치 결합구(300)에 힌지 결합될 때, 회전편(200)의 관통공(210)과 힌지부(352)의 힌지공(352a)은 동일 중심축 상에서 대향하게 되고,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구가 관 통공(210)과 힌지공(352a)을 차례로 관통하여 힌지축(140)으로서 결합하게 되며, 렌치 결합구(300)는 이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렌치 결합구(300)에 렌치(1)를 결합시킨 상태로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를 지나서 회전하는 경우, 렌치(1)의 일측이 리프트 잭(100)에 지지된 차체의 일측에 접촉하면서 차체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300)는,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할 때, 소정 각도를 벗어나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편(2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20)에 힌지결합부(350)의 단턱(353)이 걸리도록 하여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함으로써, 이러한 차체 손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양쪽 측벽(330)에는 소재 절감을 위해 장방형 타원 형상으로 관통공(3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트 잭(100)의 회전편(200)이 렌치 결합구(300)의 한 쌍의 힌지부(35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구가 회전편(200)의 관통공(210)과 힌지부(352)의 힌지공(352a)을 차례로 관통하여 힌지축(140)으로서 결합 한다.
이때, 리프트 잭(100) 제작시 회전편(200)에 렌치 결합구(300)가 힌지 결합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리프트 잭(100) 사용시 사용자가 별도의 렌치 결합구(300)를 회전편(200)에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구로 힌지 결합한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치 결합구(300)에 렌치(1)의 손잡이부(2)를 삽입하는데, 이때 렌치(1)의 손잡이부(2)는 렌치 결합구(300)의 전면(310)에 구비된 삽입홀(311)을 지나 후면(320)에 구비된 삽입홀(321)로 단부가 노출되고, 이때, 렌치(1)의 손잡이부(2)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2a)는 삽입홀(311,321) 일측의 수용홀(311a,321a)을 통과하게 되며, 삽입후 사용자가 렌치(1)를 약간 비틀어줌으로써 걸림돌기(2a)가 후면(320)의 삽입홀(321) 외측에 걸리면서 렌치(1)가 렌치 결합구(300)로부터 예상치 못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치 결합구(300)로부터 렌치(1)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돌기(2a)와 수용홀(321a)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렌치(1)를 회전시켜 간단히 분리해낼 수 있다.
렌치 결합구(300)에 렌치(1)를 삽입한 후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1)의 소켓부(3)를 잡고 일방향으로 밀어서 렌치 결합구(300)의 힌지부(352)가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게끔 한다.
이후, 렌치(1)의 소켓부(3)를 잡은 상태에서 렌치(1)의 손잡이부(2)를 회전편(200)을 중심으로 원뿔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편(200)과 함께 리드스크 류(150)가 축회전되도록 회전토크를 가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50)와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직각에 가까울수록 렌치(1)의 손잡이부(2) 회전반경이 커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리드스크류(150)를 축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50)와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이루는 각도가 클수록 리드스크류(150)의 축회전을 위해 큰 힘이 요구되는 반면에, 렌치(1)의 손잡이부(2)의 회전반경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은 동작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공간이나 사용자의 작업자세 등 주어진 여건에 따라, 렌치(1)의 손잡이부(2)와 리드스크류(150)가 이루는 각도를 적절히 선택하여, 리프트 잭 승강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리드스크류(150)와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이루는 각도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서 너무 작아지면 렌치(1)가 회전하면서 리프트 잭(100)에 지지된 차체의 일측에 접촉하여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편(200)의 일측에는 걸림턱(220)이 돌출 형성되고, 힌지부(352)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서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힌지결합부(350)의 단턱(353)이 회전편(200)의 걸림턱(22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아울러, 리드스크류(150)의 축회전을 위해 렌치(1)를 회전시키는 중에, 리드스크류(150)와 렌치(1)의 손잡이부(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50)와 렌치(1)의 손잡이 부(2)가 직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렌치(1)의 소켓부(3)를 잡고 지면에 대하여 손잡이부(2)를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중에, 소켓부(3)가 지면과 닿게 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그 전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힌지부(352)를 회전시켜 렌치(1)의 손잡이부(2)를 대칭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손잡이부(2)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시켜 리프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전편(200)의 표면을 따라 힌지부(352)를 회전시켜 렌치(1)의 손잡이부(2)를 대칭 방향으로 그대로 회전시키면, 차체의 외측을 향하던 렌치(1)의 소켓부(3)가 차체의 내측을 향하게 되어 파지가 곤란한 한편, 렌치(1)의 소켓부(3)에 의해 차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렌치(1)는 렌치 결합구(300) 내에서 자유롭게 축회전 가능하므로, 렌치(1)의 손잡이부(2)가 축회전되도록 렌치(1)를 약간씩 비틀면서 회전시킴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3)가 항상 차체의 외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체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렌치(1)의 파지자세를 바꿀 필요없이 편리하게 연속적으로 리프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잭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프트 잭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과 렌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렌치 결합구가 회전편의 표면을 따라 회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의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의 전면과 상부에서 각각 바라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의 다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렌치
100 :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110 : 베이스 120 : 하부링크암
130 : 상부링크암 140 : 힌지축
150 : 리드스크류 160 : 거치대
200 : 회전편
300 : 렌치 결합구 310 : 전면
320 : 후면 330 : 측벽
340 : 절곡부 350 : 힌지결합부
351 : 연장부 352 : 힌지부
352a : 힌지공 353 : 단턱

Claims (5)

  1.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프트 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되 타측에는 렌치의 손잡이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렌치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렌치 결합구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함체형으로서, 전면에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고, 양쪽 측벽의 후단에서 서로 대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힌지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편은 상기 한 쌍의 힌지결합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렌치 결합구에 결합된 렌치가 상기 리드스크류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회전편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이 가능한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수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절곡부 끝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끝단에 힌지공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 양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되,
    상기 단턱이 상기 회전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힌지결합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은 마찰에 의한 상기 렌치의 손잡이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디버링(deburring)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리프트 잭.
KR1020080129168A 2008-12-18 2008-12-18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KR10100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68A KR101006574B1 (ko) 2008-12-18 2008-12-18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68A KR101006574B1 (ko) 2008-12-18 2008-12-18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71A KR20100070571A (ko) 2010-06-28
KR101006574B1 true KR101006574B1 (ko) 2011-01-07

Family

ID=4236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168A KR101006574B1 (ko) 2008-12-18 2008-12-18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9069A (zh) * 2011-04-26 2011-11-23 三一重型综采成套装备有限公司 刮板输送机液压紧链装置及其升降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73B1 (ko) * 2012-06-19 2014-02-28 삼기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 잭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293811B1 (ko) * 2021-05-21 2021-08-25 김대웅 스파이더 각도 조절용 곤도라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785U (ko) * 1980-09-29 1982-04-14
JPS60145188U (ja) 1984-03-07 1985-09-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ジヤツキ
KR19980042167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팬토그래프 잭
US20080134831A1 (en) 2006-12-12 2008-06-12 Tien-I Industrial Co., Ltd Swing lever structure for use in jac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785U (ko) * 1980-09-29 1982-04-14
JPS60145188U (ja) 1984-03-07 1985-09-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ジヤツキ
KR19980042167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팬토그래프 잭
US20080134831A1 (en) 2006-12-12 2008-06-12 Tien-I Industrial Co., Ltd Swing lever structure for use in jac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9069A (zh) * 2011-04-26 2011-11-23 三一重型综采成套装备有限公司 刮板输送机液压紧链装置及其升降机构
CN102249069B (zh) * 2011-04-26 2013-01-02 三一重型综采成套装备有限公司 刮板输送机液压紧链装置及其升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71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4265B1 (en) Universal joint
JP5202542B2 (ja) フリーホイールギアを備えたねじ回し工具
KR20110096409A (ko) 차량용 잭과 잭핸들의 연결구조
AU752745B2 (en) Handle assembly for hand-held tool
KR101006574B1 (ko) 렌치 결합구가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잭
JP5439291B2 (ja) 作業機のハンドル装置
EP2399710A2 (en) Auxiliary tool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park plug
US6571668B2 (en) Extendible and retractable tool for applying torque to wheel lug nuts
KR101368773B1 (ko) 차량용 리프트 잭 및 이의 조립방법
JP7118343B2 (ja) ソケット
US2498465A (en) Extension drive shaft and handle grip for rotat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tools
JP7231167B2 (ja) 安全器
JP7123592B2 (ja) 電動工具および電動工具の結合具
KR20100128497A (ko) 리프트잭용 렌치 결합구 어셈블리
KR102342861B1 (ko) 전동공구용 보조핸들
KR200459575Y1 (ko) 렌치용 공구
KR20170032784A (ko) 커버용 힌지장치
KR200429984Y1 (ko) 유니버셜 앵글 죠우 클램프
JP2017001133A (ja) コネクタ取り外し用プライヤ
CN217279395U (zh) 一种手柄
CN111300319B (zh) 拆解工具
CN207669217U (zh) 一种离合器对中工具
CN214176789U (zh) 一种罐车易检修的接线盒
KR101853842B1 (ko) 다단 링크를 구비한 기어풀러
CN201338248Y (zh) 折叠式开口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