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710B1 - 약포 롤링장치 - Google Patents

약포 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710B1
KR101005710B1 KR1020080050997A KR20080050997A KR101005710B1 KR 101005710 B1 KR101005710 B1 KR 101005710B1 KR 1020080050997 A KR1020080050997 A KR 1020080050997A KR 20080050997 A KR20080050997 A KR 20080050997A KR 101005710 B1 KR101005710 B1 KR 10100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otor
rolling device
guide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658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8005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7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22Interconnected packages concurrently produced from the same web, the packages not being separated from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포장되어 배출되는 약포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포장되어 배출되는 약포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로서, 모터가 장착된 지지 스탠드와; 상기 지지 스탠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보빈 유닛과; 상기 보빈 유닛에 약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약포 파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가 제공된다.
약포, 롤링, 약제 자동 포장기, 가이드 유닛, 보빈 유닛, 약포 파지수단, 부채꼴 홈

Description

약포 롤링장치{DEVICE FOR ROLLING PACKAGES}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포장되어 배출되는 약포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와, 본체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와, 호퍼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에 의하면, 약제가 포장된 약포가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약제 자동 포장기에 의해 포장된 약제는 그 포장상태를 검사해야 하므로,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된 약포들은 약포 검사장치로 옮겨져야 한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는 이를 정리해 주는 작업자가 없을 경우 포장기 외부에 그대로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약포 검사장치에 약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거나 검사를 마친 약포를 정리하는 것 역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시해야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포장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들을 보빈에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포장되어 배출되는 약포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로서, 모터가 장착된 지지 스탠드와; 상기 지지 스탠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보빈 유닛과; 상기 보빈 유닛에 약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약포 파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빈 유닛은, 약포가 감기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중공의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의 양쪽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원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포 파지수단은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감기는 약포 중 첫 번째 약포를 상기 원통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포 파지수단은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약포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원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원판 부재에는 상기 약포 파지수단 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은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들을 안내하는 동시에 약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스탠드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 주위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판 부재와, 상기 고정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말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이드 부재와, 이 제2 가이드 부재의 말단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각도변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약포들은 상기 회전부재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감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포장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들을 보빈에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약포 롤링장치의 약포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약포 롤링장치의 보빈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상기 약포 롤링장치에 약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약포 고정수단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110)와, 본체(100)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110)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130)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140)와, 호퍼(130)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약제가 포장된 약포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부의 배출 수단(도시생략)을 통해 약제 자동 포장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약포의 배출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컨베이어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약제 자동 포장기의 구성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일 뿐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1)는, 모 터(12)가 장착된 지지 스탠드(10)와, 이 지지 스탠드(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보빈 유닛(30)을 포함한다.
지지 스탠드(10)는 보빈 유닛(30)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져도 좋지만, 약포 롤링장치(1)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11)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도시생략)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스탠드(10)에 장착된 모터(12)는 모터 하우징(13) 내에 배치되며, 모터(12)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13)은 각도 조절수단(14)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조절수단(14)으로서는 모터(12), 나아가서 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축 부재(15)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보빈 유닛(3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사용될 수 있다.
축 부재(15)는 모터 하우징(13)의 외부에 돌출되며, 모터 하우징(13)에 있어서 축 부재(15) 주위에는 고정판 부재(18)가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 고정판 부재(18)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들을 안내하는 동시에 텐션(tension)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유닛(20)은 고정판 부재(18)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상 홈(18a)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여, 공간 및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가이드 유닛(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20)은, 원호형상 홈(18a)의 좌측 혹 은 우측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 가이드 부재(21)와, 이 제1 가이드 부재(21)의 말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이드 부재(22)와, 이 제2 가이드 부재(22)의 말단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3)를 포함한다.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약포들은 회전부재(23)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빈 유닛(3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21)의 말단에는 이 제1 가이드 부재(21)와 제2 가이드 부재(22) 사이의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각도변화 감지센서(2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중 약제 자동 포장기의 포장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어 약포들이 배출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약포 롤링장치(1)가 작동을 계속할 경우, 약포가 찢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약포 롤링장치는, 회전부재(23)의 아래쪽으로 통과하는 일련의 약포가 팽팽하게 당겨짐으로써 회전부재(23)를 통해 제2 가이드 부재(22)를 위쪽으로 변위시키면, 각도변화 감지센서(24)가 제1 가이드 부재(21)와 제2 가이드 부재(22) 사이의 각도변화를 감지하여 모터(12)의 구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빈 유닛(30)은 지지 스탠드(10)의 축 부재(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12)에 의해 회전한다. 도 5에는 보빈 유닛(30)이 축 부재(15)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유닛(30)을 축 부재(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축 부재(15)의 말단에 끼워진 마개 부재(16)로부터 고정 나사(16a)를 풀어낸 다음, 마개 부재(16)를 축 부재(15)로부터 분리해 낸다.
보빈 유닛(30)은, 축 부재(15)가 삽입되는 중공의 원통 부재(31)와, 이 원통 부재(31)의 양쪽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원판 부재(32, 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원판 부재(32, 32)는 원통 부재(31)에 감기는 약포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원통 부재(31)에는 첫 번째 약포를 파지하기 위한 약포 파지수단(34)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약포 파지수단(34)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한 쌍의 원판 부재(32, 32) 중에서 전방, 즉 사용자 측에 위치하는 원판 부재(32)에는 부채꼴 홈(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채꼴 홈(32a)은 원통 부재(31)에 형성된 약포 파지수단(3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부채꼴의 꼭짓점은 원통 부재(3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채꼴 홈(32a)의 개구 각도는 도면에 대략 90도 정도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손과 팔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라면 충분하며, 개구된 형태가 반드시 부채꼴을 이룰 필요는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포 파지수단(34)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35)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보빈 유닛(30)의 원통 부재(31)에 약포를 고정시킨다. 도 6의 (a)에는 약포 파지수단(34)에 약포가 끼워지지 않은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약포 파지수단(34)에 약포를 끼우기 위해 탄성 부재(35)를 가압하여 약포 파지수단(34)을 일측으로 선회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약포 파지수단(34)과 원통 부재(31)의 외주면 사이에 약포를 삽입한 후 탄성 부재(35)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약포 파지수단(34)이 도 6의 (a)와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면서 약포를 파지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 번째 약포가 약포 파지수단(34)에 의해 원통 부재(31)에 파지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약포가 일정하게 감기지 않고 원통 부재(31) 상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의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의 보빈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상태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포 롤링장치에 약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약포 파지수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포 롤링장치 10 : 지지 스탠드
11 : 이동용 바퀴 12 : 모터
13 : 모터 하우징 14 : 각도 조절수단
15 : 축 부재 16 : 마개 부재
18 : 고정판 부재 18a : 원호형상 홈
20 : 가이드 유닛 30 : 보빈 유닛
31 : 원통 부재 32 : 원판 부재
32a : 부채꼴 홈 34 : 약포 파지수단
35 : 탄성 부재

Claims (9)

  1.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포장되어 배출되는 약포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약포 롤링장치로서,
    모터가 장착된 지지 스탠드와;
    상기 지지 스탠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보빈 유닛과;
    상기 보빈 유닛에 약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약포 파지수단과;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약포들을 안내하는 동시에 약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지지 스탠드에 고정된 고정판 부재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말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말단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각도변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 유닛은, 약포가 감기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중공의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의 양쪽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원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파지수단은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감기는 약포 중 첫 번째 약포를 상기 원통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파지수단은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약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원판 부재에는 상기 약포 파지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은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탠드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 주위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판 부재와, 상기 고정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유닛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약포들은 상기 회전부재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 유닛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롤링장치.
KR1020080050997A 2008-05-30 2008-05-30 약포 롤링장치 KR10100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997A KR101005710B1 (ko) 2008-05-30 2008-05-30 약포 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997A KR101005710B1 (ko) 2008-05-30 2008-05-30 약포 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658A KR20090124658A (ko) 2009-12-03
KR101005710B1 true KR101005710B1 (ko) 2011-01-05

Family

ID=4168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997A KR101005710B1 (ko) 2008-05-30 2008-05-30 약포 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7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996B1 (ko) * 1996-11-29 2001-12-12 유야마 쇼지 약제포장기
KR100599511B1 (ko) 2005-05-25 2006-07-13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커팅장치
KR20070009271A (ko) * 2005-07-15 2007-01-18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996B1 (ko) * 1996-11-29 2001-12-12 유야마 쇼지 약제포장기
KR100599511B1 (ko) 2005-05-25 2006-07-13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커팅장치
KR20070009271A (ko) * 2005-07-15 2007-01-18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658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4043A (en) Dispenser especially adapted for dispensing medication units
CN103359335B (zh) 药品切割装置及具有所述装置的自动药品包装机
JP3402869B2 (ja) 固形製剤包装装置
TWI247713B (en) Medicine feeder
EP2535035B1 (en) Medicine dispenser and method of discharging medicine
BRPI0621859A2 (pt) dispensador para rolos
KR20100059679A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2001224663A (ja) 固形製剤包装装置及び固形製剤用包装紙ロール
KR101005710B1 (ko) 약포 롤링장치
CN111465565B (zh) 用于使袋装药物卸堆和铺开的装置
KR10120476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인쇄 장치 및 상기 인쇄 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338371B2 (ja) 固形製剤包装装置及び固形製剤用包装紙ロール
KR20110134560A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290248B2 (ja) 薬剤包装装置
JP2022012821A (ja) 散薬供給装置及び散薬分包装置
KR200169923Y1 (ko) 정제분포기용 포장용지 장력조절장치
JPH10118159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JP2007084073A (ja) 薬包帯巻取装置
KR100599506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포장지 절단장치
KR102213591B1 (ko) 약제 분배포장 장치
KR102257372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566975B1 (ko) 약포 자동 권취 장치
KR100555956B1 (ko) 정제 자동분배 포장장치의 포장용지 장력조절장치
JP2021186463A (ja) 分包薬の服薬支援装置
KR20100053957A (ko) 방진 부재를 갖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