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99B1 - 습자용 인쇄물 - Google Patents

습자용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99B1
KR101003799B1 KR1020080014101A KR20080014101A KR101003799B1 KR 101003799 B1 KR101003799 B1 KR 101003799B1 KR 1020080014101 A KR1020080014101 A KR 1020080014101A KR 20080014101 A KR20080014101 A KR 20080014101A KR 101003799 B1 KR101003799 B1 KR 10100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printed
coating
cell
m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684A (ko
Inventor
김무겸
Original Assignee
김무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겸 filed Critical 김무겸
Priority to KR102008001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나 숫자를 익히거나, 악필을 교정하기 위한 습자용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피인쇄체, 상기 피인쇄체 상에 모범자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습자셀이 형성되되, 상기 모범자셀은 상기 피인쇄체 상에 학습할 문자나 숫자인 모범자와 상기 모범자가 제외된 공간인 여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습자셀은 상기 모범자를 상기 피인쇄체의 바탕색 형태로 형성한 습자부, 상기 습자부가 제외된 공간인 습자여백부와 상기 습자여백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코팅재를 도포시킨 코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부를 필기도구의 잉크나 심이 묻지 않는 재질로 코팅하여, 학습하는 사람의 능동적인 습자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코팅부의 색의 농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습자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습자용 인쇄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습자, 인쇄물, 흰빼기

Description

습자용 인쇄물{Printed matter for penmanship}
본 발명은 문자나 숫자를 익히거나, 악필을 교정하기 위한 습자용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들의 습자를 돕거나 악필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쇄물 위에 습자 연습을 하도록 하고, 대표적인 습자용 인쇄물에는 습자지(習字紙)를 들 수 있다.
종래 습자지는 글씨 쓰기를 연습할 때 쓰는 얇은 종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하, 종래기술 1이라 기술), 종래기술 1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셀(cell)이 행과 열로 나열되고, 각 열의 첫 번째 셀에는 학습해야 할 글자나 숫자가 인쇄되어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학습해야 할 글자나 숫자를 모범자(模範字)(4)라고 기재하겠다.
상기 모범자(4)의 동일 행의 나머지 셀은 모범자(4)가 희미한 선으로 인쇄되거나 점선으로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하는 사람은 모범자(4)를 점선으로 형
성한 점선자(3)를 따라 쓰며 글자나 숫자를 익히는 것이다.
또 다른 습자용 인쇄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1보다 두께감이 있는 종이 위나, 플라스틱 판위에 모범자를 홈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모범자(4)와 동일한 습자홈(2)을 구성하여, 홈이 형성된 곳을 따라 쓰며 글자나 숫자를 익히는 것이다.
종래의 습자용 인쇄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학습해야 할 모범자를 점선 또는 홈을 따라 수동적으로 따라 쓰기 때문에 학습하는 사람의 능동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둘째, 악필인 사람의 글씨를 교정해야 할 목적으로 모범자를 점선 또는 홈을 따라 쓰는 방법은 학습하는 사람의 글씨체를 교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점선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는 악필체가 드러나기 쉽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습자용 인쇄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첫째, 습자셀의 여백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잉크나 연필이 묻지 않는 재질로 코팅하여, 학습하는 사람의 능동적인 습자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둘째, 코팅부의 색의 농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습자 난이도를 조절하고자 한다.
셋째, 코팅부에 잉크나 연필이 묻지 않기 때문에, 아동들의 학습 시, 호기심을 유발하고자 한다.
넷째, 점선이나 홈을 따라 쓰는 방법이 아니라, 학습하는 사람이 능동적으로 글씨체를 익혀, 악필 교정하고자 한다.
다섯째, 여백부에 코팅을 함으로써, 인쇄물의 강도가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피인쇄체, 상기 피인쇄체 상에 모범자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습자셀이 형성되되, 상기 모범자셀은 상기 피인쇄체 상에 학습할 문자나 숫자인 모범자와 상기 모범자가 제외된 공간인 여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습자셀은 상기 모범자를 상기 피인쇄체의 바탕색 형태로 형성한 습자부, 상기 습자부가 제외된 공간인 습자여백부와 상기 습자여백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코팅재를 도포시켜 필기도구의 잉크나 심이 묻어나지 않는 코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첫째, 습자셀의 여백부를 잉크나 연필이 묻지 않는 재질로 코팅하여, 학습하는 사람의 능동적인 습자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코팅부의 색의 농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습자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코팅부에 잉크나 연필이 묻지 않기 때문에, 아동들의 학습 시, 호기심을 유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점선이나 홈을 따라 쓰는 방법이 아니라, 학습하는 사람이 능동적으로 글씨체를 익혀, 악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여백부에 코팅을 함으로써, 인쇄물의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인쇄를 할 대상인 피인쇄체, 상기 피인쇄체 상에 모범자셀(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습자셀(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모범자셀(30)은 상기 피인쇄체 상에 학습할 문자나 숫자인 모범자(4)와 상기 모범자가 제외된 공간인 여백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습자셀(20)은 상기 모범자(4)를 상기 피인쇄체의 바탕색 형태로 형성한 습자부(5), 상기 습자부(5)가 제외된 공간인 습자여백부(25)와 상기 습자여백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코팅재를 도포시켜 필기도구의 잉크나 심이 묻어나지 않는 코팅부(10)로 구성된다.
상기 피인쇄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은 종이류이며, 종이류에 인쇄하는 것을 일반 인쇄라고 하고, 금속, 합성수지, 유리등에 인쇄하는 것을 특수 인쇄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피인쇄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일정하게 고른 표면의 종이류를 사용하여 일반 인쇄를 할 수 있으며, 잉크나 흑연, 먹, 물감, 크레용 등이 묻을 수 있는 종이류 이외의 재질을 이용한 특수 인쇄를 할 수 있다.
상기 모범자(模範字)(4)는 학습하는 사람이 익혀야 할 문자나 숫자 그 외 기호를 모범된 형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서체가 바르고 또박또박 쓴 정자(正字)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자셀(20)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인쇄기법인 흰빼기 기술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흰빼기 기술은 인쇄기술에 있어서 백발(白拔) 또는 시로누끼(白拔き)로 불리며, 인쇄되는 면에서 문자나 도형 등을 바탕색으로 빼내는 작업을 말한다.
즉, 인쇄 판면에 정자로 이루어진 상기 모범자(4)를 흰빼기 작업을 하면, 상기 모범자(4)의 백발(白拔) 형태 즉, 피인쇄체의 바탕색으로 빼낸 글자부가 상기 습자부(5)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인쇄체의 바탕색이 흰색일 경우 상기 습자부(5)는 흰색으로 형성되고, 피인쇄체의 바탕색이 녹색일 경우 상기 습자부(5)는 녹색으로 형성 되는 것이다.
상기 흰빼기 작업으로 상기 습자부(5)를 형성할 때 유의 할 사항이 있다.
상기 습자부(5) 획의 굵기는 학습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필기도구의 심(心) 또는 촉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기도구의 심 또는 촉의 굵기는 필기도구의 말단부이며, 상기 습자부(5)에 닿는 면이 닿아, 잉크나 흑연, 크레용 등을 상기 습자(5) 내에 묻히는 역할을 한다.
즉, 아동들의 습자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습자용 인쇄물일 경우 아동들이 주로 사용하는 필기구인 크레용이나 싸인펜 등의 촉 굵기보다 굵은 획의 습자부(5)를 형성하고, 청소년 또는 성인들의 악필 교정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습자용 인쇄물일 경우 주로 사용하는 연필의 심이나 펜의 촉 굵기보다 굵은 획의 습자부(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부(10)는 상기 습자부(5)를 제외한 나머지 면 즉, 습자여백부(25)의 일부 또는 전체 면에 학습자의 필기도구의 잉크나 흑연, 먹, 물감, 크레용 등이 묻지 않도록 재질을 도포한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부(10)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지만, 그 외에 학습자의 필기도구의 잉크나 흑연, 먹, 물감, 크레용 등이 묻지 않도록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로도 코팅이 가능하다.
즉, 상기 코팅부(10)는 습자 시, 학습하는 사람이 잘못된 획을 긋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코팅부(10) 투명 또는 유색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코팅부(10)의 색의 농도가 짙을수록 상기 습자부(5)와의 구별이 또렷하여 습자하기 유리하다.
또한 코팅부(10) 색의 농도가 투명 또는 무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 시, 습자부(5)와의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습자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학습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10)는 종래의 습자용 인쇄물에서와 같이 점선과 홈을 따라 쓰는 수동적인 형태가 아니라 습자부(5)내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습자를 하므로, 학습자 자신의 서체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1실시예이며, 모범자셀(30)과 상기 모범자셀(3)의 우측으로 다수개의 습자셀(20)이 나열되어 열을 형성한다.
상기 모범자셀(30)은 학습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를 고려하여 가장 좌측에 위치시켰지만 모범자셀(30)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범자셀(30)과 습자셀(20)을 다수의 행으로 나열하여 습자용 인쇄물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편의상 제1행만 도시하였다.
상기 모범자셀(30)은 모범자(4)와 여백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실시예의 모범자(4)는 문자 ‘가’를 습자하기 위해 모범이 되는 문자이다.
상기 여백부(15)는 모범자셀(30)에 상기 모범자(4)를 제외한 부분이다.
상기 습자셀(20)은 습자부(5)와 습자여백부(25), 코팅부(10)으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의 상기 습자부(5)는 모범자(4)인 문자 ‘가’를 흰빼기 작업을 통해 피인쇄체의 바탕색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제1실시예는 습자셀(20)의 습자부(5)를 제외한 습자여백부(25)전체에 투명의 코팅재를 도포하여 코팅부(10)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투명의 코팅부(10)가 형성된 습자용 인쇄물은 학습하는 사람은 습자셀이 백지로 보이지만, 습자부(5)의 영역을 벗어나는 잘못된 획을 긋게 되면 코팅부에 의해 잉크나 연필의 심 등이 묻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습자용 인쇄물과 같이, 점선이나 습자홈을 따라 수동적으로 습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는 사람 스스로 능동적인 습자를 하므로 학습효과가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2실시예이며, 상기 코팅부(10) 색의 농도를 여러 가지 단계로 나누어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즉,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기 코팅부(10)의 농도가 옅어지고, 가장 오른쪽의 코팅부(10)는 투명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습자셀(20)의 코팅부(10)는 진한 농도의 유색으로 습자부(5)와 코팅부(10)의 구별이 가장 또렷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가장 낮으며, 다섯 번째 습자셀(20)의 코팅부(10)는 투명으로 학습자는 습자셀(20)이 백지로 보이므로 습자부(5)와 코팅부(10)의 구별이 어려워 난이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색의 농도가 짙고 연한 코팅부(10)가 번갈아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난이도가 낮은 습자셀(20)이 난이도가 높은 습자셀(20)이 서로 번갈아 반복되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상기 코팅부(10)의 색상을 조절하여 난이도를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같이, 습자여백부(25)전체에 코팅부(10)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습자부(5)의 외각을 따라 코팅부(10)의 면적을 축소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4실시예는 상기 코팅부(10)학습하는 사람이 잘못된 획을 긋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수행하면서 최소 면적으로 형성하여, 코팅부(10)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코팅부(10)의 면적이 상기 습자부(5)의 외각을 너무 협소한 면적으로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자 효과를 누리지 못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면적의 코팅부(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코팅부(10)가 투명 또는 투명에 가까운 유색으로 코팅이 될 경우, 습자의 기준이 되는 습자기준점(6)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습자기준점(6)은 습자 시, 모범자(4)를 따라 쓸 때 첫 획을 긋는 지점이나 각 획이 시작되는 지점을 표시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보다 습자부(5)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므로 습자의 난의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모범자셀(30)과 습자셀(20)을 일정치수의 격자위에 형성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6실시예는 학습자가 모범자(4)의 격자위의 지점을 확인하여, 습자셀(20)의 동일한 지점에 습자를 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획이 시작되는 다수의 습자기준점(6)을 기준으로 습자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은 코팅부(10)의 형성으로 인쇄물의 질이 향상되고, 인쇄물의 건조 능력이 향상되며, 인쇄물의 뜯김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어 인쇄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습자용 인쇄물의 종래기술1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습자용 인쇄물의 종래기술2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인쇄기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자용 인쇄물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4)

  1. 피인쇄체 상에 모범자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습자셀이 형성되되,
    상기 모범자셀은 상기 피인쇄체 상에 학습할 문자나 숫자인 모범자와 상기 모범자가 제외된 공간인 여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습자셀은 상기 모범자를 상기 피인쇄체의 바탕색 형태로 형성한 습자부,
    상기 습자부가 제외된 공간인 습자여백부와
    상기 습자여백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코팅재를 도포시켜 필기도구의 잉크나 심이 묻어나지 않는 코팅부를 구비하되, 상기 코팅부는 투명 또는 유색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습자셀들은 코팅부의 투명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방법으로 습자부(5)와 코팅부(10)의 구별 정도를 다르게 하여 습자의 난이도를 조절하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자용 인쇄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자부의 획 굵기는
    상기 모범자의 획 굵기보다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자용 인쇄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자셀은
    상기 모범자를 따라 쓸 때 획의 기준이 되는 습자기준점 또는 모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자용 인쇄물.
KR1020080014101A 2008-02-15 2008-02-15 습자용 인쇄물 KR10100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01A KR101003799B1 (ko) 2008-02-15 2008-02-15 습자용 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01A KR101003799B1 (ko) 2008-02-15 2008-02-15 습자용 인쇄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684A KR20090088684A (ko) 2009-08-20
KR101003799B1 true KR101003799B1 (ko) 2010-12-23

Family

ID=4120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01A KR101003799B1 (ko) 2008-02-15 2008-02-15 습자용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7847A (zh) * 2022-01-17 2022-04-22 周倩 一种特殊儿童学习数字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684A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2621A (en) Method of and article for masking
KR101003799B1 (ko) 습자용 인쇄물
US5516291A (en) Letter-training plate
JP6337261B2 (ja) 文字シートおよび文字シートセット
CN206388371U (zh) 书法、绘画临摹桌
JP4433301B2 (ja) 習字練習用紙
CN106335312A (zh) 一种用于塑料版画制作的化学刻蚀方法
CN104064072B (zh) 一种字模及其使用方法
CN204029192U (zh) 一种软硬笔临摹板
CN211264589U (zh) 一种全方位多角度临摹的书法校正字帖
CN208722428U (zh) 隐形中国书法习字模板
KR20100045894A (ko) 양각글씨연습가이드
KR200279388Y1 (ko) 문자자형 연습판
CN201035768Y (zh) 文字书写练习板
CN206049102U (zh) 初学者用贮墨式毛笔
CN208730626U (zh) 英文书写匡正笔及其配套的辅助尺
JP7398075B2 (ja) 書道用紙
CN211604395U (zh) 文字导写模板
CN215495511U (zh) 一种书写规范板
Gourlay Blake Writes Backward
JP3054636U (ja) カリグラフィーの練習具
JP2552641Y2 (ja) 実用漢字斜線入練習紙
CN207409158U (zh) 一字多模摹仿字帖
CN2328064Y (zh) 带凹型字的习字本
JP3004756U (ja) 学習なぞり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