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129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129B1
KR101003129B1 KR1020090017717A KR20090017717A KR101003129B1 KR 101003129 B1 KR101003129 B1 KR 101003129B1 KR 1020090017717 A KR1020090017717 A KR 1020090017717A KR 20090017717 A KR20090017717 A KR 20090017717A KR 101003129 B1 KR101003129 B1 KR 10100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vpp
voltage
level
vb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978A (ko
Inventor
옥승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1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1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는 고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고전압 검출부, 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한 기판 바이어스 전압 및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고전압 오실레이터 및 고전압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펌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17717
VPP, VBB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사용하며, 전원은 크게 외부전원과 내부전원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외부전원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장착되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이며, 내부전원은 상기 외부전원을 내부에서 변환하여 생성한 전원이다. 이때, 각 전원의 레벨을 살펴보면, 큰 순서로 고전압(이하,VPP), 외부 공급 전압(이하,VDD), 외부 접지 전압(이하,VSS), 기판 바이어스 전압(이하,VBB)이며, VBB는 역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절대값은 VSS에 비해 크다.
상기 VPP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및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으로서, 상기 VDD를 승압하여 생성된다.
또한, VBB는 셀 트랜지스터에 대한 바디 이펙트(Body effect)에 의한 문턱전 압 변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앞에서 서술한 내부전원은 반도체 회로의 성능 판단기준에 포함되는 신뢰성과 소모전류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전원을 제어하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 설계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VPP 생성 회로(A) 및 VBB 생성 회로(B)를 나타낸다.
먼저, VPP 생성회로(A)는 VPP 검출부(10), VPP 오실레이터(이하, VPP OSC)(11) 및 VPP 펌프(12)를 포함한다. 상기 VPP 검출부(10)는 VPP 레벨이 해당 설정값(VREF_VPP) 이하가 되는 것을 검출하여 VPP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를 출력한다.
상기 VPP OSC(11)는 상기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가 인에이블될 때 펄스 신호(OSC_VPP)를 발생시킨다. 상기 VPP 펌프(12)는 상기 VPP OSC(11)에서 출력된 펄스(OSC_VPP)를 이용하여 VDD를 승압하는 펌핑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VBB 생성회로(B)는 VBB 검출부(13), VBB 오실레이터(이하, VBB OSC)(14) 및 VBB 펌프(15)를 포함한다.
상기 VBB 검출부(13)는 VBB 레벨이 해당 설정값(VREF_VBB) 이상이 되는 것을 검출하여 VBB 펌프(15)를 구동하기 위한 VBB 펌핑 인에이블 신호(VBB_EN)를 출력한다.
상기 VBB OSC(14)는 상기 VBB 검출부(13)에서 출력된 VBB 펌핑 인에이블 신 호(VBB_EN)가 인에이블될 때 펄스(OSC_VBB)를 발생시킨다.
상기 VBB 펌프(15)는 상기 VBB OSC(14)에서 출력된 펄스 신호(OSC_VBB)를 이용하여 VDD를 강하시키는 펌핑 동작을 수행한다. 즉, VBB는 역 바이어스이므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회로는 VPP와 VBB 간의 기생 캐패시터로 의해 커플링 노이즈가 존재한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VBB가 높은 레벨의 전원(VPP) 상승시 동반 상승하고 목표값을 크게 벗어나게 되어 내부 전압이 불안정해진다.
아울러, VBB가 순간적으로 외부 접지 전원(VSS) 레벨 이상으로 높아지면 래치업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파워업 초기에 VPP는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VBB가 VSS 레벨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오동작하는 등의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업 시, 기판 바이어스 전압 레벨에 따라 고전위 전압 펌핑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는 고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고전압 검출부; 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기판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고전압 오실레이터; 및 고전압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 업 시에 고전압 레벨 상승 속도를 제어하여, 기판 바이어스 전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바이어스 전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래치업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내부 전압 중, 특히 고전압(VPP)을 생성하기 위한 내부 전압 생 성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내부전압 생성 회로(250)는 VPP 레벨이 기 설정값(VREF_VPP) 이하로 강하하는 경우 VPP 레벨을 상승시키며, 상승된 VPP 레벨이 기 설정값(VREF_VPP) 도달시 VPP 레벨을 하강시키는 VPP 생성부(100) 및 VBB 레벨에 따라 VPP 생성부(1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구동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파워 업 시, VPP가 상승할 때 기생 캐패시터의 영향으로 인해 VBB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VBB의 레벨에 따라 VPP 펌핑 속도를 늦추어, VBB의 레벨을 안정화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VPP 생성부(100)는 VPP 레벨이 해당 설정값(VREF_VPP) 이하가 되는 것을 검출하여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를 출력하는 VPP 검출부(110), 구동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DRV)가 인에이블 됨에따라 펄스 신호(OSC_VPP)를 출력하는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 및 상기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에서 출력된 펄스 신호(OSC_VPP)를 이용하여 VDD 레벨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VPP 펌프(130)로 구성된다.
다음, 구동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기준전압(VREF_VBB)과 VBB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신호(VBB_DET)를 출력하는 레벨 감지부(210) 및 VPP 검출부(110)에서 출력되는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와 레벨 감지부(210)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VBB_DET)에 응답하여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구동 제어 신호(DRV)를 출력하는 판단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전압(VREF_VBB)의 레벨은 외부 접지 전압(VSS)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감지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감지부(210)는 비교부(210a)와 드라이버부(210b)로 구성된다.
비교부(210a)는 소스단에 외부 공급 전원(VDD)을 인가 받으며, 게이트단과 드레인단이 공통 접속되는 제 1 트랜지스터(P1), 소스단에 외부 공급 전원(VDD)을 인가 받으며 게이트단이 제 1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단에 공통 접속되고 드레인단이 노드 a에 접속되는 제 2 트랜지스터(P2), 게이트단에 기판 바이어스 전압(VBB)이 인가되고 드레인단이 제 1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단에 접속되는 제 3 트랜지스터(N1), 게이트단에 기준전압(VREF_VBB)이 인가되고 드레인단이 제 2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단에 접속되는 제 4 트랜지스터(N2) 및 제 3 트랜지스터(N1)와 제 4 트랜지스터(N2)의 소스단에 드레인단이 공통 접속되고 게이트단에 바이어스 전압(Vbias)이 인가되며 소스단이 접지단자(VSS)에 접속되는 제 5 트랜지스터(N3)를 포함한다.
드라이버부(210b)는 외부 공급 전원 단자(VDD)와 노드 c간에 직렬 접속되는 제 6 트랜지스터(P3) 및 제 7 트랜지스터(P4), 노드 c와 접지단자(VSS) 간에 직렬 접속되는 제 8 트랜지스터(N4) 및 제 9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한다.
제 6 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단에는 접지 전원(VSS)이 인가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N5)의 게이트단에는 외부 공급 전원(VDD)이 인가된다.
또한,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P4,N4)의 게이트단은 비교부(210a)의 노드 a에 공통 접속된다.
아울러, 드라이버부(210b)는 노드 c의 전위를 반전시켜 비교신호(VBB_DET)를 출력하는 인버터(INV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레벨 감지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부(210a)의 제 3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인가된 기판 바이어스 전압(VBB)이 제 4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에 인가된 기준전압(VREF_VBB) 이상인 경우, 제 2 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어 노드 a에는 하이 레벨 전위가 인가되며, 상기 노드 a에 인가된 전위는 드라이버부(210b)의 노드 b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 7 트랜지스터(P4)가 턴오프되어 노드 c에 인가된 로우 레벨 전위는 인버터(INV1)에서 반전되어 하이 레벨 신호로 출력된다.
만약, 비교부(210b)의 제 3 트랜지스(N1)의 게이트에 인가 되는 기판 바이어스 전압(VBB)이 제 4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_VBB) 보다 낮을 경우 제 4 트랜지스터(N2)가 턴온되어 노드 b에는 로우 레벨 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제 7 트랜지스터(P4)가 턴온되어 노드 c에 인가된 하이 레벨 전위가 인버터(INV1)에서 반전되어 로우 레벨 신호로 출력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단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단부(220)는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가 인에이블될 때, 비교신호(VBB_DET)에 따라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구동 제어신호(DRV)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220)는 상기 VPP 검출부(110)의 출력신호인 VPP 펌핑 인에이블 신호(VPP_EN)와, 인버터 (INV2)를 거쳐 반전 지연된 비교신호(VBB_DET)를 입력받아 구동 제어신호(DRV)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AND)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 게이트(AND)에서 출력된 구동 제어 신호(DRV)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의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기판 바이어스 전압(VBB)이 기준 전압(VREF_VBB), 예를 들어 VSS 이상인 경우, 비교신호(VBB_DET)는 하이가 되며, 이에 따라 구동 제어신호(DRV)가 디스에이블되어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를 차단시킨다. 또한, 기판 바이어스 전압(VBB)이 기준 전압(VREF_VBB) 보다 낮은 경우에는 비교신호(VBB_DET)가 로우 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구동 제어신호(DRV)가 인에이블되어 VPP 오실레이터(VPP OSC)(120)가 펄스 신호(OSC_VPP)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감지부의 회로 구성도,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단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 상세설명〉
110 : VPP 검출부 120 : VPP OSC
130 : VPP 펌프 210 : 레벨 감지부
220 : 판단부

Claims (6)

  1. 고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고전압 검출부;
    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기판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고전압 오실레이터; 및
    고전압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펌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기판 바이어스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감지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감지부는, 상기 기판 바이어스 전압과 기준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비교신호를 위상 반전 지연시키는 인버터 유닛; 및
    상기 인버터 유닛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전압 펌핑 인에이블 신호를 앤드 연산하는 앤드 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기판 바이어스 전압의 기준 레벨 초과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접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20090017717A 2009-03-02 2009-03-0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100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17A KR101003129B1 (ko) 2009-03-02 2009-03-0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17A KR101003129B1 (ko) 2009-03-02 2009-03-0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8A KR20100098978A (ko) 2010-09-10
KR101003129B1 true KR101003129B1 (ko) 2010-12-21

Family

ID=4300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717A KR101003129B1 (ko) 2009-03-02 2009-03-0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1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8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6367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819447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518831B1 (en) Boosting circuit for high voltage operation
US7605639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2015398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896366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5791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및 방법
US776884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generating back-BIAS voltage with variable driving force
KR10079502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0336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펌핑 전압 생성 회로
US8587366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00312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2010012999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 바이어스 전압 레벨 감지 장치
KR100821570B1 (ko) 고전압 발생 장치
KR10078490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0592772B1 (ko) 고전압 발생회로
US7990206B2 (en) Device for supplying temperature dependent negative voltage
US7772719B2 (en) Threshold voltage control circuit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having the same
KR100922885B1 (ko) 내부전압 발생회로
KR101026380B1 (ko) 전압레벨 검출회로
KR100316053B1 (ko) 고전위 발생장치의 Vpp 레벨 감지기
KR20100001835A (ko) 파워업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9990053727A (ko) 고전압 발생장치
KR10072890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제어 회로
US20130033944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