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80B1 -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 Google Patents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80B1
KR101003080B1 KR1020080105123A KR20080105123A KR101003080B1 KR 101003080 B1 KR101003080 B1 KR 101003080B1 KR 1020080105123 A KR1020080105123 A KR 1020080105123A KR 20080105123 A KR20080105123 A KR 20080105123A KR 101003080 B1 KR101003080 B1 KR 10100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ile
sinker
pile knitting
sin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333A (ko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진석
Priority to KR102008010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의 편물을 제조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형의 편물 편성시 고속으로 파일 조직을 편성할 수 있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조직 편성용 싱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들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파일편성용 싱커베드;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각 홈을 따라 개별적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한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를 회전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들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캠;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내부 중공부 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의 후방단과 접촉가능한 풀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일, 편성, 싱커, 환편기, 풀캠

Description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SINKER APPARATUS FOR KNITTING A PILE STITCH OF DOUBLE CYLINDER 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형의 편물을 제조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형의 편물 편성시 고속으로 파일 조직을 편성할 수 있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조직 편성용 싱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편물기계라 함은 편침에 공급되는 실을 편침에 의해 루프(코)를 만들고, 이 루프를 가로ㆍ세로 방향으로 연철시켜 의도하는 바의 편포를 생산하는 섬유 기계의 일종이다.
이러한 편물기계는 편침에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 및 이 공급된 실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편성운동을 수행하는 편성장치로 이루어지고, 경사를 세로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경편기(經編機) 및 위사를 가로 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위편기(緯編機)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환편기(丸編機)는 위편기의 범주에 속하며, 실린더 상에 편침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환형의 편물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이 환형의 편물은 통상 재단공정을 통해 의류로 완성된다.
이러한 환편기 중에서 상ㆍ하부 2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진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는 회전구동하는 상부실린더 및 하부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부실린더 및 하부실린더는 각 외주면 상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각 홈에는 다수의 잭들이 개재되고, 각 잭들은 각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된 캠박스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이러한 각 잭들의 상하운동에 의해 양두니들은 상부실린더 및 하부실린더의 각 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실린더 및 하부실린더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들에는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 및 복수의 하부 싱커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파일편성용 싱커 및 하부 싱커들은 양두니들의 후크에 걸리는 실의 루프 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종래의 더블실린더형 환편기는 파일조직을 편성하기 위한 파일편성용 싱커장치가 상부 및 하부 실린더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파일 편성용 싱커들을 내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전체 환편기의 사이즈가 매우 커져 장치의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는 그 파일편성 속도가 매우 느려 그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는 환형의 편물중에서 특정 위치에만 파일조직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디자인의 편물을 제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일 편성 속도를 대폭 증대시킴으로써 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형 편물의 편성 시에 다양한 위치에 반파일 또는 링형상 파일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파일조직을 편성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디자인의 편물을 제조할 수 있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실린더, 상기 상부 및 하부 실린더를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편성작동하는 양두니들을 가진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조직편성용 싱커장치로서,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들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파일편성용 싱커베드;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각 홈을 따라 개별적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한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를 회전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들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캠;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내부 중공부 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의 후방단과 접촉가능한 풀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캠은 상하 이동하는 작동체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풀캠은 그 선단 좌우 양측에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은 상호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일편성용 싱커는 그 후방단이 평탄하며, 그 선단에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단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캠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파일편성용 싱커는 그 후방단에 홈이 형성되고, 그 선단에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단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캠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홈들은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의 홈들에는 상기 제1파일편성용 싱커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의 홈들에는 상기 제2파일편성용 싱커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들은 곡선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부 싱커베드; 및
상기 하부 싱커베드의 각 홈을 따라 곡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하부 싱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에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들이 풀캠의 상하 이동에 의해 돌출작동함으로써 양두니들과의 협동에 의한 파일편성 속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형 편물의 편성 시에 다양한 위치에 반파일 또는 링형상 파일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파일조직을 편성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디자인의 편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가 적용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실린더형 환편기는 환편기본체(100), 환편기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10), 상기 급사기구(10)에 의해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는 편성장치(20), 상기 편성장치(2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환편기본체(100)의 상단 커버(105)에는 흡입관(101)이 설치되고, 이 흡입관(101)에는 흡입팬(미도시)이 설치되어 편성장치(20)에 의한 편성된 편직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편성장치(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한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 이 상부 및 하부 실리더(21, 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21a, 22a)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복수의 잭(25, 26), 급사기구(10)에 의해 공급되는 실을 이용하여 소정의 편성작동을 하는 복수의 양두니들(27), 소정갯수로 분할된 다수의 섹션이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의 각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캠박스(23, 24), 각 캠박스(23, 2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잭(25, 26)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로(28a, 29a)를 형성하는 복수의 캠(28, 29)을 구비한다.
상부 실린더(21)는 그 상단에 기어(21c)가 결합되어 있고, 이 기어(21c)측으로 구동기구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부 실린더(21)는 회전한다.
하부 실린더(22)는 그 하단에 기어(22c)가 결합되어 있고, 이 기어(22c)측으로 구동기구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하부 실린더(22)는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는 각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홈(21a, 22a)이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잭(25, 26)은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의 홈(21a, 22a) 상에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개재되고, 각 잭(25, 26)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버트(25a, 26a)들이 구비되며, 잭(25, 26)의 자유단부 상에는 양두니들(27)이 걸리는 후크(25b, 26b)가 형성된다. 복수의 잭(25, 26)들은 하부 실린더(22)의 홈(22a)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복수의 셀렉터(74)에 의해 작동하고, 복수의 셀렉터(74)들은 액츄에이터(73)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복수의 양두 니들(27)은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의 홈(21a, 22a)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잭(25) 및 하부 잭(26)의 후크(25b, 26b) 사이에 선택적으로 걸려 이동하면서 급사기구(10)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루프 형태로 만들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철시키는 소정의 편성작동을 수행한다.
상부 및 하부 캠박스(23, 24)는 소정 갯수로 분할된 다수의 섹션들이 상부 및 하부 실린더(21, 22)의 각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인접배치됨으로써 환형을 이룬다.
복수의 캠(28, 29)은 상부 및 하부 캠박스(23, 24)의 각 섹션 내측면 상에 설치되어 상술한 잭(25, 26)들의 각 버트(25a, 26a)들을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로(28a, 29a)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200)는 상부 실린더(21, 22)의 하단에 설치된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각 홈(210a)을 따라 이동가능한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를 싱커베드(21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풀캠(410)을 포함한다.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린더(21)의 하단 내경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키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는 상부 실린더(21)와 함께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하부에는 베이스(230)가 배치되고, 베이스(230)는 상부 실린더(21)의 내부 중공부를 통과하는 지지관(270)의 하단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2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270)의 하단에 체결구(23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는 베이스(230)의 상부면에 회전 지지된다.
또한, 베이스(230)의 상부에는 가이드캠(23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캠(2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복수의 홈(210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 홈(210a)에는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가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은 상부 실린더(21)의 홈(21a)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단의 형상이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파일편성용 싱커(310)는 후방단의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제2파일편성용 싱커(320)는 후방단의 하부에 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는 그 하부에 가이드캠(232)에 끼워지는 가이 드홈(310a, 320a)을 가지고, 이 가이드홈(310a, 320a)은 가이드캠(232)의 가이드면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파일편성용 싱커베드(310)의 각 홈(310a)을 따라 전후진 이동한다. 즉, 상부 실린더(21)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회전작동에 의해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은 그 가이드홈(310a, 320a)들이 가이드캠(232)의 가이드면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은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홈(210a)을 따라 전후진 이동한다.
그리고, 각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의 선단에는 급사된 실이 걸려지는 걸림단(310b, 320b)이 구비되고, 이 걸림단(310b, 320b)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이 가이드캠(232)에 의해 전후진함에 따라 평편조직, 리브조직 뿐만 아니라 링크스 조직(links stitch), 파일편(pile stitch) 등을 보다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200)는 하부 실린더(22)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싱커베드(220) 및 이 하부 싱커베드(22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하부 싱커(330, 3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및 제2 하부 싱커(330, 340)들은 그 이동에 의해 파일편성을 보조할 수 있다.
하부 싱커베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린더(22)의 상단 내경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키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의해 하부 싱커베드(220)는 하부 실린더(22)와 함께 회전구동한다.
하부 싱커베드(220)는 그 상단부에 복수의 홈(220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 홈(220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단면을 가진다. 각 홈(220a)에는 복수의 제1 및 제2 하부 싱커(330, 340)들이 교대로 배치되고, 각 하부 싱커(330, 340)의 일면은 하부 싱커베드(220)의 홈(220a)에 대응하는 곡선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하부 싱커(330, 340)들은 하부 실린더(22)의 홈(22a)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하부 싱커베드(220)의 내경부에는 가이드캠(226a, 226b)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캠(226a, 226b)은 하부 지지관(222)의 상단에 제1 및 제2 고정컵(227a, 227b)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하부 지지관(222)은 하부 실린더(22)의 내부 중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가이드캠(226a, 226b)은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의 상호 마주보는 부분 즉, 제1가이드캠(226a)의 하면 및 제2가이드캠(226b)의 상면 각각에는 가이드면(226c, 226d)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면(226c, 226d)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이격된 공간이 안내로(226e)가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은 제1 및 제2 고정컵(227a, 227b)에 의해 하부 싱커베드(220)의 내경부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고정컵(227a, 227b) 사이에는 베어링(227c)이 개재된다.
제1하부 싱커(330)는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의 안내로(226e)와 인접한 일면에 버트(330a)를 가지고, 그 선단부에 스로우트(330b)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하부 싱커(330)는 버트(330a)가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의 안내로(226e)를 따라 안내되고, 이러한 버트(330a)의 안내작동에 의해 제1하부 싱커(330)는 그 일면이 하부 싱커베드(220)의 홈(220a)을 따라 곡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곡선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하부 싱커(330)는 그 스로우트(330b)측에 급사된 실을 걸은 상태에서 양두 니들(27)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곡선이동함으로써 루프의 형성을 보다 정밀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제2하부 싱커(340)는 그 일면이 하부 싱커베드(220)의 홈(220a)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의 안내로(226e)와 인접한 일면에 버트(340a)를 가지며, 그 선단부에는 제1하부 싱커(330)의 스로우트(330b)의 측면을 폐쇄하는 폐쇄면(340b)을 가진다.
제2하부 싱커(340)는 그 버트(340a)가 상술한 제1 및 제2 가이드캠(226a, 226b)의 안내로(226e)를 따라 안내되고, 제2하부 싱커(340)의 폐쇄면(340b)이 하부 싱커베드(220)의 홈(220a)으로부터 돌출되었을 경우, 하부 실린더(22)의 홈(22a)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측 잭(26)의 측면돌출턱(미도시)이 폐쇄면(340b)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제2하부 싱커(58)의 폐쇄면(58b)은 그 양측방향에 배치된 제1하부 싱커(54)의 스로우트(330b)를 폐쇄시키고, 이에 의해 제1하부 싱커(330)의 스로우트(330b)에 급사되는 실이 걸리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풀캠(410)은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내부 중공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풀캠(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를 급사기구(10)에 의한 실의 급사방향과 마주보게 돌출시키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풀캠(410)은 가이드캠(232)의 내경부에서 풀캠(410)의 단부가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의 후방단과 접촉가능한 위치에서 상하 이동한다.
이러한 풀캠(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풀캠(410)의 단부가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의 후방단을 밀어냄으로써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은 단계적으로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풀캠(410)에 의한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의 돌출방향은 급사기구(10)와 마주보는 방향이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의 걸림단(310b, 320b)들은 양두니들(27)과 함께 협동하여 파일 조직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파일조직 편성용 싱커장치(200)는 환형 편물의 일정 위치(예컨대, 양말의 등, 발다닥, 뒤꿈치, 앞꿈치 등)에 반파일 형태의 파일조직 또는 링 형태의 파일조직 등을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
풀캠(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420)의 단부에 체결구(415)를 통해 고정되고, 작동체(4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450), 구동축(460) 및 탄성부재(430)에 의해 상하이동하며, 예컨대 작동실린더(450)에 유압 또는 공압이 인가되면 구동축(460)은 작동실린더(450)의 전진작동에 의해 하강하고, 작동실린더(450)에 유압 또는 공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탄성부재(430)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축(460)은 상승하는 작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축(460)의 상하 작동에 의해 작동체(420)와 더불어 풀캠(410)은 일정 구간 내에서 상하 작동할 수 있다.
풀캠(410)은 그 선단 좌우 양측에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가이드면(411, 412)을 가지고, 제1 및 제2 가이드면(411, 412)은 상호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실린더(21)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의 외경방향 돌출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은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홈(210a)들을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면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이 교대로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홈(210a)들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홈(210a)을 제1 및 제2 영역(250, 260)으로 구획하여 제1영역(250) 내의 홈(210a)들에는 제1상부싱커(310)들이 배치되고, 제2영역(260) 내의 홈(210a)들에는 제2상부싱커(3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양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영역(250)은 양말의 발바닥/뒤꿈치/앞꿈치 등에 파일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 되고, 제2영역(260)은 양말의 등부분에 파일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 된다.
이러한 풀캠(4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하부로 하강하여 제1 및 제2 상부싱커(310, 320)의 후방단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실린더(21) 및 하부 실린더(22)의 홈(21a, 22a)들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양두니들(27)들에 의해 평편조직, 리브조직, 링크스조직 등을 편성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풀캠(410)이 부분적으로 상승하여 제1파일편성용 싱 커(310)의 후방단과 접촉하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파일편성용 싱커(310)들만이 풀캠(410)의 제1 및 제2 가이드면(411, 412)을 따라 안내되면서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양말을 예로 들면, 제1파일편성용 싱커(330)들의 전진 이동에 의해 양말의 발바닥/뒤꿈치/앞꿈치 등에 반파일 형태의 파일조직이 편성된다.
도 9는 상부 실린더(21)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파일조직의 편성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도 9(a)는 파일편성이 시작되는 상태이고, 도 9(b)는 파일 편성의 중간 상태이며, 도 9(c)는 파일편성이 끝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부 실린더(21)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2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파일조직의 편성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도 10(a)는 파일편성이 시작되는 상태이고, 도 10(b)는 파일 편성의 중간 상태이며, 도 10(c)는 파일편성이 끝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과 같이 풀캠(410)이 완전히 상승하여 풀캠(410)의 선단과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의 후방단이 접촉하면,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 모두가 풀캠(410)의 제1 및 제2 가이드면(411, 412)을 따라 안내되면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양말을 예로 들면, 발바닥, 등 부분 등에 전체 파일 형태(링 형상의 파일)의 파일조직을 편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풀캠(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환형 편물의 다양한 위치(예컨대, 양말 의 등, 발바닥, 뒤꿈치, 앞꿈치 등)에 반파일조직 또는 링형상의 파일조직 등과 같은 다양한 파일조직을 편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가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로 구분되어 구성됨으로써, 풀캠(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의 돌출작동이 단계적으로 안내됨으로써 환형 편물의 다양한 위치(예컨대, 양말의 등, 발바닥, 뒤꿈치, 앞꿈치 등)에 반파일조직 또는 링형상의 파일조직 등과 같은 다양한 파일조직을 고속으로 편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편성용 싱커(310, 320)들의 외경방향 돌출을 안내하는 풀캠(410)이 상부 실린더(21)의 내부 중공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더블실린더형 환편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에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일편성용 싱커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싱커들이 싱커베드에 배열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싱커들의 제1작동을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싱커들의 제2작동을 도시한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상부 실린더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파일조직의 편성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실린더 및 파일편성용 싱커베드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파일조직의 편성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싱커들의 제3작동을 도시한 제3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00: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210: 파일편성용 싱커베드
310, 320: 파일편성용 싱커 410: 풀캠

Claims (5)

  1.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실린더, 상기 상부 및 하부 실린더를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편성작동하는 양두니들을 가진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조직편성용 싱커장치로서,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들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파일편성용 싱커베드;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각 홈을 따라 개별적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한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를 회전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들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캠;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내부 중공부 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의 후방단과 접촉가능한 풀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캠은 상하 이동하는 작동체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풀캠은 그 선단 좌우 양측에 파일편성용 제1 및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 은 상호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제1 및 제2 파일편성용 싱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일편성용 싱커는 그 후방단이 평탄하며, 그 선단에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단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캠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파일편성용 싱커는 그 후방단에 홈이 형성되고, 그 선단에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단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캠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베드의 홈들은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의 홈들에는 상기 제1파일편성용 싱커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의 홈들에는 상기 제2파일편성용 싱커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들은 곡선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부 싱커베드; 및
    상기 하부 싱커베드의 각 홈을 따라 곡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하부 싱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KR1020080105123A 2008-10-27 2008-10-27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KR10100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23A KR101003080B1 (ko) 2008-10-27 2008-10-27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23A KR101003080B1 (ko) 2008-10-27 2008-10-27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33A KR20100046333A (ko) 2010-05-07
KR101003080B1 true KR101003080B1 (ko) 2010-12-21

Family

ID=4227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123A KR101003080B1 (ko) 2008-10-27 2008-10-27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950B1 (ko) * 2014-02-28 2014-11-07 이진석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11B1 (ko) 2007-12-14 2009-09-14 강문환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편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11B1 (ko) 2007-12-14 2009-09-14 강문환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편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950B1 (ko) * 2014-02-28 2014-11-07 이진석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33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950B1 (ko)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US8245544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en'S socks, of the type with needles on the dial
WO2011152361A1 (ja) 編針案内構造、編針、編成方法、編み地、および手袋
JP2011511170A (ja) 表/表リブ布と表/表リブ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KR101106728B1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TWI504793B (zh) 用於製造圖樣針織物之針織機及其針座
KR101003082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용 가이드캠
KR101003080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파일편성용 싱커장치
KR101003079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KR101003081B1 (ko) 파일편성용 싱커 구동장치
KR101022825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
EP1154060A2 (en) Device for selecting the sinkers from the manufacture of designed terry cloth knitwear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and stocking knitting machines
KR100922320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JP2004308102A (ja) 硬質で、非弾力性の糸材料から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み機
KR100916811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편성장치
US1914954A (en) Knitting machine
CA2010222A1 (en) Mechanism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needles of knitting machines, and needle for said mechanism
WO2006075380A1 (ja) 靴下編機
US3246486A (en) Pattern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101118028B1 (ko) 홀딩 다운 싱커들이 없는 편물기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08570B1 (ko) 환편기의 미사용실 홀딩장치
US1154169A (en) Automatic circular-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split-foot hosiery.
KR200283168Y1 (ko) 초 장파일직물의 편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