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64B1 -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64B1
KR101003064B1 KR20040048256A KR20040048256A KR101003064B1 KR 101003064 B1 KR101003064 B1 KR 101003064B1 KR 20040048256 A KR20040048256 A KR 20040048256A KR 20040048256 A KR20040048256 A KR 20040048256A KR 101003064 B1 KR101003064 B1 KR 10100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content
treatment composition
weight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651A (ko
Inventor
최동진
최성용
신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4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64B1/ko
Priority to PCT/KR2005/001989 priority patent/WO2006001667A1/en
Publication of KR2005012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02F5/12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02F1/7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by means of halogens other than chlorine or of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other than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02F5/14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에 의한 문제점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수처리제 조성물은 3-이소티아졸리논, 브로노폴,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및 소디움 브로메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은 0.05 내지 15중량%이고,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은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의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의 함량은 0.001 내지 2중량%이며, 상기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0.0001 내지 2중량%의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 방법은 상기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1 내지 500,000ppm의 농도로 수배관에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냉각수, 수처리, 3-이소티아졸리논, 브로노폴,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소디움 브로메이트

Description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Multifunctional cooling water treating composition not including divalent metal salt, and water-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에 의한 문제점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은 공기가 지속적으로 냉각탑으로 유입되므로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이라고 불리운다.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에 있어서는, 물을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물이 증발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네랄들이 농축되므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처리 방법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효율이 현저히 달라진다.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은 경제적, 기능적인 이유로 주로 탄소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냉각제로는 물이 사용되므로, 크게 부식, 스케일, 미생물 슬라임의 세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부식은 금속이 산화되어 녹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부식현상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이 이온 전도체인 전해질 물질과 접촉하여, 금속표면에 전위차가 형성됨으로서 발생한다. 스케일은 부식에 의한 퇴적물, 기타 불순물 및 수질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2가 금속이온이 대기중의 음이온계 화합물 등과 결합하여 금속 표면에 퇴적됨으로서 생성되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스케일을 유발시키는 염들의 용해도가 감소하므로 특히 온도가 높은 열교환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미생물 슬라임은 수질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대기 중의 미생물이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으로 유입되어, 냉각탑의 충전재 및 수배관에 부착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실제 산업현장에 설치된 냉각공조의 열교환기를 비롯하여 수배관을 사용한 각종 산업용 설비에서 매우 쉽게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슬라임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는데, 이들은 냉각 순환시스템의 수명단축, 환경오염, 열 효율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슬라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부식방지제, 스케일 방지제, 및 미생물 방지제를 각각 따로 냉각시스템에 투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하나의 수처리제를 투입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제 조성물의 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3,669,901호는 아연, 설파메이트, 인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4,061,589호는 1,3,5-징크-4,6-디케토-2-디티오 암모늄 포스파메이트(phosphamate)와 1,3,5-징크-4,6-디 티오-2-디티오 암모늄 포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수처리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4,134,959호는 아졸계화합물과 인산염을 이용한 수처리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5,227,133호는 아연염, 몰리브덴산염, 인산염의 조성물에 의한 냉각수 처리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4,673,509호는 테트라키스 히드록시 메틸 포스포늄 설페이트를 이용한 미생물 처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5,156,665호도 이와 유사한 미생물 방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통상의 수처리제 조성물은 부식 및 스케일 방지 기능이 우수한 경우에는 미생물 방지기능이 미약하며, 미생물 방지 기능이 우수한 경우에는 부식 및 스케일 방지기능이 미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년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에서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슬라임 발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수처리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에서,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슬라임 발생을 동시에 그리고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환경적, 경제적으로 단점이 적은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 방 순환 냉각시스템에서 사용이 간편한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이소티아졸리논, 브로노폴,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및 소디움 브로메이트를 포함하는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은 0.05 내지 15중량%이고,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은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의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의 함량은 0.001 내지 2중량%이며, 상기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0.0001 내지 2중량%의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1 내지 500,000ppm의 농도로 수배관에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슬라임 발생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다기능성 일액형 조성물로서, 통상의 이소티아졸론 포함 조성물과는 달리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3-이소티아졸리논, 브로노폴(2-Bromo-2- nitropropane-1,3-diol: bronopol),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및 소디움 브로메이트를 필수성분으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3-이소티아졸리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에서 R이 수소인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 또는 R이 염소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이 1:20 내지 20: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티아존리논의 혼합비를 벗어나면 상대적으로 살균력이 저하된다.
Figure 112004027753035-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염소이다.
상기 화학식 1의 3-이소티아졸리논은 넓은 범위의 미생물에 대해 살균 효과가 있으며 지속력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은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냉각수 처리제를 과량 투입하여야 원하는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냉각수 처리제의 투입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은 이소티아졸리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마그네슘 나이트레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등의 마그네슘염, 질산동, 구리염 등의 2가 금속염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3-이소티아졸리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2가 금속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브로노폴은 미생물에 대한 살균 속효성이 우수한 화합물이므로, 3-이소티아졸리논과 함께 적용하면 미생물 살균에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은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과량 투입하여야 원하는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에 침전이 발생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로는 하이드록시에틸리딘 디포스포닉산(HEDP), 하이드록시포스포노 카르복실산,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포닉산, 포스포노부탄 트리카르복실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리딘 포스포닉산, 이들의 소디움 염 또는 포타슘 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의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포스포네이트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과량 투입하여야만 원하는 방식 및 스케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포스포네이트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특별한 이익이 없이 다만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디움 나이트레이트는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소디움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은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디움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수처리제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하여도 냉각수 처리제의 안정성을 더 이상 향상시킬 수 없고, 다만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이다.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의 함량은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냉각수 처리제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의 주요 성분들을 산화시킬 우려가 있을 뿐 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이오데이 트(iodate)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의 안정화를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이 사용될 경우, 그 함량은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안정화 보조제로서의 효과가 미미하며, 2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의 주요 성분들을 산화시킬 우려가 있을 뿐 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아이오데이트로 화합물로는 아이오딕산, 퍼아이오딕산, 또는 포타슘 아이오데이트 등 이들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방법은 상기 각 성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처리 조성물을 목적하는 농도가 되도록 냉각탑, 열교환기 등의 각종 수배관에 첨가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냉각수에 포함되는 수처리 조성물의 농도는 1ppm에서 500,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수처리 조성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 형성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도 별다른 이익이 없이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2가 금속염을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저장 안정성이 우수할 뿐 만 아니라, 각종 산업용 수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 스케일 및 미생물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과 일과식 냉각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미생물에 의한 문제가 심각한 개방순환 냉각시스템의 수처리제로서 유용 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부식, 미생물 억제 및 스케일 형성 억제 시험
하기 표 1의 시험 수질에, 하기 표 2 (실시예 1-5) 및 표 3 (비교예 1-5)에 기재된 성분의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100ppm으로 희석하여 적용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부식, 미생물 억제 및 스케일 형성 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가. 부식 시험
회전 부식 측정기(Rotating corrosion tester)를 사용하여 부식시험을 실시하였다. 온도 30℃, 10cc/min의 공기주입상태에서 탄소강 시험편을 회전속도 170rpm으로 회전시켰으며, 3일 후 탄소강의 무게 감량에 따른 부식속도[mg/(dm2·day): mdd]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나. 미생물 억제 시험
온도 30℃, 170rpm, 10cc/min의 공기주입상태에서 미생물 8종(Enterobacter aerogens ATCC 13048, Escherichia coli ATCC 11229, Micrococcus luteus ATCC 9341,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Klebsiella pneumoniae ATCC 1560, Staphylococcus edidermis ATCC 155,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Bacillus subtilis ATCC 6984)의 균일 혼합액을 부식 시험 수질에 주입한 다음, 3일 후 미생물의 농도 감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함께 나타내었다. 시험 수질에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먼저, 미생물 균일 혼합액을 108 CFU/ml로 제조한 후, 미생물의 농도가 107 CFU/ml로 되도록 시험 수질에 미생물 혼합액을 투입하였다.
다. 스케일 형성 억제 시험
시험 용액을 밀폐시키고 75℃ 에서 24시간 정체시킨 후, 0.45 마이크로 미터 필터로 여과하고, 이때의 총경도를 측정하여 스케일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시험수질은 하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고(단, 미생물은 투입하지 않았다.), 이 시험수질에 표 2에 표시된 본 발명의 수처리제 성분 및 표 3에 표시된 비교예의 수처리제 성분의 각 농도를 유지시키고 시험하였으며,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스케일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27753035-pat00002
상기 식에서 Ct는 시험 전의 시험액 중의 총경도를 나타내고, Ce는 시험 후의 시험액 중의 총경도를 나타낸다.
수 질
# 1 # 2 # 3 # 4 # 5
pH 7.4 7.6 7.8 8.0 8.2
Ca-H (ppm) 50 100 150 200 250
Mg-H (ppm) 10 20 30 40 50
Chloride (ppm) 40 80 120 160 200
초기 미생물 농도 (CFU/ml) 107 107 107 107 107
상기 표 1에서, pH는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0.05N 황산 수용액으로 조절하였으며, Ca-H (칼슘경도)는 염화칼슘으로 조절하였고, Mg-H (마그네슘경도)는 황산마그네슘으로 조절하고, 염소 이온(chloride) 함량은 염화나트륨으로 각각 조절하였으며, CFU는 Cell Forming Unit을 나타낸다.
성분 함량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이소티아졸리논 1.0 1.5 3.0 4.5 6.0
브로노폴 10 15 10 15 15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5.0 4.0 3.0 2.5 2.0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1.0 2.0 2.5 3.0 4.0
소디움 브로메이트 0.01 0.02 0.025 0.04 0.05
포타슘 아이오데이트 - 0.03 0.025 - 0.05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상기 표 2에서, 오르가닉 포스페이트는 HEDP와 HEDP 소듐염의 혼합액(부피비 = 70:30) (Solutia 社)을 사용하였고, 이소티아졸리논은 SK 케미칼 주식회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이소티아졸리논 - 0.5 - - -
브로노폴 - - 5 - -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 - - - 4.0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 2.0 - 3.0 -
소디움 브로메이트 - 0.02 - - -
포타슘 아이오데이트 - - 0.025 0.04 0.05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부식결과 (mdd) 5일 후 잔류 미생물 농도 (CFU/ml)
수질 #1 수질 #2 수질 #3 수질 #4 수질 #5 수질 #1 수질 #2 수질 #3 수질 #4 수질 #5
실시예 1 4.48 4.65 4.89 5.21 5.67 0 0 101 101 102
실시예 2 4.76 4.89 5.09 5.21 5.89 0 0 0 101 101
실시예 3 5.67 5.89 5.89 6.03 6.21 0 0 0 0 0
실시예 4 6.03 6.56 6.76 7.25 7.62 0 0 0 0 0
실시예 5 7.25 7.44 7.89 8.08 8.12 0 0 0 0 0
비교예 1 161.51 156.44 142.16 148.45 138.67 107 107 107 108 108
비교예 2 138.42 124.38 120.92 118.44 112.97 105 105 105 106 106
비교예 3 142.43 152.38 132.82 128.42 124.38 105 105 105 105 106
비교예 4 132.82 128.42 118.44 122.39 112.97 108 108 108 108 108
비교예 5 4.89 5.21 5.09 5.89 6.21 107 107 108 108 108
* mdd = mg/(dm2·day), CFU/ml = Colony forming unit/ml
스케일 억제율(%)
수질 #1 수질 #2 수질 #3 수질 #4 수질 #5
실시예 1 100 100 100 98 97
실시예 2 100 100 100 98 97
실시예 3 100 100 100 98 97
실시예 4 100 100 97 98 96
실시예 5 99 98 97 96 94
비교예 1 60 54 52 50 45
비교예 2 56 50 47 48 45
비교예 3 56 50 47 44 43
비교예 4 56 50 47 44 43
비교예 5 100 100 100 98 97
상기 표 4 및 5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5의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부식방지, 미생물 살균 및 스케일 억제율이 전영역에 걸쳐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 보다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조성물은 부식 방지 및 스케일 억제율은 우수하나, 미생물 살균 효과는 거의 없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금속의 부식방지, 미생물 살균 효과 및 스케일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순간 살균력과 지속 살균력이 모두 우수하므로, 냉각시스템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가 양호하고, 금속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부식반응을 억제하여 부식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최대한 축소시키므로써, 방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2가 금속염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2가 금속염 스케일의 결정구조를 변환하여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3-이소티아졸리논, 브로노폴,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소디움 나이트레이트, 및 소디움 브로메이트를 포함하는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27753035-pat00003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염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전체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3-이소티아졸리논의 함량은 0.05 내지 15중량%이고, 상기 브로노폴의 함량은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의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소디움 브로메이트의 함량은 0.001 내지 2중량%이고, 상기 아이오데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0.0001 내지 2중량%인 것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하이드록시에틸리딘 디포스포닉산, 하이드록시포스포노 카르복실산,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포닉산, 포스포노부탄 트리카르복실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리딘 포스포닉산, 이들의 소디움 염 및 포타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은 3-이소티아졸리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2가 금속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냉각수 처리제 조성물을 1 내지 500,000ppm의 농도로 수배관에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처리 방법.
KR20040048256A 2004-06-25 2004-06-25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00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256A KR101003064B1 (ko) 2004-06-25 2004-06-25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PCT/KR2005/001989 WO2006001667A1 (en) 2004-06-25 2005-06-24 Multifunctional water treating composition and water-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256A KR101003064B1 (ko) 2004-06-25 2004-06-25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651A KR20050122651A (ko) 2005-12-29
KR101003064B1 true KR101003064B1 (ko) 2010-12-21

Family

ID=3578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8256A KR101003064B1 (ko) 2004-06-25 2004-06-25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3064B1 (ko)
WO (1) WO2006001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0820A2 (de) * 2007-06-28 2008-12-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rrosionsschützender zusatz für flüssigkeiten
CN105399222A (zh) * 2014-09-11 2016-03-16 陕西安得科技实业有限公司 用于处理循环冷却水的杀菌缓蚀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438B1 (ko) 1997-08-28 2002-02-28 조민호 밀폐순환냉각시스템의부식및스케일억제수처리제조성물및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87A (ja) * 1982-07-16 1984-01-27 Kurita Water Ind Ltd リン酸塩を含む水の処理方法
US5303292A (en) * 1985-04-26 1994-04-12 Kabushiki Kaisha Toshiba Low profile telephone set
JPH03188983A (ja) * 1989-12-19 1991-08-16 Takada Kenkyusho:Kk 排水処理方法
US5227133A (en) * 1991-04-12 1993-07-13 Gulf Coast Performance Chemical,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general and pitting corrosion in cooling tower water
KR20040012135A (ko) * 2002-08-01 2004-02-1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수처리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438B1 (ko) 1997-08-28 2002-02-28 조민호 밀폐순환냉각시스템의부식및스케일억제수처리제조성물및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1667A1 (en) 2006-01-05
KR20050122651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459B1 (ko)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는 수처리 방법
EP2729419B1 (en) Multiple uses of amine salts for industrial water treatment
US6200529B1 (en) Corrosion inhibition method suitable for use in potable water
KR100683036B1 (ko) 일액형 다기능성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506078B1 (ko) 부식 및 스케일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U2002214357A1 (en) Multifunctional water-tre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water-treating using the same
KR101003064B1 (ko) 2가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일액형 다기능성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JP4934896B2 (ja) 多機能型水処理剤
KR100315438B1 (ko) 밀폐순환냉각시스템의부식및스케일억제수처리제조성물및그방법
KR100310168B1 (ko) 부식및스케일형성을억제하기위한수처리제조성물및그를이용한수처리방법
KR100716127B1 (ko) 다기능성 일액형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수처리 방법
US6416712B2 (en) Corrosion inhibition method suitable for use in potable water
KR20080041416A (ko)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의 수처리 방법
KR20050051012A (ko) 고 전도도 수질에 적합한 수처리 방법
KR100683040B1 (ko) 다기능성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592084B1 (ko) 냉각시스템용 수처리제 조성물
KR100842073B1 (ko) 다기능성 일액형 냉각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방법
KR20060122166A (ko) 냉각시스템용 스케일 형성 억제 수처리 방법
KR100453904B1 (ko) 일체형 냉각탑 수처리제 조성물
KR100285937B1 (ko) 글루콘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수처리 프로그램 및 수처리 방법
JP2010173994A (ja) 多機能型水処理剤
KR100310166B1 (ko) 금속의부식방지및수중이온의스케일형성을억제하기위한수처리프로그램및수처리방법
KR101284801B1 (ko) 미생물 살균기능을 가진 수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방법
KR100454033B1 (ko) 수계의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수처리제 조성물
KR19990024319A (ko) 수배관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용 수처리제 조성물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