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788B1 -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788B1
KR101002788B1 KR1020100036264A KR20100036264A KR101002788B1 KR 101002788 B1 KR101002788 B1 KR 101002788B1 KR 1020100036264 A KR1020100036264 A KR 1020100036264A KR 20100036264 A KR20100036264 A KR 20100036264A KR 101002788 B1 KR101002788 B1 KR 10100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mb receiver
dmb
cont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준
Original Assignee
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준 filed Critical 지현준
Priority to KR102010003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DMB 수신기에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 받는 단계, (2) 상기 DMB 수신기의 콘텐츠 표시부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상기 수신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및 광고가 상기 DMB 수신기의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여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콘텐츠와 광고를 전송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DMB 사업자의 콘텐츠와 함께 항상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DMB 사업자의 광고 수익이 향상되어 양질의 콘텐츠의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하게 하고, 시청률 상승 및 광고 단가 상승이 유도될 수 있는 선순환의 수익구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고 있는 동안 광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를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하고,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한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의 전송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아 이를 전송함으로써 광고주와 사용자를 편리하게 연결시켜 줌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A COMMERCIAL PROVIDING METHOD USING DMB RECEIVER WITH MULTIPLEX DISPLAY}
본 발명은 DMB 수신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이다.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약자로서,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휴대폰, PDA 또는 차량용 리시버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불린다.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지상파 DMB는 유럽 디지털 라디오방송(DAB)의 기술표준인 유레카-147을 기본 규격으로 사용한다. 2004년 현재 비어 있는 VHF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 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데,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록이 생기고, 블록 1개당 몇 개의 비디오, 오디오 채널이 생긴다. 주파수는 174~216㎒이고, 압축 방식은 MPEG4 기술을 이용하며 전파는 장거리에 알맞도록 회절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차량에서 이용할 목적으로 KBS, MBC, SBS, YTN, CBS 등이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다.
위성 DMB는 지상파 DMB와 달리 위성을 이용해 방송을 서비스한다. 따라서 수신율이 낮은 도심 지역은 갭 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를 이용해 방송을 수신한다. 주파수는 2.605㎓ 이상이고, 압축 방식은 지상파와 같으며 채널 수는 비디오 20개 안팎, 오디오 50개 안팎이다.
DMB 수신기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DMB가 기존 방송의 대체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방송을 시청하지 않던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DMB를 주로 시청하고 있다. DMB 이용시간도 50분 내외로 상당히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이용 행태는 오락이나 드라마 등 단순 ‘시간 때우기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상파 DMB 선호 채널의 78%가 KBS, MBC, SBS 등의 기존 지상파 채널에 편중되어 있다. YTN DMB, U1 미디어, 한국 DMB 등 신규 지상파 DMB 사업자가 계속해서 자리 잡지 못할 경우 지상파 DMB가 단순히 기존 지상파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로 전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DMB 사업자의 콘텐츠와 함께 항상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DMB 사업자의 광고 수익이 향상되어 양질의 콘텐츠의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하게 하고, 시청률 상승 및 광고 단가 상승이 유도될 수 있는 선순환의 수익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고 있는 동안 광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를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하고,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한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의 전송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아 이를 전송함으로써 광고주와 사용자를 편리하게 연결시켜 줌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DMB 수신기에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 받는 단계;
(2) 상기 DMB 수신기의 콘텐츠 표시부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상기 수신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및 광고가 상기 DMB 수신기의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여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콘텐츠와 광고를 전송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DMB 수신기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세부정보를 상기 DMB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와 함께 광고되는 대상에 관련된 세부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DMB 수신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광고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성, 특징 및 가격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 정보, 및 상기 광고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사이트 및 상담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광고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콘텐츠가 신규 콘텐츠일 경우 상기 DMB 수신기가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일 경우에만 상기 신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MB 수신기가 다중 디스플레이가 불가능한 DMB 수신기이고,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4:3인 경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콘텐츠는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16:9의 비율로 전송하고,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광고는 상기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고 남는 부분에 표시될 수 있도록 16:3의 비율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MB 수신기는 DMB 수신을 위한 전용 단말기, DMB 수신 장치가 구비된 일반 휴대폰 단말기, 스마트폰 단말기, PDA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PMP,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DMB 사업자의 콘텐츠와 함께 항상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DMB 사업자의 광고 수익이 향상되어 양질의 콘텐츠의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하게 하고, 시청률 상승 및 광고 단가 상승이 유도될 수 있는 선순환의 수익구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고 있는 동안 광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를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하고,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에 전송한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의 전송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아 이를 전송함으로써 광고주와 사용자를 편리하게 연결시켜 줌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기존 단말기를 응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라 콘텐츠와 광고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 DMB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주 서버(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 DMB 수신기(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광고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광고와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에 전송하여, 콘텐츠와 광고가 해당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의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광고주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광고를 제공한다. 광고주 서버(100)는 광고주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다수의 광고주 서버(100)가 있을 때보다 수익성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에 전송할 광고뿐만 아니라 기존 방식에 따른 광고도 수신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서버로서, 광고주 서버(100)와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를 매개하고, DMB 수신기(300)에 콘텐츠와 광고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콘텐츠와 광고를 전송한다.
DMB 수신기(300)는, 리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콘텐츠 및 광고를 수신하여 이동하면서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DMB 수신을 위한 전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DMB 수신 장치가 구비된 일반 휴대폰 단말기, 스마트폰 단말기, PDA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PMP,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 DMB의 시청만 가능하다면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3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해 광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가 바람직하다.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는 콘텐츠 표시부(310) 및 광고 표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경계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표시부(31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전송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으로서, DMB 수신기(300)의 기본적인 기능이 표시되는 부분이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표시부(32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수신받아 전송하는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으로 DMB 수신기(300)의 보조적인 기능이 표시되는 부분이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표시부(320)는 손이나 터치 펜 등의 소정의 도구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광고 표시부(320)에 표시된 내용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광고와 관련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DMB 수신기(300)의 사용자 및 광고주에게 매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다. 광고 표시부(320)에는 광고나 부가 정보뿐만 아니라 전원버튼, 음량 조절, 채널 조정 등 DMB 수신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경계부(330)는, 콘텐츠 표시부(310) 및 광고 표시부(320) 사이를 분할하여 경계를 나누어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경계부(330)는 물리적 또는 심리적으로 화면을 분할할 수 있는데, DMB 수신기(300)의 화면에 경계선을 포함함으로써 각 표시부를 물리적으로 분할하거나, 각 표시부 사이의 경계가 명확히 구획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심리적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경계부(330)를 포함함으로써, DMB 수신기(300)의 사용자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한다는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하고, 화면 분할에 의해 더 넓은 화면을 좁게 사용하고 있다는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구현되며,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광고를 수신받는 단계(S100), DMB 수신기(300)의 콘텐츠 표시부(310)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S200), 및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로 수신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로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광고를 수신받는다. 종래에도 DMB 사업자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받아 이를 DMB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료를 받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광고 제공 서비스가 등장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특화된 광고를 더 수신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새로운 유형의 광고를 수신함으로써 DMB 사업자는 추가적인 광고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기존 방식의 광고를 수신한 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식에 맞도록 이를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100에서는,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광고와 함께 광고되는 대상에 관련된 세부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로부터 광고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및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세부정보를 DMB 수신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로 전송하는 세부 정보는, 광고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성, 특징 및 가격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 정보, 및 광고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사이트 및 상담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광고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상품 광고가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에 표시되고 있을 때, DMB 수신기(300)의 사용자로부터 광고 표시부(320)에 표시된 광고를 클릭하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통해 광고되고 있는 보험 상품과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해당 보험 상품의 보장 내용, 한 달 납부 금액, 특약에 관한 내용 등 광고되고 있는 보험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해당 보험사의 홈페이지 주소, 상담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광고주 정보를 수신받아 DMB 수신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DMB 수신기(300)의 사용자는 콘텐츠가 가려지거나 하는 방해 없이 온전한 콘텐츠를 계속 이용하면서 동시에 광고 표시부(3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DMB 수신기(300)의 콘텐츠 표시부(310)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한다.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DMB 수신기(300)의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신규 콘텐츠를 전송할 경우, DMB 수신기(300)가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일 경우에만 신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DMB 수신기(300)의 경우에는 신규한 양질의 콘텐츠의 전송을 제한함으로써 신규 단말기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로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광고를 전송한다.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에 광고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광고 표시부(320) 용으로 제작된 광고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수신받은 광고가 광고 표시부(320) 용으로 제작된 광고가 아닐 경우에는 광고 표시부(320) 용으로 가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기존의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DMB 수신기(300)의 경우에는 광고 표시부(320)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사용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방송과 광고를 함께 편집하여 DMB 수신기(3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MB 수신기(300)에서 인터넷이 가능할 경우 DMB 수신기(300)의 사용자로부터 광고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요청받으면, 광고주 서버(100)로부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이트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DMB 수신기(300)로부터 사이트 접속에 의해 상품 또는 서비스가 판매된 경우 DMB 사업자는 이에 대한 부가적인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400에서는, DMB 수신기(300)의 광고 표시부(320)로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 DMB 수신기(300)의 콘텐츠 표시부(310)에 전송된 콘텐츠의 제목, 시간, 일일 편성표 등의 부가 정보를 광고 표시부(320)로 전송함으로써, DMB 수신기(300) 사용자들의 온전한 시청 화면을 확보한 상태에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등장하는 배우나 가수에 대한 정보나 기사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부가 서비스를 전송함으로써 DMB 사업자는 정보 제공사나 온라인 신문사로부터 중계에 대한 수수료를 받아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도 4는 기존 단말기를 응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수신기(300)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4:3인 경우에는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00에서 콘텐츠는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16:9의 비율로 전송하고, 단계 S300에서, 광고는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고 남는 부분에 표시될 수 있도록 16:3의 비율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의 DMB 방송 시스템에서는 4:3의 화면 비율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방송의 활성화로 16:9의 비율을 가진 콘텐츠가 증가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고, 기존의 수신기는 4:3의 비율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의 수신기에 디지털 방송의 전송 방식인 16:9의 비율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남는 부분을 통합한 16:3의 비율의 화면에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표시부(320)에 전송하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특별히 중계기나 전송 방식의 변경 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라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표시부(310)와 광고 표시부(320)가 분리되어 있지 않을 경우, DMB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콘텐츠 바로 아래에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DMB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의 시청을 방해받고 있다는 반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더 넓은 화면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광고 창에 화면을 할애하여야 한다는 심리적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DMB 수신기(300)는 DMB 수신전용 단말기보다는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면서 DMB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그러한 멀티미디어 단말기 중에는 최근의 콘텐츠 경향에 맞춘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진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진 사용자는 좌우가 잘린 축소된 화면으로 서비스를 받게 됨으로써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없는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DMB 사업의 선순환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로 점진적인 교체를 유도하여야 하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은 이러한 교체를 위한 과도기적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라 콘텐츠와 광고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 DMB 수신기(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DMB 수신을 지원하는 PMP, 내비게이션 등의 일반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DMB 수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등의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DMB 수신용 모듈을 사용한 노트북 컴퓨터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전송한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부(310)에 디스플레이되고, 콘텐츠와 함께 전송한 광고가 광고 표시부(3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표시부(310)와 광고 표시부(320)는 디스플레이 경계부(330)에 의해 분할되어 있어서, 하나의 화면을 좁게 사용하고 있다는 거부감을 없애 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300)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악화되고 있는 DMB 사업자의 수익 구조를 개선시켜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신규 콘텐츠 제공 업체의 참여를 유도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별도의 창을 통해 광고 및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등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시청자들의 온전한 시청 화면이 확보된 상태에서 DMB 사업자의 수익 구조가 개선되는 진정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DMB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차세대 DMB 단말기 시장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됨에 있어 소비자의 큰 거부감 없이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DMB 사업을 선순환 구조로 개선하기 위해 구형 단말기를 신형 단말기로 교체하도록 유도하고, 증가한 광고 수입으로 DMB 수신기(300) 제조업체에 단말기 제조 지원금을 지원함으로써 더욱 원활하게 단말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DMB 수신기(300) 제조업체의 수익 구조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고주 서버 200: 서비스 제공 서버
300: DMB 수신기 310: 콘텐츠 표시부
320: 광고 표시부 330: 디스플레이 경계부
S100: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 받는 단계
S200: DMB 수신기의 콘텐츠 표시부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S300: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수신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
S400: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laims (7)

  1.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DMB 수신기에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받는 단계;
    (2) 상기 DMB 수신기의 콘텐츠 표시부로 DMB 사업자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상기 수신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및 광고가, 상기 DMB 수신기의 상기 콘텐츠 표시부 및 상기 광고 표시부가 서로 분할되어 상기 전송한 콘텐츠 및 광고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여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콘텐츠와 광고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의 DMB 수신기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세부정보를 상기 DMB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기의 광고 표시부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와 함께 광고되는 대상에 관련된 세부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DMB 수신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광고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성, 특징 및 가격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 정보, 및 상기 광고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사이트 및 상담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광고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콘텐츠가 신규 콘텐츠일 경우 상기 DMB 수신기가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일 경우에만 상기 신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기가 다중 디스플레이가 불가능한 DMB 수신기이고,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4:3인 경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콘텐츠는 화면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16:9의 비율로 전송하고,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광고는 상기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고 남는 부분에 표시될 수 있도록 16:3의 비율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기는 DMB 수신을 위한 전용 단말기, DMB 수신 장치가 구비된 일반 휴대폰 단말기, 스마트폰 단말기, PDA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PMP,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0100036264A 2010-04-20 2010-04-20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100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64A KR101002788B1 (ko) 2010-04-20 2010-04-20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64A KR101002788B1 (ko) 2010-04-20 2010-04-20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88B1 true KR101002788B1 (ko) 2010-12-21

Family

ID=4351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264A KR101002788B1 (ko) 2010-04-20 2010-04-20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8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178B2 (en) Hybrid video time-bandwidth product improvement (HVTBPI) reception
US20180189800A1 (en) Radio broadcast content synchronization
CN101529909B (zh) 一种用于向多媒体设备分配广告和/或内容的方法及设备
US891833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radio advertising
JP4447500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
US20150213495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media for user control of advertising
US20080288975A1 (e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3062787A (ja) ザッピング広告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0038943B2 (en) Common purchase plan based advertisement
US9781483B2 (en) Digital over-the-air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988282B1 (ko) 채널전환시간 동안 광고 영상을 보여주는 방송수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07105750A1 (ja) 広告システム及び商品販売システム
US20130034147A1 (en) Public interactive personalized radio networking method
KR102148368B1 (ko) 실시간 방송 기반의 추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788B1 (ko)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엠비 수신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084514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리치 미디어 서비스를 연계한광고방법
CN101420623B (zh) 基于双向网络的数字电视广告投放的方法
US20130291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ffinity Marketing To Mobile Devices
KR20090109196A (ko)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4237179B2 (ja) 成果報酬型広告システム、成果報酬型広告方法および成果報酬型広告プログラム
US20130030911A1 (en) Public interactive personalized radio network
KR20070024039A (ko) 인터넷을 통한 텔레비전 광고 시스템
KR101002790B1 (ko) 다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아이피티브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132874A (ja) 双方向サービス・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ビス方法
JP2005210307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システム連動型の双方向cm情報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