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773B1 -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773B1
KR101002773B1 KR1020080008265A KR20080008265A KR101002773B1 KR 101002773 B1 KR101002773 B1 KR 101002773B1 KR 1020080008265 A KR1020080008265 A KR 1020080008265A KR 20080008265 A KR20080008265 A KR 20080008265A KR 101002773 B1 KR101002773 B1 KR 10100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film
sea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034A (ko
Inventor
요 신 랴오
요 추안 랴오
치엔 후아 랴오
Original Assignee
치엔 후아 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엔 후아 랴오 filed Critical 치엔 후아 랴오
Priority to KR102008000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7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 F16K15/147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onto an internally extending m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과 두 개의 내막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내열부는 내열재료의 코팅에 의해 상기 내막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외막의 네변을 열봉하고, 공기충전통로,공기입구 및 공기기둥은 상기 내열부를 가로질러 열봉형성된다. 상기 내열부는 열봉점으로 더 열봉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입구가 공기가 충전되는 동안 강제로 열려지는 구조가 구성되고, 곡면구역이 상기 공기충전통로 근체의 공기기둥에 형성된다. 다수의 주름이 상기 내막 사이에서 발생된다. 기둥면 구역은 상기 곡면구역의 측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봉선은 상기 내막에 부착되고,기둥면 구역에 접하여 곡면구역의 바깥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입구는 상기 내막 사이에서 열봉형성되어 상기 내열부와 링형 열봉선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링형 열봉선의 양측과 연통된다. 상기 내막은 공기가 충전된 후 상기 외막 중 하나에 부착됨과 동시에 주름이 제2공기입구의 열봉선에 의해 가로막혀 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밀폐한다.
공기밀봉체, 체크밸브, 내열부, 내막, 외막, 주름, 공기입구

Description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Air Sealing Body and a Check Valve Device thereof Capable of Intensifying Air-tightness}
본 발명은 공기 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충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충격을 흡수하여 물품에 쿠션(완충보호)을 제공하기 위해서 물품을 기포지(air bulb paper)로 포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포지의 진동흡수 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비교적 큰 진동 혹은 충격을 견디지 못하므로 기포지 대신에 수지를 재료로 한 공기포장자루(air packing bag)를 제작하게 되었다.
도 1a와 1b를 참고하면, 공기포장자루는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밀봉체를 구성하기 위해서 연질수지로 제작된 두 개의 외막(A161,A162)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외막(A161,A162) 사이에는 공기밸브(A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기밸브(A14)는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이 서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 사이에 공기통로(A143)가 형성된다. 공기가 충전되는 동안 공기가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 사이의 공기 통로(A143)를 통하여 공기실(A13)로 들어가서 공기실(A13)이 팽창되고, 공기실(A13) 내의 공기가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을 눌러 자동적으로 공기충전이 차단되지만,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기가 공기통로(A143)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공기포장자루(A10)는 장기간 공기밀폐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도 1a와 1b와 함께 도 2a와 2b를 참고하면, 공기포장자루(A10)에서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이 서로 결합된 후, 외막(A162)과 열봉(thermal sealing) 처리하여 공기밸브(A14)가 외막(A162)에 부착되게 하고, 공기통로(A143)에 안내부(guide parts)(A144,A145,A146,A147)가 열봉되어 공기가 공기실(A13)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공기가 공기통로(A143)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대만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587049호「밀봉체의 밸브 조립구조 및 밸브를 가진 밀봉체의 제조장치」에서 제시하고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공기포장자루(A10)에 공기가 충전되면 원통형이 되는데,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이 완전하게 외막(A161)에 부착될 수 없고, 윗 공기밸브막(A141)과 아래 공기밸브막(A142)에 형성된 주름부(A148)가 공기실(A13) 내의 공기가 상기 주름부(A148)를 통과해 역으로 누출되는 현상을 발생케 하여 공기포장자루(A10)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 쿠션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밀봉체 및 체크밸브장치를 제공하여 공기기밀성을 강화하여 공기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 두 개의 내막, 적어도 하나의 공기기둥, 공기충전 통로, 적어도 하나의 열봉점, 적어도 하나의 제1공기입구, 곡면구역, 기둥면 구역, 적어도 하나의 링(ring)형 열봉선,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기입구를 포함하는데, 상기 두 개의 내막은 두 개의 내막이 서로 접착되게 하나의 내막에는 점착제가 코팅되어 상기 두 개의 외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내막 내측에는 내열재료가 칠해진 내열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막 각각에 열봉되며, 상기 공기기둥은 공기저장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외막 사이에 열봉되며, 상기 공기충전통로는 상기 공기기둥에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열봉점은 공기충전시 외막이 팽창하면서 상기 공기충전 통로의 서로 접착된 상기 두 개의 내막을 강제로 떼어내어 상기 내열부의 공기충전입구가 열려지게 하며, 상기 제1공기입구는 상기 내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내막이 서로 접착되지 않게 하여 공기를 들이는 입구를 제공하는 내열부로 인해 상기 내열부를 가로지르는 열봉선에 배치되며, 상기 곡면구역은 상기 공기충전 통로에 접한 공기기둥에 위치하며 이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두 개의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하나의 외막에 평평하게 접착됨과 동시 에 상기 두 개의 내막 사이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면 구역은 상기 곡면구역의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내막이 상기 외막 중 하나의 외막에 평평하게 접착되며, 상기 링(ring)형 열봉선은 상기 내열부를 통해 두 개의 내막을 열봉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둥면 구역에 접한 상기 곡면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내열부를 통해 상기 두 개의 내막 사이에 열봉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열부와 링형 열봉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공기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체크밸브장치는 두 개의 외막에 열봉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기둥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는 공기충전통로가 위치하고, 이 공기충전 통로의 공기는 상기 공기기둥에 진입해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하는데, 그 특징은 상기 체크밸브장치가 두 개의 내막, 적어도 하나의 제1공기입구, 곡면구역, 기둥면 구역, 적어도 하나의 링형 열봉선, 및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입구를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두 개의 내막은 두 개의 외막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 두 개의 내막 사이에는 내열재료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내막의 외측은 적어도 하나의 열봉점을 통해 상기 외막에 열봉되며 상기 내막의 내측은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유지되며, 상기 제1공기입구는 두 개의 내막 사이에 열봉되며, 상기 열봉점은 공기가 충전되었을 때 상기 두 개의 내막이 강제로 서로 떼어내져 상기 제1공기입구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공기가 이 제1공기입구를 통해 공기기둥으로 들어가며, 상기 곡면구역은 상기 공기충전 통로에 접한 상기 공기기둥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두 개의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하나의 외막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두 개의 내막 사이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면 구역은 곡면구역에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두 개의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하나의 외막을 평평하게 접착하며,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두 개의 내막을 가로질러 상기 내열부와 열봉되고, 상기 기둥면 구역에 접한 상기 곡면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두 개의 내막 사이에서 상기 내열부와 열봉접착 형성되며, 상기 내열부와 링형 열봉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공기기둥의 하부가 공기기둥의 상부와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와 그 체크밸브장치는 두 개의 내막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외막에 열봉점을 형성하는 내열재료로 인해 공기가 충전되면서 공기충전 통로를 팽창시켜 상기 두 개의 내막을 서로 떼어내어 이 두 개의 내막 사이에 위치한 제1공기입구는 열봉되지 않은 코팅된 내열재료로 인해 상기 외막이 내막을 떼어내는 동안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공기가 상기 제1공기입구를 통해 두 개의 내막 사이에 들어가 제2공기입구가 자동으로 열려질때, 상기 공기기둥으로 들어가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기입구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기둥을 팽창시킨다.
일단 공기 팽창이 완료되면, 상기 공기기둥 내의 공기가 두 개의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하나의 외막에 접착되게 하며, 상기 곡면구역의 두 개의 내막은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면 구역의 두 개의 내막은 상기 하나의 외막에 평평하게 접착되어 유지된다. 한편,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는 두 개의 내막을 압박하여 제2공기입구를 닫고, 공기기둥의 내부나 외부로 흐르는 공기를 차단하여 공기가 외 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기밀성 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공기충전시 주름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어 쿠션기능을 상실하여 장기간 유지할 수 없는 등의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의 문제점을 완전히 극복함으로써 부적절한 외부압력이 가해져 손상되지 않으면 더 오랫동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공기가 주름으로부터 역류되어 누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의 결점, 즉 공기가 충전된 후 공기가 주름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어 쿠션작용을 상실하고, 이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외력의 작용을 받아 파손되지 않는 한 공기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대폭적으로 공기밀봉체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2a,2b) 사이에 마주보고 위치하는 두 개의 내막(1a,1b)과 내열재료로 만들어져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에 배열되는 내열부(1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의 제1실시예의 실시방식은 아래와 같다.
두 개의 내막(1a,1b)은 서로 중첩되어 링형(ring shape) 열봉선(thermal seal line)(3f)으로 열봉된다. 다음에 내막(1b)이 외막(2b)과 중첩된다. 그 다음에, 제2공기통로(14)는 잘 막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크(neck)부(4f)를 가진 열봉 에 의해 형성되고, 다시 내막(1b)은 외막(2b)에 중첩되고, 열봉선(3a,3b,3c,3d)은 외막(2a,2b)의 주변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공기충전채널구역(3a-3b)과 공기저장구역(3b-3d)의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열봉선(3c,3d)은 열봉변(thermal seal edge)이고, 열봉선(3b)은 2개의 구역(3a-3b,3b-3d) 사이의 경계이다. 내열부(1c)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개의 내막(1a,1b)은 열봉점(thermal seal spot)(2c)을 통해 실시되는 열봉에도 불구하고 서로 접착되지 않아 두 개의 내막이 각각 두개의 외막에 접착된다. 열봉선(3b)이 적절하게 작용하여 상기 열봉선(3b)의 내막(1a,1b)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고 제1공기입구(2e)가 상기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에 형성된다.
공기가 공기밀봉체의 꼭대기에 있는 공기충전통로(9)를 통하여 공기밀봉체에 들어가 외막을 팽창시켰을 때, 상기 제1공기입구(2e)가 간접적으로 열려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저장구역(3b-3d)의 두 개의 내막(1a,1b)의 벤트(bent)부(1d)가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에 증가된 공기압력의 압박을 받아 제1공기입구(2e)가 두 개의 내막(1a,1b)으로 폐쇄되어 공기가 들어오기만 하고 상기 제1공기입구(2e)를 통해 나갈 수는 없게 된다. 또한, 공기저장구역(3b-3d)의 내압이 높아져 제2공기통로(14)의 네크부(4f)를 압박하게 되어 제2공기통로의 길을 차단한다. 그 결과 공기잠금(air 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2a,2b) 사이에 마주보고 위치하는 두 개의 내막(1a,1b)과 내열재료로 만들어져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에 배열되는 내열 부(1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의 제2실시예의 실시방식은 아래와 같다.
두 개의 내막(1a,1b)은 서로 중첩되어 링형(ring shape) 열봉선(thermal seal line)(3f)으로 열봉된다. 다음에 내막(1b)이 외막(2b)과 중첩된다. 그 다음에, 제2공기통로(14)는 잘 막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크(neck)부(4f)를 가진 열봉에 의해 형성되고, 다시 두 개의 내막(1a,1b)은 두 개의 외막(2a,2b) 사이에 위치되고, 열봉선(3a,3b,3c,3d)은 외막(2a,2b)의 주변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공기충전채널구역(3a-3b)과 공기저장구역(3b-3d)의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열봉선(3c,3d)은 열봉변(thermal seal edge)이고, 열봉선(3b)은 2개의 구역(3a-3b,3b-3d) 사이의 경계이다. 내열부(1c)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개의 내막(1a,1b)은 열봉점(thermal seal spot)(2c)을 통해 실시되는 열봉에도 불구하고 서로 접착되지 않아 두 개의 내막(1a,1b)이 각각 두개의 외막(2a,2b)에 접착된다. 열봉선(3b)이 적절하게 작용하여 상기 열봉선(3b)의 내막(1a,1b)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고 제1공기입구(2e)가 상기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에 형성된다.
공기가 공기밀봉체의 꼭대기에 있는 공기충전통로(9)를 통하여 공기밀봉체에 들어가 외막을 팽창시켰을 때, 상기 제1공기입구(2e)가 간접적으로 열려진다. 따라서 공기밀봉체가 공기로 충전된 후에 제1공기입구(2e)가 두 개의 내막(1a,1b)으로 폐쇄되어 공기가 들어오기만 하고 상기 제1공기입구(2e)를 통해 나갈 수는 없게 된다. 또한, 공기저장구역(3b-3d)의 양측의 내압이 높아져 중앙의 두 개의 내 막(1a,1b)을 압박하게 되어 상기 제2공기통로(2e)의 네크부(4f)는 제2공기통로(2e)의 길을 차단한다. 그 결과 공기잠금(air 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2a,2b), 하나의 내막(1a)과 상기 내막에 코팅되는 내열부(1c)를 포함한다. 상기 내막(1a)은 상기 두 개의 외막(2a,2b)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의 제3실시예의 실시방식은 아래와 같다.
상기 내막(1a)은 외막(2b)에 중첩되어 링형 열봉선(3f)으로 열봉된다. 다음에 내막(1b)이 외막(2b)과 중첩된다. 그 다음에, 제2공기통로(14)는 잘 막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크(neck)부(4f)를 가진 열봉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내막(1b)은 외막(2b)에 중첩되고, 열봉선(3a,3b,3c,3d)은 외막(2a,2b)의 주변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공기충전채널구역(3a-3b)과 공기저장구역(3b-3d)의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내열부(1c)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막(1a)이 열봉점(2c)을 통해 외막(2b)에 열봉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외막(2b)에 접착되지 않고, 상기 내막(1a)은 상기 외막(2b)에 밀접하게 접촉한다. 열봉선(3b)이 적절하게 작용하여 상기 열봉선(3b)의 내막(1a)은 상기 외막(2b)과 고정결합되지 않고 제1공기입구(2e)가 상기 내막(1a)과 외막(2b) 사이에 형성된다.
공기가 공기밀봉체의 꼭대기에 있는 공기충전통로(9)를 통하여 공기밀봉체에 들어가 상기 외막(2a,2b)을 팽창시켰을 때, 상기 제1공기입구(2e)가 간접적으로 열 려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저장구역(3b-3d)의 내막(1a)의 벤트(bent)부(1d)가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에 증가된 공기압력의 압박을 받아 제1공기입구(2e)가 내막(1a)으로 폐쇄되어 공기가 들어오기만 하고 상기 제1공기입구(2e)를 통해 나갈 수는 없게 된다. 또한, 공기저장구역(3b-3d)의 내압이 높아져 상기 내막(1a)을 압박하여 상기 외막(2b)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어 제2공기통로(14)의 네크부(4f)는 제2공기통로(14)의 길을 차단한다. 그 결과 공기잠금(air 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개의 공기밀봉체로 이루어진 공기수집 우물(air collecting well)(16)을 제공한다.
각각의 공기 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2a,2b), 내열부(1c)가 코팅된 하나의 내막(1a)과 내열부(1c)가 코팅되지 않은 또 다른 하나의 내막(1b)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내막(1a,1b)은 두 개의 외막(2a,2b)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공기밀봉체의 제4실시예의 실시방식은 아래와 같다.
내열부(1c)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개의 내막(1a,1b)이 열봉점(2c)을 통해 외막(2b)에 열봉됨에도 불구하고 서로 접착되지 않고, 상기 내막(1a,1b)은 상기 외막(2a,2b)에 각각 접촉한다. 공기가 충전되면서 상기 외막(2a,2b)은 상기 내막(1a,1b)을 팽창시킨다.
상기 내막(1a,1b)은 서로 중첩되어 링형 열봉선(3f)으로 열봉된다. 다음에 내막(1b)이 외막(2b)과 중첩된다. 그 다음에, 제2공기통로(14)는 이 제2공기통 로(14)에 설치되는 네크(neck)부(4f)를 가진 열봉에 의해 내열부(1c) 아래서 형성된다. 또한, 열봉선(3a,3b,3c,3d)은 외막(2a,2b)의 주변에 제공되어 공기밀봉체를 공기충전채널구역(3a-3b)과 공기저장구역(3b-3d)의 2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열봉선(3c,3d)은 열봉변(thermal seal edge)이고, 열봉선(3b)은 2개의 구역(3a-3b,3b-3d) 사이의 경계이다. 내열부(1c)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개의 내막(1a,1b)은 서로 접착되지 않아 열려진다. 모든 공기밀봉체에 충진되는 공기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공기 충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공기충전통로(9)를 가진 공기수집우물(16)은 단 하나의 공기충전입구(12)와 통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공기충전통로(9)는 열압(thermal pressing)에 의해 제조되어 각각의 공기밀봉체의 직접통로로 작용한다. 공기는 공기충전 입구(12)를 통해 공기수집우물(16)에 모이고, 공기수집우물(16)의 공기는 각각의 공기밀봉체의 입구로 들어간다. 이런 식으로 공기 충진시간은 실질적으로 단축된다. 본 발명의 내막 배열은 도 4a,4b와 5a,5b 그리고 도6a,6b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 8a-8d는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8d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는 두 개의 외막(2a,2b), 두 개의 내막(1a,1b) 및 상기 각각의 내막에 미리 코팅되어 있는 내열부(1c)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내막은 이 두 개의 내막 사이에 배치된 내열부(1c)와 서로 중첩되고, 링형 열봉선(3f)으로 열봉된다. 이어서, 상기 내막은 공기충전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열봉선(3g)으로 상기 외막(2a)에 열봉되고, 공기충전통로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또 다른 열봉선(3h)으로 상기 외막(2a)에 열봉된다. 또한, 상기 외막은 그 꼭대기 단에 열봉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열봉된다. 열봉선(3b)과 열봉점(2c)은 두 개의 외막(2a,2b)에 열봉되어 대략 내열부의 중앙에 있으며, 열봉선(3a,3b) 사이의 영역에 있는 상기 외막(2a,2b)은 공기충전통로(9)와 상기 공기충전통로(9)의 한쪽 끝에 있는 공기충전입구(1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충전통로(9)의 또 다른 한쪽 끝은 열봉선(3i)으로 열봉된다.
내열부(1c)가 각각의 내막(1a,1b)의 내측에 형성되고 이 내막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내막(1a,1b)은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상기 내막(1a,1b)의 외측은 상기 각각의 외막(2a,2b)에 접착된다. 열봉선(3b)은 공기충전통로(9)에 더해져 제1공기입구(2e)를 형성하고, 공기저장구역(3b-3d)은 상기 외막(2a,2b)의 바닥에 있는 열봉선(3b)과 열봉선(3d)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열봉선(3d)과 서로 교차되는 수직의 열봉선(3c)을 시행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공기기둥(11)을 형성한다.
공기가 충전되었을 때, 공기가 공기충전입구(12)에서 공기충전통로(9)를 따라 공기밀봉체(1)로 들어가서 상기 외막은 상기 내막(1a)을 상기 내막(1b)으로부터 떼어내어 팽창시킨다. 이는 상기 열봉점은 내막(1a)과 외막(2a) 그리고 내막(1b)과 외막(2b)을 각각 열봉하며, 상기 내막(1a,1b) 사이의 내열부(1c)를 열봉하기 때문이다. 즉, 내막(1a)이 내막(1b)에 대해 내열부(1c)로 인해 열봉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공기입구(2e)가 자동적으로 열려 공기가 열봉선(3b)과 열봉 선(3f) 사이로 들어가서 제2공기입구(2f)가 열리고, 공기가 예설된(preset) 제2공기통로(14)를 따라 이동한 다음 공기출구 열봉점(15)은 공기를 공기기둥(11)으로 진입시켜 원래 평평했던 공기기둥(11)을 팽창시킨다.
그 결과, 공기기둥(11)은 열봉선(3b)으로부터 융기되어 원통형으로 되어 열봉선(3b-3f) 사이의 구역은 자연축소율 "π"를 가지고, 열봉선(3a-3b) 사이의 공기충전채널구역은 자연축소율로 인해 많은 주름이 생기게 된다. 공기가 제2공기입구(2f)를 통하여 공기기둥(11)에 들어간 후에는 원통형 공기기둥의 바깥 표면의 상기 열봉선(3a-3b) 사이의 공기충전채널구역은 주름이 사라진다. 열봉선(3f)은 두 개의 내막이 열봉됨과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막(2a,2b)은 열봉선(3f)에 열봉되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봉선(3b-3f) 사이의 구역은 원호이고, 제2공기입구(2f)와 링형 열봉선(3f)의 공기길인 열봉선(4g,4h)은 원호 경사면에서 원통 모양의 부드러운 면으로 바뀌는 평면 열봉선(3b)의 전환점이 된다.
상기 예설된(preset) 제2공기통로(14)와 열봉선(4h)은 열봉선(3g)으로부터 형성되어 공기출구 열봉점(15)이 링형 열봉선(3f)에 공기가 충전되어 공기기둥(11)에 공기가 충전되면서 3b-3f-3h 구역을 압박하는 상태에서 두 개의 내막(1a,1b)을 만들어 낸다. 상기 두 개의 내막(1a,1b)은 두 개의 외막(2a,2b) 중 하나의 외막에 근접하여 접촉되어 자연적으로 수축되는 주름구역 3a-3b-3f를 보유하게 된다. 그 결과, 주름이 공기길을 대신하여 자연적으로 공기압력에 의해 압박된다.
제2공기입구(2f) 아랫부분에서 평평한 원통 모양의 공기기둥(11)은 이 공기 기둥(11)의 표면에 돌출된 열봉 흔적을 가지고, 상기 열봉 흔적은 먼저 공기기둥에서 공기압력에 의해 압박된다. 즉, 링형 열봉선(3f)은 내막(1a,1b)이 공기기둥의 내측을 향하면, 먼저 압박된다. 따라서 제2공기입구(2f)가 꽉 닫히고, 열봉선(4g,4h)은 제2공기통로(14)가 링형 열봉선(3f)의 내막(1a,1b)을 압박하게 하여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시켜 역방향의 공기 흐름이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공기 기밀성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본 발명은 열봉에 의해 두 개의 내막(1a,1b)을 접착하여 링형 열봉선(3f)을 형성하고, 제2공기입구(2f)는 링형 열봉선(3f)과 내열부(1c)가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공기충전 입구(12)를 통해 들어가는 공기가 공기충전 통로(9)를 팽창시켜 내막(1a)을 내막(1b)으로부터 떼어내어 제1공기입구(2e)를 열고, 공기가 제1공기입구(2e)를 통과하여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면, 제2공기입구(2f)가 자동으로 열리고 공기가 각각의 공기기둥(11)에 충전되어 상기 제2공기입구(2f)를 통해 각각의 공기기둥(11)을 순차적으로 팽창시킨다.
각각의 공기기둥(11)은 공기기둥이 공기로 완전히 충전되어 팽창된 후에 공기충전통로(9)에 인접한 곡면구역(11a)을 제공하고, 상기 곡면구역(11a)은 평면으로부터 올라가게 호선모양을 형성하여 구체와 유사한 원통 모양이 된다.
평면이 원통면으로 바뀌면서 자연적인 축소율 "π"가 존재하여 다수의 주름이 곡면구역(11a)에 나타난다. 공기기둥(11) 각각의 공기가 곡면구역(11a)에 위치하는 두 개의 내막(1a,1b)을 압박하여 제1공기입구(2e)를 덮기 위해 하나의 외 막(2a 또는 2b)에 부착된다. 또한, 두 개의 내막(1a,1b)은 하나의 외막(2a 혹은 2b)을 평평하게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두 개의 내막에 많은 주름(110)이 생긴다. 이에 따라 상기 주름(110)이 각 공기기둥 내 공기가 역류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제공한다.
곡면구역(11a)에 접해 배치된 기둥면 구역(11b)은 원통 모양이다. 각 공기기둥(11)의 공기가 기둥면 구역(11b)의 두 조각의 내막(1a,1b)을 압박하여 내막(1a,1b)이 외막(2a 또는 2b)의 하나에 평평하게 부착되게 하고, 이로써 제2공기입구(2f)를 덮게 되고 공기기둥(11)을 밀폐하게 되어 공기기둥(11)의 공기가 곡면구역(11a)의 주름(110)을 통해 역류하여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되어 공기기밀성 효과에 도달하게 된다.
더욱이, 링형 열봉선(3f)은 곡면구역(11a)과 기둥면 구역(11b)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곡면구역(11a)의 영역을 대신하여 기둥면 구역(11b)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링형 열봉선(3f)은 두 개의 내막(1a,1b)에만 결합되는 대신에 두 개의 내막(1a,1b)과 두 개의 외막(2a,2b) 중 하나에 열봉된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5실시예의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상태와 공기가 충전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링형 열봉선(3f)은 두 개의 내막(1a,1b)에 열봉되기 때문에 링형 열봉선(3f)의 두께는 두 개의 내막(1a,1b)의 두께보다 더 크며, 제2공기입구(2f)와 링형 열봉선(3f)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된다. 각각의 공기기둥(11)이 팽창할 때, 두 개의 내막(1a,1b)을 압박하여 제1공기입구(2e)와 제2공기입구(2f)를 차단하고, 이로써 공기가 곡면구역(11a)의 주름(110)으로부터 역류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기밀성 효과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공기밀봉체(1)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수의 링형 열봉선(3f)은 두 개의 내막(1a,1b)이 열봉될 때 형성되고, 제2공기입구(2f)는 각각의 링형 열봉선과 내열부(1c)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구역격리선(3g)은 다수의 링형 열봉선(3f)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열봉선(3f)은 링형 열봉선(3f)이 각각의 공기기둥 양측에서 열봉선(3e)과 결합하는 대신에 공기기둥(11)을 부분으로 분리하는 구역격리선(3g)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내막(1a,1b)은 공기충전통로(9)로부터 내열부(1c)의 내열재료로 코팅될 수 있고, 내열부(1c)가 열봉선(3b)과 링형 열봉선(3f)을 관통한다. 또한 내열부(1c)의 코팅방식은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열봉선(3b)에 코팅된 내열부(1c)의 내열재료는 열봉선(3b)을 통과한 다음에 각각의 링형 열봉선(3f)에 코팅되며, 각각의 링형 열봉선(3f)을 통과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내열부(1c)의 내열재료가 내막(1b)에 코팅되는 것과는 다른 위치에서 내막(1a)에 코팅되어 다수의 제1공기입구(2e)와 제2공기입구(2f)가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내열부(1c)의 내열재료는 개별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즉, 내열재료는 열봉선(3b)의 다른 위치에 코팅되어 다수의 제1공기입구(2e)를 형성하고, 링형 열봉선의 다른 위치에서 코팅되어 다수의 제2공기입구(2f)를 형성하는데, 제1공기입구(2e)는 제2공기입구(2f)에 각각 대응되거나 대응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과 이 제8실시예와의 차이는 제1공기통로(13)와 제2공기통로(14)가 더 제공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제1공기통로(13)는 제1공기입구(2e)와 연결되고, 열봉에 의해 두 개의 내막(1a,1b)에 형성된다. 상기 제2공기통로(14)는 제2공기입구(2f)와 연결되고, 열봉에 의해 두 개의 내막(1a,1b) 사이에 형성된다.
이밖에 제1공기통로(13)와 제2공기통로(14)는 공기이동노선에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가 쉽게 제1공기통로(13)와 제2공기통로(14)를 통과해 공기기둥(11)에 유입되지만 제1공기통로(13)와 제2공기통로(14)를 따라 역류하여 외부로 새어나가기는 어렵다.
제1공기통로(13)가 제1공기입구(2e)와 연결하는 더 큰 단(end)을 가지고, 곡면구역의 제1공기통로(13)의 공기압력이 기둥면 구역의 제1공기통로(13)의 공기압력보다 클 경우, 공기가 제1공기입구(2e)를 통해 공기밀봉체에 들어가기 쉽고, 제1공기입구(2e)를 통해 공기밀봉체를 빠져나오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공기통로의 곡면부분을 압박하여 공기기둥(11)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동안 공기기밀 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공기통로(14)가 제1공기통로(13)와 동일한 구조로 설계된다면, 마찬가지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과 이 제9실시예와의 차이는 두 개의 내막(1a,1b)의 상단측 및 하단측과 두 개의 외막(2a,2b)의 상단측 및 하단측을 일치시켜 상기 두 개의 내막(1a,1b)이 두 개의 외막(2a,2b)과 열봉선(3a,3b)으로 결합되고, 공기충전 통로(9)가 두 조각의 내막(1a,1b) 사이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는 다수의 공기기둥을 제공한다. 이 다수의 공기기둥은 곡면구역(11a)과 기둥면 구역(11b)을 가지는데, 이 곡면구역(11a)과 기둥면 구역(11b) 사이에 링형 열봉선(3f)이 설치된다. 공기밀봉체가 공기로 완전히 충전된 후에는 두 개의 내막(1a,1b)이 공기에 의해 압박되어 제1공기입구(2e)와 제2공기입구(2f)를 차단하여 공기기밀성 효과가 상당히 향상된다. 이에 따라 공기가 주름(110)으로부터 역류하여 외부로 새어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못하여 공기밀봉체(1)의 사용수명이 효과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이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어떠한 변경이나 변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변경이나 변화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드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1a는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에 공기를 충전하기 전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에 공기를 충전한 후의 사시도.
도 2a는 또 다른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의 부분사시도.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공기포장자루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의 공기포장자루의 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공기포장자루의 내벽 표면에 접촉하는 두 개의 내막의 과정과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공기포장자루의 중앙에 위치하는 두 개의 내막의 내막의 과정과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공기포장자루의 내벽 표면에 접촉하는 단 하나의 내막의 과정과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며, 공기수집우물과 그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과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열봉선 4g,4h가 없음).
도 8d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열봉선 4g,4h가 있음).
도 9a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을 나타내는 도 8a의 A-A'선의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를 나타내는 도 8a의 A-A'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6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7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되기 전의 제8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밀봉체에 공기가 충전된 후의 제9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공기밀봉체 1a,1b:내막
1c:내열부 1d:벤트부
2a,2b:외막 2c:열봉점
2e:제1 공기입구 2f:제2 공기입구
3a,3b,3c,3d,3e:열봉선 3f:링형 열봉선
3g:구역격리선 3h:열봉선
3i:열봉선 4f:네크부
4g:열봉선 4h:열봉선
9:공기충전통로 11:공기기둥
110:주름 11a:곡면구역
11b:기둥면 구역 12:공기충전구역
13:제1공기통로 14:제2공기통로
15:공기출구 열봉점 16:공기수집우물
A10:공기포장자루 A13:공기실
A14:공기밸브 A141:윗 공기밸브막
A142:아래 공기 밸브막 A143:공기통로
A144,A145,A146,A147:안내부 A148:주름부
A161, A162:외막

Claims (16)

  1. 두 개의 외막, 두 개의 내막, 적어도 하나의 열봉점, 공기충전통로, 적어도 하나의 제1공기입구, 적어도 하나의 공기기둥, 곡면구역, 기둥면 구역, 적어도 하나의 링형 열봉선, 및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입구를 포함하는데,
    상기 두 개의 내막은 두 개의 내막이 서로 접착되게 하나의 내막에는 점착제가 코팅되어 상기 두 개의 외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내막 내측에는 내열재료가 코팅되어 내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외막 각각에 열봉되며, 상기 열봉점은 각각 상기 외막으로부터 상기 내열부에 열봉되어 상기 내막이 상기 외막에 접착되게 하고, 공기가 충전되는 동안에 상기 외막은 팽창하여 상기 내막을 강제로 떼어내며, 상기 공기충전통로는 상기 내열부를 가로지르는 열봉선과 상기 상부의 열봉선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기입구는 상기 내열부가 상기 내막을 서로 접착되지 않게 하여 공기를 들이는 입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내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열부를 가로지르는 열봉선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기둥은 상기 내열부를 가로지르는 열봉선 아래에 배치되고, 공기저장을 위해 열봉되는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곡면구역은 상기 공기충전통로에 접한 상기 공기기둥에 배치되는데,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내막이 상기 외막 중 하나의 외막에 접착됨에 따라 다수의 주름이 상기 내막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면 구역은 상기 곡면구역의 접하여 배치되는데,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내막이 상기 외막 중 하나의 외막에 평평하게 접착되며,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내열부를 통해 상기 내막에 열봉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기둥면 구역에 접한 상기 곡면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내열부를 통해 상기 내막 사이에 열봉으로 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열부와 링형 열봉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통로는 상기 내막 사이의 제1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상기 공기기둥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통로는 상기 내막 사이의 제2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상기 공기기둥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곡면구역과 기둥면 구역의 교차점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기둥면 구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내열부를 통해 상기 내막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내열부를 통해 상기 내막과 외막 중의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제2공기입구를 조임으로써 상기 공기기둥을 차단밀폐시키도록 상기 링형 열봉선과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 중 하나의 내막은 다수의 내열부를 제공하는데, 이 내열부는 내열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내막 상단에 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막은 상기 내열부의 동일 높이에서 각각 열봉점과 열봉선을 제공하며, 상기 열봉선은 상기 공기기둥을 공기충전구역과 공기저장구역으로 나누며, 상기 제1공기입구는 상기 내열부가 상기 내막을 서로 접착되지 않게 함으로 인해 상기 내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입구와 연통되는 공기충전입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열봉선은 상기 내열부의 상단의 내막에 제공되어 상기 내막이 상기 외막에 각각 열봉결합되며, 공기가 상기 공기충전통로를 통해 공기밀봉체에 충전되었을 때, 상기 외막이 팽창하여 상기 내막을 서로로부터 떼어내어 상기 공기기둥의 제1공기입구를 간접적으로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밀폐된 네크부를 가진 제2공기통로를 포함하는데, 이 제2공기통로는 그 상부와 바닥에서는 넓어지며 중앙에서는 좁아지거나 또는 공기가 독립적으로 상기 내막의 교차입구를 돌아서 통과하게 하는 교차선을 가지도록 열봉형성되며, 상기 각 내열부의 아래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외막 중 하나와 상 기 내막에 열봉형성되며,상기 내막이 중첩되기 전에 상기 각 내열부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외막에 열봉되며, 상기 제2공기통로는 상기 공기기둥에 대응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공기입구는 상기 각 내열부의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8. 공기충전통로가 공기로 충전되어 팽창되게 두 개의 외막과 열봉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기둥에 설치되어 공기기밀성을 강화하도록 두 개의 내막, 적어도 하나의 제1공기입구, 곡면구역, 기둥면 구역, 적어도 하나의 링형 열봉선, 및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입구를 포함하는데,
    상기 내막은 두 개의 외막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 두 개의 내막 사이에는 내열재료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내열재료는 상기 내막의 내측에 코팅되며, 상기 제1공기입구는 공기가 상기 공기충전통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내막 사이에 열봉되며, 상기 곡면구역은 상기 공기충전통로에 접한 공기기둥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하나의 외막에 상기 내막이 접착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내막 사이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면 구역은 상기 곡면구역에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상기 외막 중 하나를 평평하게 접착하며,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내막을 열봉형성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기둥면 구역에 접한 상기 곡면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내막 사이에서 상기 내열부와 열봉접착 형성되며, 상기 내열부와 링형 열봉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공기기둥의 하부가 공기기둥의 상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공기통로를 더 포함하는데, 이 제1공기통로는 상기 제1공기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내막 사이에 열봉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통로를 더 포함하는데, 이 제2공기통로는 상기 내열부에 의해 형성된 제2공기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내막 사이에 열봉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기둥면 구역에 접한 곡면구역의 내열부의 경계에 또는 상기 곡면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링형 열봉선은 상기 내막에 또는 상기 외막과 내막 중 하나에 열봉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입구는 상기 링형 열봉선과 높이차이가 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내막을 압박하여 제2공기입구를 차단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기둥은 공기, 공기-수증기의 혼합물 또는 액체를 상기 공기충전통로를 통하여 받고, 상기 공기기둥의 액체는 냉동저장용 매개체로 냉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열봉선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내열부가 상기 공기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기둥을 상반부, 내열부 및 하반부로 나누고, 상기 내열부는 상기 링형 열봉선과 대응되어 상기 상반부에는 제1공기입구를 형성하고, 하반부에는 제2공기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내막은 적어도 하나의 내열부와 상기 내열부 상부의 열봉점에 설치되고, 상기 열봉점은 원형,삼각형,단선(Short line) 또는 두 개의 평행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전통로는 두 개의 수평 열봉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충전통로의 양단 중 하나는 수평의 공기충전입구가 되게 열봉되며, 또는 상기 수평 열봉선의 상부는 수직의 공기충전입구를 열려지게 하고, 상기 공기충전통로의 양단이 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 밀봉체의 체크밸브장치.
KR1020080008265A 2008-01-25 2008-01-25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KR10100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265A KR101002773B1 (ko) 2008-01-25 2008-01-25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265A KR101002773B1 (ko) 2008-01-25 2008-01-25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34A KR20090082034A (ko) 2009-07-29
KR101002773B1 true KR101002773B1 (ko) 2010-12-21

Family

ID=4129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265A KR101002773B1 (ko) 2008-01-25 2008-01-25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3283A (zh) * 2016-01-19 2016-04-27 厦门艾美森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震缓冲充气柱
JP6985855B2 (ja) * 2017-08-30 2021-12-22 大王製紙株式会社 逆止弁
CN108275368A (zh) * 2018-01-29 2018-07-13 厦门三德信电子科技有限公司 气柱袋
CN110271770A (zh) * 2018-03-13 2019-09-24 上海艾尔贝包装科技发展有限公司 充气包装装置和充气阀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471A (ja) 2003-02-20 2004-09-24 Tomematsu Abe 枠型空気緩衝材
US20070065047A1 (en) 2005-09-19 2007-03-22 Akira Kojima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0767579B1 (ko) 2006-07-07 2007-10-17 야오 신 리아오 공기밀봉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471A (ja) 2003-02-20 2004-09-24 Tomematsu Abe 枠型空気緩衝材
US20070065047A1 (en) 2005-09-19 2007-03-22 Akira Kojima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0767579B1 (ko) 2006-07-07 2007-10-17 야오 신 리아오 공기밀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34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252B2 (en)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CN101357705B (zh) 逆向止气阀及带有该逆向止气阀的空气密封装置
JP4300244B2 (ja) 独立式の二層エアチャンバーを持つエアシール体
JP4278166B2 (ja) 強化気密機能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
JP5354552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JP4668972B2 (ja) 二層密封袋式空気密封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0849594B1 (ko)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체크밸브 장치
KR100848442B1 (ko)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US7631762B2 (en) Hammock-type vibration-absorbing air sheath
JP4381430B2 (ja) 連続ポンプの多機能のエアーシール体及びそのエアーバルブ装置
US20060032779A1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1002773B1 (ko)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EP1979251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JP2008127104A (ja) 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と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
TWI657014B (zh) 空氣密封袋
JP4914845B2 (ja) 緩衝用気体密封体及びこの気体密封体の逆流防止弁装置
CN201074091Y (zh) 强化气密效果的空气密封体及其逆向止气阀装置
KR101095837B1 (ko) 자연스럽게 공기밸브를 열 수 있는 공기 밀폐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55507A1 (en) Air sealing body and a check valve device thereof capable of intensifying air-tightness
EP2072418B1 (en) Filled air sealing body
JP2013180812A (ja) 緩衝材
KR100547578B1 (ko)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89549Y1 (ko) 포장팩
EP1976772A1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JP3112371U (ja) 緩衝包装袋およびその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