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391B1 -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391B1
KR101002391B1 KR1020080099062A KR20080099062A KR101002391B1 KR 101002391 B1 KR101002391 B1 KR 101002391B1 KR 1020080099062 A KR1020080099062 A KR 1020080099062A KR 20080099062 A KR20080099062 A KR 20080099062A KR 101002391 B1 KR101002391 B1 KR 10100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suction pipe
suction
fabric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029A (ko
Inventor
이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08009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3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convection means, e.g. by using a fan for blowing or suck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4Drying sheets, e.g. between two printing stations
    • B41F23/0443Drying sheets, e.g. between two printing stations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프린터에 적용 설치되는 건조장치에 있어, 원단이 집입되는 진입로를 진출로의 폭보다는 넓게 하여 공기 흡입량을 높여 원단의 건조 및 발색과정에 발생하는 수증기(가스)의 누출을 자연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수증기는 발열히터가 설치된 내측에 진입하여 그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흡입관을 통해 배출되되, 제1흡입관 내부 구획벽을 따라 길이방향의 각 지점에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한 흡입으로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그 진입로측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된 제2흡입관을 통해서도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 누출에 대한 기기의 오염도 및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99062
열전사, 디지털 프린터, 수증기, 발열히터

Description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digital printer for improving gas-exhaust efficiency}
본 발명은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기기의 헤드를 거쳐 원단의 인쇄 후 건조장치에 이송되는 진행과정에서 발열히터를 이용한 건조 및 발색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여기서 발생하는 가스형태의 연무발생이 기기 외부로 발생되지 않는 정도로 최소화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프린터 기기나 피 인쇄매체의 오염을 최소한 방지하고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대형 프린터 중의 대부분은 잉크젯타입의 디지털 프린터이며, 이러한 디지털 프린터는 종이 대신 천 종류의 단에 문자나, 그림 등의 다양한 내용을 프린팅 하여 광고용 현수막이나 옷감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디지털 프린터를 사용하여 원단을 프린팅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도포층이 형성된 원단 상에 잉크젯용 수성잉크로서 염료잉크 및 안료잉크를 이용하 여 인쇄하게 된다.
상기의 잉크젯 프린터는 소정 높이상의 지지체와, 모니터상에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할 때 동력전달장치와 타이밍 벨트로 연결된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에서 횡으로 연동되고 잉크카트리지에서 공급되는 잉크에 의해 데이터에서 지시하는 문양을 그대로 출력시키는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 본체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10) 상부에 설치되며, 베드(210)상으로부터 왕복으로 이송하면서 주어진 데이터를 원단에 출력하는 헤드(220),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으로서 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200a)(200b)(200c)(200d)(200e), 동력전달수단 및 헤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240)를 포함하는 프린터 본체(200)와; 원단 공급롤러(200-1) 및 원단 권취롤러(200-2)로 구성된 대형 디지털 프린터(10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 전면에 소정체적을 갖는 건조실(120)이 마련되고, 건조실(120) 양측에 가이드 고정부재(210)를 두어 건조실의 전면으로부터 커버(2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과 커버(230) 내에 원단(A)의 폭 길이방향에 열을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발열히터(300)가 설치되고, 발열히터(300)의 상부 횡방향으로 인쇄된 잉크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를 대기로 배기시키는 배기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수단(400)의 적소에 수증기에 포함된 냄새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수단(50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발열히터(300)는 프린터 본체(200)를 받치는 지지대(100)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 고정부재(210)에 설치된 커버(230)의 내부에 배열된 발열히터(300)의 작용에 따른 열 전사로서 인쇄를 마치고 이송 중인 원단의 건조 및 발색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230) 내측에 배열된 발열히터(300)의 건조에 따라 원단(A)으로부터는 고온의 열과 프린팅된 잉크의 수분성분이 마르게 되면서 연무와 같은 형태의 가스성분이 포함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증기의 발생은, 상기 건조실(120)의 상측에 횡으로 설치된 배기수단(400)에 의해 배출되며, 이러한 수증기의 배출은, 상기 배기수단인 구동모터(420)의 배기팬(430)에 의한 강제적인 흡입력 발생으로 덕트(41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증기 유입구(410a)를 통해 흡입시키고, 흡입된 수증기는 상기 배기팬(430)의 하우징측과 연결 설치된 정화수단(500)을 통해 발생된 수증기 억제와 함께 이에 포함된 냄새를 정화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수증기의 배출에 있어, 덕트(410)의 하부측 유입구(410a)를 통과하는 수증기는, 그 덕트(410)내에 실시되어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송풍팬(440)으로서 그 수증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일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정화수단(500)은 상기 덕트(410)측의 배기팬(430)의 하우징과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담긴 물을 거쳐 정화되도록 하여 일부의 최소한의 수증기만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원단의 건조 및 발색이 이루어짐에 있어, 거조실을 통과하는 원단의 이송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의 흡입이 미약하여 기기 자체로 퍼지게 되고, 작업장은 심한 수증기로 인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기기 자체에 오염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은 잉크 건조에 따른 수증기의 발생은, 화학적 변화에 따른 냄새를 확산시켜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이러한 점은 더욱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형프린터에 별도의 배기장치를 부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는 배기장치의 덕트가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게 차지하여 대형 디지털 프린터 설치에 따른 공간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기의 헤드를 거쳐 원단의 인쇄 후 건조 장치에 이송되는 진행과정에서 발열히터를 이용한 건조 및 발색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여기서 발생하는 가스형태의 연무발생이 기기 외부로 발생되지 않게 최소화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프린터기기 및 원단(피 인쇄매체)의 오염을 최소한 방지하고,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에 원단이 통과되는 진입로와 진출로가 확보되고, 진입로와 진출로 양측에는 열전사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인쇄건조와 발색시키키 위한 발열히터가 대응되게 마련된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히터가 설치되는 베이스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응되며, 어느 하나의 일면에 가스 배출을 위한 제1통공 및 제2통공이 상,하로 구획형성된 지지대와; 대응되는 지지대의 양측에는 상기 발열히터가 위치된 상부와 일측을 덮는 형태로 직각 절곡 형성되어 직각되는 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서 고정 설치되어 원단의 진입로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부재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의 측면 하부에 부착되어 발열히터의 하부를 제1케이스부재에 대해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일단은 경사부를 갖되, 경사부에는 원단의 이송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원단의 진출로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부재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부재의 상부에 마감 설치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각 제1케이스부재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측 제1통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흡입관과; 상기 제1케이스부재의 진입로 상부와 외장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측 제2통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2흡입관과; 상기 지지대의 제1통공 및 제2통공에 연결 설치되어 수증기를 흡입 배출하는 U자형 흡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터에 적용 설치되는 건조장치에 있어, 원단이 집입되는 진입로를 진출로의 폭보다는 넓게 하여 공기 흡입량을 높여 원단의 건조 및 발색과정에 발생하는 수증기(가스)의 누출을 자연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수증기는 발열히터가 설치된 내측에 진입하여 그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흡입관을 통해 배출되되, 제1흡입관 내부 구획벽을 따라 길이방향의 각 지점에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한 흡입으로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그 진입로측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된 제2흡입관을 통해서도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 누출에 대한 기기의 오염도 및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프린터 중 발열히터가 설치된 하부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발생제거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프린터의 하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분에서 작용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가이드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제거를 위한 흡입관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원단(A)이 통과되는 진입로(1)와 진출로(2)가 확보되고, 진입로와 진출로 양측에는 열전사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인쇄건조와 발색시키키 위한 발열히터(3)가 대응되게 마련된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발열히터(3)가 설치되는 베이스(10-1)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응되며, 어느 하나의 일면에 가스 배출을 위한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이 상,하로 구획형성된 지지대(10)와; 대응되는 지지대(10)의 양측에는 상기 발열히터(3)가 위치된 상부와 일측을 덮는 형태로 직각 절곡 형성되어 직각되는 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서 고정 설치되어 원단(A)의 진입로(1)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부재(20)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측면 하부에 부착되어 발열히터(3)의 하부를 제1케이스부재(20)에 대해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일단은 경사부(31)를 갖되, 경사부에는 원 단(A)의 이송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봉(3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원단의 진출로(2)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부재(30)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에 마감 설치되는 외장케이스(40)와; 상기 각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10)측 제1통공(11)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흡입관(50)과;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진입로 상부와 외장케이스(40)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10)측 제2통공(12)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2흡입관(60)과; 상기 지지대(10)의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에 연결 설치되어 수증기를 흡입 배출하는 U자형 흡입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설치에 따른 진입로(1)의 폭 보다 제2케이스부재(30)의 설치에 따른 진출로(2)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는 인쇄를를 마치고 이송중인 원단이 진입로를 따라 진입 이송되면서 발생하는 연무형태의 수증기 가스가 상기 진출로(2)를 최대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1케이스부재의 대응 설치에 따른 진입로(1)에서 원단과 함께 공기흡입량을 높이고, 반대로 제2케이스부재(30)의 대응설치에 따른 진출로(2)에서는 공기 흡입량이 줄어드는 효과를 갖게하여 수증기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하는 원단(A)의 이송에 있어, 상기 제2케이스부재(30)의 경사부(31)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32)은 원단의 이송중 발열히터(3) 측으 로 치우치지 않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가이드봉(32)이 설치된 형태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호 마주하지 않고 엇갈리는 형태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원단의 안내를 돕는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10)에 양단이 설치되는 상기 제1흡입관(50)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로서, 상호 대응되는 길이방향 측면에 다수개의 흡입공(51)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51)을 기준으로 수증기 흡입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벽(52)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52)은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공(51)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각부에서 나누어 흡입 하도록 함으로써, 길이방향에 대한 흡입력을 거의 균일한 정도에서 흡입이 이루어진다. 도시된 화살표방향은 수증기 가스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흡입관(60)은 제1흡입관(50)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사이즈로 제작되며, 별도의 구획벽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의 형태는 도 3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로서, 상호 대응되는 길이방향 측면에 다수개의 흡입공(61)이 배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흡입관(50)이 설치되는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 내측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증기를 제1흡입관(50)의 흡입공(51)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공간부(21)를 갖도록 한다. 상기 유도공간부(21)는 제1케이스부재(20)와 제2케이스부재(30) 사이의 내측으로 유도되는 수증기가 상부에 위치되어 일차적으로 모이는 곳으로서, 진입로(1)의 상부측에 가해지는 간접열로 하여금 원단의 빠른 건조를 돕고, 발열히터(3)의 열전사 효과에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제1흡입관(50)과 제2흡입관(60)이 설치되는 지지대(10)의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측에 설치된 U자형 흡입관(70)은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연결부품으로, 양측은 지지대(10)의 제1통공(11)에 위치하고, 중앙에는 별도의 연결관(P)으로서 제2통공(12)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수증기를 모두 한 지점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다.
또한, U자형 흡입관(70)의 하부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별도의 집진기 등을 설치하여 수증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필터링하여 공기오염도를 적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지털 프린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프린터 중 발열히터가 설치된 하부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발생제거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프린터의 하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에서 작용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4에서 가이드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제거를 위한 흡입관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진입로 2: 진출로
3: 발열히터 10: 지지대
11: 제1통공 12: 제2통공
20: 제1케이스부재 30: 제2케이스부재
40: 외장케이스 50: 제1흡입관
51: 흡입공 52: 구획벽
60: 제2흡입관 61: 흡입공
70: U자형 흡입관 A: 원단

Claims (5)

  1. 길이방향에 원단(A)이 통과되는 진입로(1)와 진출로(2)가 확보되고, 진입로와 진출로 양측에는 열전사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인쇄건조와 발색시키키 위한 발열히터(3)가 대응되게 마련된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발열히터(3)가 설치되는 베이스(10-1)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응되며, 어느 하나의 일면에 가스 배출을 위한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이 상,하로 구획형성된 지지대(10)와;
    대응되는 지지대(10)의 양측에는 상기 발열히터(3)가 위치된 상부와 일측을 덮는 형태로 직각 절곡 형성되어 직각되는 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서 고정 설치되어 원단(A)의 진입로(1)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부재(20)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측면 하부에 부착되어 발열히터(3)의 하부를 제1케이스부재(20)에 대해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일단은 경사부(31)를 갖되, 경사부에는 원단(A)의 이송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봉(3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원단의 진출로(2)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부재(30)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에 마감 설치되는 외장케이스(40)와;
    상기 각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10)측 제1통공(11)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흡입관(50)과;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진입로 상부와 외장케이스(40)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은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지지대(10)측 제2통공(12)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2흡입관(60)과;
    상기 지지대(10)의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에 연결 설치되어 수증기를 흡입 배출하는 U자형 흡입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부재(20)의 설치에 따른 진입로(1)의 폭 보다 제2케이스부재(30)의 설치에 따른 진출로(2)의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50)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로서, 상호 대응되는 길이방향 측면에 다수개의 흡입공(51)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51)을 기준으로 수증기 흡입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벽(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관(60)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로서, 상호 대응되는 길이방향 측면에 다수개의 흡입공(61)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50)이 설치되는 제1케이스부재(20)의 상부 내측에는 수증기를 제1흡입관(50)의 흡입공(51)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공간부(21)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KR1020080099062A 2008-10-09 2008-10-09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KR10100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62A KR101002391B1 (ko) 2008-10-09 2008-10-09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62A KR101002391B1 (ko) 2008-10-09 2008-10-09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29A KR20100040029A (ko) 2010-04-19
KR101002391B1 true KR101002391B1 (ko) 2010-12-17

Family

ID=4221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062A KR101002391B1 (ko) 2008-10-09 2008-10-09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235A (ko) 2017-02-06 2018-08-16 이정현 두루마리 원단의 리프팅 및 이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014A (en) 1985-08-02 1987-09-15 Pako Corporation Photosensitive sheet dryer
KR100538921B1 (ko) 2005-04-22 2005-12-26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014A (en) 1985-08-02 1987-09-15 Pako Corporation Photosensitive sheet dryer
KR100538921B1 (ko) 2005-04-22 2005-12-26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235A (ko) 2017-02-06 2018-08-16 이정현 두루마리 원단의 리프팅 및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29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712B1 (en) Ink liquid fixing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ink liquid fixing device
JP5505592B2 (ja) 記録装置
JP546985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5271314A (ja) 雰囲気調整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326091B2 (ja) 印刷直後の印刷媒体を乾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6663239B2 (en) Microwave applicator for inkjet printer
KR20180132895A (ko) 건조 유닛, 정제 인쇄 장치, 및 건조 방법
TWI223675B (en) Free floating shield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KR100913555B1 (ko) 가우징봉 건조장치
JP7062905B2 (ja) 加熱装置、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方法
KR101002391B1 (ko) 가스배출 효율을 높인 디지털 프린터용 건조장치
CN106461332A (zh) 氧化炉
KR100538921B1 (ko)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US5634401A (en) Printing press powder removal system
JP5918986B2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20060092192A1 (en) Fume hood for printing equipment
CN112119276B (zh) 用于干燥基材的方法和用于实施该方法的空气干燥器模块以及干燥器系统
CN208161300U (zh) 一种环保型印刷制品烘干系统
JP2559199B2 (ja) 溶接排煙集塵装置
JP5840872B2 (ja) 脱臭素子の再生機構が具えられた脱臭装置
JP2001263944A (ja) シート状物乾燥用コンベヤ炉
JP2007505764A (ja) シート・オフセット・マシンと、乾燥器と、シート・オフセット・マシン内で乾燥するための方法
JP3381704B2 (ja) プリンタ
JP5876274B2 (ja) 脱臭素子の清浄化装置
JP2018122561A (ja) 画像記録装置、乾燥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