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209B1 -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209B1
KR101002209B1 KR1020080030833A KR20080030833A KR101002209B1 KR 101002209 B1 KR101002209 B1 KR 101002209B1 KR 1020080030833 A KR1020080030833 A KR 1020080030833A KR 20080030833 A KR20080030833 A KR 20080030833A KR 101002209 B1 KR101002209 B1 KR 10100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front plate
plate
conn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99A (ko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주) 부경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경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 부경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3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20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된 경계석의 전면에 경계석의 전면을 미려하게 하는 전면판을 설치하되, 경계석과 전면판에 서로 대응되는 수직절개홈을 형성한 뒤에 "H"형강형태로 전방의 전면판지지부와 후방의 경계석지지판이 전후연결부로 연결 형성된 전면판연결구를 상기 수직절개홈에 끼워서 노후된 경계석 및 미관개선을 위한 경계석의 전면에 전면판을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서, 저렴한 보수비용으로 경계석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경계석(1)과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2,4)이 형성되어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가져다 대었을 때, 전면판(3)을 접촉시킨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와 인접한 경계석(1)과 전면판(3)에 형성된 각각 수직절개홈(2,4)에 의해 형성되는 "工"자 형태의 홈에 전면판연결구(5)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연결구(5)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수직절개홈(2)에 끼워질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석, 수직절개홈, 전면판, 경계석지지판, 전면판연결구

Description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Border block whose front plate is installed by a connector}
본 발명은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된 경계석의 전면에 경계석의 전면을 미려하게 하는 전면판을 설치하되, 경계석과 전면판에 서로 대응되는 수직절개홈을 형성한 뒤에 "H"형강형태로 전방의 전면판지지부와 후방의 경계석지지판이 전후연결부로 연결 형성된 전면판연결구를 상기 수직절개홈에 끼워서 노후된 경계석 및 미관개선을 위한 경계석의 전면에 전면판을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서, 저렴한 보수비용으로 경계석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경계석이 노후되어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경계석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경계석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함에 따라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공사기간이 길어져서 차량과 행인의 통행에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와, 건설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노후된 경계석의 전면에 노후 된 경계석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조그만 충격에도 경계석에서 전면커버판이 탈락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고, 볼트로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는 볼트머리부 또는 너트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볼트 및 너트가 부식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계석과 전면판에 수직절개홈을 각각 형성한 뒤에, 그 각각의 수직절개홈으로 "H"형강 형태로 형성된 전면판연결구를 끼워서 노후된 경계석의 전면에 미려한 표면을 지닌 전면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저렴한 보수비용으로 노후된 경계석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면에 경계석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경계석과 전면판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이 형성되어 경계석의 전면에 전면판을 가져다 대었을 때, 전면판을 접촉시킨 인접한 경계석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와 인접한 경계석과 전면판에 형성된 각각 수직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工"자 형태의 홈에 전면판연결구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의 전면에 전면판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연결구는 전면에 전면판의 수직절개홈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와, 후방에 경계석의 수직절개홈에 끼워질 경계석지지판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와 경계석지지판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 로경계석은, 경계석과 전면판에 수직절개홈을 각각 형성한 뒤에, 그 각각의 수직절개홈으로 "H"형강 형태로 형성된 전면판연결구을 끼워서 노후된 경계석은 물론이고, 미관 개선을 위해 새로이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면에 미려한 표면을 지닌 전면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저렴한 보수비용으로 노후된 경계석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도 3의 (나)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도 3의 (다)는 본 발명의 오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공통된 특징은 노후된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가져다 댄 뒤에 "工"자 또는 "王"자형 보수판 연결구(5,5a)를 (클립식으로)끼워서 노후된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결합 설치하는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1)과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가져다 대었을 때, 전면판(3)을 가져다 댄 상태에서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와, 인접한 경계석(1)과 전면판(3)에 형성된 각각 수직절개홈(2,4)에 의해 "工"자 형태로 형성되는 홈에 전면판연결구(5)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연결구(5)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수직절개홈(2)에 끼워질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되어 일실시예에서의 전면판연결구(5)의 평면모양이 "工"자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은 도 2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 점은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전면판연결구(5)의 전면에 인접한 전면판(3)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전면커버판(10)이 추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실시예에 적용 설치되는 전면판연결구(5a)는 상기 전면판지지부(6)의 전면에는 후면에 전면판지지부(6)의 정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연결부(9)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커버판(10)이 인접한 전면판(3) 사이의 틈새를 커버토록 형성되어 평면 모양이 "王"자 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다음은 도 3의 (가)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이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4)이 형성되고,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가져다 대었을 때, 전면판(3)을 가져다 댄 상태에 서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와 인접한 전면판(3)에 형성된 각각 수직절개홈(4)에 의해 "十"자 형으로 형성되는 홈에 전면판연결구(5)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연결구(5)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후면을 지지할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되어 평면 모양이 "工"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의 (나)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4)이 형성되고,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가져다 대었을 때, 전면판(3)을 가져다 댄 상태에서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와, 인접한 전면판(3)에 형성된 각각 수직절개홈(4)에 의해 "十"자 형으로 형성되는 홈에 전면판연결구(5a)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연결구(5a)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후면을 지지할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지지부(6)의 전면에는 후면에 전면판지지부(6)의 정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연결부(9)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커버판(10)이 인접한 전면 판(3) 사이의 틈새를 커버토록 형성되어 평면 모양이 "王"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의 (다)에 도시된 오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경계석(1)의 상면 중앙에 "T"형 수직홈(11)을 형성하되, "T"형 수직홈(11)의 수직부분의 홈이 경계석(1)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T"형 수직홈(11)에 대응하는 전면판(3)의 상면 후방측에는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를 가져다 댓을 때 "T"형 수직홈(11)과 대응하는 부분에 역"T"형 수직홈(12)을 형성하여 "T"형 수직홈(11)과 역"T"형 수직홈(12)이 대면했을 때 "工 "자형 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3)을 경계석(1)의 전면에 가져다 댓을 때 "T"형 수직홈(11)과 역"T"형 수직홈(12)이 만나서 형성되는 "工 "자형 홈에는 "工"형 전면판연결구(13)가 삽입되어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결합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각각의 경계석(1)에는 상하로 개구된 식재공간(14)이 형성되어 그 식재공간(14)에 흙을 담아 화초를 심을 수 있다.
또한, 도 2, 3에 도시된 전면판연결구(5a)의 전면커버판(10) 전면에는 형광 및 발광하는 도료나, 반사시트, 엘이디램프를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야간에도 경계석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이도와, 그 전면판의 각종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상기 수직절개홈(4)의 전면이 전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개방 형성된 것이다.
이는 도 1, 2 및 도 3의 (가)(나)에 도시된 전면판보다 수직절개홈(4)을 형성하는 작업과정이 용이한 것으로서, 왕(王)자형으로 형성된 전면판연결구(5)를 끼움식으로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함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내지 오실시예 모두가 노후된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결합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들 모두가 평면모양이 "工"자 또는 "王"자 모양인 각각의 전면판연결구(5,5a)를 끼우는 것이며, 이들 전면판연결구(5,5a)를 끼워지는 부분은 경계석(1)과 전면판(3)에 형성된 수직절개홈(2,4)과, "T"형 수직홈(11) 및 역"T"형 수직홈(12)이다.
이들 중 도 2에 도시된 이실시예와 도 3의 (가)(나)에 도시된 삼사실시예의 경우에는 경계석지지판(7)의 경계석(1)의 후면을 지지하고, 전면커버판(10)은 인접한 전면판(3)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 내지 오실시예 모두가 노후 된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밀착되게 가져다 댄 상태에서 각각의 전면판연결구(5,5a)를 클립식으로 끼워서, 각각의 전면판연결구(5,5a)의 강도로서 경계석(1)의 전면에 각각의 전면판(3)을 견고하게지지 고정시키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각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조립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3)은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석재를 판형으로 가공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목재, 금속재, 재생 합성수지재 등의 재료로서 판재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전면을 미려하게 제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 삼, 오실시예를 설치 완료하였을 경우는 인접한 전면판(3) 사이의 연결 틈새가 전면에서 외부로 보이게 되어 자연스러운 멋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사실시예의 경우는 인접한 전면판(3) 사이의 연결 틈새가 전면커버판(10)에 의해 커버되어 전면커버판(10)에 표현한 디자인에 따라 전면판(3)의 미려함 외에 또 다른 멋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계석(1)에 식재공간(14)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식재공간(14)에 흙을 담고 화초를 심어 가꿀 수 있는 것으로 도로를 더욱 더 미려하게 치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3에 도시된 전면판연결구(5a)의 전면커버판(10) 전면에는 형광 및 발광하는 도료나, 반사시트, 엘이디램프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야간에도 경계석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야간의 교통사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경계석(1)의 전면에 설치하는 전면판(3)의 크기가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이라고 설명한 것은, 전면판(3)과 경계석 전면의 크기가 동일해야만 경계석의 전면에 전면판을 설치했을 때, 전면판 사이에 틈새가 크게 벌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삼 내지 오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의 (가)(나)(다)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이도와, 그 전면판의 각종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계석 2 : 수직절개홈 3 : 전면판
4 : 수직절개홈 5 : 전면판연결구 6 : 전면판지지부
7 : 경계석지지판 8 : 전후연결부 9 : 전면연결부
10 : 전면커버판 11 : "T"형 수직홈 12 : 역"T"형 수직홈
13 : "工"형 전면판연결구 14 : 식재공간

Claims (7)

  1.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경계석(1)과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수직절개홈(2,4)이 형성되고,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접촉시켰을 때 각각의 수직절개홈(2,4)과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전면판연결구(5)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연결구(5)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수직절개홈(2)에 끼워질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연결구(5)의 전면판지지부(6)의 전면에는 전면연결부(9)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커버판(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3.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전면판(3)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직절개홈(4)이 형성되고,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을 접촉시킬 때 인접한 경계석(1)의 사이의 틈새와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전면판연결구(5)를 삽입 설치하여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연결구(5)는 전면에 전면판(3)의 수직절개홈(4)에 끼워질 전면판지지부(6)와, 후방에 경계석(1)의 후면을 지지할 경계석지지판(7)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판지지부(6)와 경계석지지판(7)의 사이에는 전후연결부(8)가 연결 형성되어 평면 모양이 "工"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연결구(5)의 전면판지지부(6)의 전면에 전면연결부(9)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커버판(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5. 차도와 보도의 경계가 되는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계석(1)의 전면 에 경계석(1)의 전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면판(3)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경계석(1)의 상면 중앙에 "T"형 수직홈(11)을 형성하되, "T"형 수직홈(11)의 수직부분의 홈이 경계석(1)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T"형 수직홈(11)에 대응하는 전면판(3)의 상면 후방측에는 "T"형 수직홈(11)과 대응하는 부분에 역"T"형 수직홈(12)을 형성하여 "T"형 수직홈(11)과 역"T"형 수직홈(12)이 대면하여 "工 "자형 홈을 형성되고, 이 "工 "자형 홈에는 "工"형 전면판연결구(13)가 삽입되어 경계석(1)의 전면에 전면판(3)이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6. 제 1항, 제 3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1)에는 상하로 개구된 식재공간(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홈(4)의 전면이 전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개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KR1020080030833A 2008-04-02 2008-04-02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KR10100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33A KR101002209B1 (ko) 2008-04-02 2008-04-02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33A KR101002209B1 (ko) 2008-04-02 2008-04-02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99A KR20090105399A (ko) 2009-10-07
KR101002209B1 true KR101002209B1 (ko) 2010-12-20

Family

ID=4153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833A KR101002209B1 (ko) 2008-04-02 2008-04-02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17B1 (ko) 2012-06-04 2015-01-21 전나래 조립형 경계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09Y1 (ko) * 2000-06-09 2000-11-15 황선주 조립식 경계블럭
KR100586876B1 (ko) * 2006-02-27 2006-06-08 (주) 부경종합기술단 경계석 이음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시구
KR100736388B1 (ko) * 2006-02-08 2007-07-06 이은혜 다기능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09Y1 (ko) * 2000-06-09 2000-11-15 황선주 조립식 경계블럭
KR100736388B1 (ko) * 2006-02-08 2007-07-06 이은혜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586876B1 (ko) * 2006-02-27 2006-06-08 (주) 부경종합기술단 경계석 이음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17B1 (ko) 2012-06-04 2015-01-21 전나래 조립형 경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99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8143B (zh) 用于使玻璃板固定于电梯门的装置
WO2006044763A3 (en) Subsea junction plate assembly running tool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02209B1 (ko) 전면판이 연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KR101011782B1 (ko) 알루미늄 플러스몰딩 및 시공방법
KR20080109190A (ko) 채광패널 시스템
JP2000178914A (ja) はめ込み式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101357990B1 (ko) 석재 칼라 톤 경계석
KR101906932B1 (ko) 광섬유 led 발광모듈을 가지는 도로경계석
KR101478817B1 (ko)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KR20100004347A (ko) 상하수도용 또는 전기통신용 맨홀
KR100712821B1 (ko) 난간의 설치구조
KR200393619Y1 (ko) 장식판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CN202157647U (zh) 室内门套口连接组件
CN202500309U (zh) 金属地板基板
CN202324993U (zh) 一种门框盖板
CN202157521U (zh) 一种室内墙体连接组件
CN111910874A (zh) 一种大面积墙面板的施工方法
CN211817455U (zh) 耐腐瓦
CN201546501U (zh) 一种万能外装门锁底板
KR200267363Y1 (ko) 표시구가 부설된 맨홀용 덮개
IT251174Y1 (it) Tessera per mosaico, particolarmente per la pavimentazione di esternie/o interni
KR20080019100A (ko) 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경계블록 및 보도 경계블록
WO2007043790A1 (en) The channel sign board
CN202157661U (zh) 室内门扇连接板
CN2583331Y (zh) 门体边框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