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098B1 -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098B1
KR101002098B1 KR1020080137389A KR20080137389A KR101002098B1 KR 101002098 B1 KR101002098 B1 KR 101002098B1 KR 1020080137389 A KR1020080137389 A KR 1020080137389A KR 20080137389 A KR20080137389 A KR 20080137389A KR 101002098 B1 KR101002098 B1 KR 10100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dc motor
rotor
continuously variable
planetary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992A (ko
Inventor
최병재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8013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0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7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 F16H3/72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using external powered electric machines
    • F16H3/72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using external powered electric machines with means to change ratio in the mechanical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17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four-wheel-drive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LDC 모터와 유성기어 시스템을 결합하여 대용량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큰 토크를 필요로 하는 상용 차량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n hybrid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on hybr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BLDC 모터와 유성기어 시스템을 결합하여 대용량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큰 토크를 필요로 하는 상용 차량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 함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어느 한편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방식의 전기 자동차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대개 차량이 출발하여 일정속도 도달 전까지는 배터리의 동력을 이용해서 구동모터로 구동하고, 정속 주행시는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며, 최고 속도로 가속시는 엔진과 배터리의 동력을 함께 이용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솔린 또는 디젤등과 같은 화석 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연비 향상에 큰 도움이 되며, 이로 인해 배기 가스 배출의 최소화하여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바,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은 물론 선진국에서는 이미 양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변속장치에는 운전자의 의지대로 운전자가 직접 변속단을 선택하는 수동 변속장치와,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장치와, 각 변속단 사이에 특정한 변속 영역이 없이 무단으로 연속적인 변속이 이루어지는 무단 변속장치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무단 변속기는 저연비 및 동력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계속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저연비를 실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개념의 무단 변속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 변속기로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CVT는 물리적 및 구조적으로 대용량의 토크 전달이 불가능하여 주로 소형 2륜 차량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대용량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4륜 차량이나 상용차 등에서는 각 단의 변속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다단화 된 변속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CVT는 대용량의 토크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관계로, 대용량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4륜 차량이나 상용차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단 변속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4륜 자동차나 상용차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BLDC 모터;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입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에 연결 샤프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유성기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에서, 상기 제2링기어는 제1링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BLDC 모터의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자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BLDC 모터;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차량의 가속 정보, 엔진의 rpm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적절한 회전 방향과 토크 양을 계산하는 기어비 제어부; 기어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BLDC 모터의 고정자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BLDC 모터 드라이버;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의 발전 전류를 공급받아서 충전하고, 충전된 전류를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서,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는, 축전지의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하여 BLDC 모터로 공급하고, 또한 BLDC 모터의 DC 전류를 AC 전류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의하면, BLDC 모터와 유성기어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대용량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대용량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4륜 자동차나 상용차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BLDC 모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차량이 멈추지 않고 고정된 기어비 상태에서 계속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의 제1유성기어 시스템 및 제2유성기어 시스템이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BLDC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BLDC 모터는,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고정자의 내측에 인접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는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는 고정자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가 달라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유성기어 시스템은,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가 코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코일 구조의 회전자는 링기어의 몸체를 감싸면서 고정자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가 영구 자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영구 자석 구조의 회전자는 링기어의 몸체를 따라 고정자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고정자 및 회전자 모두 도 1의 "X"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BLDC 모터의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회전자에 유도 기전력이 발 생하면서, 회전자가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X"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자에 일체로 고정된 제1링기어 역시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링기어의 회전력은 제1링기어의 내주면에 치합된 제1유성기어에 전달되어 제1유성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유성기어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의 회전력은 다시 제1유성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된 제1선기어에 전달되어 제1선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선기어가 회전하면 제1선기에 일체로 고정된 출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출력 샤프트의 끝단에는 차동기어 장치 또는 프로펠러 샤프트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에 의하면, 회전자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 및 회전 방향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출력측 제1유성기어 시스템이 BLDC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고속 주행중에는 출력측 제1유성기어 시스템이 엔진 또는 별도의 구동 모터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화학적 연료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나타내고, 상기 구동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BLDC 모터 이외에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입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에 일 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에 연결 샤프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유성기어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입력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입력 샤프트에 일체로 고정된 제2선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2선기어의 회전력은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된 제2유성기어로 전달되어 제2유성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유성기어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의 회전력은 다시 연결 샤프트를 통해 제1유성기어에 전달되어 제1유성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처럼 제1유성기어가 회전하면, 제1유성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된 제1선기어에 전달되어 제1선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선기어가 회전하면 제1선기에 일체로 고정된 출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BLDC 모터 이외에도 엔진이나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도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의 링기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에서 제1링기어와 제2링기어는 일체로 형성되고, 따라서 제1링기어와 제2링기어 모두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지는 링기어 몸체의 양 측단에 입력 샤프트 및 출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입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주면에서 제2유성기어에 치합하도록 기어열(도시 생략)이 형성된 부분이 제2링기어에 해당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주면에서 제1유성기어에 치합하도록 기어열(도시 생략)이 형성된 부분이 제1링기어에 해당하며, 상기 제1링기어와 제2링기어를 이루는 링기어 몸체의 외주면에는 회전자가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변속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는, 각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 모터 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원하지 않는 기어비로 변속되거나 차량이 그대로 멈추면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자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 모터 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회전자 고정장치에 의해 회전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제1유성기어 시스템의 기어비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한 기어비를 유지하면서,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출력 샤프트가 회전하여 차량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가 적용된 하 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와, 차량의 가속 정보, 엔진의 rpm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적절한 회전 방향과 토크 양을 계산하는 기어비 제어부와, 기어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BLDC 모터의 고정자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BLDC 모터 드라이버, 그리고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의 발전 전류를 공급받아서 충전하고, 충전된 전류를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BLDC 모터, 그리고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 전하는 입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에 연결 샤프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하는 제2링기어로 이루어지는 제2유성기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자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비 제어부에 전달되는 차량의 가속 정보는, 스로틀 밸브의 각도, 가속 페달의 각도 등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변속 레버의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지, 정지 또는 후진 중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차량의 가속 정보, 엔진의 rpm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기어비 제어부가 적절한 회전 방향과 토크 양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적절하게 변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는 기어비 제어부의 의해 제어에 따라 축전지에 충전된 전류를 BLDC 모터로 공급하고, 또한 BLDC 모터의 발전 전류를 축전지로 보내서 충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에서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는, 축전지의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하여 BLDC 모터로 공급하고, 또한 BLDC 모터의 DC 전류를 AC 전류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의 제1유성기어 시스템 및 제2유성기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의 링기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110; 변속기 하우징
120; BLDC 모터 122; 고정자
124; 회전자 140; 제1유성기어 시스템
141; 제1선기어 142; 제1유성기어
143; 제1링기어 144; 출력 샤프트
146, 156; 지지 베어링 150; 제2유성기어 시스템
151; 제2선기어 152; 제2유성기어
153; 제2링기어 154; 입력 샤프트
155; 연결 샤프트 160; 링기어 몸체
161, 162; 관통공 200; 기어비 제어부
300; BLDC 모터 드라이버 400; 축전지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BLDC 모터;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입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에 연결 샤프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유성기어 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기어는 제1링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BLDC 모터의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자 고정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5.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변속기 하우징; 변속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와,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코일 또는 영구자석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BLDC 모터;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1링기어, 제1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 제1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유성기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차량의 가속 정보, 엔진의 rpm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적절한 회전 방향과 토크 양을 계산하는 기어비 제어부;
    기어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BLDC 모터의 고정자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 는 BLDC 모터 드라이버;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의 발전 전류를 공급받아서 충전하고, 충전된 전류를 BLDC 모터 드라이버를 통해 BLDC 모터로 공급하는 축전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엔진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입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 외주면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에 연결 샤프트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외주면에 치합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유성기어 시스템;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는,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고정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의 기어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자 고정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LDC 모터 드라이버는, 축전지의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하여 BLDC 모터로 공급하고, 또한 BLDC 모터의 DC 전류를 AC 전류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KR1020080137389A 2008-12-30 2008-12-30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KR10100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389A KR101002098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389A KR101002098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992A KR20100078992A (ko) 2010-07-08
KR101002098B1 true KR101002098B1 (ko) 2010-12-16

Family

ID=4264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389A KR101002098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4011A (zh) * 2013-04-25 2013-08-07 南京工程学院 一种永磁与齿轮复合传动无级变速器的主传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45B1 (ko) 2006-11-07 2007-12-10 김선충 무단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45B1 (ko) 2006-11-07 2007-12-10 김선충 무단변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4011A (zh) * 2013-04-25 2013-08-07 南京工程学院 一种永磁与齿轮复合传动无级变速器的主传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992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4516B1 (en) Hybrid power output system
US8350442B2 (en) Power plant
KR10036913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동력 전달 장치
JP3783714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KR101158341B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 장치
JP5842926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
US7823670B2 (en) Hybrid drive train and hybrid vehicle equipped with same
US8556769B1 (en) Hybrid transmission with single planetary gear set and multiple operating modes
US9944164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JP2009096326A (ja) オイルポンプユニットの駆動制御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を搭載したハイブリッド車両
CA2704804A1 (en) Hybrid-vehicle drive system with a transmission
JP2005153691A (ja) 車両の駆動機構
US10759413B2 (e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JP2007062577A (ja) 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
EP2020326A2 (en) Power unit
JP528898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4136956B2 (ja)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式オイルポンプの制御装置
WO2014091586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0717446B1 (ko) 차량용 구동장치
KR101002098B1 (ko)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단 변속 시스템
JP2009292291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9293490A (ja) 車両用制御装置
JP4877212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1125570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JP2008511806A (ja) 輸送機関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