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468B1 -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468B1
KR101001468B1 KR1020087015701A KR20087015701A KR101001468B1 KR 101001468 B1 KR101001468 B1 KR 101001468B1 KR 1020087015701 A KR1020087015701 A KR 1020087015701A KR 20087015701 A KR20087015701 A KR 20087015701A KR 101001468 B1 KR101001468 B1 KR 10100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psule
capsule endoscope
subject
observ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950A (ko
Inventor
이사오 아오끼
가쯔미 히라까와
히로노부 다끼자와
히데따께 세가와
히로나오 가와노
히데오 이또오
히데끼 시모나까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804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7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80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7529B2/ja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self propul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4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 A61B1/00183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for variable view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3Manipulators for magne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관찰 대상이 되는 위 등의 장기를 충분히 확산·확장시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피검체(2)의 위(3) 내부에, 제1 액체(7)와 이 제1 액체(7)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7)와 서로 섞이지 않는 제2 액체(8)와 함께, 이들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내시경(4)을 도임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을, 1종류의 액체와 공기의 경계면의 경우보다도,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액체끼리의 경계면(12)에 안정되게 부양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액체(7)에 더하여 제2 액체(8)의 도입에 의해 경계면(12)보다도 상방 위치에 걸쳐서 충분히 확산·확장된 원하는 위(3) 내부에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캡슐형 내시경, 자석 검출부, 영구 자석, 제어부, 가속도 센서

Description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SYSTEM FOR OBSERVING INSIDE OF SUBJECT}
본 발명은, 캡슐형 의료 장치를 피검체 내에 도입시켜서 피검체 내를 관찰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및 피검체 내 관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시경의 분야에서는, 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이 장비된 캡슐형 내시경이 등장하고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은, 관찰(검사)을 위하여 피검체(인체)인 피검자의 입으로부터 삼켜진 후, 피검자의 생체로부터 자연 배출될 때까지의 관찰 기간, 예를 들어 식도, 위, 소장 등의 장기의 내부(체강 내)를 그 연동 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촬상 기능을 이용하여 순차 촬상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캡슐형 내시경의 비중을 주위의 액체와 동일한, 혹은 물과 동일한 약 1로 하여, 캡슐형 내시경을 액체와 함께 삼켜서 액체에 부양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을 체강 내에서 대장까지 빠르게 진행시키도록 한 대장 관찰에 알맞은 기술이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이 체강 벽면에 달라붙으면 가까운 곳 밖에 관찰할 수 없는 것에 비하여,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캡슐형 내시경을 액체에 부양시켜서 관찰함으로써 관찰 시야를 확보하여, 빠짐없이 관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02/95351호 팜플렛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05/32370호 팜플렛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캡슐형 내시경을 단순히 액체에 부양시키고 있는 것일 뿐으로, 예를 들면 위와 같은 공간이 넓은 장기 내의 관찰을 행할 경우에는, 도입된 액체만으로는 위의 확산·확장이 불충분하여 오므라들어 버림으로써, 캡슐형 내시경의 관찰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액체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의 상태(부양 위치 혹은 부양 자세)가 경계면의 요동 등의 영향으로 불안정해져서, 촬상 방향이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위의 내벽을 구석구석까지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캡슐형 내시경을 단순히 액체에 부양시키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은 액체와 공기층과의 경계면에 의존하여 수동적으로 이동할 뿐으로, 예를 들면 위와 같은 공간이 넓은 장기 내의 관찰을 행할 경우에는, 촬상되지 않는 부분이 생겨서 위의 내벽을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없으므로, 빠뜨리는 곳이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혹은, 구석구석까지 관찰하기 위해 관찰 시간이 상당히 길게 걸려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관찰 대상이 되는 위 등의 장기를 충분히 확산·확장시켜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 있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및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 대상이 되는 위 등의 장기를 충분히 확산·확장시켜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면서, 그 장기 내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양호하게 관찰할 수 있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1 액체와, 상기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2 액체와,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중간의 비중을 갖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어,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 외부로 무선 출력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 화상을 촬상하는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前端部)측 방향, 전단부측 사시 방향 또는 전단부측 둘레 방향만 촬상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 방향 및 후단부측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복안(複眼)형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광각화된 촬상 광학계를 갖는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바꾸어 무게 중심 위치를 편심시킨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 상기 제2 액체는,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촬상 광학계의 파장 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는, 음료수이며, 상기 제2 액체는,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또는 상기 제2 액체는, 장기 내 도입량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 도입량의 가변은, 상기 제1 액체의 도입량이 순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는, 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외부로 배치되고, 상기 장기 내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피검체 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상기 제2 액체 및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된 상기 피검체의 체위를 변화시키는 체위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에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취득한 복수의 피검체 내 정보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제1 액체를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는 제2 액체를 상기 장기 내에 도입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의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상기 장기 내에 도입 하는 스텝과,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어서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경계면에 부양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의해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 외부로 무선 출력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피검체 내 화상을 촬상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전단부측 방향, 전단부측 사시 방향 또는 전단부측 둘레 방향만 촬상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전단부측 방향 및 후단부측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광각화된 촬상 광학계를 갖는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바꾸어 무게 중심 위치를 편심시킨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 상기 제2 액체는,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촬상 광학계의 파장 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는, 음료수이며, 상기 제2 액체는,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또는 상기 제2 액체의 장기 내 도입량을 변화시키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 도입량을 변화시키는 스텝은, 상기 제1 액체의 도입량을 순차 증가시키는 스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된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경계면 위치를 상기 피검체의 체위 변화에 의해 변화시키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내 정보의 취득 시에,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검출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취득한 복수의 피검체 내 정보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는, 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1 액체와, 상기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2 액체와,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중간의 비중을 갖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어서 상기 장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경계면에 부양하여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 외부로 무선 출력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피검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 내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 되는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캡슐 변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자성체를 내장하고,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된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상기 피검체 외부로부터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구동 변화시키는 자계 부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계 부여 장치는, 상기 피검체 외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가변 가능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전자기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자계를 인가하는 제1 전자석과, 상기 제1 전자석보다도 약한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1 전자석 주위에 위치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1 전자석 주위에 복수개 배치되어서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석은, 내외주에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계 부여 장치는, 상기 피검체 외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가변 가능한 외부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외부 영구 자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자계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직경 방향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을 갖고 측시 방향 또는 사시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며,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에 설치되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에 내장된 상기 영구 자석에 대하여 상기 피검체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내시경을 상기 경계면 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계 부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부가되어서 요동 구동에 의해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기(自己) 요동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부가되어서 추진 구동에 의해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기(自己) 추진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 추진 기구는,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제1 액체 및/또는 상기 제2 액체는, 상기 제1 액체 및/또는 상기 제2 액체를 상기 피검체 내에 도입하는 액체 도입 장치에 의해 장기 내 도입량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 도입량의 가변은, 상기 액체 도입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액체의 도입량의 순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상기 제2 액체 및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된 상기 피검체의 체위를 변화시키는 체위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에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취득한 복수의 피검체 내 정보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및 피검체 내 관찰 방법에 따르면,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제1 액체와 이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는 제2 액체와 함께, 이들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캡슐형 의료 장치를, 제1 액체와 공기의 경계면의 경우보다도,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액체끼리의 경계면에 안정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고, 또한 캡슐형 의료 장치의 관찰 방향이 경계면보다도 하향, 상향 중 어느 쪽이라 하더라도, 제1 액체에 추가하여 제2 액체의 도입에 의해 경계면보다도 상방 위치에 걸쳐서 충분히 확산ㆍ확장된 원하는 장기 내에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에 따르면,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제1 액체와 이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는 제2 액체와 함께, 이들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캡슐형 의료 장치를, 제1 액체와 공기의 경계면의 경우보다도,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액체끼리의 경계면에 안정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액체에 추가하여 제2 액체의 도입에 의해 경계면보다도 상방 위치에 걸쳐서 충분히 확산ㆍ확장된 원하는 장기 내에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캡슐형 의료 장치의 경계면에서의 부양 위치 및/또는 부양 자세가 변화되도록 강제적으로 변위 구동시키면서 장기 내의 관찰을 행하므로, 그 장기 내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양호하게 관찰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적합한 제1 실시 형태인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피검체 내 도입체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은, 캡슐형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4는,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5는, 관찰 시의 위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6은, 제1 액체의 도입량의 증가 전과 증가 후의 위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7은, 앙와위 상태로 체위 변환 시켰을 경우의 관찰 시의 위 내부의 모습을 단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8은, 화상 결합 처리 예를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9는, 에피폴 기하를 이용하는 탐색 범위 설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제1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11은, 피검체 내 도입체의 공급 방법의 제1 변형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12a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캡슐형 내시경의 제2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2b는,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캡슐형 내시경의 다른 제2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3a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의 제3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3b는,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의 제3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3c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의 다른 제3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적합한 제2 실시 형태인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5는, 캡슐형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6은,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17은, 앙와위 상태의 피검체의 위 내부의 관찰 모습을 단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8은, 복수 종류의 외부 영구 자석의 수납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9는, 제2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20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제4 변형예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1은, 제5 변형예의 지시 플레이트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22a은, 피검체의 체위마다 서로 상이하게 한 배치 마커를 갖는 지시 플레이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22b는, 피검체의 체위마다 서로 상이하게 한 배치 마커를 갖는 지시 플레이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23은, 리얼 타임 관찰 시의 확대 관찰 기능을 갖게 한 제6 변형예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4는, 확대 관찰에 이용하는 지시 플레이트의 구성예를 전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5는, 지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나타내는 워크스테이션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26은, 리얼 타임 관찰 시의 위(3)의 촬상 모습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7은,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8은, 촬상 영역(S1)(촬상 화상)과 촬상 영역(S2)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9는, 확대 관찰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0a은, 제7 변형예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지시 플레이트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0b는, 제7 변형예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지시 플레이트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1a은, 제8 변형예의 초음파 방식의 위치 검출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1b는, 제8 변형예의 음파 방식의 위치 검출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1c은, 제8 변형예의 자기 방식의 위치 검출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3은, 제9 변형예의 전자석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4는, 제10 변형예의 전자석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5는, 제11 변형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9는, 요동 모터의 변형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0은, 물갈퀴부를 부가한 변형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1은, 물갈퀴부를 부가한 변형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3은, 간헐 구동에 의한 요동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4는, 본 발명에 관한 캡슐형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형 피검체 내 정 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5는, 피검체가 섭취하는 섭취물을 수납하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6은, 피검체가 도45에 나타낸 섭취물을 섭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섭취물의 공급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4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관찰 시의 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49는, 제1 액체의 섭취량의 증가 전과 증가 후의 위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50은, 캡슐 수납 장치의 제12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1은, 캡슐 수납 장치의 제13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3은, 도5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54는, 제9 실시 형태에서의 관찰 시의 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55는, 캡슐 수납 장치의 제14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 는 사시도이다.
도57은, 도56에 나타낸 캡슐 수납 장치의 구동 제어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58은, 구동성 제어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5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를 이용한 섭취물의 공급 방법의 다른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60은, 캡슐 수납 장치의 제15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1은, 캡슐 수납 장치의 제16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공급 장치
2 : 피검체
3 : 위
4 : 캡슐형 내시경
5 : 피검체 내 도입체
6 : 수신 장치
7 : 제1 액체
8 : 제2 액체
11 : 체위 변환 장치
12 : 경계면
13 : 외부 영구 자석
22 : 촬상 광학계
35 : 영구 자석
40 : 캡슐형 내시경
41d : 화상 결합부
60 : 캡슐형 내시경
81 : 초음파 프로브
82 : 음원
84 : 센스 코일
100 : 전자석
101 : 체위 변환 장치
106 : 제1 전자석
107 : 제2 전자석
121,122 : 전자석
131 : 전자석
141 : 캡슐형 내시경
142 : 영구 자석
143,144 전자석
151 : 요동 모터
152 : 캡슐형 내시경
161 : 스크류
163 : 캡슐형 내시경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및 피검체 내 관찰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적합한 제1 실시 형태인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캡슐형 의료 장치의 일례로서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액체 도입 장치인 공급 장치(1)에 의해 피검체(2)의 원하는 장기, 예를 들면 위(3) 내부에 도입되어 체강 내 화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 등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4)을 포함하는 피검체 내 도입체(5)와, 위(3) 내부에 도입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에 이용되는 수신 장치(6)를 구비한다. 이 수신 장치(6)는, 피검체(2)의 옆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어,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피검체 내 도입체(5)는, 공급 장치(1) 내에 준비된 캡슐형 내시경(4)과,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수신 장치(6)가 수신한 영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강 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9)를 포함하고,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워크스테이션(10)을 구비한다. 수신 장치(6)는, 피검체(2)의 체외 표면에서 위(3) 부근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6a)와, 이 안테나(6a)에 접속되어 안테나(6a)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 등을 행하는 수신 본체 유닛(6b)을 구비한다. 또한, 안테나(6a)는, 예를 들면 피검체(2)가 착용가능한 수신 재킷에 비치되어, 피검체(2)는, 이 수신 재킷을 착용함으로써, 안테나(6a)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안테나(6a)는, 재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워크스테이션(10)은, 수신 장치(6)에 대하여 유선 접속되어서 데이타 교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9)는,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체강 내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CRT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직접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프린터 등과 같이, 다른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수신 장치(6)와 워크스테이션(10) 사이의 데이타 교환은, 수신 장치(6)에 내장형의 기록 장치,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고, 워크스테이션(10) 사이의 데이타 교환을 위하여, 쌍방을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피검체(2)측에는, 안테나(6a)만 구비하고, 안테나(6a)의 수신 신호를 통신에 의해 직접적으로 워크스테이션(10)측에 수신 가능하게 하여 워크스테이션(10) 자체를 수신 장치로 하여 이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관찰 대상이 되는 피검체(2)의 체위를 변환하기 위한 체위 변환 장치(11)를 구비한다. 이 체위 변환 장 치(11)는, 베드 구조를 베이스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전동적 또한 3차원적으로 자유롭게 회전 변위함으로써, 피검체(2)의 체위를 입위, 앙와위(또는, 배와위), 측와위의 상태로 적당히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2를 참조하여 피검체 내 도입체(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피검체 내 도입체(5)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1)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제1 실시 형태의 공급 장치(1)는, 격벽으로 구획된 2개의 수납부(1a,lb)를 갖고 피검체 내 도입체(5)를 일체로 수납한 수지제 패키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a)는, 제1 액체(7) 및 캡슐형 내시경(4)을 함께 수납하고, 절취선(1c)의 절단에 의해 개구되는 일단측의 음용구(1d)로부터 제1 액체(7) 및 캡슐형 내시경(4)을 경구적으로 피검체(2)의 위(3) 내부에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1b)는, 제2 액체(8)를 수납하고, 절취선(1e)의 절단에 의해 개구되는 타단부측의 음용구(1f)로부터 제2 액체(8)를 경구적으로 피검체(2)의 위(3) 내부에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1a,lb)의 용적은, 위(3) 내부에 도입해야 할 액체 도입량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수백 m1 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공급 장치(1)에 수납되어서 피검체 내 도입체(5)를 구성하는 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는, 모두 비중이 1 전후의 것이지만,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비중의 대소 관계는, [제1 액체(7)]>[캡슐형 내시경(4)]>[제2 액체(8)]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는, 모두 피검체(2)의 구강으로부터 음용 가능하며, 서로 섞이지 않고,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촬상 광학계의 파장에 대하여 투명한 액체가 이용되고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1 액체(7)는, 비중이 1에 가까운 음료수이며, 제2 액체(8)는, 비중이 1보다도 가벼운 올리브유 등의 식용유이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체(7)나 제2 액체(8)는, 관찰 기간 중, 위(3) 내부에 체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음용 시의 액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수나 스포츠 음료의 경우에 위에서의 흡수가 가장 빠른 것이 액온 5 내지 15℃로 말해지고 있어, 이 액온보다도 높은 쪽의 온도, 예를 들면 20℃ 이상 정도의 액온이면, 흡수가 느려져서, 위(3)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3을 참조하여,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캡슐형 내시경(4)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제1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4)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체(2)의 체강 내에 도입 가능한 캡슐형 하우징(21)과, 이 캡슐형 하우징(21) 내에 내장되어서 전단부 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촬상 광학계(22)을 구비하는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은, 캡슐형 하우징(21) 내에, 기판이나 회로 구성 부품, 송신 안테나 등의 회로계 부(23)나, 전지(배터리)(24) 등과 함께, 가속도 센서(25), 각속도 센서(자이로)(26) 등을 구비한다.
캡슐형 하우징(21)은, 피검체(2)의 구강으로부터 체내로 삼키기 가능한 크기의 것으로서, 대략 반구 형상으로 투명성 혹은 투광성을 갖는 선단 커버(21a)와, 가시광이 투과할 수 없는 유색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진 통 형상의 동부(胴部) 커버(21b)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내부를 액밀하게 봉지하는 외장 케 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촬상 광학계(22)는, 캡슐형 하우징(21) 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강 내 촬상 부위를 선단 커버(21a) 부분을 통하여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LED 등의 복수의 발광 소자(27)(이하, 「LED 27」이라 한다)와, 조명광에 의한 반사광을 수광하여 체강 내 촬상 부위를 촬상하는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28)(이하 대표하여, 「CCD 28」이라 한다)와, 이 CCD(28)에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29)를 구비하여, 선단 커버(21a)측이 되는 전단부 방향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지(24)는, 캡슐형 내시경(4)의 내장물 중에서는 중량물인데, 캡슐형 하우징(21) 내의 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제1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4)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바꿈으로써 무게 중심 위치가 중심보다도 후단부측에 편심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25)는, 캡슐형 하우징(21) 내에서 캡슐형 내시경(4)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적분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축[캡슐형 내시경(4)의 길이 방향(Z)과 직경 방향(X,Y)]의 가속도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속도 센서(자이로)(26)는, 캡슐형 하우징(21) 내에서 캡슐형 내시경(4)의 요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각속도 센서(26)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현재의 캡슐형 내시경(4)이 향하고 있는 방향(자세)의 검출에 사용된다. 가속도 센서(25) 및 각속도 센서(26)를 구비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및 방향(CCD 29의 상하 방향도 포함한다)의 검출이 가능하다. 이들의 가속도 센서(25) 및 각속도 센서(26)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센서로서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의 검출만으로 좋은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25)만을 구비하면 되며,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자세의 검출만으로 좋을 경우에는 각속도 센서(26)만을 구비하면 된다. 또한, 위치 혹은 자세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캡슐이 발하는 자계나 전파를 체외에 있는 장치로 수신하는 방식의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전술한 워크스테이션(10)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워크스테이션(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본 제1 실시 형태의 워크스테이션(10)은, 제어부(41)와, 이 제어부(41)에 접속된 입력부(42), 표시부(9), 기억부(43) 및 통신부(44)를 구비한다. 입력부(42)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41)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기억부(43)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정보, 그 밖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하드 디스크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44)는, 수신 장치(6)와 워크스테이션(10) 사이의 송수신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41)는, CPU, ROM 및 RAM 등의 컴퓨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 제어부(41a), 통신 제어부(41b), 화상 처리부(41c), 화상 결합부(41d), 위치 자세 검출부(41e), 상태 판단부(41f) 등의 각종 기능 실행부를 구비한다. 표 시 제어부(41a)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수신 장치(6)를 통하여 취득한 체강 내 화상 등의 표시부(9)로의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제어부(41b)는, 통신부(44)가 행하는 수신 장치(6)과 워크스테이션(10) 사이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처리부(41c)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수신 장치(6)를 통하여 취득한 체강 내 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필요한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자세 검출부(41e)는,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가 검출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및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결합부(41d)는, 캡슐형 내시경(4)이 촬상한 위(3) 내부부의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위치 자세 검출부(41e)에 의해 검출된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중의 공통 부분을 추출하여, 복수의 화상끼리를 연결 결합하기 위한 결합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제1 실시 형태의 위(3) 내부의 관찰 방법에 대하여 도5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관찰 시의 위(3)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관찰에 앞서, 공급 장치(1)로부터 경구적으로, 캡슐형 내시경(4)을 제1 액체(7), 제2 액체(8)와 함께 위(3) 내부에 도입한다. 피검체 내 도입체(5)를 구성하는 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는, 위(3) 내부에 도입되면, 그 비중의 차이에 의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액체(7) 상에 제2 액체(8)가 경계면(12)을 형성하여 적층 상태로 되고,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내시경(4)이 이 경계면(12)에 위치하여 부양한다.
여기서, 캡슐형 내시경(4)은,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게 중심이 후단부측에 편심되어 있으므로, 경계면(12)에 있어서 촬상 방향이 되는 전단부측이 위를 향하는 기립 상태(연직 상태)로 부양된다. 이 기립 상태는 제1 액체(7) 만의 경우에도 어느 정도는 확보되나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경계면(12)이 액체끼리로만 형성되어 있어 상방이 공기의 경우보다도 비중차가 적은 제2 액체(8)가 존재하는 경우가 점성이 강하기 때문에 경계면(12)의 요동 등이 있어도 캡슐형 내시경(4)의 움직임(쓰러짐)이 둔해져 중심 배치에 따른 기립상태로 경계면(12)에 안정되게 부양되게 된다. 이러한 상향 안정 상태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하여 위(3) 내부의 상방측을 촬상함으로써 내벽 화상을 취득하여 수신장치(6)측에 송신 출혁할 수가 있다.
이러한 위(3)의 내벽의 촬상 시에 제2 액체(8)가 도입되어 있지 않고, 공기층인 채로 있으면 경계면(12)보다도 상방 위치의 위(3)의 측벽(3a) 부위 등은 오그러 들어 버려 확산·확장이 불충분해지게 되나,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체(7)에 더하여 제2 액체(8)도 위(3) 내부에 도입시킴으로써 경계면(12)보다도 상방 위치의 측벽(3a) 부위에 걸쳐 충분히 확산·확장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넓은 장기인 위(3) 내부에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촬상 방향은 상향이지만, 그 선단 커버(21) 주위가 공기층이 아니고 제2 액체(8)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선단 커버(21) 상에 흠집이나 오물이 있어도 눈에 잘 띄지 않게 되어, 양호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피검체(2) 자신의 근소한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위(3) 내부에 있어 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림 없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으로서, 도5 중에 나타내는 점선 대신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각화된 촬상 광학계(22)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도록 하면, 적은 체위 변환으로 위(3) 내부를 보다 광범위에 걸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는,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위(3) 내부에의 도입량을 가변시켜서, 경계면(12)의 높이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3) 내부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의 부양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하여, 위(3) 내부를 관찰시킬 수 있다. 도6은, 제1 액체(7)의 도입량의 증가 전과 증가 후의 위(3)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즉,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과 함께 소정량의 제1 액체(7), 제2 액체(8)를 삼켜서 관찰을 개시한 후,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히 제1 액체(7)를 추가하여 삼켜서, 위(3) 내부의 제1 액체(7)의 도입량을 순차 증가시킴으로써, 경계면(12)의 위치가 순서대로 높아져서, 위(3)의 하부(유문부)(3b)측으로부터 상부(분문부)(3c)측을 향하여 순차 내벽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제1 액체(7)의 추가 시마다, 피검체(2) 자신의 근소한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리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체위 변환 장치(11)에 의한 피검체(2)의 큰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대폭으로 바꿈으로써, 캡슐형 내시 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 전체를 한층 빠뜨리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도7은, 예를 들면 체위 변환 장치(11)를 90도 회전시켜 쓰러뜨려서 피검체(2)를 입위 상태로부터 앙와위(또는, 배와위) 상태로 체위 변환 시킨 경우의 관찰 시의 위(3) 내부의 모습을 단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즉, 상향 촬상의 캡슐형 내시경(4)은, 입위 상태의 경우에는 위(3)의 상방향을 촬상 관찰하지만,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앙와위(또는, 배와위) 상태의 경우에는 위(3)의 전방면측 내벽(또는, 배면측 내벽)을 촬상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측와위 상태로 체위 변환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적당히 경계면(12) 위치의 높이 조정, 체위 변환을 수반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에서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가 변화되면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위(3) 내부의 화상 데이터의 제어부(41)에 있어서의 처리예에 대하여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이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을 내장하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4)이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가 변화되면서 공통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했을 경우에, 캡슐형 내시경(4)이 어느 만큼 움직였는지에 관한 상대 이동량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에피폴라 기하나 텐플레이트 매칭 등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상이한 화상의 공통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화상끼리를 서로 연결시켜서 파노라마 화상화 할 수 있다.
도8은, 제어부(41) 중의 화상 결합부(41d)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결합 처리 예를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개략적으로는, 에피폴라 기하를 이용하여, 템플 릿 매칭의 탐색 범위를 결정하고, 템플릿 매칭에 의해 복수의 화상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우선, 결합해야 할 대상이 되는 연속하는 2매의 화상(Pn,Pn -1)을 입력한다(스텝 S201). 그리고, 깨끗하게 서로 겹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양 화상(Pn,Pn -1)의 왜곡 수차 보정을 행한다(스텝 S202). 또한,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하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탐색 범위를 산출 설정한다(스텝 S203).
이 탐색 범위의 결정은, 캡슐형 내시경(4)이 변위 했을 때에 촬상 범위가 겹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그 후의 화상 합성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에피폴라 기하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도9는, 에피폴라 기하를 이용하는 탐색 범위 설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즉, 캡슐형 내시경(4)이, 화상(Pn -1)을 촬상한 위치로부터 화상(Pn)을 촬상한 위치로 변위했을 경우, 촬상 부위의 깊이를 모르므로 이동 전의 화상(Pn -1) 상의 참조점(R0)이 이동 후의 화상(Pn) 상의 어느 점에 대응할지는 1점으로는 정해지지 않지만, 이동 전의 참조 점(R0)에 대한 대응점(R1)이 이동 후의 화상(Pn)에서의 에피폴라선(Ep) 상에 한정된다고 하는 에피폴라 기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Pn,Pn -1 사이에서 캡슐형 내시경(4)이 어느 만큼 움직였는지의 상대 이동량은,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각속도에 기초한 위치 정보나 자세 정보의 변화량이 참조된다. 그래서, 이동 후의 화상(Pn) 에서의 에피폴라선(Ep)을 구하고, 상기 화상(P)의 단부점(예를 들면, 좌상 단부점과 우하 단부점)과 에피폴라선(Ep)과의 위치 관계를 판단함으로써, 화상(Pn,Pn -1)끼리의 겹치는 부분을 판단하여, 탐색 범위를 결정한다.
이어서, 복수의 템플릿 화상을 검출하여(스텝 S204),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한다(스텝 S205). 즉, 설정된 탐색 범위 내에 있어서, 화상(Pn) 중에서 복수의 템플릿 화상을 작성하는 동시에, 합성해야 할 화상(Pn -1)에 있어서 복수의 템플릿 화상을 잘라내고, 이들의 패턴 매칭에 의해 대응점을 찾아낸다. 여기서, 후술하는 아핀 변환의 미지의 파라미터 수가 6개이므로, 6개 이상의 템플릿 화상을 이용하여, 6개 이상의 대응점을 발견한다. 그리고, 합성해야 할 양 화상(Pn,Pn -1) 사이의 관계식을 회전과 평행 이동의 아핀 변환으로 하는 아핀변환 처리를 행한다(스텝 S206). 이 처리에 있어서는, 최소 제곱법에 의해 6개의 아핀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구한 아핀 파라미터를 이용함으로써 합성해야 할 화상(Pn -1)을 직교 좌표계의 x, y 좌표로 변형 변환함으로써 화상(Pn)과 합성한다(스텝 S207). 이러한 처리를, 처리 대상이 되는 모든 화상에 대하여 순차 반복한다(스텝 S208).
이러한 화상 결합 처리에 의해, 복수의 화상이 공통 부분에서 서로 겹쳐서 연속하는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가 변위하면서 촬상된 위(3) 내부의 진단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텝 S207의 처리에 있어서는, 단순한 합성 처리이며, 평면적인 합성 화상이 된다. 그래서, 다시 이렇게 합성된 합성 화상의 가로 사이즈를 L, 세로 사이즈를 H로 하여 직경 R=L/л, 높이 H의 원기둥에 합성 화상을 부착시키는 원기둥 맵핑을 행하여, 원기둥 좌표계와 직교 좌표계의 변환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합성 화상을 표시부(9)에 표시시키도록 하면,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위(3) 내부를 보고 있는 것 같은 버츄얼적인 시점에서, 원통 내부를 관찰할 수가 있어, 위(3) 내부의 진단이 한층 용이해진다.
다음에, 상술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피검체 내 관찰 방법)의 수순을 도10에 통합하여 나타낸다. 도10은, 본 제1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우선, 관찰에 앞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6a)를 피검체(2)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수신 장치 본체(6b)를 피검체(2)의 근방 위치에 배치한다(스텝 S1). 다음에, 공급 장치(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캡슐형 내시경(4)을 별개의 부재의 자석 등을 이용하여 기동시킨다(스텝 S2).
그리고, 공급 장치(1)의 음용구(1d)로부터 제1 액체(7)를 동봉된 캡슐형 내시경(4)과 함께 삼킴으로써, 위(3) 내부에 도입한다(스텝 S3). 이 때, 피검체(2)는, 삼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입위(또는, 좌위)로 한다. 이어서, 공급 장치(1)의 음용구(1f)로부터 제2 액체(8)를 삼킴으로써, 위(3) 내부에 도입한다(스텝 S4). 이 때, 캡슐형 내시경(4)은 제1 액체(7)와 동시에 삼키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제1 액체(7)와 함께 삼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키기 쉬워진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과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와의 삼키는 순서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삼키기 쉬운 순서로 삼키면 된다. 그 후에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이 안정될 때까지 몇 분 정도 대기한다(스텝 S5).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5나 도6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찰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캡슐형 내시경(4)이 촬상에 의해 취득한 피검체 내 화상 데이터를 피검체(2) 외부를 향하여 송신 출력시켜, 수신 장치(6)에서 수신시킨다(스텝(S6)). 그 후에 필요한 횟수의 체위 변환이 종료될 때까지(스텝 S7:Yes), 적당한 타이밍으로, 피검체(2)의 체위를 변환시켜(스텝 S8), 변환된 체위에서의 스텝(S6)의 촬상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당해 피검체(2)에 대한 위(3)의 관찰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스텝 S9:No), 적절한 타이밍으로, 제1 액체(7)를 위(3) 내부에 추가 도입한다(스텝S10). 그 후에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이 안정될 때까지 몇 분 정도 대기해(스텝 Sl1:Yes), 스텝(S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당해 피검체(2)에 대한 위(3)의 관찰이 종료되면(스텝 S9:Yes), 관찰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피검체(2)를 우측 와위 상태로 체위 변환하여, 위(3) 내부에 도입된 제1 액체(7), 제2 액체(8)와 함께 캡슐형 내시경(4)의 유문부(3b)측으로의 이동을 재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변형예)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로 이루어지는 피검체 내 도입체(5)를, 패키지화된 공급 장치(1)로부터 일괄하여 피검체(2) 내에 도입시키도록 했지만, 이러한 패키지화된 공급 장치(1)에 한하지 않고, 피검체 내 도입체(5)의 공급 방법은 임의라도 좋다. 도11은, 피검체 내 도입체(5)의 공급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1 액체(7)를 수납한 1개 또는 추가용의 몇 개의 병 형상의 용기(51)와 캡슐형 내시경(4)과 제2 액체(8)를 수납한 1개 또는 몇 개의 병 모양의 용기(52)를, 체위 변환 장치(11) 부설된 공급 테이블(53) 상에 준비해 두고, 피검체(2)에 공급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용기(51, 52)를 눈금(54, 55)이 있는 것으로 하여 도입량을 알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병 형상의 용기(51, 52) 대신에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2 변형예)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 밸런스로 하기 위해, 전지(24)를 후단부측에 배치시킨 캡슐형 내시경(4)으로 하였으나, 이와 같은 배치예에 한하지 않고,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 밸런스로 한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24) 대신에 추(30)를 후단부측에 배치시킨 캡슐형 내시경(4)이나,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측에 공간(31)을 확보하여 전단부측을 가볍게 한 캡슐형 내시경(4)이어도 된다.
(제3 변형예)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 밸런스로 상향 촬상의 캡슐형 내시경(4)을 이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하향 촬상을 목적으로 할 경우이면,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도13a 내지 도13c은, 각각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4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3a은, 전지(24) 등의 중량물을 전단부측 가까이에 배치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13b는, 추(30)를 전단부측 가까이에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도13c은, 공간(31)을 후단부측 가까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그런데, 도13a 내지 도13c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40)의 경우,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에 기립 상태로 부양하여, 항상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1 액체(7)를 통하여 위(3)의 내벽을 하향 방향에서 촬상하게 된다. 따라서, 그 선단 커버(21) 주위가 공기층이 아니라 제1 액체(7)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선단 커버(21) 상에 흠집이나 오물이 있어도 두드러지지 않아, 공기층을 개재하여 촬상할 경우보다도 양호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6의 (a)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제1 액체(7)가 적은 단계에서의 경계면(12)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0)에서의 하향 촬상이라 하더라도, 제1 액체(7)뿐만 아니라 제2 액체(8)도 도입됨으로써, 보다 많은 액체가 위(3) 내부에 도입되어 위(3)의 하부측 내벽이 넓은 범위에 걸쳐서 확산·확장된 상태에서의 촬상이 되고, 따라서, 넓은 장기인 위(3) 내부에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양호한 관찰을 행할 수 있다. 즉, 도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제1 액체 + 제2 액체)분의 제1 액체만을 위 내부에 도입하여 캡슐형 내시경을 액 중의 원하는 위치에 가라앉게 하는 제어를 행하면, 1종류의 액체만으로도 마찬가지의 상태를 확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캡슐형 내시경을 가라앉게 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 경계면(12)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용 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부측 방향만 촬상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4, 40)의 예로 설명했지만, 전단부측 방향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단부측 사시 방향만, 혹은, 전단부측 둘레 방향만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어도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으로서는, 일안형의 것에 한하지 않고, 전단부측 방향 및 후단부측 방향의 전후 양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이어도 된다.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의 경우도,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 밸런스를 바꾸어서 무게 중심 위치를 편심시킴으로써 경계면(12)에 항상 기립 상태로 부양하도록 하면, 중력 방향에 대하여 촬상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가 있어 안정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의 촬상은, 전후 양방향이어도 되고, 혹은, 원하는 편측 방향만이어도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2)의 원하는 장기로서 위(3)를 대상으로 하는 관찰 예로 설명했지만, 위(3)에 한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관강을 갖는 장기, 예를 들면 대장 등의 관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3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적합한 제2 실시 형태인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캡슐형 의료 장치의 일례로서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고 있다. 도14에 있어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도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급 장치(1)에 의해 피검체(2)의 원하는 장기, 예를 들면 위(3) 내부에 도입되어 체강 내 화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 등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4)을 포함하는 피검체 내 도입체(5)와, 위(3) 내부에 도입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에 이용되는 수신 장치(6)를 구비한다. 이 수신 장치(6)는, 피검체(2)의 옆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어,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피검체 내 도입체(5)는, 도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장치(1) 내에 준비된, 캡슐형 내시경(4)과,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수신 장치(6)가 수신한 영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강 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9)를 포함하고,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워크스테이션(10)을 구비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제1 액체(7), 제2 액체(8)과 함께 위(3) 내부에 도입되어서 그 액체끼리의 경계면(12) 상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캡슐 변위 구동 장치인 자계 부여 장치로서의 외부 영구 자석(13)과, 관찰 대상이 되는 피검체(2)의 체위를 변환하기 위한 체위 변환 장치(11)를 구비한다. 외부 영구 자석(13)은, 의사 등의 의료 종사자가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피검체(2)의 체표 표면상의 임의 또한 원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5를 참조하여,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5는, 캡 슐형 내시경(4)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4)은, 도3 등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캡슐형 하우징(21)과, 촬상 광학계(22)을 구비하는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며, 캡슐형 하우징(21) 내에, 기판이나 회로 구성 부품이나 송신 안테나 등의 회로계부(23)나, 전지(배터리)(24), 가속도 센서(25), 각속도 센서(26) 등과 함께, 자성체, 예를 들면 영구 자석(35)을 구비한다.
캡슐형 하우징(21), 촬상 광학계(22), 가속도 센서(25), 각속도 센서(26)는, 도3 등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자성체의 일례로서 설치된 영구 자석(35)은, 그 N극, S극이 캡슐형 내시경(4)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도록 자화된 것이다. 영구 자석(35)은, 캡슐형 내시경(4)의 내장물 중에서는 중량물인데, 캡슐형 하우징(21) 내의 후단부측에 배치되고, 또한, 전단부측의 선단 커버(21a) 내에는 공간(31)을 확보함으로써, 본 제2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4)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바꿈으로써 무게 중심 위치가 중심보다도 후단부측에 편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중량 밸런스로 하기 위해, 전지(24)를 후단부측에 배치시키거나, 추 등의 별도의 부재에 의한 중량물을 후단부측에 배치시키거나 하여도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에 내장되는 자성체로서는, 영구 자석(35)에 한하지 않고, 코일이나 전자석이어도 된다.
여기서, 전술한 워크스테이션(10)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1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워크스테이션(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워크스테이션(10)은, 도4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1) 와, 이 제어부(41)에 접속된 입력부(42), 표시부(9), 기억부(43) 및 통신부(44)를 구비한다. 제어부(41)는, CPU, ROM 및 RAM 등의 컴퓨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전술한 표시 제어부(41a), 통신 제어부(41b), 화상 처리부(41c), 화상 결합부(41d), 위치 자세 검출부(41e) 등의 각종 기능 실행부에 더하여 상태 판단부(41f)를 구비한다. 상태 판단부(41f)는, 외부 영구 자석(13)을 캡슐형 내시경(4)에 가까이 했을 경우에 이 캡슐형 내시경(4)이 인가되는 외부 자계에 반응하여 위치 변위 또는 자세 변위 하였는지 여부의 캡슐형 내시경(4)의 상태를 가속도 센서(25)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위(3) 내부의 관찰 방법에 대하여는, 도5 내지 도8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이용하는 위(3) 내부의 관찰 방법에 대하여, 도14 및 도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앙와위(또는, 배와위) 상태의 피검체(2)의 위(3) 내부의 관찰 모습을 단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을 부양하면서 위(3)의 내벽을 촬상한다. 여기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2) 외부에 의료 종사자가 손으로 파지한 외부 영구 자석(13)을 배치하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외부 자계를 인가할 수 있다. 이 영구 자석(35)은, 캡슐형 내시경(4)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어, 외부 영구 자석(13)의 극성을 선택하여 대향 위치에 배치시켜서 흡인 방향의 외부 자계를 인가시키면서 이 외부 영구 자석(13)의 배치 위치를 도17 중의 수평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면, 그것에 따라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 상에서의 부양 위치도 수평면 내에서 강제적으로 변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영구 자석(13)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이 외부 영구 자석(13)을 도17 중의 회전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변위시키면, 영구 자석(35)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의 방향도 연직 방향으로부터 기울기 때문에, 거기에 수반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에서의 부양 자세도 수평면 내에서 강제적으로 변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계면(12) 상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해 임의 또한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촬상 위치나 촬상 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가 있고, 또한, 의사 등이 관찰하고 싶은 장소의 관찰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캡슐형 내시경(4)의 중력 방향의 위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액체(7)의 위(3) 내부 도입량을 순차 증가시킴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체(2)의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원하는 체위마다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면서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한층, 위(3) 내부를 빠짐없이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화시키므로, 보다 적은 체위 변환으로 위(3) 내부 전체를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의 변화는, 액체끼리의 경계면(12) 상에 부양하고 있는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한 것으로, 위치나 자세의 변 경시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작은 자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제2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4)은, 후방부측에 편심시킨 무게 중심 배치에 의해 기립 상태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상향 상태인 채로의 부양 자세의 변경을 목흔들기 운동과 같이 간단 또한 안정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영구 자석(35)이나 외부 영구 자석(13)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무게 중심 배치를 중심 또는 중심 근방으로 하고,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해 영구 자석(35)에 인가하는 외부 자계의 극성을 흡인 방향으로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인가하는 외부 자계의 극성을 반발 방향으로 절환하면 캡슐형 내시경(4)측의 상하 방향이 반전된 후[영구 자석(35)의 극성이 상하 반전된 후], 상기한 바와 같은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의 제어가 가능해져서, 결국, 캡슐형 내시경(4)을 상하 방향으로 일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은, 가속도 센서(25)를 내장하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캡슐형 내시경(4)에 가까이 했을 때에 캡슐형 내시경(4)이 외부 자계에 반응 하였는지의 여부, 즉, 위치 변위한 것인가 아닌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캡슐형 내시경(4)을 원하는 대로 유도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이 상태 판단 처리를 제어부(41) 중의 상태 판단부(41f)가 행하여, 캡슐형 내시경(4)이 외부 자계에 반응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 결과를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하고 있는 외부 영구 자석(13)의 자계 강도나 체표에의 압박 정도가 충분한지 어 떤지를 확인할 수 있어, 인가하는 자계 강도의 과대나 부족에 의해 간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이 외부 자계에 반응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에는, 가속도 센서(25)에 한하지 않고, 위치 검출 기능을 갖는 센서나 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외부 영구 자석(13)으로서는, 자계 강도가 다른 복수 종류의 영구 자석을 선택 가능하게 미리 준비해 두고, 이러한 상태 판단의 결과(인가하는 외부 자계의 과대나 부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검체(2)의 체형에 맞춰서 사용하는 외부 영구 자석(13)의 강도를 결정하여도 좋다. 즉, 피검체(2)의 체중, 신장, 몸통 둘레 등에 따라서, 사용하는 외부 영구 자석(13)의 자계 강도를 결정한다. 이 때, 피검체(2)의 체중, 신장, 몸통 둘레의 각 값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외부 영구 자석(13)을 결정하기 위한 시트를 미리 준비해 두면, 선택이 적정하고 또한 용이해진다. 이에 의해, 피검체(2)의 체형에 의한 개인차를 흡수하여, 보다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인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2)의 체중, 신장, 몸통 둘레의 각 값을 입력함으로써, 사용하는 외부 영구 자석(13)을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해 두어도 좋다. 혹은, 체중, 신장, 몸통 둘레 등의 데이터 대신에, CT 스캔 등에 의해 미리 취득된 CT 데이터 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자계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외부 영구 자석(13)을 이용할 경우, 원하는 하나의 외부 영구 자석(13) 밖에 꺼낼 수 없도록 보관 수납하는 수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8은, 복수 종류의 외부 영구 자석(13)의 수납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6 종류 준비한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을 보관 수납하는 수납 장치를 예시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납 장치(110)는,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6개의 수납부(111 내지 116)과, 수납부(111 내지 116)을 일체적으로 접속하는 대(117)와, 수납부(111 내지 116)의 각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8)를 갖는다. 또한,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은, 각각을 특정하기 위한 자석 번호(1 내지 6)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은, 이러한 자석 번호가 클수록, 강한 자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수납부(111)는, 자석 번호(1)의 외부 영구 자석(13a)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부(111)는, 외부 영구 자석(13a)을 수납하는 상자 부재(111a)와, 상자 부재(111a)의 개구단을 개폐하는 덮개(111b)와, 상자 부재(111a)에 수납된 외부 영구 자석(13a)을 검출하는 자석 검출부(111c)와, 덮개(111b)를 시정하는 로크부(111d)를 갖는다. 상자 부재(111a)는, 예를 들면 측단면이 오목 형상의 부재이며, 개구단 근방에 덮개(111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자 부재(111a)에 수납된 외부 영구 자석(13a)은, 덮개(111b)를 개폐함으로써 출납된다. 자석 검출부(111c)는, 외부 영구 자석(13a)이 상자 부재(111a)에 수납된 경우, 이 외부 영구 자석(13a)의 자장 또는 무게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자 부재(111a) 내의 외부 영구 자석(13a)의 유무를 검출한다. 자석 검출부(111c)은, 이 외부 영구 자석(13a)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118)에 통지한다. 로 크부(111d)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기초하여 덮개(111b)를 잠그거나, 또는 덮개(111b)의 시정을 해제한다.
또한, 수납부(112 내지 116)는, 자석 번호(2 내지 6)의 외부 영구 자석(13b 내지 13f)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수납부(111)와 거의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즉, 수납부(112 내지 116)는, 외부 영구 자석(13b 내지 13f)을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상자 부재(112a 내지 116a)와, 상자 부재(112a 내지 l16a)의 각 개구단을 각각 개폐하는 덮개(112b 내지 116b)와, 상자 부재(112a 내지 116a)에 각각 수납된 외부 영구 자석(13b 내지 13f)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자석 검출부(112c 내지 116c)와, 덮개(112b 내지 116b)를 각각 잠그는 로크부(112d 내지 116d)를 갖는다. 이 경우, 상자 부재(112a 내지 116a)는 수납부(111)의 상자 부재(111a)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고, 덮개(112b 내지 116b)는 수납부(111)의 덮개(111b)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는다. 또한, 자석 검출부(112c 내지 l16c)는 수납부(111)의 자석검출부(111c)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고, 로크부(112d 내지 116d)는 수납부(111)의 로크부(111d)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18)는, 예를 들면 대(117) 상에 설치되어, 상술한 자석 검출부(111c 내지 116c) 및 로크부(11ld 내지 116d)의 각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8)는, 자석 검출부(111c 내지 116c)로부터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의 각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의 각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로크부(111d 내지 116d)의 각 구동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18)는, 자석 검출부(111c 내지 116c)의 모두로부터 자석 있음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면, 시정을 해제하는 구동 제어를 로크부(111d 내지 116d)에 대하여 행한다.
한편, 제어부(118)는, 자석 검출부(111c 내지 116c) 중의 하나로부터 자석 없음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면, 이 자석 없음의 검출 결과를 통지한 자석 검출부를 갖는 수납부, 즉 외부 영구 자석이 취출된 수납부의 로크부[로크부(111d 내지 116d)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시정을 해제하는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어부(118)는, 자석 있음의 검출 결과를 통지한 나머지 자석 검출부를 갖는 각 수납부, 즉 외부 영구 자석이 수납되어 있는 각 수납부의 로크부[로크부(111d 내지 116d)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덮개를 시정하는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8)는, 수납부(111 내지 116)에 각각 수납된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 중에서 어느 하나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하고, 동시에 복수의 외부 영구 자석을 취출할 수 없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자가 외부 영구 자석(13a 내지 13f) 중에서 외부 영구 자석(13a)을 취출했을 경우, 제어부(118)는, 자석 검출부(111c)로부터 자석 없음의 검출 결과를 취득 하는 동시에, 나머지의 자석 검출부(112c 내지 116c)로부터 자석 있음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이 경우, 제어부(118)는, 로크부(111d)에 대하여 덮개(111b)의 시정을 해제하는 구동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남은 로크부(112d 내지 116d)에 대하여 덮개(112b 내지 116b)를 시정하는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검사자는, 수납 장치(110)로부터 필요한 외부 영구 자석만을 취출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캡슐형 내시경(4)을 도입한 피검체(2)에 대하여 복수의 외부 영구 자석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접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피검체(2) 내의 관찰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게 경계면(12) 위치의 높이 조정, 체위 변환을 수반하면서,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에서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강제적으로 순차 변화시키면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위(3) 내부의 화상 데이터의 제어부(41)에 있어서의 처리예에 대하여는, 본 제2 실시 형태의 경우도, 도8 및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상술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피검체 내 관찰 방법)의 수순을 도19에 통합하여 나타낸다. 도19는, 본 제2 실시 형태의 위 내부 관찰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우선, 관찰에 앞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6a)를 피검체(2)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수신 장치 본체(6b)를 피검체(2)의 근방 위치에 배치한다(스텝 S21). 다음에, 공급 장치(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캡슐형 내시경(4)을 별개의 부재의 자석 등을 이용하여 기동시킨다(스텝 S22).
그리고, 공급 장치(1)의 음용구(1d)로부터 제1 액체(7)를 동봉한 캡슐형 내시경(4)과 함께 삼킴으로써, 위(3) 내부에 도입한다(스텝 S23). 이 때, 피검체(2)는, 삼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입위 또는, 좌위로 한다. 이어서, 공급 장치(1)의 음용구(1f)로부터 제2 액체(8)를 삼킴으로써, 위(3) 내부에 도입한다(스텝 S24). 이 때, 캡슐형 내시경(4)은 제1 액체(7)와 동시에 삼키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제1 액체(7)와 함께 삼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키기 쉬워진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과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삼키는 순서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삼키기 쉬운 순서로 삼켜도 된다. 그 후에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이 안정될 때까지 몇 분 정도 대기한다(스텝 S25).
그리고, 피검체(2) 외부의 원하는 위치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배치시켜(스텝 S26), 경계면(12) 상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 혹은 부양 자세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찰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캡슐형 내시경(4)이 촬상에 의해 취득한 피검체 내 화상 데이터를 피검체(2) 외부를 향하여 송신 출력시켜, 수신 장치(6)로 수신시킨다(스텝 S27). 이 촬상시에,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가 검출한 가속도 정보나 각속도 정보도 더불어서 피검체(2) 외부를 향하여 송신 출력시켜, 수신 장치(6)로 수신시킨다. 그 후에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4)의 필요한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의 변경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스텝 S28:Yes), 적절한 타이밍으로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4)의 필요한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의 강제적인 변경을 행해(스텝 S29), 위치나 자세가 변화된 상태에서의 스텝(S27)의 촬상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에 필요한 체위 변환이 종료될 때까지(스텝 S30:Yes), 적절한 타이밍으로, 피검체(2)의 체위를 변환시켜(스텝 S31), 변환된 체위에서의 스텝(S27 내지 S29)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당해 피검체(2)에 대한 위(3)의 관찰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32:No), 적절한 타이밍으로, 제1 액체(7)를 위(3) 내부에 추가 도입한다(스텝 S33). 그 후에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이 안정될 때까지 몇 분 정도 대기해(스텝 S34:Yes), 스텝(S27)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당 해 피검체(2)에 대한 위(3)의 관찰이 종료되면(스텝 S32:Yes), 관찰 처리가 종료된다. 이 때, 피검체(2)를 우측 와위 상태로 체위 변환하고, 위(3) 내부에 도입된 제1 액체(7), 제2 액체(8)와 함께 캡슐형 내시경(4)의 유문부(3b)측으로의 이동을 재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영구 자석(13)의 외부 자계를 인가하면서 캡슐형 내시경(4)을 유문부(3b)측에 유도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면, 관찰 종료한 캡슐형 내시경(4)의 배설까지의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로 이루어지는 피검체 내 도입체(5)를, 패키지화된 공급 장치(1)로부터 일괄하여 피검체(2) 내에 도입시키도록 했지만, 이러한 패키지화된 공급 장치(1)에 한하지 않고, 피검체 내 도입체(5)의 공급 방법은 임의라도 좋고, 예를 들면 도1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급 방법이라도 좋다.
(제4 변형예)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 밸런스로 상향 촬상의 캡슐형 내시경(4)을 이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하향 촬상을 목적으로 할 경우이면,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도20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 밸런스의 제4 변형예의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6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0은, 영구 자석(35) 등의 중량물을 전단부측 가까이에 배치하고, 후단부측에 공간(31)을 배치시킨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부측 방향만 촬상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4, 60)의 예로 설명했지만, 전단부측 방향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단부측 사시 방향만, 혹은, 전단부측 둘레 방향만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어도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으로서는, 일안형의 것에 한하지 않고, 전단부측 방향 및 후단부측 방향의 전후 양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이어도 된다.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의 경우도,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 밸런스를 바꾸어서 무게 중심 위치를 편심시킴으로써 경계면(12)에 항상 기립 상태로 부양하도록 하면,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한 자세 제어도 안정되어, 안정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의 촬상은, 전후 양방향이어도 되고, 혹은, 원하는 편측 방향만이어도 된다.
(제5 변형예)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의사가 경험적으로 원하는 피검체(2)의 체표 위치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순차 배치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자세 제어를 행하도록 했지만, 지시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도21은, 제5 변형예의 지시 플레이트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피검체(2)의 몸통둘레에 배치되는 만곡 가능한 지시 플레이트(70)는, 피검체(2) 내의 위(3)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외부 영구 자석(13)을 체표면 상에서 배치해야 할 부위에 복수의 배치 마커(71)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지시 플레이트(70)를 이용하면, 이들의 배치 마커(71)의 위치를 따라서 외부 영구 자석(13)을 배치해야 할 위치를 순차 변경시켜 가는 것 만으로, 위(3)의 내벽을 전면적으로 빠짐없이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영구 자 석(13)의 배치 조작이 용이해지고, 의사에 한하지 않고, 간호사 등의 의료 종사자도 외부 영구 자석(13)의 배치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의사의 구속 시간을 단축시켜, 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시 플레이트(70)는, 검사 종료 후의 캡슐형 내시경(4)을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해 유문부(3b)측에 유도시키기 위한 배치 마커(71)를 포함하고 있으면, 배설용의 유도 조작도 용이해진다.
이 경우의 지시 플레이트(70)는, 피검체(2)의 체형에 맞추어 복수 종류 준비해 놓고, 체형에 맞는 것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지시 플레이트(70)의 형태로서는, 시트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피검체(2)의 체표 주위에 장착되는 복장형이나 프레임형 등의 것, 혹은 피검체(2)의 체표 표면에 투영하는 투영형이어도 좋다.
또한, 피검체(2)의 체위마다 외부 영구 자석(13)의 최적인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지시 플레이트(70)의 배치 마커(71)는, 피검체(2)의 체위마다 상이하게 한 마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a, 도22b는, 피검체(2)의 체위마다 서로 상이하게 한 배치 마커를 갖는 지시 플레이트(70)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즉, 이들 도22a, 도22b에서는, 앙와위, 좌측 와위, 우측 와위용의 원 형상, 마름모꼴 형상, 이중 원 형상과 같은 상이한 배치 마커(71a, 71b, 71c)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앙와위의 체위를 취하는 도22a의 경우에는, 앙와위용의 배치 마커(71a)를 따라 외부 영구 자석(13)을 순차 배치하고, 우측 와위의 체위를 취하는 도22b의 경우에는, 우측 와위용의 배치 마커(71c)를 따라 외부 영구 자석(13)을 순차 배치하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체위에 따른 외부 영구 자석(13)의 이동 조작이 명확하게 되어 조작을 적확 또한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계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외부 영구 자석(13)을 구비할 경우, 지시 플레이트(70)에 있어서는, 배치해야 할 외부 영구 자석(13)에 최적인 자계 강도에 따라 다른 배치 마커(71)를 설치해 두도록 하여도 된다. 피검체(2)의 체표면에서 위(3) 내부의 캡슐형 내시경(4)까지의 거리는, 각각의 배치 마커(71)의 위치에 의해 변화된다. 이 경우, 사용하는 외부 영구 자석(13)을 거리에 따라 자계 강도가 상이한 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지만, 배치해야 할 외부 영구 자석(13)에 최적인 자계 강도에 따라 상이한 배치 마커(71)를 설치해 둠으로써 배치 마커(71)를 따르는 자계 강도의 외부 영구 자석(13)을 배치하면 되어, 적정 또한 효율적인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제6 변형예)
제6 변형예는, 리얼타임 관찰에 있어서, 지시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주목 부위를 확대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3은, 리얼 타임 관찰 시의 확대 관찰 기능을 갖게 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24는, 확대 관찰에 이용하는 지시 플레이트의 구성예를 전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시 플레이트(75)는, 피검체(2)의 몸통 주위에 감아서 장착 가능한 직사각 형상의 것으로, 몸통 주위에 감았을 경우에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면 파스너와 같은 연결부(74a 내지 74f)를 갖는다. 또한, 지시 플레이트(75)는, 예를 들면 외부 영구 자석(13)이나 확대 관찰을 행하기 위한 자력 이 강한 끌어당김 영구 자석을 배치해야 할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칸 형상의 좌표가 표기된 것으로, 여기에서는, 횡축(d1 내지 d15), 종축(e1 내지 el0)으로 나타내는 150개의 배치 좌표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시의 점 N은, 좌표(d4, c3)로 나타내지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좌표점 중, 횡축(d1 내지 d5) 분은 좌측 와위 영역(A2)용, 횡축(d6 내지 d10) 분은 앙와위 영역(A1)용, 횡축(dl1 내지 d15) 분은 우측 와위 영역(A3)용으로 할당되어 있다.
또한, 지시 플레이트(75) 중에는, 캡슐형 내시경(4) 중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25)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지시 플레이트(75)의 각 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 여기에서는 5개의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가 매설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75a)는, 지시 플레이트(75)의 기준이 되어야 할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지시 플레이트(75)의 중심 부근의 좌표(d8, e5)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4개의 가속도 센서(75b 내지 75e)는 네 코너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네 코너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75b 내지 75e) 중의 하나를 기준용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지시 플레이트(75)와 캡슐형 내시경(4)과의 위치 관계의 설정은,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키기 전이며 지시 플레이트(75)의 장착 전에, 캡슐형 내시경(4)을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가속도 센서(75a) 위치에 적재하여 기동시켜, 가속도 센서(25) 및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를 초기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킨 후이며 지시 플레이트(75)의 장착 후에는, 각 가속도 센서(25), (75a 내지 75e)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및 이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한 지시 플레이트(75)의 만곡 상태 등을 포함하는 위치를 항상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25), (75a 내지 75e)에 의한 위치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슐형 내시경(4)[캡슐형 하우징(21)]의 위치(이동량)는, 가속도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하여 소정의 적분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정의 공간 좌표계 xyz에 있어서의 이동량이 산출된다. 산출된 이동량은, 공간 좌표계 xyz에서의 캡슐형 하우징(21)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량이다. 또한, 캡슐형 하우징(21)의 자세는, 각속도 센서(26)에 의해 검출된 각속도에 대하여 소정의 적분 처리를 행하고, 소정의 공간 좌표계 xyz에 있어서의 장축(하우징 중심 길이 방향)의 회전 각도 및 경축(徑軸)(장축 직교 방향)의 회전 각도를 산출함으로써 검출된다. 마찬가지로, 각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의 위치(이동량)는,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가속도에 대하여 소정의 적분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정의 공간 좌표계 xyz에 있어서의 각각의 이동량이 산출된다. 산출된 각각의 이동량은, 공간 좌표계 xyz에서의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의 각각의 배치 위치의 지시 플레이트(75)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량이다.
도25는, 지시 플레이트(75)를 포함하여 나타내는 워크스테이션(76)의 개략 블럭도이다. 지시 플레이트(75)는, 케이블을 통하여 워크스테이션(76)의 제어부(77)에 접속되어 있고, 각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의 위치 검출 정보를 거두어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77)는, 전술한 제어부(41)의 구성 중의 위치 자세 검출부(41e) 대신에 위치 자세 검출부(77e)를 가짐과 동시에, 새롭게 부가된 지정 위치 검출부(77h)를 갖는다. 위치 자세 검출부(77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동시에, 가속도 센서(75a 내지 75e)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75a)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4)과의 상대 위치 관계, 즉 지시 플레이트(75)의 만곡 상태 등을 포함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지정 위치 검출부(77h)는,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부(9)에서 리얼타임 관찰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부(9)를 통하여 확대 관찰의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그 지정 위치가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어느 좌표 위치에 대응할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지시 플레이트(75)를 따라 피검체(2)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의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리얼 타임 관찰 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6은, 리얼 타임 관찰 시의 위(3)의 촬상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캡슐형 내시경(4)은, 외부 영구 자석(13)에 의해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가 구동 제어된 상태에서, 위(3) 내부의 일부를 그 촬상 시야를 따라서 촬상하고, 수신 장치(6) 등을 거쳐, 워크스테이션(76)측에 송신함으로써, 표시부(9)를 통하여 리얼타임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캡슐형 내시경(4)과 위(3)의 내벽과의 사이의 거리는 불분명하여도,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의 내벽에 관한 촬상 영역(S1)(촬상 화상)은, 지시 플레이트(75) 상에 투영 환산하면 촬상 영역(S2)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되어서 표시부(9)에 표시된 리얼타임 화상에 있어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목해야 할 환부(78)가 출현했을 경우를 생각한다. 그래서, 리얼타임 관찰을 행하고 있는 의사가, 환부(78)에 대하여 확대 관찰을 행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환부(78)을 커서(K)로 클릭 지정하면, 지정 위치 검출부(77h)는 이 환부(78)에 대응하는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좌표 위치를 검출한다.
이 좌표 위치의 검출 동작에 대하여,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8은, 촬상 영역(S1)(촬상 화상)과 촬상 영역(S2)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실제의 촬상 영역(S1)(촬상 화상) 상의 중심점(CP1)은,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촬상 영역(S2)에서는 중심선(C1)의 연장선상의 중심점(CP2)로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실제의 촬상 영역(S1)(촬상 화상) 상의 지정된 환부(78)의 위치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투영선에 따르고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촬상 영역(S2)에서는 지정 위치(T)로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형 내시경(4)과 지시 플레이트(75)의 각 좌표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가속도 센서(25), (75a 내지 75e)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자세 검출부(77e)에 의해 상시 파악되고 있으므로, 지정 위치 검출부(77h)는, 지정된 환부(78)에 대응하는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지정 위치(T)를 구할 수 있다. 구해진 지정 위치(T)의 좌표는, 예를 들면 표시부(9) 상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관찰을 행하는 의사가,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플레이트(75) 상의 지정 위치(T)에 자력이 강한 끌어당김 영구 자석(79)을 배치하면, 경계면(12) 상에 부양되어 있던 캡슐형 내시경(4)은 환부(78)에 접촉하는 상태로 강하게 끌어당겨진다. 이에 의해, 환부(78)가 캡슐형 내시경(4)의 촬상 화상의 중심에 위치하 고, 또한, 밀착 상태에서의 촬상이 되어, 주목해야 할 환부(78)를 확대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상세한 관찰이 가능해지고, 검사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1 액체(7)뿐만 아니라 제2 액체(8)를 위(3) 내부에 도입하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4)은, 경계면(12)으로부터, 공기중에서가 아니라 제2 액체(8) 중을 부양하면서 환부(78)를 향하기 때문에, 환부(78)에 밀착하는 상태로의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지시 플레이트(75)의 각 좌표 위치에 직접 LED나 유기 EL 등의 발광체를 매설시켜 두고, 커서(K) 등에 의해 지시된 확대 관찰부에 대응하는 지시 플레이트(75) 상에서의 지시 위치를 상기 지시 플레이트(75) 상에서의 발광에 의해 직접적으로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제6 변형예와 같은 확대 관찰 기능을 갖게 할 경우, 캡슐형 내시경(4)에 LED(28)에 의한 촬상 관찰 기능뿐만 아니라, 특수 광 관찰 기능을 설치하여 밀착 상태의 환부(78)의 상세 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의 관찰 광의 절환은, 피검체(2) 외부로부터의 지시로 행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에 조직 혹은 체액 채취 기능을 부가하고, 피검체(2)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조직 혹은 체액의 착취를 행하게 함으로써, 환부(78)의 상세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에 치료 기능을 부가시켜도 좋다. 이 경우의 치료 기능은, 예를 들면 가열 프로브에 의한 환부(78)조직의 소작이나, 약제 산포 기구 혹은 약제 주입 기구에 의해 환부(78)에 약제를 작용시키는 기능이며, 피검체(2)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행한다. 혹은, 캡슐형 내시경(4)에 진단용의 화학,생화학 센서를 설치하고, 밀착한 환 부(78)가 병변부인지의 여부를 검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제7 변형예)
제7 변형예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6a)를, 캡슐형 내시경(4) 중의 송신 안테나의 지향성 등의 통신 조건을 고려하여 배치 마커(71)의 위치와 관련지어서 자석 배치용의 지시 플레이트(70)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도30a, 도30b는, 각각 안테나(6a)를 구비하는 지시 플레이트(70)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0a은, 예를 들면 캡슐형 내시경(4)의 송신 안테나가 길이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질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안테나(6a)는 배치 마커(71)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30b는, 예를 들면 캡슐형 내시경(4)의 송신 안테나가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질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안테나(6a)는 배치 마커(71)의 위치에 외부 영구 자석(13)을 배치시켰을 경우에 캡슐형 내시경(4)이 취할 수 있는 부양 위치에서 캡슐형 내시경(4)에 직교하는 방향의 지시 플레이트(70)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안테나(6a)는, 캡슐형 내시경(4)이 화상을 찍는 위치에서의 수신 상태가 최적이 되기 때문에, 저노이즈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어, 관찰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시 플레이트(70)를 피검체(2)의 체표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안테나(6a)의 장착도 완료되므로, 검사 효율이 향상된다.
(제8 변형예)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검출 하기 위하여, 내장된 가속도 센서(25)나 각속도 센서(26)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내장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캡슐형 내시경(4) 내에 광학식 혹은 초음파식의 거리 센서를 내장하고, 위 내벽면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검출된 이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간의 거리에 의한 사이즈의 변동을 보정하고, 화상 결합에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는, 내장형에 한하지 않고, 피검체(2) 외부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도31a 내지 도31c은, 각각 피검체(2)의 외부에 설치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검출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1a은, 초음파 프로브(81)에 의한 단층상 검출을 이용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검출하는 초음파 방식의 예를 나타낸다. 위(3)의 내부는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81)가 발하는 초음파가 전파되기 쉬워, 위(3) 내부의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단층상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를 이용하므로, 위벽과 캡슐형 내시경(4)과의 거리를 알 수 있으므로, 복수의 화상 결합 시의 정보로서 유익하다.
도31b는, 캡슐형 내시경(4) 내에 소형 마이크로폰을 탑재시키는 동시에 피검체(2) 외부의 복수 위치에 음원(82)을 배치시킨 음파 방식의 예를 나타낸다. 내장 소형 마이크로폰에서 검출하는 음의 강도에 의해, 복수 위치의 음원(82)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31c은, 캡슐형 내시경(4) 내에 유도 코일을 내장하고, 피검체(2) 외부의 드라이브 코일(83)로부터의 자계를 유도 코일에 작용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 내 의 유도 코일과 컨덴서와의 공진계에 의해 유도 자계를 발생시켜, 이 유도 자계를 피검체(2) 외부의 센스 코일(84)에 의해 강도를 검출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식의 예를 나타낸다. 캡슐형 내시경(4)은, 피검체(2) 외부의 드라이브 코일(83)로부터의 자계에 의해 유도 자계를 발생하여,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전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 내에 자계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피검체(2) 외부에 자계 검출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MI 소자 등의 자계 검출부를 피검체(2) 외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고감도의 검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피검체(2)의 외부에서 자계를 발생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측에서 그 자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캡슐형 내시경(4) 내에 자계 발생 장치를 구비할 경우보다도, 캡슐형 내시경(4)측의 소비에너지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위치나 자세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캡슐형 내시경(4)이 촬영한 화상의 위치를 특정하는데에 이용하여, 화상 결합시에 활용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31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제3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도14에 나타낸 외부 영구 자석(13) 대신에, 자계 부여 장치로서의 전자석(100)을 피검체(2) 외부에 구비한다. 전자석(100)은, 체위 변환 장치(11) 내에 설치된 XY 스테이지(102) 상에 회전 테이블(103)을 개재하여 탑재되어 있다. XY 스테이지(102)는, 회전 테이블(103)을 X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104)과, 이 레일(104)을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자(10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XY 스테이지(102)에 지지된 전자석(100)은, 체위 변환 장치(11) 상의 피검체(2)에 대한 XY 평면 내의 배치 위치가 가변 자유이다.
여기서, 전자석(100)은, 제1 전자석(106)과 제2 전자석(107)을 구비한다. 제1 전자석(106)은,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 상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약간 강한 외부 자계를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테이블(103)의 회전 중심 상에 탑재되어 있다. 제2 전자석(107)은, 위(3) 내부에 있어서 경계면(12) 상에 부양하는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자세(방향)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외부 자계를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 때문에, 제2 전자석(107)이 인가하는 외부 자계는 제1 전자석(106)이 인가하는 외부 자계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자석(107)은 회전 테이블(103) 상에서 제1 전자석(106)의 옆에 배치되어, 회전 테이블(103)의 회전에 따라 제1 전자석(106) 주위의 임의 위치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체위 변환 장치(11)는, 제1 전자석(106), 제2 전자석(107)에 대하여 각각 구동 전류를 흘리기 위한 구동 전원(108, 109)을 구비한다. 워크스테이션(10) 중의 제어부(41)는, 이들 구동 전원(108, 109)에 의한 제1 전자석(106) 및 제2 전자석(107)에 대한 구동 전류의 부여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통전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워크스테이션(10)은, 회전 테이블(103)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거나, 스테이지(102) 상의 회전 테이블(103)의 위치를 XY 평면상에서 2차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30)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제3 실시 형태의 전자석(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을 부양하면서 위(3)의 내벽을 촬상한다. 여기서, 구동 전원(108)만 구동시켜서 제1 전자석(106)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피검체(2) 외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흡인 방향이 되는 소정의 외부 자계를 인가하면, 연직 방향의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여, 캡슐형 내시경(4)은 경계면(12) 상에서 그 위치에서 기립 상태로 홀드된다. 따라서,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XY 스테이지(102)를 XY 방향으로 적당히 이동시키면, 그것에 수반하여, 회전 테이블(103)의 위치도 XY 평면 내에서 이동하여, 제1 전자석(106)에 의한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 기립 상태에 홀드되어 있는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경계면(12)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계면(12) 상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를 제1 전자석(106)에 의해 임의 또한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촬상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전자석(106)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4)의 홀드 상태에서, 구동 전원(109)도 구동시켜서 제2 전자석(107)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피검체(2) 외측방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흡인 방향이 되는 소정의 외부 자계를 인가하면, 이 외부 자계는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는 경사 방향 내지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는 제1 전자석(106)에 의한 상하 방향의 홀드용 외부 자계와 제2 전자석(107)에 의한 경사 방향(또는 수평 방향)의 외부 자계가 작용하는 점에서, 도29 중에 벡터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에는 쌍방의 외부 자계의 합성 방향의 외부 자계가 작용하게 되고, 캡슐형 내시경(4)은 기립 상태로부터 경사 상태로 부양 자세가 변화된다. 이 경우의 경사 방향은, 제1 전자석(106)에 대한 제2 전자석(107)의 위치, 즉, 조작부(110)의 조작에 의해 회전 테이블(103)을 회전시켜서 제2 전자석(107)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석(107)에 대한 통전량을 가변시켜서 인가하는 외부 자계의 강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계면(12) 상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자세를 제1 전자석(106) 및 제2 전자석(107)에 의해 임의 또한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촬상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계면(2) 상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제1 전자석(106)이나 제2 전자석(107)에 의해 임의 또한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촬상 위치나 촬상 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가 있고, 또한, 의사 등이 관찰하고 싶은 장소의 관찰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캡슐형 내시경(4)의 중 력 방향의 위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액체(7)의 위(3) 내부 도입량을 순차 증가시킴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체(2)의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원하는 체위마다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면서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3) 내부를 빠뜨리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석(106) 및 제2 전자석(107)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자계의 극성을 흡인 방향으로부터 반발 방향으로 절환하면, 캡슐형 내시경(4)의 촬상 방향을 상향 방향으로부터 하향 방향, 또는, 하향 방향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다.
(제9 변형예)
도33은, 제9 변형예의 전자석(1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전자석(107)을 1개만 설치했지만, 제9 변형예에서는, 제1 전자석(106)의 주위에 복수개의 제2 전자석(107a 내지 107f)을 배치하고, 선택적으로 통전 구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103'은, XY 스테이지(102)에 탑재되는 테이블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자세를 변화시킬 경우, 테이블(103')을 회전시킬 필요는 없고, 제2 전자석(107a 내지 107f) 중에서 원하는 위치의 것을 선택하여 구동시키면 되어, XY 스테이지(102)의 구조를 소형·간략화시킬 수 있다.
(제10 변형예)
도34는, 제10 변형예의 전자석(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0 변형예의 제1 전자석(106)은, 내주측 전자석(106a)과 외주측 전자석(106b)과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측 전자석(106a)과 외주측 전자석(106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역방향의 전류를 흘리도록 한 것이다. 제1 전자석(106)에 있어서, 외주측 전자석(106b)에 내주측 전자석(106a)과는 역방향의 자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전자석(106)의 중심축을 향하는 자장 구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을 제1 전자석(106)에 의해 트랩 하기 쉬워져, 제어성이 향상된다.
(제11 변형예)
도35는, 제11 변형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자석(106)과 제2 전자석(107)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11 변형예는, 피검체(2) 외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 배치시킨 한 쌍의 전자석(121, 122)을 구비한다. 123은, 이들 전자석(121, 122)을 지지하여 피검체(2)에 대한 전자석(121, 122)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하는 회전 지지 기둥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위(3) 내부의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 광범위에 걸쳐 안정된 외부 자계를 부여할 수가 있어, 제어성이 향상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31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제4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은, 도14에 도시한 외부 영구 자석(13) 대신에, 아암 부재에 의한 외팔보 지지에 의해 피검체(2) 외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가변 가능한 전자석(131)을 자계 부여 장치로서 구비한다. 전자석(131)은, 워크 스테이션(10) 중의 제어부(41)가 구비하는 전류 제어부(132)에 의한 구동 전류의 제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에 대하여 인가하는 외부 자계의 강도가 가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을 부양하면서 위(3)의 내벽을 촬상한다. 여기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2) 외부에 의료 종사자에 의해 외팔보 지지되는 전자석(13)을 구비하고 있어,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영구 자석(35)에 대하여 외부 자계를 인가할 수 있다. 이 영구 자석(35)은, 캡슐형 내시경(4)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어, 전자석(131)이 인가하는 자계의 극성을 선택하여 대향 위치에 배치시켜서 흡인 방향의 외부 자계를 인가시키면서 이 전자석(131)의 배치 위치를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면, 그것에 따라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 상에서의 부양 위치도 수평면 내에서 강제적으로 변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석(131)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이 전자석(131)을 회전 변위시키면, 영구 자석(35)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의 방향도 연직 방향으로부터 기울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캡슐형 내시경(4)의 경계면(12)에서의 부양 자세도 수평면 내에서 강제적으로 변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계면(12) 상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전자석(131)에 의해 임의 또한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위(3) 내부의 촬상 위치나 촬상 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가 있고, 또한, 의사 등이 관찰하고 싶은 장소의 관찰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캡슐형 내시경(4)의 중력 방향의 위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액체(7)의 위(3) 내부 도입량을 순차 증가시킴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체(2)의 체위 변환을 조합하여, 원하는 체위마다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면서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한층, 위(3) 내부를 빠뜨리는 개소 없이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2)의 체표에 배치 마커(71)를 부여한 지시 플레이트(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석(131)의 위치 변경은 이 배치 마커(71)을 따라서 행하면 좋다. 이 때, 체표면에서 위(3) 내부의 캡슐형 내시경(4)까지의 거리는, 각 배치 마커(71)의 위치에 의해 상이하기 때문에, 배치해야 할 전자석(131)에 최적인 자계 강도에 따라 다른 배치 마커(71)를 설치해 두고, 배치 마커(71)의 종류에 따라 전자석(131)에 흘리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131)에 흘리는 전류는, 배치 마커(71)의 종류를 전자석(131)에 설치한 마커 검출 센서(133)로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류 제어부(132)에서 자동적으로 변경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배치 마커(71)의 종류를 검출하는 대신에 전자석(131)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류 제어부(132)에서 자동적으로 변경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31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3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제5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도14 등에 나타낸 전단부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4) 대신에,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측시(側視)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141)을 구비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141)은 사시 방향만 촬상 가능한 것 이어도 된다. 이 캡슐형 내시경(141)은, N극, S극이 직경 방향이 되도록 자화된 영구 자석(142)을 자성체로서 내장하고, 예를 들면 후단부측이 무거워지는 무게 중심 배치로 하고 있다.
또한, 피검체(2) 외부에 있어서는, 그 하부측 중심 위치에 대하여 인접 상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시켜서 동일한 특성의 한 쌍의 전자석(143, 144)을 자계 부여 장치로서 구비한다. 이들의 전자석(143, 144)이 발생하는 외부 자계는 상하 방향이 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전자석(143, 144)은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캡슐형 내시경(141)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에 부양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측시 방식의 촬상 광학계의 촬상 시야가 제2 액체(8) 중이 되도록 제2 액체(8)의 위(3) 내부 도입량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141)은, 경계면(12) 상의 부양 상태로 위(3)의 임의의 내벽 측면을 촬상한다. 여기서, 전자석(143)으로부터 영구 자석(142)을 통하 여 전자석(144)을 향하는 바와 같은 외부 자계를 전자석(143, 144)에 의해 인가시키면서, 이들의 전자석(143, 144)을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면, 그에 수반하여 영구 자석(142)에는 수평면 내에서 회전 자계가 작용하게 되어, 캡슐형 내시경(141)은 기립 상태 그대로 등대와 같이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도록 자세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측시 방식의 캡슐형 내시경(141)은, 위(3)의 내벽을 수평면 내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촬상 가능해지고,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있다. 촬상 위치의 높이 방향의 변경은, 제1 액체(7)의 도입량의 추가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31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3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제6 실시 형태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도14 등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4) 대신에, 자기 요동 기구로서의 페이저 모타와 같은 요동 모터(151)가 내장된 캡슐형 내시경(152)을 구비한다. 요동 모터(151)는,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52)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장물 중에서 중량물인 요동 모터(151) 혹은 전지 등을 후단부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52)의 무게 중심은 후단부측에 편심되어져 있다.
본 제6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152)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 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을 부양하면서 위(3)의 내벽을 촬상한다. 여기서, 본 제6 실시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152)은, 편심 배치된 요동 모터(151)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 요동 모터(151)를 요동 구동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52)은 도38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 같은 요동 운동이 발생한다. 이 결과, 캡슐형 내시경(152)은 스스로 강제적으로 요동하면서 경계면(12) 상의 부양 위치나 부양 자세를 바꾸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152)은, 위(3) 내부를 광범위에 걸쳐서 촬상 가능해지고,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있다. 촬상 위치의 높이 방향의 변경은, 제1 액체(7)의 도입량의 추가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체(2)의 체위 변환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한층, 위(3) 내부를 빠뜨림 없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모터(151)는, 캡슐형 내시경(152)을 삼킬 때에 구동을 개시시켜 두어도 되고, 혹은, 위(3) 내부에 삼켜진 후,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외부로부터의 무선 지시에 의해 스위치가 투입되어서 구동을 개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요동 모터(151)는,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52)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교차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여서 배치시켜도 좋다. 혹은, 요동 모터(151)를 캡슐형 내시경(152)의 길이 방향 중심축 상에 배치시키고, 도40 및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52)의 외주면 양측에 핀 형상의 물갈퀴부(153)를 설치함으로써, 요동 모터(151)의 요동에 따라 물갈퀴부(153)가 제1 액체(7)를 긁도록 하여 수평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31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도4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7)의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도14 등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4) 대신에, 자기 추진 기구로서의 스크류(161) 및이 스크류(16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62)가 내장된 캡슐형 내시경(163)을 구비한다. 스크류(161)는, 캡슐형 내시경(163) 내에 있어서 다른 내장 부품의 수밀 상태를 유지하여 내장되고, 또한, 입수로(164) 및 출수로(16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내장물 중에서 중량물인 모터(162) 혹은 전지 등을 후단부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63)의 무게 중심은 후단부측에 편심되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7)의 캡슐형 내시경(163)은, 위(3) 내부에 있어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경계면(12) 상을 부양하면서 위(3)의 내벽을 촬상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7)의 캡슐형 내시경(163)은, 모터(162)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61)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 스크류(161)를 추진 구동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63)은 경계면(12) 상에 부양하면서 수류(水流)를 발생시켜 경계면(12) 상을 이동하고, 그 부양 위치가 순차 강제적으로 변화된다. 이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163)은, 위(3) 내부를 광범위에 걸쳐서 촬상 가능해지고, 위(3) 내부를 단시간에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있다. 촬상 위치의 높이 방향의 변경은, 제1 액체(7)의 도입량의 추가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체(2)의 체위 변환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한층, 위(3) 내부를 빠뜨림 없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모터(162)는, 캡슐형 내시경(163)을 삼킬 때에 구동을 개시시켜 두어도 되고, 혹은, 위(3) 내부에 삼켜진 후,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외부로부터의 무선 지시에 의해 스위치가 투입되어서 구동을 개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모터(162)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63) 전체를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동작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63)의 촬상 시야 범위를 널리 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도44는, 본 발명에 관한 캡슐형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에서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피검체인 인간의 입 등으로부터 체강 내에 도입하여, 체강 내의 피검 부위를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44에 있어서, 무선형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무선수신 기능을 갖는 수신 장치(6)와, 피검체(2) 내에 도입되어, 체강 내 화상을 촬상하여 수신 장치(6)에 대하여 화상 신호 등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4)을 구비한다. 또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은, 수신 장치(6)가 수신한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강 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204)와, 수신 장치(6)와 표시 장치(204) 사이에서 데이타 교환을 행하기 위한 휴대형 기록 매체(205)를 구비한다.
수신 장치(6)는, 피검체(2)의 체외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가진 안테나 유닛(6c)과, 복수의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처리 등을 행하는 수신 본체 유닛(6d)을 구비하고, 이들 유닛은 커넥터 등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의 각각은, 예를 들면 피검체(2)가 착용 가능한 재킷에 비치할 수 있어, 피검체(2)는 이 재킷을 착용함으로써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는, 재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표시 장치(204)는,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해 촬상된 체강 내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형 기록 매체(205)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워크 스테이션 등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204)는, 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직접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프린터 등과 같이, 다른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휴대형 기록 매체(205)는, 수신 본체 유닛(6d) 및 표시 장치(20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양자에 대하여 끼움 부착되었을 때에 정보의 출력 또는 기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기록 매체(205)는, 캡슐형 내시경(4)이 피검체(2)의 체강 내를 이동하고 있는 사이는, 수신 본체 유닛(6d)에 삽입 부착되어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캡슐형 내시경(4)이 피검체(2)로부터 배출된 후, 즉 피검체(2)의 내부의 촬상이 종료된 후, 휴대형 기록 매체(205)는, 수신 본체 유닛(6d)으로부터 취출되어서 표시 장치(204)에 삽입 부착되어, 이 표시 장치(204)에 의해, 휴대형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는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수신 본체 유닛(6d)과 표시 장치(204)의 데이타 교환을,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휴대형 기록 매체(205)에 의해 행함으로써, 수신 본체 유닛(6d)과 표시 장치(204) 사이가 유선으로 직접 접속되었을 경우보다도 피검체(2)가 체강 내의 촬영 중에 자유 자재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여기에서는, 수신 본체 유닛(6d)과 표시 장치(204) 사이의 데이타 교환에 휴대형 기록 매체(205)를 사용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신 본체 유닛(6d)에 내장형의 다른 기록 장치,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고, 표시 장치(204) 사이의 데이터의 전달을 위하여, 쌍방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런데, 캡슐형 내시경(4)은, 피검체에의 사용 전에는, 멸균되어서 그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캡슐형 내시경(4)을 이용한 검사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 이외에, 액체(관강 장기를 확산 또는 확장하기 위한 액체, 혹은 관강 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나 관강 장기를 확산하기 위한 발포제 등의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피검체에 부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멸균된 캡슐형 내시경(4) 등의 복수의 섭취물을 캡슐 수납 장치에 수납하고 있다. 도45는, 피검체가 섭취하는 섭취물을 수납하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45에 있어서, 캡슐 수납 장치(206)는, 캡슐형 내시경(4)과 액체를 수납하는 수납 영역(211, 212)을 갖는 수납부로서의 패키지(210)와, 수납 영역(211, 21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수납 영역(211, 212)을 관통 가능하게 격리하는 격벽(213)을 구비한다. 패키지(210)는, 예를 들면 수지 소재이고 대략 원통형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2개로 분할된 수납 영역(211, 212)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 영역(211, 21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납 영역(211) 내에는 캡슐형 내시경(4)과 이 캡슐형 내시경(4)을 피검체(2)가 삼키기 위한 제1 액체(7)가 수납되고, 수납 영역(212) 내에는 제2 액체(8)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11, 212) 사이에는, 양 수납 영역(211, 212)을 격리하는 격벽(2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격벽(213)은, 수납 영역(2l1)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수납 영역(211)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양 수납 영역(211, 212)을 격리하도록 동작하고, 수납 영역(212)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수납 영역(212)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양 수납 영역(211, 212)을 관통시키도록 동작하는, 예를 들면 역지 밸브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혹은, 격벽(213)은, 수납 영역(212) 방향으로부터 임의의 일정 이상의 압력에 대하여 찢어지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러한 수납 영역은, 2개에 한하지 않고, 패키지(210)에 복수 설치하여 제1 및 제2 액체(7, 8)을 작게 분할하여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납 영역(211)의 일단부에는, 수납 영역(211, 212) 내의 섭취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음용구(214)가 설치된다. 이 음용구(214)는, 통상은 수납 영역(211)과 외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킬 때에 피검체(2)가 이 음용구(214)의 일부를 절취하여, 수납 영역(211)과 외부를 연통 상태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음용구(214) 근방의 패키지(210)에는, 음용구(214)의 일부의 절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절단면(215) 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수납 영역(211, 212) 상의 패키지(210)에는, 피검체(2)에게 삼키는 순서를 알리기 위한 「1」과 「2」의 번호가 부기되어 있다.
또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는, 다른 액질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액체(7)가 비중 1인 물로 이루어지고, 제2 액체(8) 액이 비중 1보다도 가벼운 식용유(올리브 오일 등)로 이루어지는 비중이 다른 액체이어도 된다. 이러한 다른 액질일 경우의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는, 예를 들어, 검사를 행하는 관강 장기 내에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에 피검체(2)에 마셔지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는, 같은 액질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가 같은 비중의 액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같은 액질일 경우의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는, 예를 들어, 피검체(2)의 체격에 따라 마시는 양을 조정할 경우에 피검체(2)에 마셔지게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은, 액체(7, 8)의 비중의 대소 관계가, [제1 액체(7)]>[캡슐형 내시경(4])>[제2 액체(8)]를 만족하는 것이라도 ㅈ좋고, [제1 액체(7)]=[제2 액체(8)]>[캡슐형 내시경(4)]을 만족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 캡슐형 내시경(4)은, 예를 들면 피검체(2)의 체강 내에 도입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캡슐형 하우징 내부에, 전단부 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촬상 광학계와, 기판이나 회로 구성 부품이나 송신 안테나 등의 회로계부와, 전지와,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등을 구비한 편안(片眼) 타입의 것이며, 캡슐형 하우징 내부를 액 밀하게 밀봉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4)은, 액체에 부유한 상태에서 중력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피검체(2)의 장기 내부]의 화상을 촬상한다.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4)은, 예를 들어, 그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형성되어, 중력 방향 위를 촬상 광학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의 밸런스를 바꾸어도 좋고, 또는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도록 형성되어, 중력 방향 아래를 촬상 광학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의 밸런스를 바꾸어도 좋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06)를 이용하여 피검체(2)가 캡슐형 내시경(4)을 섭취하고, 예를 들면 위에 도입하는 일련의 공급 방법의 경우에 대해, 도46 내지 도48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6은, 피검체가 도45에 나타낸 섭취물을 섭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47은, 본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섭취물의 공급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며, 도48은, 관찰 시의 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과 액체(7, 8)와의 비중의 대소 관계가, [제1 액체(7)]>[캡슐형 내시경(4)]>[제2 액체(8)]를 만족하고 캡슐형 내시경(4)이, 액체에 부유한 상태에서 중력 방향, 예를 들면 중력 방향의 상방을 촬상 광학계로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의 밸런스를 바꾸고, 위(3)에 도입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47에 있어서, 우선 섭취물의 공급에 앞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가진 안테나 유닛(6c)을 피검 체(2)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수신 본체 유닛(6d)을 피검체(2)의 근방 위치에 배치한다(스텝 S101). 다음에 음용구(214)의 일부를 절취하여(스텝 S102), 음용구(214)를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 근처로 가져가,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에서 수납 영역(211)의 외주의 패키지(210)[예를 들면 삼키는 순서 「1」이 표기되어 있는 패키지(210)의 부분 영역]에 압력(도45의 화살표 A 방향의 압력)을 가함으로써(스텝 S103), 수납 영역(211) 내의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가 피검체(2)의 입 안(도4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피검체(2)는, 제1 액체(7)와 캡슐형 내시경(4)을 체내에 삼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삼켜진 제1 액체(7)와 캡슐형 내시경(4)은, 위(3) 내부에 도입된다(스텝 S104). 이 경우, 피검체(2)는, 입위 혹은 좌위의 상태로 섭취물을 삼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패키지(210)의 격벽(213)은 담힘 상태를 유지하여, 수납 영역(211)과 수납 영역(212)을 격리하고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기동은, 예를 들면 종래예와 같이 패키지(210)에 영구 자석을 설치해 두고, 캡슐형 내시경(4)을 취출함으로써, 기동시켜도 되고, 또한 패키지(210)로부터 취출한 후에 영구 자석을 캡슐형 내시경(4)에 가까이 하여 기동시켜도 된다. 캡슐형 내시경(4)은, 기동하면 촬상 광학계의 LED가 점멸하므로, 이 점멸을 피검체가 확인할 수 있도록, 패키지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수납 영역(212) 외주의 패키지(210)[예를 들면 삼키는 순서 「2」가 표기되어 있는 패키지(210)의 부분 영역]에 압력(도45의 화살표 C 방향의 압력)을 가하면(스텝 S105), 격벽(213)이 수납 영역(211)측으로 열려서 수납 영역(211)과 수납 영역(212)을 관통시켜, 수납 영역(212) 내의 제2 액체(8)가 수납 영역(211)을 통하여 피검체의 입 안(도4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피검체(2)는, 제2 액체(8)를 체내에 삼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삼켜진 제2 액체(8)는, 위(3) 내부에 도입된다(스텝 S106). 이들 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 및 제2 액체(8)가 위(3) 내부에 도입되면, 위(3)가 그 섭취량를 기초로 하여 확산하는 동시에, 그 비중의 차이에 의해,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액체(7) 상에 제2 액체(8)가 경계면(12)을 형성하여 적층 상태로 되고, 중간의 비중을 갖는 캡슐형 내시경(4)이 이 경계면(12)에 위치하여 부양한다. 캡슐형 내시경(4)은, 그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중심 밸런스를 변화시켜 놓았으므로, 경계면(12)에 있어서 촬상 방향이 되는 전단부측이 중력 방향 위를 향하는 기립 상태(연직 상태)로 안정되게 부양하게 된다. 캡슐형 내시경(4)은, 이러한 안정된 기립 상태에서 위(3)의 상방측을 촬영함으로써 측벽(3a)의 화상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화상을 수신 장치(6)측에 송신하고, 이 결과, 위(3)의 관찰을 개시할 수 있다(스텝 S107).
이와 같이,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를 피검체(2)의 섭취물로서 패키지(210)의 복수의 수납 영역(211, 212)에 각각 수납하고, 이들 수납 영역(211, 212)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수납 영역(211, 212)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고, 일방향의 압력으로 격벽이 열림 상태가 되어, 섭취물이 토출되도록 구성하고, 이 패키지(210)에 표기된 번호에 기초한 특정한 순서로 피검체(2)에 섭취물을 공급 가능하게 하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 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2)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섭취하는 순서가 정확하게 되기 때문에, 누구나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어 검사가 간편해진다. 이에 의해, 피검체(2)가 잘못된 순서로 섭취물을 섭취해 버릴 확률이 낮아져서, 검사가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오 검사의 방지 및 검사 시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캡슐 수납 장치(206)는, 패키지가 하나이기 때문에, 피검체(2) 이외의 인간이 패키지를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으로 검사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를 마심으로써, 위(3)을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캡슐형 내시경(4)의 관찰에 필요한 장기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장기 내벽을 더 상세하게 촬영할 수가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리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2) 자신의 체위 변환과 조합함으로써,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이 랜덤하게 흔들려서 경계면(12) 상을 부양한다. 이 캡슐형 내시경(4)이 랜덤하게 흔들리는 것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이 촬영하는 위(3) 내부의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위(3) 내부를 빠뜨리지 않고 관찰할 수 있고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촬상 광학계로서, 도48 중에 나타내는 점선 대신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각화된 촬상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도록 하면, 적은 체위 변환으로 위(3) 내부를 보다 광범위에 걸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체(7)와 제2 액체(8)의 위(3) 내부에의 섭취량을 가변시켜서 경계면(12)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 경(4)의 위(3) 내부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의 부양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하여, 위(3) 내부를 관찰시킬 수 있다. 도49는, 제1 액체(7)의 섭취량의 증가 전과 증가 후의 위(3)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즉, 도4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4)과 함께 소정량의 제1 액체(7), 제2 액체(8)를 삼켜서 관찰을 개시한 후, 도4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히 제1 액체(7)를 추가하여 삼켜서 위(3) 내부의 제1 액체(7)의 섭취량을 순차 증가시킴으로써, 경계면(12)의 위치가 순서대로 높아져, 위(3)의 하부(유문부)(3b)측으로부터 상부(분문부)(3c)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측벽(3a)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제1 액체(7)의 추가 시마다, 피검체(2) 자신의 체위 변환과 조합하여,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리는 개소없이 구석구석까지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의 밸런스를 바꾸어서 중력 방향 아래를 촬상 광학계로 촬영할 수 있게 했을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12)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림없는 상태로 구석구석까지 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사 후에, 랜덤하게 촬상한 복수의 화상을, 각 화상의 상관(相關)으로부터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져 위(3) 내부의 전체의 화상을 작성하여, 의사 등에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를 같은 비중의 액체, 예를 들면 양쪽 모두 비중 1의 물을 이용한 경우,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캡슐형 내시경(4)이 물과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기립 상태로 되어, 경계면의 요동 등이 있으면, 비중이 다른 2액의 경우에 비하여 경계면에서의 점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캡슐형 내시경(4)의 움직임(쓰러짐)이 커져, 움직임이 적은 안정된 기립 상태로 부양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비중의 다른 2액의 경우에는, 캡슐형 내시경(4)의 관찰면이 항상 액체 중에 있어서, 캡슐형 내시경(4)의 관찰 면 상의 흠집이나 오물이 눈에 띄기 어려워져,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위가 제1 및 제2 액체(7, 8)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의 전파가 양호하다. 그래서, 화상 취득 시에 피검체 외부에 설치한 3D 초음파 프로브 등에 의해 위 내부의 3차원 화상을 찍고, 캡슐형 내시경의 위치 및 방향을 특정한다. 그리고, 이 위치 혹은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결합을 행하면 보다 고정밀도로 위 내벽의 화상을 구축할 수 있어, 고정밀도한 진단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는, 예를 들면 캡슐형 내시경(4) 내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나 각속도 센서에서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신 장치(6)에는,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가 복수 있어, 이 복수의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 각각의 수신 강도로부터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산출해 내는 위치 검출 기능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 결합을 이 위치 검출 기능의 결과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화상 결합의 정밀도가 더욱 향상되어, 보다 확실한 진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2 변형예)
도50은, 도45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의 제12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0에 있어서, 캡슐 수납 장치(206)는, 관통하는 곳이 없는 상태로 완전하게 분리된 수납 영역(221, 222)을 내부에 갖는 패키지(220)를 구비한다. 이 패키지(220)의 양단에는, 피검체(2)가 수납 영역(221, 222) 내의 섭취물을 삼키기 위한 음용구(223, 224)가 각각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2 변형예에서는, 수납 영역(221) 내에는 캡슐형 내시경(4)과 제1 액체(7)가 수납되고, 수납 영역(222) 내에는 제2 액체(8)가 수납되어 있는 점과, 이들 수납 영역(221, 222) 상의 패키지(220)에는, 피검체(2)에 삼키는 순서를 알리기 위한 「1」과 「2」의 번호가 각각 부기되어 있는 점은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음용구(223, 224)의 근방의 패키지(220)에, 음용구(223, 224)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절단면(225, 226)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점은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2 변형예에서는, 우선 피검체가 음용구(223)의 일부를 절취하고, 수납 영역(221)의 외주의 패키지(220)[예를 들어 삼키기 순서 「1」이 표기되어 있는 패키지(220)의 부분 영역]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납 영역(221) 내의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가 피검체(2)의 입 안으로 토출된다. 그 후에 피검체(2)가 패키지(220)를 역방향의 수납 영역(222)측으로 하여 음용구(224)의 일부를 절취하고, 수납 영역(222)의 외주의 패키지(220)[예를 들어 삼키기 순서 「2」이 표기되 어 있는 패키지(220)의 부분 영역]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납 영역(222) 내의 제2 액체(8)가 피검체(2)의 입 안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12 변형예에서도,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를, 피검체(2)의 섭취물로서 패키지(220)의 복수의 수납 영역(221, 222)에 각각 수납하고, 이 패키지(220)에 표기된 번호에 기초한 특정한 순서로 피검체(2)에 섭취물을 공급 가능하게 하므로,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에의 표기는, 상술한 번호에 한하지 않고, 「A」 「B」「C」 등의 알파벳이라도 좋고, 그 외에도 특정한 순서를 제시할 수 있는 표기이면, 그 표기 형태는 관계없이, 원하는 표기이어도 된다.
또한, 제12 변형예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는, 2개의 수납 영역(22l, 222)을 갖는 패키지(220)로 이루어지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의 자동화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2 변형예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는,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키지가 하나이기 때문에, 피검체 이외의 인간이 패키지를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으로 검사를 완료할 수 있다.
(제13 변형예)
도51은, 도45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의 제13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3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다른 액질의 제1과 제2 액체를 섭취하고, 관강 장기(위) 내에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조정(컨트롤)할 경우, 혹은 피검체(2)의 체격이나 위의 크기에 맞추어 액체의 섭취량을 변경 할 경우의 액체 도입 장치로서 적절한 캡슐 수납 장치(206)이다. 즉 도51에 있어서, 제13 변형예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06)는, 제1 액체(7)를 분할하여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 영역(221a 내지 221c)으로 이루어지는 수납 영역(221)과, 제2 액체(8)를 분할하여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 영역(222a, 222b)으로 이루어지는 수납 영역(222)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납 영역(221)과 수납 영역(222)은, 관통하는 곳 없는 상태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21a, 221b) 사이에는, 각 수납 영역(221a, 221b)을 관통 가능하게 격리하는 격벽(225a)이 설치되고, 수납 영역(221b, 221c) 사이에는, 각 수납 영역(221b, 221c)을 관통 가능하게 격리하는 격벽(225b)이 설치되는 한편, 수납 영역(222a, 222b) 사이에는, 각 수납 영역(222a, 222b)을 관통 가능하게 격리하는 격벽(2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225a, 225b)은, 제8 실시 형태의 격벽(213)과 마찬가지로, 수납 영역(221c) 또는 수납 영역(221b)으로부터 수납 영역(221a)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만, 양 수납 영역을 관통시키도록 동작하는, 예를 들면 역지 밸브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또한, 이 격벽(226)은, 제8 실시 형태의 격벽(213)과 마찬가지로, 수납 영역(222b)으로부터 수납 영역(222a)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만, 양 수납 영역을 관통시키도록 동작하는, 예를 들면 역지 밸브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또한, 수납 영역(221, 222)는,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의 수납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21a)의 단부 및 수납 영역(222a)의 단부에는, 수납 영 역(221a 내지 221c) 내의 섭취물[캡슐형 내시경(4), 제1 액체(7)]을 토출시키기 위한 음용구(223) 및 수납 영역(222a, 222b) 내의 섭취물[제2 액체(8)]을 토출시키기 위한 음용구(224)가 각각 설치된다. 이들 음용구(223, 224)는, 통상은 수납 영역(221a, 222a)과 외부를 각각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섭취물을 삼킬 때에 피검체(2)가 이 음용구(223, 224)의 일부를 절취하여, 수납 영역(221a, 222a)과 외부를 연통 상태로 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음용구(223, 224)의 근방의 패키지(220)에는, 음용구(223, 224)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절단면(227, 228)을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수납 영역(221a 내지 221c) 상의 패키지(220)에는, 피검체(2)에 삼키는 순서를 알리기 위한 「1-1」, 「1-2」, 「1-3」의 번호가 각각 부기되어 있다. 한편, 수납 영역(222a, 222b) 상의 패키지(220)에는, 동일하게 피검체(2)에 삼키는 순서를 알리기 위한 「2-1」, 「2-2」의 번호가 각각 부기되어 있다. 또한, 제13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수납 영역(221a 내지 221c)에는 50m1의 제1 액체(7)가 각각 수납되고, 캡슐형 내시경(4)은 상기 제1 액체(7)와 함께 수납 영역(221a)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22a)에는 200m1의 제2 액체(8)가 수납되고, 수납 영역(222b)에는 100m1의 제2 액체(8)가 각각 분할하여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22a, 222b)에는 제2 액체(8)가 분할하여 수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납 영역(222a)에는 200m1의 제2 액체(8)가 수납되고, 수납 영역(222b)에는 100m1의 제2 액체(8)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제13 변형예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을 제1 액체(7)와는 다른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06)를 이용하여 피검체(2)가 캡슐형 내시경(4)을 섭취할 경우에는, 우선 음용구(223)의 일부를 절취하고, 미리 규정된 필요 섭취량의 수납 영역[수납(221a 내지 221c) 중의 어느 하나]에 압력을 가한다. 예를 들면 100m1의 제1 액체(7)와 캡슐형 내시경(4)을 섭취할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수납 영역(221b)의 외주의 패키지(220)[예를 들면 삼키기 순서 「1-2」이 표기되어 있는 패키지(220)의 부분 영역]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납 영역(221a, 221b) 내의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100ml)가 피검체(2)의 입 안(도4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피검체(2)는, 캡슐형 내시경(4)과 필요 섭취량의 제1 액체(7)를 체내에 삼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격벽(225a)은 수납 영역(221a)측으로 열려서 수납 영역(221a)과 수납 영역(221b)을 관통시킨다. 한편, 격벽(225b)은, 담힘 상태를 유지하고, 수납 영역(221b)과 수납 영역(221c)을 격리하여, 수납 영역(221c) 내의 제1 액체(7)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형태라면, 피검체는 음용구(223)를 직접 입에 물어서 액체를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피검체(2)의 체위에 관계없이 액체를 섭취하기 쉽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검체(2)가 좌측 와위나 우측 와위나 위를 향한 체위를 취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액체를 섭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피검체(2)가 패키지(220)를 역방향의 수납 영역(222)측으로 하여 음용구(224)의 일부를 절취하고, 미리 규정된 필요 섭취량의 수납 영역[수납 영역(222a, 222b) 중의 어느 하나]에 압력을 가한다. 예를 들면 200ml의 제2 액체(8)를 섭취할 경우에는, 수납 영역(222a)의 외주의 패키지(220)[예를 들면 삼키 기 순서 「2-1」이 표기되어 있는 패키지(220)의 부분 영역]에 압력을 가하면, 수납 영역(222a) 내의 제2 액체(8)(200ml)가 피검체(2)의 입 안으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피검체(2)는, 필요 섭취량의 제2 액체(8)를 체내에 삼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격벽(226)은 담힘 상태를 유지하고, 수납 영역(222a)과 수납 영역(222b)을 격리하여, 수납 영역(222b) 내의 제2 액체(8)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3 변형예에서도, 캡슐형 내시경(4) 및 제1 액체(7)와, 제2 액체(8)를, 피검체(2)의 섭취물로서 패키지(220)의 복수의 수납 영역(221, 222)에 각각 수납하고, 이 패키지(220)에 표기된 번호에 기초한 특정한 순서로 섭취물을 피검체(2)에 공급 가능하게 하므로,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액체(7, 8)를 분할하여 각 수납 영역(221a 내지 221c), (222a, 222b)에 수납하고, 필요 섭취량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정한 섭취량의 섭취물을 피검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총섭취량으로서는, 평균적인 체형의 피검체의 경우, 합계 500ml(예를 들면, 100ml, 200ml, 200m1의 3개의 수납 영역에 나누어서 공급) 정도이면 된다. 또한 큰 몸집의 피검체(2)의 경우에는, 1000ml 정도까지 수납 가능한 섭취물의 수납 영역을 갖도록 캡슐 수납 장치(206)를 구성하고,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06)를 이용하여 1000ml 정도까지의 액체 등의 섭취물을 피검체(2)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제9 실시 형태)
도52는, 피검체가 섭취하는 섭취물을 수납하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3은 도5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52, 도53에 있어서, 캡슐 수납 장치(230)는, 액체와 캡슐형 내시경(4)과 발포제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 영역(231a 내지 231c)을 갖는 수납부로서의 블리스터 팩(231)과, 블리스터 팩(231)의 개구 상면에 설치된 멸균 시일(235)를 구비한다. 블리스터 팩(231)은, 단면이 오목한 3개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 영역(231a 내지 231c)을 갖고, 이들 상자 형상을 1열로 하여, 개구 상면에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상면에는, 멸균 시일(235)이 열 밀봉하여 개구를 폐색 하기 위한 밀봉면(231d)을 구비한다. 이 밀봉면(231d)은, 1열로 배치된 수납 영역(231a 내지 231c)의 개구 상면의 외주를 무단(無端) 형상으로 감아 형성되어 있다.
수납 영역(231a) 내에는, 액체가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 영역(231a)이 형성된 블리스터 팩(231)의 측면에는, 피검체(2)에 삼키는 순서를 알리기 위한 「1」이 부기되어 있다. 또한, 이 액체는, 비중 1의 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상부에 빨대(236)가 삽입되고, 또한 액체의 총 용량과 피검체(2)의 섭취량이 한눈에 인식가능한 눈금(232a)을 부여한 원통형의 병(23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 영역(231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31b) 내에는, 비중 1보다 약간 작은 비중으로 설정된 제8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캡슐형 내시경(4)이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 영역(231b)이 형성된 블리스터 팩(231)의 측면에는, 동일하게 순서를 알리는 「2」가 부기되어 있다. 수납 영역(231c) 내에는, 피검체(2)의 위를 확산시키기 위한 발포제가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 영역(231c)이 형성된 블리스터 팩(231)의 측면에는, 동일하게 순서를 알리는 「3」이 부기되어 있다. 또한, 이 발포제는, 예를 들면 수용 케이스(233)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 영역(231c) 내에 수납되어 있다.
멸균 시일(235)은, 예를 들면 수납 영역(231a)의 단부측에서 밀봉면(231d)보다 약간 길게 시일되어, 이 1매의 멸균 시일(235)에 의해 블리스터 팩(231)의 개구 상면을 폐색하고 있다. 이러한 멸균 시트(235)의 혀 모양으로 튀어 나온 부분을 잡고 블리스터 팩(231)로부터 멸균 시트(235)을 박리함으로써, 수납 영역(231a)측으로부터의 멸균 시일(235)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멸균 시트(235)는, 3개의 수납 영역(231a, 231b, 231c)에 대응하여 3매의 멸균 시일(235a, 235b, 235c)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예를 들면 도53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수납 영역의 멸균 시일(235a, 235b)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각각의 개구 상면을 폐색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검체(2)가 삼키는 순서가 느린 수납 영역(231c)의 멸균 시일(235c)로부터 개구 상면을 폐색하고, 마지막으로 순서가 가장 빠른 수납 영역(231a)의 멸균 시일(235a)에 의해 개구 상면을 폐색한다. 또한, 후의 순서의 멸균 시일의 단부는, 하나 전의 순서의 수납 영역을 약간 덮도록 시일된다. 이 경우에는, 각 멸균 시일이 겹쳐져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각 멸균 시일과 밀봉면(231d)과의 점착 정밀도를 시일 간의 점착 정밀도보다 강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호 「1」이 부기되어 있는 수납 영역(231a)의 멸균 시일(235a)을 블리스터 팩(231)로부터 떼어내면, 물이 수납된 병(232)과 (2)번째의 수납 영역(231b)의 멸균 시일(235b)의 단부가 나타나서, 다음 수납 영역(231b)의 멸균 시일(235b)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피검체(2)는, 이 병(232)을 취출하고, 체내에 필요량의 액체(예를 들면 물)를 삼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병(232)에는, 물의 용량을 알 수 있는 눈금(232a)가 매겨져 있으므로, 피검체(2)는, 이 눈금(232a)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는 양의 물을, 빨대(236)를 통하여 마신다. 피검체(2)가 섭취하는 물의 섭취량은, 예를 들면 미리 측정된 피검체(2)의 체중, 신장, 흉위 등의 정보로부터 결정되어도 좋고, 혹은 사전에 X선이나 복부 에코로 얻어진 위의 크기의 정보 등으로부터 결정되어도 된다.
다음에, 피검체(2)가, 「2」가 부기되어 있는 수납 영역(231b)의 멸균 시일(235b)을 블리스터 팩(231)으로부터 떼어내면, 캡슐형 내시경(4)과 3번째의 수납 영역(231c)의 멸균 시일(235c)의 단부가 나타나, 다음 수납 영역(231c)의 멸균 시일(235c)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피검체(2)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을 손에 들어서 삼킨다. 이에 의해, 피검체(2)는, 물과 캡슐형 내시경(4)을 체내에 삼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삼켜진 물 및 캡슐형 내시경(4)은, 위(3) 내부에 도입된다. 또한, 이 캡슐형 내시경(4)의 기동은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번호 「3」이 부기되어 있는 수납 영역(231c)의 멸균 시일(235c)을 블리스터 팩(231)로부터 떼어내면, 발포제가 수납된 수용 케이스(233)가 나타난다. 피검체(2)는, 이 수용 케이스(233)를 손에 들고 발포제를 삼킨다. 또한, 이 때에 발포제와 함께, 발포제를 반응(발포)시키기 위한 물을 섭취해도 된 다. 또한, 발포제를 섭취하면, 위 내부의 압력이 올라 트림이 하고 싶어져, 검사에서는, 그것을 참아야 하므로, 발포제를 섭취한 후에, 액체 혹은 캡슐형 내시경을 섭취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이 관점에서 발포제를 마지막으로 섭취하는 것이 피검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제 혹은 액체에 의해 확장된 위 내부에 캡슐형 내시경을 낙하시켜서 관찰을 행하고 싶을 경우 등은, 필요에 따라 발포제 섭취 후에 캡슐형 내시경(혹은 다른 액체)을 마시기로 해도 물론 좋다.
이들 캡슐형 내시경(4), 액체, 발포제가 위(3) 내부에 도입되면, 위(3)가 발포제에 의해 확산하는 동시에, 그 비중의 차이에 의해, 도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7)와 공기층에 의해 경계면 F가 형성되고, 액체(7)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의 캡슐형 내시경(4)이 이 경계면 F에 위치하여 부양한다. 캡슐형 내시경(4)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밸런스를 바꾸고 있으므로, 경계면 F에 있어서 촬상 방향이 되는 전단부측이 중력 방향 위를 향하는 기립 상태(연직 상태)로 안정되게 부양하게 된다. 캡슐형 내시경(4)은, 이러한 안정된 기립 상태에서 위(3)의 상방측을 촬영함으로써 측벽(3a)의 화상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화상을 수신 장치(6)측에 송신하고, 이 결과, 위(3)의 관찰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7)의 위(3) 내부에의 섭취량을 가변시켜서 경계면 F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3) 내부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의 부양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하여서, 위(3) 내부를 관찰시킬 수 있다. 즉, 캡슐형 내시경(4)과 함께 소정량의 액체(7)를 삼켜서 관찰을 개시한 후, 적당히 액체(7)를 추가하여 삼켜서 위(3) 내부의 액체(7)의 섭취량을 순차 증 가시킴으로써, 경계면 F의 위치가 예를 들면 실선 위치로부터 점선 위치까지 순서대로 높아지고, 위(3)의 하부(유문부)(3b)측으로부터 상부(분문부)(3c)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측벽(3a)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액체(7)의 추가 시마다, 피검체(2) 자신의 체위 변환과 조합하여,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 F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림없는 상태로 구석구석까지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의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도록, 전후 방향의 밸런스를 바꾸어서 중력 방향 아래를 촬상 광학계로 촬영할 수 있게 했을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위(3)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 F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위(3) 내부를 빠뜨림없는 상태로 구석구석까지 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사 후에, 랜덤하게 촬상한 복수의 화상을, 각 화상의 상관으로부터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져, 위(3) 내부의 전체의 화상을 작성하여, 의사 등에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등의 복수의 섭취물을, 블리스터 팩(231)의 각각 구획된 수납 영역(231a 내지 231c)에 수납하고, 블리스터 팩(231)에 표기된 번호에 기초한 특정한 순서로 멸균 시일(235)을 떼어내고, 섭취물마다 상기 특정의 순서로 피검체(2)에 공급 가능하게 하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2)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캡슐 형상의 캡슐형 의료 장치에는, 액체에 녹는 타입의 것도 있으므로, 본 제9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섭취물 을 하나하나 따로따로 수납 영역에 수납함으로써, 개개의 섭취물의 변형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에 의한 체강 내의 검사에서는, 액체 또는 발포제를 섭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블리스터 팩(231)의 수납 영역에는, 캡슐형 내시경(4)과 발포제, 또는 액체와 캡슐형 내시경(4)을 별개의 수납 영역에 수납하고, 블리스터 팩(231)에 표기된 번호에 기초한 특정한 순서로 멸균 시일(235)을 떼어내고,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의 순서로, 또는 액체, 캡슐형 내시경(4)의 순서로 피검체(2)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포제를 섭취하기 위한 물이 필요할 경우도 있어서, 이 물을 블리스터 팩(231)의 수납 영역에 수납하고, 상기의 경우를 고려하여,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물의 순서로 피검체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관이나 수송시의 특성에 의해 액체와 발포제만, 또는 액체와 발포제의 일부만을 블리스터 팩(231)의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4)이 피검체(2) 외부로부터 유도가능한 제(1)의 자성체(영구 자석)를 내장하고, 피검체 외부로부터 자성체(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로 캡슐형 내시경(4)에 자장을 가하여,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자리에서 요동시키는 등의 유도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유도에 사용하는 피검체(2) 외부의 자성체가 영구 자석의 경우에는, 이 영구 자석의 사용 순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팩(231)의 최 후미에 새로운 수납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섭취물과 마찬가지로, 이 수납 영역에 영구 자석을 수납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액체, 캡슐형 내시경(4), 영구 자석의 순서로,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영구 자석의 순서로, 액체,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자석의 순서로, 또는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물, 영구 자석의 순서로, 피검체가 섭취 또는 취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블리스터 팩(231)은, 수납된 자석의 자계를 차단하는 자기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외부에서의 자석의 위치를 지시할 경우에는, 이 템플릿을 수납하는 새로운 수납 영역을 블리스터 팩(231)의 1번째에 형성하고, 다른 섭취물과 마찬가지로, 이 수납 영역에 템플릿을 수납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템플릿, 액체, 캡슐형 내시경(4), 영구 자석의 순서로, 템플릿,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영구 자석의 순서로, 템플릿, 액체,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자석의 순서로, 또는 템플릿,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물, 영구 자석의 순서로, 피검체가 섭취 또는 취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검체(2)는, 액체를 섭취하기 전에, 위 내부의 점액이나 발포제에 의한 거품 혹은 점액 그것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가스 콘돌로프, 디메틸실록산, 프로나제, 프로크타제, 탄산수소나트륨 등)를 섭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거제를 수납하는 새로운 수납 영역을 블리스터 팩(231)의 첫 번째로 형성해도 좋고, 혹은 수납 영역에 수납되어 있는 액체에 이 제거제를 혼합시켜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거제, 액체, 캡슐형 내시경(4)의 순서로, 제거제,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의 순서로, 제거제, 액체,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의 순서로, 또는 상기 제거제,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 액체의 순서로, 피검체(2)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밖에도 진경제(페퍼민트 용액, 옥세사제인, 로트엑기스, 브롬화티메피디움 등)을 특정한 순서로 공급하고, 피검체(2)가 섭취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제14 변형예)
도55는, 도52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30)의 제14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5에 있어서, 제14 변형예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30)는, 캡슐형 내시경(4)과 액체(7)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 영역(241, 242)을 갖는 수납부로서의 패키지(240)와, 수납 영역(241, 242) 사이에 설치되고, 각 수납 영역(241, 242)을 관통 가능하게 격리하는 격벽(243)을 구비한다. 패키지(240)는, 예를 들면 수지 소재이고 대략 원통형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2개로 분할된 수납 영역(241, 2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4 변형예는, 섭취물의 하나하나를 따로따로 수납 영역에 수납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9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 하였다.
수납 영역(241, 24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슐형 내시경(4)과 액체(7)를 따로따로 수납한다. 예를 들어, 수납 영역(241) 내에는 캡슐형 내시경(4)이 수납되고, 수납 영역(242) 내에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을 피검체(2)가 삼키기 위한 액체(7)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영역(241, 242) 사이에는, 양 수납 영역(241, 242)을 격리하는 격벽(24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격벽(243)은, 수납 영역(241)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수납 영역(241)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양 수납 영역(241, 242)을 격리하도록 동작하고, 수납 영역(242) 방향으로부터 의 압력[수납 영역(242)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양 수납 영역(241, 242)을 관통시키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역지 밸브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또한, 수납 영역(241)의 일단부에는, 수납 영역(241, 242) 내의 섭취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음용구(244)가 설치된다. 이 음용구(244)는, 통상은 수납 영역(241)과 외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슐형 내시경(4)을 삼킬 때에 피검체(2)가 이 음용구(244)의 일부를 절취하여, 수납 영역(241)과 외부를 연통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음용구(244) 근방의 패키지(240)에는, 음용구(244)의 일부의 절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절단면(245)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4 변형예에서는, 우선 피검체가 음용구(244)의 일부를 절취하고, 수납 영역(241)으로부터 캡슐형 내시경(4)을 취출하고, 다음에 수납 영역(242)의 외주의 패키지(24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납 영역(242) 내의 액체가 피검체의 입 안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14 변형예에서는, 액체, 캡슐형 내시경(4)을 별개의 수납 영역에 수납하고, 음용구(244)의 일부를 절취하여 섭취물마다 특정한 순서로 피검체(2)에 공급 가능하게 하므로,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2)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개개의 섭취물의 변형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4 변형예에서는, 캡슐형 내시경(4)의 수납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캡슐형 내시경(4) 대신에, 예를 들면 고형 혹은 분말의 발포제를 수납 영 역(241)에 수납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발포제는 수분에 의해 변형 또는 변질되므로, 액체와 따로따로 수납 영역 내에 수납함으로써, 피검체(2)가 삼키기 전에 발포제가 변형이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슐형 내시경(4)을 섭취 한 후에, 발포제, 물의 순서로 피검체(2)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0 실시 형태)
도56은, 피검체가 섭취하는 섭취물을 수납하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7은, 도56에 도시한 캡슐 수납 장치(250)의 구동 제어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패키지나 블리스터 팩과는 달리, 기계적으로 액티브하게, 피검체가 섭취하는 복수의 섭취물을 순서대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56, 도57에 있어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측면이 역ㄷ자 형상의 수납부로서의 외부 프레임 본체(251)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개구 상면을 덮는 덮개부(252)와, 섭취물의 공급을 지시하는 공급 버튼(253)과,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 및 제2 액체의 수납 및 토출을 행하는 수납 영역으로서의 액체 토출부(254)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캡슐형 내시경(4), 섭취물 중의 캡슐형 내시경(4)이나 발포제 등의 고형물의 수납 및 취출을 행하는 수납 영역으로서의 고형물 취출부(255)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검사의 순서나 복수의 섭취물의 특정한 취득 순서 등을 알리는 표시부(256)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재치된 용기, 예를 들면 컵(261) 등을 검출하는 가중 센서(257)를 구비한다.
액체 토출부(254)는, 외부 프레임 본체(251) 상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체 토출 구동부(259)의 구동 제어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제1 및 제2 액체를, 하방의 가중 센서(257) 방향으로 토출한다. 또한, 액체 토출부(254)에서는, 제1 및 제2 액체가 별개의 수납 영역에 수납되는 동시에, 특정한 순서에 기초하여 따로따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형물 취출부(255)는,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상부 측면에 배치되고 있어, 고형물 취출 구동부(260)의 구동 제어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캡슐형 내시경(4) 및 발포제를, 피검체(2)가 취출 가능하도록,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횡방향에 반출시킨다. 또한, 고형물 취출부(255)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4) 및 발포제의 반출은, 양 섭취물을 동시에 반출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따로따로 반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들 섭취물의 보충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개구 상면을 덮는 덮개부(252)를 열고, 상방으로부터 액체 토출부(254) 및 고형물 취출부(255)에 보충할 수 있다.
표시부(256)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공급 버튼(253)이 눌러지면, 다음에 피검체(2)가 행해야 할 수순을 순서대로 표시한다.가중 센서(257)는, 재치된 컵(261)의 무게를 검출하고 있어, 액체의 유입에 의해 컵(261)이 일정한 중량이 되면, 제어부(258)에 일정 중량이 되었다는 취지의 검출 정보를 알린다. 제어부(258)는, 공급 버튼(253)로부터의 지시 정보 및 가중 센서(257)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따라서, 표시부(256), 액체 토출 구동부(259), 고형물 취출 구동부(260)의 표시 및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하에, 제어부(258)에 의한 표시 및 구동 제어의 동작에 대하여, 도58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검사를 행하는 피검체(2)가, 최초로 공급 버튼(253)을 누르면(스텝 S301,S302), 제어부(258)는 표시부(256)를 표시 제어하여 표시부(256)의 화면에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1」과 「액체가 나옵니다. 컵를 놔주세요.」 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게 한다(스텝 S303). 그리고, 컵(261)이 가중 센서(257) 상에 놓이면, 가중 센서(257)가 그것을 검출하고(스텝S304), 제어부(258)는 가중 센서(25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액체 토출 구동부(259)를 구동 제어하여 액체 토출부(254)로부터 제1 액체(7)의 토출을 행하게 한다(스텝 S305). 캡슐 수납 장치(250)는, 정보의 입력부를 갖고, 이 제어부(258)는, 사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부에 입력된 또는 원내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전송된 피검체 정보(피검체의 체격이나 위의 사이즈, 그 날의 검사 상황 등)에 기초하여, 검사에 필요한 액체의 종류와 섭취량을 결정하고, 이 결정한 종류 및 섭취량의 액체를 공급시킨다.
이 토출된 제1 액체(7)가 컵(261) 내에 고여, 가중 센서(257)가 일정 중량을 검출하면, 제어부(258)는 액체 토출부(254)로부터의 제1 액체(7)의 토출을 정지시키고, 표시부(256)의 화면에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2」와 「액체를 마셔주세요. 다 마시면 공급 버튼을 눌러주세요.」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게 한다(스텝 S306). 피검체(2)는, 이 표시에 따라서 제1 액체(7)를 마시고, 공급 버튼(253)을 누른다(스텝 S301,S307).
다시 공급 버튼(253)이 눌러지면, 제어부(258)는, 고형물 취출 구동부(260)를 구동 제어하여, 고형물 취출부(255)로부터 캡슐형 내시경(4)을 캡슐 수납 장 치(250)의 외부로 반출시킨다(스텝 S308). 그리고, 표시부(256)의 화면에,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3」과 「캡슐을 삼켜주세요. 다 삼키면 공급 버튼을 눌러주세요.」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게 한다(스텝 S309). 이 캡슐형 내시경(4)은, 고형물 취출부(255)로부터 반출될 때에 이미 기동하고 있다. 이 캡슐 수납 장치(250)는, 고형물 취출부(255)에 캡슐 기동용의 전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이 전자석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 내의 자기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기동시키고 있다.
다음에, 공급 버튼(253)이 눌러지면(스텝 S301,S310), 제어부(258)는, 표시부(256)의 화면에,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4」와 「액체가 나옵니다. 컵을 놔주세요.」 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게 한다(스텝 S311). 그리고, 컵(261)이 가중 센서(257) 상에 놓이면(스텝 S312), 제어부(258)는 가중 센서(25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액체 토출부(254)로부터 제2 액체(8)를 토출시킨다(스텝 S313).컵(261)에 제2 액체(8)가 일정량 고이면, 제어부(258)는 액체 토출부(254)로부터의 제2 액체(8)의 토출을 정지시키고, 표시부(256)의 화면에,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5」와 「액체를 마셔주세요.」 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게 한다(스텝 S314). 피검체는, 이 표시에 따라 제2 액체(8)를 마시고, 공급 버튼(253)을 누른다(스텝 S301).
그 후에 캡슐 수납 장치(250)는, 위 내에서의 캡슐형 내시경(4)의 부양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1 액체(7)를 추가로 마시게 하는 등의 검사 지시를 계속한다. 이 경우, 제어부(258)는 이 검사 지시의 정보를 표시부(256)에 표시시킨다. 즉, 이 검사 지시는, 공급 버튼(253)을 누름으로써, 표시부(256)의 화면에, 「제1 액체를 추가로 마셔주세요」등과 같은 표시에 의해 행해져(스텝 S315), 제어부(258)는, 추가의 제어동작을 행한다(스텝 S316).
본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체를 마심으로써, 위를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캡슐형 내시경(4)의 관찰에 필요한 장기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장기 내벽을 더 상세하게 촬영할 수가 있고, 위 내부를 빠뜨림 없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 자신의 체위 변환과 조합함으로써, 위 내부에 있어서의 경계면(제1 및 제2 액체에 의한 액-액 경계면, 제1 액체와 기체와의 기-액 경계면)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캡슐형 내시경(4)이 랜덤하게 흔들려서 경계면 상을 부양한다. 이 캡슐형 내시경(4)이 랜덤하게 흔들리는 것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이 촬영하는 위 내부의 촬상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위 내부를 빠뜨림 없이, 구석구석까지 관찰할 수 있다. 이 결과, 검사 후에, 랜덤하게 촬상한 복수의 화상을, 각 화상의 상관으로부터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져, 위 내부의 전체의 화상을 작성하여, 의사 등에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섭취물의 공급을 특정한 순서를 기초로 하여, 기계적으로 액티브하게 행하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섭취하는 순서가 정확하게 되기 때문에, 누구나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어, 검사가 간편해진다. 이에 의해, 피검체가 잘못된 순서로 섭취물을 섭취해버릴 확 률이 낮아져,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오 검사의 방지 및 검사 시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의 체형이나 검사 목적 등에 맞추어 섭취물의 공급 순서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섭취물의 공급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되고, 보다 고정밀도한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1개의 캡슐 수납 장치로 복수의 피검체의 검사에 대응할 수가 있어, 검사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서는, 예를 들면 캡슐 수납 장치(250) 내부에서 복수의 액체 혹은 액체와 분말 등의 고체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혼합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장치 내부에서 액체의 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어, 개개의 피검체에 맞춰서 최적인 액체를 공급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급하는 액체의 온도의 조정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농도나 온도에 의해 액체의 비중을 조정하여, 캡슐형 내시경의 액체 중에서의 부유 상태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액체가 물의 경우, 온도가 낮을수록 비중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캡슐형 내시경이 액체에 부유하기 쉬워지고 또한, 최초로 차가운(예를 들면 10℃ 정도의 온도의) 물을 마시고, 체온에 의해 서서히 온도가 오르게 함으로써, 섭취한 액체의 비중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 액체 등을 보충할 경우, 피검체의 섭취에 필요한 섭취물을 일괄하여 보충할 수 있도록 섭취물의 보충을 제8 실시 형태 혹은 제9 실시 형태에 있는 바와 같은 패키지에 수납한 상태로 캡슐 수납 장치(250)에 세트 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서는, 피검체(2)가 섭취한 캡슐형 내시경(4)(캡슐형 의료 장치의 일례)의 생체 내에서의 통과 시간 혹은 캡슐형 내시경(4)에 관한 그 밖의 상태[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자세, 이동 속도, 관찰 화상이나 조명 발광의 상태 등]에 따라 필요한 섭취물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러한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생체 내에서의 통과 시간 혹은 캡슐형 의료 장치에 관한 그 밖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구비하고, 이 상태 검출부에 의해 캡슐형 의료 장치에 관한 상태(상술한 생체 내에서의 통과 시간, 위치 등)를 판단한다.
도5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를 이용한 섭취물의 공급 방법의 다른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피검체(2)에 대하여 섭취시키는 섭취물의 공급에 앞서, 캡슐형 내시경(4)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갖는 안테나 유닛(6c)을 피검체(2)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이 피검체(2)의 근방에 수신 본체 유닛(6d)을 배치한다(스텝 S401).
다음으로, 캡슐 수납 장치(250)의 공급 버튼(253)을 조작하여, 현 시점에 있어서 피검체(2)에 필요한 섭취물을 공급한다(스텝 S402).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공급 버튼(253)의 조작에 대응하여, 피검체(2)의 소화관을 세정하기 위한 세제(제거제) 등의 섭취물을 피검체(2)에 대하여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섭취물은, 액체 토출부(254)로부터 컵(261) 등에 토출되어서, 피검체(2)에 공급된다.
계속하여,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러한 섭취물을 공급한 시점에 있어서 피검체(2)에 필요한 액션을 지시한다(스텝 S403). 이 스텝(S403)에 있어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예를 들어,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이 스텝(S402)에 있어서 공급한 제거제 등의 섭취물을 캡슐형 내시경(4) 등의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전에 섭취하도록 피검체(2)에 대하여 지시한다.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필요에 따라, 이러한 섭취물을 섭취하는 피검체(2)에 대하여 체위를 이 섭취물의 섭취에 알맞은 체위로 변환하도록 지시하여도 된다.
그 후에 캡슐 수납 장치(250)의 공급 버튼(253)을 다시 조작하여, 피검체(2)에 섭취시키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공급한다(스텝 S404).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공급 버튼(253)의 조작에 대응하여, 피검체(2)에 섭취시키는 캡슐형 내시경(4) 등의 캡슐형 의료 장치(섭취물의 일례)를 고형물 취출부(255)로부터 피검체(2)에 대하여 공급한다. 이 캡슐 수납 장치(250)에 의해 공급된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2)에 의해 섭취된다.
다음으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상태 검출부(미도시) 등에 의해, 캡슐형 의료 장치를 공급하고 나서[혹은 피검체(2)가 캡슐형 의료 장치를 섭취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 혹은 피검체(2) 내부의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태를 검출한다(스텝(S405)).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구체적으로는 상태 검출부)는, 이러한 경과 시간을 검출하고, 혹은, 이 피검체(2)에 섭취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관한 상태(예를 들면 생체 내에 있어서의 캡슐형 의료 장치의 위치, 자세, 이동 속도, 관 찰 화상이나 조명 발광의 상태 등)을 검출한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 의해 검출된 경과 시간 또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태가 소정의 경과 시간 또는 상태인 경우(스텝 S406,Yes), 캡슐 수납 장치(250)는, 다음에 피검체(2)에 필요한 다음 섭취물의 공급 및/또는 피검체(2)에 필요한 액션의 지시를 행한다(스텝S407).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스텝(S405)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또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태의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다음에 피검체(2)에 섭취시켜야 할 다음 섭취물(예를 들면 물 등의 액체)을 공급한다. 또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필요에 따라 표시부(256)에 지시 정보를 표시하고, 이 피검체(2)에 대하여 필요한 액션(이 공급된 섭취물의 섭취 또는 섭취물의 섭취에 알맞은 체위 변환 등)을 지시한다.
또,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 의해 검출된 경과 시간 또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태가 소정의 경과 시간 또는 상태가 아닐 경우(스텝 S406,No), 캡슐 수납 장치(250)는, 상술한 스텝(S405)으로 복귀되어, 이 스텝(S405) 이후의 처리 수순을 반복한다.
그 후에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피검체(2)에 대한 검사[즉 피검체(2) 내의 검사 대상 부위의 화상 촬영 또는 관찰]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408,No), 상술한 스텝(S405)으로 복귀되어, 이 스텝(S405)이후의 처리 수순을 반복한다. 한편,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피검체(2)에 대한 검사가 종료되어 있으면(스텝 S408,Yes), 피검체(2)의 섭취물을 공급하기 위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에, 캡슐형 내시경(4)의 생체 내에서의 통과 시간에 의한 섭취물의 공급 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캡슐 수납 장치(250)는, 캡슐형 내시경(4) 전에, 소화관을 세정하기 위한 세제(제거제)를 공급하고, 이 공급한 세제를 피검체(2)에게 섭취하게 한다. 이 소화관의 세정을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필요하면,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피검체(2)에 체위 변환을 하도록 지시하여도 된다.
또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세제의 공급 혹은 체위 변환의 지시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캡슐형 내시경(4)을 공급한다. 이 공급된 캡슐형 내시경(4)은, 피검체(2)에 섭취된다.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의 섭취 시각[혹은 캡슐형 내시경(4)의 공급 시각]을 기억한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그 시각(섭취 시각 또는 공급 시각)으로부터 예를 들면 5분 후에 액체를 공급하고,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이 공급한 액체의 섭취를 피검체 등에 재촉한다.
또한,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경과 시간마다, 다른 액체나 발포제, 제거제 혹은 진경제 등의 섭취물을 공급하고,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이 공급한 섭취물의 섭취 지시를 행한다. 또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각 섭취물의 섭취 후(혹은 공급 후)에 체위를 바꾸는 등의 지시를 실시해도 좋다.
다음으로, 캡슐형 내시경(4)의 생체 내에서의 도달 부위[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 및 캡슐형 내시경(4)의 상태에 의한 섭취물의 공급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우선, 캡슐 수납 장치(250)는, 액체에 뜨는 비중의 캡슐형 내시경(4)을 공급한다. 이 공급된 캡슐형 내시경(4)은, 피검체(2)에 섭취되고, 그 후에 이 피검체(2)의 소화관 내를 이동한다.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의 섭취 후, 위치 검출부(상술한 상태 검출부의 일례)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4)이 이 피검체(2)의 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고, 그 후에 피검체(2)에 섭취시키는 다음 섭취물인 액체(예를 들면 물 200ml)을 공급한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의 위치 검출부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이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이 캡슐형 내시경(4)과 위벽과의 거리를 화상의 밝기 등으로 판단한다. 이 위치 검출부에 의한 상태 판단 처리의 결과, 이 거리가 불충분(먼)할 경우에는, 위 내부의 적절한 관찰을 할 수 없으므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상태 판단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시 물을 100m1 공급한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에 의한 물의 추가 공급 처리는, 이 캡슐형 내시경(4)과 위벽과의 거리가 적절한 것으로 되었다고 위치 검출부에 의해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결과,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피검체(2)에 있어서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필요에 따라 발포제를 공급하여 위의 확장을 촉진시켜도 된다. 또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위의 관찰에 필요한 체위 변환 등의 지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이 피검체(2)의 상세한 관찰을 행하고 싶을 경우에는,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피검체의 체내에 도입한 캡슐형 내시경(4)을 체외로부터 유도하기 위한 자석(영구 자석 혹은 전자석)을 공급한다. 이 체내의 캡슐형 내시경(4)은, 이 공급된 자석에 의해 유도되는 동시에 장기 내부의 화상을 순차 촬상하고, 이 결과, 이 피검체(2)의 체내를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위의 관찰후,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이 십이지장에 도달한 것을 위치 검출부에 의해 확인했을 경우, 이 캡슐형 내시경(4)의 추진을 재촉하기 위하여 액체(비 흡수성의 장 세척용의 장 세척액 등)를 10OOml 공급한다.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하제 등의 약제를 공급해도 좋다. 그리고,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러한 액체 또는 하제의 섭취에 의해 체내의 캡슐형 내시경(4)이 공장과 회장과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 더욱 추진 촉진용의 액체 또는 약제를 공급한다. 이러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체내의 캡슐형 내시경(4)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상태 검출부의 일례)를 구비하고, 이 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캡슐형 내시경(4)의 이동 속도에 따라, 즉 이 이동 속도가 저하되었을 경우에, 추진 촉진용의 액체 또는 하제를 더욱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후에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체내의 캡슐형 내시경(4)이 대장에 도달한 것을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했을 경우, 추진 촉진용의 섭취물(액체 또는 하제 등)을 공급하는 동시에, 표시부(256)에 의한 지시 표시 등에 의해, 이 피검체(2)에 대하여 와위가 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캡슐형 내시경(4)이 위치하는 대장의 부위(상행 결장, 횡행 결장, 하행 결장, S자 결장 등)에 따라서, 피검체(2)의 체위를 바꾸도록 지시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캡슐 수납 장치(250)는, 이 대장 내의 캡슐형 내시경(4)의 배설을 촉진하기 위하여 하제(좌 약)를 공급한다.
또한,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로서는, 캡슐형 내시경(4)이 촬상한 화상의 특징이나 변화량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어도 좋고, 캡슐형 내시경(4)에 탑재한 자계 발생 장치(영구 자석, 코일, 전자석 등)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체외로부터 검출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좋으며, 캡슐형 내시경(4)이 발신하는 전파를 체외에서 수신할 때의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4)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위치 검출부는, 캡슐 수납 장치에 내장하지 않고 피검체(2)의 체외에 배치되어도 좋고, 이 위치 검출부와 캡슐 수납 장치 사이의 정보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행해도 된다. 상기에 의해, 필요한 타이밍에서 필요한 섭취물의 공급 또는 체위 변환 지시 등의 액션이 실시되어, 이 결과, 더 확실하게 피검체(2)의 체내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5 변형예)
도60은, 도56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250)의 제15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5 변형예에서는, 광학적으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ID 판독 장치(262)가 외부 프레임 본체(25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컵(261)이나 피검체(2)의 팔(264)에 부착된 리스트 밴드에 부착된 ID 정보(예를 들면 흑백의 패턴 정보나 문자 정보 등의 ID 정보)(263, 265)를 상기 ID 판독 장치(262)로 판독하여, 피검체(2)가 어떤 검사를 받고, 어떤 순서로 피검체(2)에 액체나 캡슐형 내시경(4), 발포제를 공급하면 되는지를 캡슐 수납 장치(250)[제어 부(258)]가 판단하는 것이다. 즉, 피검체(2)나 검사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ID 정보로서 제어부(258)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ID 정보에 기초한 검사의 순서도 기억시켜 두어, ID 판독 장치(262)에서 해당하는 ID 정보가 판독되었을 때에, 제어부(258)는, 기억 내용에 기초하여 액체 토출부(254), 고형물 취출부(255) 및 표시부(256)를 제어하여, 특정한 순서로의 복수의 섭취물의 공급을 행한다. 또한, 섭취물의 양도 피검체나 검사에 맞추어 조정한 뒤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5 변형예에서는, 기타의 구성 부분은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공급 버튼(253)을 이용하지 않아도, 또는 ID 판독과 병용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제15 변형예에서는, ID 판독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lD 정보를 검출하고, 이 ID 정보에 따라서, 섭취물의 공급을 특정한 순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섭취물이 공급되는 순서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검사 내용에 의해 액체나 캡슐형 내시경을 공급하는 순서를 변경할 수가 있어, 섭취물의 공급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된다.
(제16 변형예)
도61은, 도56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 수납 장치의 제16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6 변형예에서는, 광학적인 ID 판독 장치 대신에, 무선 ID 태그로부터 전파나 전자파로 ID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적인 ID 판독 장치(270)를 캡슐 수납 장치(250)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예를 들면 컵(261)이나 피검체(2)의 팔(264)에 부착된 리스트 밴드에 부착된 무선ID 태그(271, 272)로부터 ID 정보를 상기 ID 판독 장치(270)에서 판독하여, 피검체(2)가 어떤 검사를 받고, 어떤 순서로 피검체(2)에 액체나 캡슐형 내시경(4)이나 발포제를 공급하면 되는지를 캡슐 수납 장치(250)[제어부(258)]가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6 변형예에서도, 상술한 제15 변형예와 마찬가지로,ID 판독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ID 정보를 검출하고, 이 ID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섭취물의 공급을 특정한 순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검사에 필요한 복수의 섭취물을 특정한 순서로 정확, 또한 용이하게 피검체가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섭취물이 공급되는 순서나 양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검사 내용에 따라 액체나 캡슐형 내시경을 공급하는 순서를 변경할 수가 있어, 섭취물의 공급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및 피검체 관찰 방법은, 피검체 내 화상을 촬상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할 경우에 유용하여, 특히, 위 등의 비교적 넓은 장기를 충분히 확산·확장시켜서 관찰할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56)

  1.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1 액체와,
    상기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2 액체와,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중간의 비중을 갖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고,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 외부로 무선 출력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 화상을 촬상하는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 방향, 전단부측 사시 방향 또는 전단부측 둘레 방향만 촬상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 방향 및 후단부측 방향이 촬상 가능한 복안형의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광각화된 촬상 광학계를 갖는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바꾸어서 무게 중심 위치를 편심시킨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전단부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캡슐형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 상기 제2 액체는,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촬상 광학계의 파장 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는, 음료수이며, 상기 제2 액체는,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제2 액체 또는 제1 액체 및 제2 액체는, 장기 내 도입량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 도입량의 가변은, 상기 제1 액체의 도입량이 순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는, 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기 내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피검체 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상기 제2 액체 및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된 상기 피검체의 체위를 변화시키는 체위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에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취득한 복수의 피검체 내 정보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피검체의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1 액체와,
    상기 제1 액체보다도 비중이 가벼워서 상기 제1 액체와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는 제2 액체와,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중간의 비중을 갖고 상기 장기 내에 도입되어서 상기 장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와의 경계면에 부양하고,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 외부로 무선 출력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피검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 내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캡슐 변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자성체를 내장하고,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된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상기 피검체 외부로부터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구동 변화시키는 자계 부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부여 장치는, 상기 피검체 외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가변 가능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자계를 인가하는 제1 전자석과, 상기 제1 전자석보다도 약한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1 전자석 주위로 위치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1 전자석 주위에 복수개 배치되어서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석은, 내외주에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부여 장치는, 상기 피검체 외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가변 가능한 외부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외부 영구 자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자계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는, 직경 방향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을 갖고 측시 방향 또는 사시 방향의 촬상이 가능한 일안형 캡슐형 내시경이며,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캡슐형 내시경에 내장된 상기 영구 자석에 대하여 상기 피검체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상기 캡슐형 내시경을 상기 경계면 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계 부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부가되어 요동 구동에 의해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기(自己) 요동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4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부가되어 추진 구동에 의해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기(自己) 추진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추진 기구는,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제2 액체 또는 제1 액체 및 제2 액체는, 상기 제1 액체, 제2 액체 또는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상기 피검체 내에 도입하는 액체 도입 장치에 의해 장기 내 도입량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 내 도입량의 가변은, 상기 액체 도입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액체의 도입량이 순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3. 제35항 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상기 제2 액체 및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원하는 장기 내에 도입된 상기 피검체의 체위를 변화시키는 체위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에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부양 위치, 부양 자세 또는 부양 위치 및 부양 자세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취득한 복수의 피검체 내 정보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KR1020087015701A 2005-12-28 2006-12-22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KR101001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80455 2005-12-28
JP2005380453A JP4767685B2 (ja) 2005-12-28 2005-12-28 被検体内観察システム
JPJP-P-2005-00380453 2005-12-28
JP2005380452 2005-12-28
JPJP-P-2005-00380452 2005-12-28
JP2005380455A JP4827529B2 (ja) 2005-12-28 2005-12-28 被検体内観察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950A KR20080072950A (ko) 2008-08-07
KR101001468B1 true KR101001468B1 (ko) 2010-12-14

Family

ID=3822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701A KR101001468B1 (ko) 2005-12-28 2006-12-22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2459B2 (ko)
EP (1) EP1967125B1 (ko)
KR (1) KR101001468B1 (ko)
WO (1) WO2007077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83B1 (ko) * 2012-08-17 2013-04-05 남봉길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3372B2 (en) 2005-04-18 2018-04-17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Device having a wearable interface for improving laparoscopic surgery and methods for use thereof
EP1969989B1 (en) * 2005-12-28 2016-12-14 Olympus Corporation Body-insertable device system and in-vivo observation method
EP2062522A4 (en) * 2006-09-12 2013-03-2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CAPSULE SYSTEM, IN VIVO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ENDOSCOPIC CAPSULE
TWI342199B (en) * 2007-07-06 2011-05-21 Univ Nat Taiwan Endoscope and magnetic fiel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22667A1 (ja) * 2007-08-13 2009-02-19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体内観察システムおよび体内観察方法
DE102007051861B4 (de) * 2007-10-30 2020-03-12 Olympus Corporation Verfahren zur Führung eines Kapsel-Endoskops und Endoskopsystem
JP5208495B2 (ja) * 2007-12-27 2013-06-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用システム
EP2392249B1 (en) * 2008-06-19 2013-12-0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agnetically guiding system and magnetically guiding method
US8241206B2 (en) * 2008-07-08 2012-08-1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ystem for guiding capsule medical device
US20100010306A1 (en) * 2008-07-08 2010-01-1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ystem for guiding capsule medical device
CN102176856B (zh) * 2008-10-14 2013-11-06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医疗系统
CN102176855B (zh) * 2008-10-24 2013-09-18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胶囊型内窥镜系统
JP4718646B2 (ja) * 2008-12-04 2011-07-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推進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DE102009007513B4 (de) 2009-02-05 2011-0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lösen einer Endoskopiekapsel von einer Oberfläche einer Flüssigkeit
WO2011055579A1 (ja) 2009-11-09 2011-05-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用誘導システムおよ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の誘導方法
WO2011118253A1 (ja) * 2010-03-26 2011-09-2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用誘導システムおよ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の誘導方法
DE102010028478B4 (de) * 2010-05-03 2020-03-12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berührungslosen magnetischen Navigation
DE102010020614A1 (de) * 2010-05-14 2011-11-17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Endoskopiekapsel zum Nachweis eines Stoffwechselproduktes eines in oder an der Wand eines Hohlorgans des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Gastrointestinaltraktes befindlichen Erregers
DE102010040320B3 (de) * 2010-09-07 2012-0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fassen der Lage einer magnetgeführten Endoskopiekapsel und Endoskopieein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sowie dazugehörige Endoskopiekapsel
DE102010040948A1 (de) * 2010-09-17 2012-04-26 Roke Manor Research Ltd. Endoskopieverfahren zum Erzeugen eines Panoramabildes aus Einzelbildern, die zeitlich nacheinander mit einer magnetgeführten Endoskopiekapsel aufgenommen werden und nach diesem Verfahren arbeitende Endoskopieeinrichtung
JP5215372B2 (ja) * 2010-12-08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
CN102525386B (zh) * 2010-12-17 2015-11-25 世意法(北京)半导体研发有限责任公司 胶囊内窥镜
US11561762B2 (en) * 2011-08-21 2023-01-24 Asensus Surgical Europe S.A.R.L. Vocally actuated surgical control system
US10052157B2 (en) * 2011-08-21 2018-08-21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rule based approach
US10866783B2 (en) 2011-08-21 2020-12-15 Transenterix Europe S.A.R.L. Vocally activated surgical control system
US9757206B2 (en) * 2011-08-21 2017-09-12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rule based approach
US9204939B2 (en) * 2011-08-21 2015-12-08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rule based approach
US10299773B2 (en) * 2011-08-21 2019-05-28 Transenterix Europe S.A.R.L.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rule based approach
US9795282B2 (en) 2011-09-20 2017-10-24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maneuvering endoscope
US20150380140A1 (en) * 2012-04-04 2015-12-31 Ankon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rientation and movement of remote objects
CN104302224B (zh) * 2012-05-07 2016-08-24 奥林巴斯株式会社 引导装置
US20140051924A1 (en) * 2012-08-16 2014-02-20 Capso Vision, Inc In Vivo Capsule Device with Electrodes
JP6112787B2 (ja) * 2012-06-22 2017-04-12 Hoya株式会社 カプセル内視鏡セット及びカプセル収納部材
WO2014122655A1 (en) * 2013-02-08 2014-08-14 Given Imaging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vice movement irrespective of movement of a reference frame
JP6177087B2 (ja) * 2013-10-16 2017-08-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体外端末、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カプセル内視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184018A4 (en) * 2014-08-21 2018-07-11 Olympus Corporation Guidance device and capsule medical device guidance system
EP3190945A4 (en) * 2014-09-09 2018-06-27 Vanderbilt University Hydro-jet endoscopic capsule and methods for gastric cancer screening in low resource settings
WO2016079840A1 (ja) * 2014-11-20 2016-05-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カプセル内視鏡、カプセル内視鏡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28131B1 (ja) 2015-03-30 2016-11-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磁界発生装置
US11122965B2 (en) 2017-10-09 2021-09-21 Vanderbilt University Robotic capsule system with magnetic actuation and localization
JP7179837B2 (ja) * 2018-04-17 2022-1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内視鏡画像表示方法及び内視鏡装置の作動方法
DE102019217145A1 (de) * 2019-11-06 2021-05-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pil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7660B1 (en) 2001-05-20 2013-05-15 Given Imaging Ltd. A floatable in vivo sensing device
IL143259A (en) * 2001-05-20 2006-08-01 Given Imaging Ltd A method of moving a bone in the colon
JP3957272B2 (ja) * 2002-01-22 2007-08-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4231657B2 (ja) * 2002-05-10 2009-03-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06509574A (ja) * 2002-12-16 2006-03-23 ギブン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生体内センサの選択的作動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124875A1 (en) 2003-10-01 2005-06-09 Olympus Corporation Vivo observation device
US8639314B2 (en) * 2003-12-24 2014-01-28 Given Imaging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vivo imaging of a body lumen
ATE520337T1 (de) 2003-12-24 2011-09-15 Given Imaging Ltd Vorrichtung für die in-vivo-darstellung eines körperlumens
WO2005062717A2 (en) * 2003-12-31 2005-07-14 Given Imaging Ltd. In-vivo sensing device with detachable part
JP2005198879A (ja) 2004-01-16 2005-07-28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4940135B2 (ja) * 2004-05-17 2012-05-30 ギブン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生体内生検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US9968290B2 (en) * 2004-06-30 2018-05-15 Given Imaging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apsule endoscopy of the esophagus
WO2006070369A2 (en) * 2004-12-30 2006-07-06 Given Imaging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rienting a sensor in-viv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83B1 (ko) * 2012-08-17 2013-04-05 남봉길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7125A4 (en) 2010-11-17
KR20080072950A (ko) 2008-08-07
EP1967125B1 (en) 2012-02-01
WO2007077768A1 (ja) 2007-07-12
EP1967125A1 (en) 2008-09-10
US8632459B2 (en) 2014-01-21
US20080300453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68B1 (ko) 피검체 내 관찰 시스템
CN101351148B (zh) 被检体内观察系统
JP4767685B2 (ja) 被検体内観察システム
JP4329394B2 (ja) 小型撮影装置
KR101001502B1 (ko) 피검체 내 도입 시스템
JP4009581B2 (ja) カプセル型医療システム
JP4520491B2 (ja) カプセル型医療システム
WO2007077922A1 (ja) 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および被検体内観察方法
US8419614B2 (en) Capsule endoscope
AU200532093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vivo examination
JP2007195961A (ja) 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JP2007167214A (ja) 体内画像撮影装置および体内画像撮影システム
CN211749479U (zh) 胶囊内窥镜系统
JP2006068534A (ja) カプセル型内視鏡及び体外装置
JP2009125098A (ja) 無線給電システム
JP4827529B2 (ja) 被検体内観察システム
CN102008327B (zh) 具有彩色多普勒超声功能的胶囊小肠镜系统
JP2005110943A (ja) 医療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