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335B1 - 무드조명시계 - Google Patents

무드조명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335B1
KR101001335B1 KR1020090016339A KR20090016339A KR101001335B1 KR 101001335 B1 KR101001335 B1 KR 101001335B1 KR 1020090016339 A KR1020090016339 A KR 1020090016339A KR 20090016339 A KR20090016339 A KR 20090016339A KR 101001335 B1 KR101001335 B1 KR 10100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hour hand
light
mood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13A (ko
Inventor
유연식
조우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3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05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the hands carry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보다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드램프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시계의 원리로 그림자가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다기능 무드조명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와; 상기 시계무브먼트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과; 상기 시침구동축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과; 상기 시계받침 중앙부에 설치되어 빛에 의한 그림자를 만드는 시계중심축과; 상기 시계중심축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밑덮개와; 상기 시계중심축 및 조명밑덮개를 관통하는 상기 시침구동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시침과; 상기 시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드조명시계가 제공된다.
무드, 조명, 시계, 그림자, LED

Description

무드조명시계{clock having moodlighting effects}
본 발명은 무드조명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보다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드램프 기능과 동시에 해시계의 원리로 그림자를 통해 현재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드램프는 침실, 욕실 등의 실내에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램프 등의 발광체 주위로 유색의 반투명체를 개재시켜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산된 빛이 유색의 반투명체를 통과함으로서 은은한 빛을 발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램프의 기능만을 갖고 유색의 반투명체의 색상에 의해 발광되는 빛의 색상이 한정되는 무드램프는 일상생활에 의해 누적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다양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시계는 무브먼트의 구동에 의해 시침이 문자판의 기호나 숫자를 가리켜서 시간을 알려주는 것으로, 손목시계가 아닌 벽시계는 밤에 시계를 볼 때에는 불을 켜서 시간을 확인하여 시간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어둠속에서 문자판의 기호를 볼 수 있도록 조명을 갖추거나, 시계에 스탠드기능을 추가하여 주위가 어두운 밤에도 시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밤에 보조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조명을 갖춘 시계는 문자판 인식을 위한 것이 주이며, 스탠드 기능이 추가된 시계도 단순히 직접적인 램프로서의 역할에 주안점을 둔 것이어서, 다양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보다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드램프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시계의 원리로 그림자가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무드조명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와; 상기 시계무브먼트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과; 상기 시침구동축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과; 상기 시계받침 중앙부에 설치되어 빛에 의한 그림자를 만드는 시계중심축과; 상기 시계중심축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밑덮개와; 상기 시계중심축 및 조명밑덮개를 관통하는 상기 시침구동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막대형의 시침과; 상기 시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시계받침 내측에 그림자가 만들어지도록 빛을 조사하게 되는 LED와; 상기 시침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시침이 덮개 제거전에는 보이지 않도록 상기 조명밑덮개 위쪽에 설치되는 조명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와; 상기 시계무브먼트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과; 상기 시침구동축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과; 상기 시계받침 중앙부에 설치되어 빛에 의한 그림자를 만드는 시계중심축과; 상기 시침구동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시침과; 상기 시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시계받침 내측에 그림자가 만들어지도록 빛을 조사하게 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보다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드램프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시계의 원리를 채용하여 그림자가 시각을 알려주는 시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무드조명시계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광원이 직접 육안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그림자가 생성되고, 생성된 그림자가 현재 시간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어, 신비로움과 더불어 다양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시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조명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전원공급수단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엘이디 시침부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결합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a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전원선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엘이디 시침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는 전체적으로 해시계 형상을 띠는 것으로서,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7)와; 상기 몸체(7)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8)와; 상기 시계무브먼트(8)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8a)과; 상기 시침구동축(8a)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7)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6)과; 상기 시계받침(6) 중앙부에 설치되어 빛에 의한 그림자를 만드는 시계중심축(5)과; 상기 시계중심축(5)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밑덮개(3)와; 상기 시계중심축(5) 및 조명밑덮개(3)를 관통하는 상기 시침구동축(8a)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8a)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막대형의 시침(2)과; 상기 시침(2)의 하부면 하부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시 시계받침(6) 내측에 그림자가 만들어지도록 빛을 조사하게 되는 LED와; 상기 시침(2)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 으면서 상기 시침(2)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조명밑덮개(3) 위쪽에 설치되는 조명덮개(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LED는 시침(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LED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발광색을 갖거나, 개별적으로 다른 발광색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는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4)을 더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4)은, 시계중심축(5) 상단부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선(10)에 연결되는 베어링받이(4c)와, 상기 베어링받이(4c) 내측에 설치되는 도전성 베어링(4b)과, 시침(2)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전성 베어링(4b)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LED측으로 전달하는 도전성의 슬립링(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베어링받이(4c)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베어링받이 내부의 도전성 베어링(4b)가 안착되는 부분인 베어링 받이부는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받이(4c)의 상부에는 도전성 베어링(4b)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받이 캡(4a)이 설치된다.
물론, 전원선(10)은 콘센트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를 구비하며(도 7 참조), 상기 전원선(10)은 무드조명시계의 몸체(7) 하부를 관통하여 도전성 베어링(4b)측으로 연결된다(도 6a 및 도 7참조).
그리고, 터치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무드조명시계의 몸체(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7)에는 접촉 감응 회로가 연결되어 LED 조명이 터치식으로 온/오프됨과 아울러, 터치횟수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은 반구형의 몸체(7) 외측에 연장형성되는 플랜지(flange)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계받침(6)의 표면은 그림자가 선명하게 표시됨과 아울러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밝은 색을 띠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계받침(6)의 중심부에는 그림자를 생성하는 대상물(object)인 시계중심축(5)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시계중심축(5)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밑덮개(3)는 그림자 생성을 위해 투명 혹은 반투명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합성수지(예: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밑덮개(3) 및 조명덮개(1)는 하나의 파트로 조립된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시침구동축(8a)의 끝단은 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200)에는 시침구동축(8a) 끝단의 키부분이 형합할 수 있는 키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반구형의 몸체(7) 하부면 중심부에는 시계무브먼트(8)에 접근하기 위한 무브먼트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7) 하부면 외측에는 해시계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다리(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는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금속부분인 몸체(7)를 사용자가 터치(touch)함에 따라 LED가이 온되며, 터치 횟수에 따라 LED 조명의 밝기가 조절된다.
물론, 전원선(10)이 전원공급용 콘센트(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기존의 터치식 조명스탠드와 마찬가지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LED 조명이 켜지면, LED에서 발광된 빛은 시계중심축(5)의 간섭에 의해 접시형 시계받침(6)의 시침위치 반대편에 그림자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드조명시계의 몸체(7) 외측에 구비된 플랜지 상면에 형성된 시간 표식과 그림자의 방향을 참조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무드조명시계의 바깥에 드러나 있는 금속부분인 몸체(7)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금속 부분에는 접촉 감응 회로가 연결되어 평상시에 이 회로는 금속 부분에 아주 약한 양전하와 음전하를 아주 빠른 속도로 번갈아 충전시킨다. 즉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약한 교류 전류가 흐르면서 금속 부분에 번갈아 양전하와 음전하가 나타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금속 부분에 손을 대면 약한 전류가 몸으로 흘러버려 접촉 감응 회로에 교란이 일어나고, 전과 같은 크기의 전하를 충전시키기 위해 접촉 감응 회로는 더 많은 전류를 보내게 된다. 이 변화는 2진 플립플롭(binary flip-flop)에 영향을 주는 신호가 돼 스위치를 이전과 다른 위치(예컨대 원래의 위치가 ‘1’이었다면 ‘ 2’의 위치로, 다시 한번 신호가 들어오면 다시 ‘1’의 위치로 가는 방식)로 보내게 되고, 여기서 나오는 약한 전류는 무드조명시계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로 연결돼 전등을 켜거나 끄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8a와 같은 무드조명의 오프 상태에서 몸체(7)를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에는 LED가 온 되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이 켜지게 되며, LED는 터치식으로 온/오프됨과 아울러, 터치횟수에 따라 밝기도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에 있어서, LED로의 전원공급은 다음의 경로를 따라 이루어진다.
가정의 침실 등에 있어서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선(10)은 무드조명시계의 몸체(7) 및 시계받침(6) 하부면의 홀을 관통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시계중심축(5) 상단에 결합된 베어링받이(4c) 내부의 도전체인 베어링 받이부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받이부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베어링 받이부에 놓인 도전성 베어링(4b)으로 전원이 전달되며, 상기 도전성 베어링(4b)에는 시침(2) 끝단에 설치된 도전성 재질로 된 슬립링(200)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슬립링(200)을 통해 LED측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즉, 가정의 콘센트로부터 전원선(1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베어링받이(4c) 내측의 도전성 베어링(4b)을 거쳐 슬립링(200)으로 전달된 후에 시침(2) 내부의 전기회로를 통해 시침(2) 하부면상에 구비된 LED측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전기적 회로는 시침(2) 내부에 구비되어 시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요컨대, LED 시침(2) 끝 부분의 슬립링(200)과 베어링(4b)이 전도체 역할을 하고 서로 맞닿아 시침(2)의 LED로 전류를 흘려보냄과 동시에 도전성 베어링(4b)으로 인해 시침(2)이 부드럽게 돌아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계무브먼트(8)를 조작하여 시간을 맞출때에는 조명이 오프된 상태에서 시침(2)을 실제 시간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조작하거나, 조명을 온시켜 그림자를 생성시킨 상태에서 그림자가 실제 시간을 가리키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는 해시계의 원리가 채용되어 LED로부터 나온 빛과 시계중심축(5)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그림자가 실제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지시침의 역할을 하게 됨과 아울러, 조명덮개(1)에 의해 LED 조명이 은폐된 상태에서 반구형 몸체(7)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접시형의 시계받침(6) 면이 조명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광하여 간접조명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는 다양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무드조명 및 시계로서 다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우수한 미감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시계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이외에 몸체(7)의 플랜지 면상에 특정 시간에 대해 방향성을 부여하는 보조표식(50)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보조표식(50) 역시 LED 같은 발광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램프는 특정시간(예컨대, 12시)에 위치하므로 그림자를 읽어 시간 을 확인함에 있어 기준점 역할을 함으로써 손쉽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무드조명의 온/오프를 터치 방식으로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터치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누름스위치를 몸체(7)나 기타 부위에 별도로 부착하여 온/오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LED의 광축이 시침구동축(8a)과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LED는 광축 중심이 시침구동축(8a)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그림자의 농도를 더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밑덮개(3) 위쪽에 조명덮개(1)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조명덮개(1)와 조명밑덮개(3)가 없더라도 그림자 생성 및 무드조명으로서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LED는 경박단소화되면서 다양한 빛을 발할 수 있는 광원을 대표하는 예로서, 기타 다른 방식의 광원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조명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전원공급수단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엘이디 시침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결합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전원선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요부 확대도
도 6c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엘이디 시침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무드조명시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a는 스위치 오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스위치 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b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무드조명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명덮개 2:시침
200:슬립링 3:조명밑덮개
4:전원공급수단 4a:베어링받이 캡
4b:도전성 베어링 4c:베어링받이
5:시계중심축 6:시계받침
7:몸체 8:시계무브먼트
8a:시침구동축 9:다리

Claims (11)

  1.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와;
    상기 시계무브먼트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과;
    상기 시침구동축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과;
    상기 시계받침 중앙부에 설치되어 빛에 의한 그림자를 만드는 시계중심축과;
    상기 시계중심축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밑덮개와;
    상기 시계중심축 및 조명밑덮개를 관통하는 상기 시침구동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시침과;
    상기 시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시계받침 내측에 그림자가 만들어지도록 빛을 조사하게 되는 LED와;
    상기 시침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시침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조명밑덮개 위쪽에 설치되는 조명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상기 시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을 특징으 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각기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광축 중심이 시계중심축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5.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은,
    시계중심축 상단부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선에 연결되는 베어링받이와, 상기 베어링받이 내측에 설치되는 도전성 베어링과, 시침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전성 베어링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LED측으로 전달하는 슬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구동축의 끝단은 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에는 시침구동축 끝단의 키부분이 형합할 수 있는 키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드조명시계의 몸체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는 접촉 감응 회로가 연결되어 LED 조명이 터치식으로 온/오프됨과 아울러 터치횟수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몸체 외측에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면에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10. 시간을 가리키는 표식이 구비된 반구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시계무브먼트와;
    상기 시계무브먼트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시침구동축과;
    상기 시침구동축이 관통하며 상기 반구형 몸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시형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시계받침과;
    상기 시침구동축을 감싸도록 시계받침 중앙부에 설치되며 빛에 의한 그림자 를 만드는 대상물(object)로서 작용하는 시계중심축과;
    상기 시침구동축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침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시침과;
    상기 시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시계받침 내측에 그림자가 만들어지도록 빛을 조사하게 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시계.
KR1020090016339A 2009-02-26 2009-02-26 무드조명시계 KR10100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39A KR101001335B1 (ko) 2009-02-26 2009-02-26 무드조명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39A KR101001335B1 (ko) 2009-02-26 2009-02-26 무드조명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13A KR20100097413A (ko) 2010-09-03
KR101001335B1 true KR101001335B1 (ko) 2010-12-15

Family

ID=4300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39A KR101001335B1 (ko) 2009-02-26 2009-02-26 무드조명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549B2 (en) 2015-06-08 2018-12-04 Lepanto Co., Ltd Candle warmer having touch type on/off means
KR102474769B1 (ko) 2022-09-22 2022-12-05 임헌규 아날렘마 해시계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941A (ko) 2017-12-18 2019-06-26 최자연 조명기능을 겸비한 알람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549B2 (en) 2015-06-08 2018-12-04 Lepanto Co., Ltd Candle warmer having touch type on/off means
KR102474769B1 (ko) 2022-09-22 2022-12-05 임헌규 아날렘마 해시계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13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93311B2 (en) Push button assembly
KR101001335B1 (ko) 무드조명시계
CN110432680B (zh) 具有灯效的脚座
US20040125585A1 (en) Electroluminescent clock
EP2063169B2 (en) Lighting means
KR20110048807A (ko) 조명기능을 갖는 시계
JP3163732U (ja) 発光鏡
KR101644944B1 (ko)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US20060126443A1 (en) Electric power supply mechanism on spinning indicator
US9377761B2 (en) Illumination arrangement for a timepiece
CN202748599U (zh) 发光二极管手表
KR200175446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KR200268475Y1 (ko) 발광체 장식부재를 갖춘 탁상용 시계
JP3166589U (ja) ライト付き眼鏡
CN215636880U (zh) 一种照明灯具
RU195085U1 (ru) Адаптив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озетка
US20110187551A1 (en) Illuminated door bell
CN2924302Y (zh) 转轮头灯
KR200321157Y1 (ko) 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명 구조
CN112856328A (zh) 发光图形可自定义灯具
JP3066183U (ja) 文字板が発光する腕時計の構造
KR100787136B1 (ko) 조명 기능을 갖춘 시계
JP3626881B2 (ja) 時計の発光装飾装置
CN111699343A (zh) 手持便携式发光祈愿装置
US20060133067A1 (en) Shoe with an illuminating 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