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835B1 -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835B1
KR101000835B1 KR1020050112246A KR20050112246A KR101000835B1 KR 101000835 B1 KR101000835 B1 KR 101000835B1 KR 1020050112246 A KR1020050112246 A KR 1020050112246A KR 20050112246 A KR20050112246 A KR 20050112246A KR 101000835 B1 KR101000835 B1 KR 10100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ess
connection
supporting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345A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1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8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회로기판케이스에 결합된 접속핀들이 불균일하게 장착된 경우에도 접속핀들의 지지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회로기판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를 개시한다. 이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는 회로기판을 복수의 접속핀들에 압입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접속핀들을 지지하기 위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핀들을 지지하며 각각 지지방향으로 진퇴가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와, 복수의 지지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복수의 지지부재를 지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케이싱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압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JIG FOR PRESS-FIT PROCESS OF PCB}
도 1은 종래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어유닛, 11: 회로기판,
12: 회로기판케이스, 20: 접속핀,
21: 고정부, 22: 회로기판접속부,
23: 외부접속부, 30: 압입접속용 지그,
31: 케이스, 32: 지지부재,
33: 가압스프링.
본 발명은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케이스에 결합된 접속핀들이 불균일하게 장착된 경우에도 접속핀들의 지지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회로기판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제어유닛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기판(1)과, 회로기판(1)을 수용하는 회로기판케이스(2)를 구비한다. 또 회로기판케이스(2)에는 외부의 커넥터(미도시)를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핀들(4)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접속핀들(4)은 회로기판케이스(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케이스(2)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4a), 회로기판(1)에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부(4b), 외부의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되는 외부접속부(4c)를 포함한다. 접속핀들(4)의 회로기판접속부(4b)는 회로기판(1)에 압입접속방식(Press-fit)으로 연결된다. 즉 회로기판(1)을 회로기판케이스(2) 내에 설치할 때 회로기판(1)에 형성된 접속공들(1a)을 접속핀들(4)의 회로기판접속부(4b)에 끼운 후 가압하는 방식으로 압입시킴으로써 회로기판접속부(4b)와 접속공(1a)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접속부(4b)에는 압입과정에서 변형되어 밀착되는 변형부(4d)가 마련된다.
또 접속핀들(4)과 회로기판(1)을 연결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핀들(4)이 설치된 부분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속핀들(4)의 외부접속부(4c) 쪽에 지그(5)를 설치하여 접속핀들(4)이 지지되도록 한 후 회로기판(1)의 압입접속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기판 연결방식은 회로기판(1)과 접속핀들(4)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일부의 접속핀들(4)이 지그(5)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접속핀들(4)이 고정된 회로기판케이스(2)의 일부가 파손될 수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핀들(4)이 회로기판케이스(1)에 고정될 때(회로기판케이스의 성형과정에서 회로기판케이스에 매입될 때) 일부 접속핀들(4)이 불규칙하게 고정되는 문제로 인하여 지그(5)를 통해 접속핀들(4)을 지지하더라도 일부의 접속핀들(4)이 도 2의 "A"부분처럼 지그(5)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지 않을 수 있었다. 지그(5)의 지지면(5a)은 일정한 반면 접속핀들(4)의 지지부가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의 압입접속을 수행하면 지지되지 않은 접속핀(4)으로부터 회로기판케이스(2)에 가압력이 직접 전달됨으로 인해 회로기판케이스(2)가 파손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케이스에 결합된 접속핀들이 불균일하게 장착된 경우에도 접속핀들의 지지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회로기판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는 회로기판을 복수의 접속핀들에 압입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핀들을 지지하기 위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핀들을 지지하며 각각 지지방향으로 진퇴가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지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접속핀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단으로부터 내부로 길게 형성된 핀수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호 간의 측면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를 이용하여 제어유닛의 회로기판을 접속핀들에 압입접속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통상적인 차량 제동장치용 제어유닛의 회로기판을 회로기판케이스 내에 설치할 때 회로기판과 접속핀들을 압입접속시키는 경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10)은 회로기판(11)과, 회로기판(11)을 수용하는 회로기판케이스(12)와, 외부의 커넥터(미도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케이스(12)의 일측에 마련된 다수의 접속핀들(20)을 구비한다.
접속핀들(20)은 회로기판케이스(12)의 성형과정에서 회로기판케이스(12)에 매입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21), 회로기판(11)에 접속되는 회로기판접속부(22), 외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외부접속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핀들(20)은 가늘고 긴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접속핀들(20)의 회로기판접속부(22)는 회로기판(11)에 압입접속방식(Press-fit)으로 연결된다. 즉 회로기판(11)을 회로기판케이스(12) 내에 설치할 때 회로기판(11)에 형성된 접속공들(11a)을 접속핀들(20)의 회로기판접속부(22)에 끼운 후 가압하는 방식으로 압입시킴으로써 회로기판접속부(22)와 접속공(11a)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로기판접속부(22)에는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입과정에서 변형되는 변형부(2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처럼 접속핀들(20)과 회로기판(11)을 압입접속시킬 때는 접속핀들(20)을 지지하는 지그(30)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입접속용 지그(30)는 케이스(31)와, 케이스(31) 내에 수용된 복수의 지지부재(32)와, 각 지지부재(32)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스프링(33)을 포함한다. 케이스(31)는 내부에 복수의 지지부재들(3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4)을 구비하고, 수용공간(34)은 각 지지부재(32)의 선단(지지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일면(도면에서 상면)이 개방된다.
복수의 지지부재(32)는 복수의 접속핀들(20)을 각각 별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각 접속핀(20)의 수와 대응하는 수량으로 이루어지며, 각 접속핀들(20)을 별도로 가압할 수 있도록 케이스(31)의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 지지부재(32)는 측면이 상호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지지부재(32)는 접속핀들(20)을 지지할 때 접속핀들(20)의 외부접속부(23)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단으로부터 내부로 길게 형성된 핀수용공(32b)을 구비한다.
복수의 가압스프링(33)은 각 지지부재(32)를 별도로 가압하도록 케이스(31) 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양단이 지지부재(32)의 지지홈(32c) 및 케이스(31) 내면의 지지돌기(31a)에 각각 지지된다.
다음은 이러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를 이용하여 회로기판을 접속핀들에 압입접속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로기판(11)과 접속핀(20)의 압입접속을 수행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접속용 지그(30)를 이용하여 접속핀들(20)의 외부접속부(23) 쪽을 지지한다. 이때 각 접속핀들(20)은 별도로 진퇴가 가능한 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접속핀(20)의 외부접속부(23)는 지지부재(32)의 핀수용공(32b) 내부로 진입되므로 보호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속핀들(20)이 회로기판케이스(12)에 불균일하게 결합된 경우(길이가 다르게 결합된 경우)에도 각 지지부재(32)가 별도로 움직여 각 접속핀(2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접속핀들(20)을 밀착 상태로 지지한다. 즉 압입접속용 지그(30)를 접속핀(20) 쪽으로 가압하면, 각 지지부재(32)가 가압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가압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각 접속핀(20)을 가압할 수 있으며, 각 접속핀(20)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각 지지부재(32)의 높이가 다르게 유지되면서 각 접속핀(20)을 지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부재(32)가 각 접속핀들(20) 별도로 지지하기 때문에 접속핀들(20)의 결합상태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각 접속핀들(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회로기판(11)의 압입접속을 수행하면 회로기판케이스(12)의 파손이나 접속핀들(20)의 변형 없이 회로기판(11)의 압입접속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는 각 접속핀들을 별도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각 접속핀들의 결합상태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각 접속핀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압입접속을 수행할 때 접속핀들의 변형이나 접속핀들이 결합된 부분의 회로기판케이스의 파손 없이 회로기판과 접속핀들의 압입접속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회로기판을 복수의 접속핀들에 압입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핀들을 지지하기 위한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핀들을 지지하며 각각 지지방향으로 진퇴가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지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접속핀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단으로부터 내부로 길게 형성된 핀수용공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호 간의 측면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2. 삭제
  3. 삭제
KR1020050112246A 2005-11-23 2005-11-23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KR10100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46A KR101000835B1 (ko) 2005-11-23 2005-11-23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46A KR101000835B1 (ko) 2005-11-23 2005-11-23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45A KR20070054345A (ko) 2007-05-29
KR101000835B1 true KR101000835B1 (ko) 2010-12-14

Family

ID=3827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246A KR101000835B1 (ko) 2005-11-23 2005-11-23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70B1 (ko) * 2017-12-22 2019-06-11 송무상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45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576B1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KR20130127507A (ko)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선행적으로 구현되는 접지 접촉 형성부
US9160101B2 (en) Electric connector
US20090221171A1 (en)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US68145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cooperating contacting portions
US7220140B2 (en) Board connector
KR101000835B1 (ko) 회로기판 압입접속용 지그
US8500472B2 (en) Thin connector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KR101158489B1 (ko) 프레스핏 핀
KR101605807B1 (ko) 지아이에프 커넥터
KR101557150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KR101991105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101337219B1 (ko) 커넥터
KR20100001179U (ko) 커넥터
KR20160135882A (ko) 전선 접속용 전기 커넥터
KR101398049B1 (ko) 동축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2284B1 (ko) 전기접속장치
KR102312971B1 (ko) 결합 구조를 간소화한 테스트 보드용 커넥터
KR200318629Y1 (ko) 수평접촉식 번인소켓
KR20220093826A (ko) 커넥터조립체
JP2005317357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ケース付き基板用コネクタ
KR200294815Y1 (ko) 인쇄 회로 기판 연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