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768B1 - 프레스 - Google Patents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768B1
KR101000768B1 KR1020090043139A KR20090043139A KR101000768B1 KR 101000768 B1 KR101000768 B1 KR 101000768B1 KR 1020090043139 A KR1020090043139 A KR 1020090043139A KR 20090043139 A KR20090043139 A KR 20090043139A KR 101000768 B1 KR101000768 B1 KR 10100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bundle
mold
lower mold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078A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09004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7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선반(11)에 탑재된 실린더(20) 및 로드(21), 상기 프레임(10)의 하단 선반(12)에 놓여져 상기 상하단 선반 사이에 개재되는 고중량의 뭉치(30),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구비된 수직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에 장착된 가동형 상형(40), 그리고 상기 상형(40)의 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엔빌(51)로서의 자성재질의 고정형 하형(5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형(40)의 상단에 구비된 원판형 두부(41)가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와 수직방향에서만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형(40)를 상하운동시키게 되어 있는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고중량의 뭉치에서 하단에 수평 가이드레일을 형성시키고, 이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형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에 상기 하형을 장착시키고, 상기 하형과 고중량의 뭉치와의 결합은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볼과 자석에 의해 구현시켰다.
가이드 레일, 뭉치, 상형, 하형, 자석

Description

프레스{press}
본 발명은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와 탈피된 전선의 단부가 엔빌 상에 수동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선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시켜 단자를 장착시키는 수동식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동식 프레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 선반에 탑재된 실린더 및 로드, 상기 프레임의 하단 선반에 놓여져 상기 상하단 선반 사이에 개재되는 고중량의 뭉치, 상기 고중량의 뭉치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가동형 상형, 상기 상형의 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고중량의 뭉치에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엔빌로서의 고정형 하형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상형의 상단에 구비된 원판형 두부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수직방향에서만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형를 상하운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프레스는 엔빌 상에 압착될 단자를 작업자에 의해 얹어 놓고 그 단자 위에 전단의 탈피된 단부를 작업자에 의해 얹어 놓은 다음, 실린더의 로드를 전진시키면 상향뭉치가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 강하게 되고, 상기 상향뭉치는 로드의 하사점에서 상기 하형뭉치의 엔빌과 협력하여 엔빌 위에 놓인 단자와 전선 단부를 압착하여 단자가 전선 단부에 압착고정되게 하고, 이어서 실린더의 로드는 후진되고 상향뭉치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하지만, 전선은 다향한 종류가 있게 되고, 특히 다양한 굵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굵기를 가진 종래의 전선에 단자를 압착시킬려면 당연히 단자도 이에 상응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프레스에 장착된 상하형 뭉치도 교체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프레스에서는 상형이 로드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중량의 뭉치 전체를 상기 프레스의 ㄷ자형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상형이 로드로부터 장착해제되어 결국 상기 고중량의 뭉치로부터 상형이 들어올려지면 자연스럽게 장착해제되지만, 하영인 엔빌은 고중량의 뭉치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수단을 공구에 의해 체결해체하야하고 다시 공구에 의해 체결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프레이스에서는 한 타입의 전선에 단자를 압착시키는 작업을 하다가 다른 타입의 전선에 단자를 압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형 및 하형을 교체하려고 할 경우, 하형 교체를 위한 체결/체결해제 공구가 반듯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프레스에서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작업자는 여성이 대부분이고, 그리고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작업장에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레스가 다수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프레스는 상기 체결/체결해제 공구를 작업자가 원하는 시기에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낮아 교체를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져 작업효율을 낮아지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스 마다 상기 체결/체결해제 공구를 마련하는 것도 비용상 그리고 관리상 문제를 야기하며, 아울러 여성 작업자로 하여금 숙달치 못한 체결/체결해제 공구를 사용하게 하여, 여성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종래의 프레스에서 작업하는 것을 회피작업으로서 취급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 단순하게 하형을 앞으로 당겨서 고중량의 뭉치로부터 장착해제시키고 아울러 하형을 뒤로 밀어 넣음으로써 고중량의 뭉치에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프레스에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프레스에 구비된 고중량의 뭉치에서 하단에 수평 가이드레일을 형성시키고, 이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형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에 상기 하형을 장착시키고, 상기 하형과 고중량의 뭉치와의 결합은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볼과 자석에 의해 구현시킴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작업자가 여성이어도, 그리고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작업장에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레스가 다수개 마련되어 있어도, 하형 교체를 위한 체결/체결해제 공구를 작업자가 갖지 않고서도 원하는 시기에 작업자 스스로 하형을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ㅏ게 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여성작업자로 하여금 프레스에서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작업을 회피작업으로서 취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프레스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개념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는, 종래와 같이,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선반(11)에 탑재된 실린더(20) 및 로드(21), 상기 프레임(10)의 하단 선반(12)에 놓여져 상기 상하단 선반 사이에 개재되는 고중량의 뭉치(30),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구비된 수직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에 장착된 가동형 상형(40), 그리고 상기 상형(40)의 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엔빌(51)로서의 자성재질의 고정형 하형(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형(40)의 상단에 구비된 원판형 두부(41)는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와 수직방향에서만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형(40)를 상하운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뭉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베이스(34); 상기 베이스(34)에 고정적으로 기립되어 있는 기둥부(32); 상기 기둥부(32)의 상단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베이스(34)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채널형상을 갖고서 고정적으로 상기 기둥부(32)의 상단에 탑재된 수직 가이드레일(31); 상기 베이스(34)의 윗면(34a)에 상기 베이스(34)의 전면에서 상기 기둥부(32)까지 뻗 어 있는 수평 가이드레일(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엔빌(51)을 탑재하고 있는 하형(50)의 양측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의 요부(35a)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전후진 될 수 있게 철부(50a)가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형(50)의 전면 하단에는 손잡이부(52)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24)의 하단 전면에는 상기 하형(50)의 하단 배면의 폭만큼의 길이를 가진 자석(S)이 상기 하형(50)의 폭방향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의 요부(35a)의 뒤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볼(B)이 상기 하형(50)을 측부를 향하여 노출되게 심어져 있고, 상기 하형(50)의 철부(50a)의 뒤쪽에는 상기 볼(B)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었을 때 이 볼(B)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암형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형부(50b)와 상기 볼(B)이 암수결합될 때 상기 하형(50)의 엔빌(51)과 상기 상형(40)의 밑면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을 구획형성하는 양측 내벽(31a, 31b)과 뒷 내벽(31c)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채널형 홈(31d)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의 양측 내벽(31a, 31b)과 뒷 내벽(31c)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상형(40)의 양측면과 뒷면에는 상기 채널형 홈(31d)과 마주하는 부위에 채널형 홈(4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에서 상기 상형(40)이 안정적으로 미끄럼 왕복운동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상형(40)이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에서 왕복운동하게 될 때, 상기 상형(40)과 상 기 수직 가이드레일(31) 간에 형성된 틈에 존재하는 공기가 용이하게 상기 채널형 홈(31d, 40a)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서, 실린더(20)의 로드(21)의 순간적인 전후진 운동시 상기 상형(40)이 상기 틈에 존재하는 공기로부터 부하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스에 의하면, 상형과 하형을 상기 뭉치(30)로부터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다.
먼저, 작업자가 프레스(100) 밖에 있는 뭉치(30)의 수직 가이드레일(31)에 를 원하는 타입의 상형(40)을 장착한 다음, 상기 뭉치(30)을 들고 하단 선반(12)에 옳려놓고서 상기 뭉치(30)를 움직여 상기 상형(40)의 두부(41)를 프레스(100)의 상단선반(11)에 탑재된 실린더의 로드(21)와 결합시킨다.
그 다음, 뭉치(30) 밖에 있는 원하고 하는 타입의 하형(50)을 들고 상기 뭉치(30)에 구비된 수평 가이드레일(35)에 상기 하형(50)의 손잡이부(52)가 앞을 향한 상태로 끼운다. 그 다음,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52)를 잡고 상기 하형(50)을 밀면, 상기 하형(50)을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기둥부(32)의 하단에 구비된 자석(S)까지 도달하면서 자석(S)의 자성에 의해 자성 재질인 하형(50)이 고정되고, 아울러 하형(50)의 암형부(50b)와 상기 볼(B)이 암수결합되어 상기 하형이 상기 뭉치(30)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뭉치에 대한 상형과 하형의 장착해제는 상기된 수순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프레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뭉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하형과 뭉치 간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Claims (5)

  1.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선반(11)에 탑재된 실린더(20) 및 로드(21), 상기 프레임(10)의 하단 선반(12)에 놓여져 상기 상하단 선반 사이에 개재되는 고중량의 뭉치(30),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구비된 수직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에 장착된 가동형 상형(40), 그리고 상기 상형(40)의 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고중량의 뭉치(3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엔빌(51)로서의 자성재질의 고정형 하형(5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형(40)의 상단에 구비된 원판형 두부(41)가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와 수직방향에서만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20)의 로드(2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형(40)를 상하운동시키게 되어 있는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뭉치(30)는 평판의 베이스(34); 상기 베이스(34)에 고정적으로 기립되어 있는 기둥부(32); 상기 기둥부(32)의 상단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베이스(34)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채널형상을 갖고서 고정적으로 상기 기둥부(32)의 상단에 탑재된 수직 가이드레일(31); 및 상기 베이스(34)의 윗면(34a)에 상기 베이스(34)의 전면에서 상기 기둥부(32)까지 뻗어 있는 수평 가이드레일(35)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빌(51)을 탑재하고 있는 하형(50)의 양측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의 요부(35a)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전후진 될 수 있게 철부(50a)가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32)의 하단 전면에는 상기 하형(50)의 하단 배면의 폭만큼의 길이를 가진 자석(S)이 상기 하형(50)의 폭방향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35)의 요부(35a)의 뒤쪽에는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볼(B)이 상기 하형(50)을 측부를 향하여 노출되게 심어져 있고, 상기 하형(50)의 철부(50a)의 뒤쪽에는 상기 볼(B)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었을 때 이 볼(B)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암형부(5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을 구획형성하는 양측 내벽(31a, 31b)과 뒷 내벽(31c)에는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채널형 홈(31d)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31)의 양측 내벽(31a, 31b)과 뒷 내벽(31c)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상형(40)의 양측면과 뒷면에는 상기 채널형 홈(31d)과 마주하는 부위에 채널형 홈(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50)의 전면 하단에는 손잡이부(52)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50)의 전면 하단에는 손잡이부(52)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KR1020090043139A 2009-05-18 2009-05-18 프레스 KR10100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39A KR101000768B1 (ko) 2009-05-18 2009-05-18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39A KR101000768B1 (ko) 2009-05-18 2009-05-18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78A KR20100124078A (ko) 2010-11-26
KR101000768B1 true KR101000768B1 (ko) 2010-12-14

Family

ID=4340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139A KR101000768B1 (ko) 2009-05-18 2009-05-18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70B1 (ko) * 2014-10-06 2015-01-15 주식회사 창신산업 Led 조명등 바디에 자석을 부착하는 장치
CN111009741B (zh) * 2019-12-26 2021-04-16 广东顺德汇华宇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线夹、加工机械及加工方法
KR102457438B1 (ko) * 2022-08-12 2022-10-21 인지산업(주) 코일 단자 압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46B1 (ko) 1994-12-28 1999-11-15 야자키 야스히로 단자압착방법 및 장치(method of crimping terminal and apparatus for same)
KR200299560Y1 (ko) 2002-09-30 2002-12-31 이강복 단자압착장치
WO2008087938A1 (ja) 2007-01-16 2008-07-24 Japan Automatic Machine Co., Ltd.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46B1 (ko) 1994-12-28 1999-11-15 야자키 야스히로 단자압착방법 및 장치(method of crimping terminal and apparatus for same)
KR200299560Y1 (ko) 2002-09-30 2002-12-31 이강복 단자압착장치
WO2008087938A1 (ja) 2007-01-16 2008-07-24 Japan Automatic Machine Co., Ltd.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78A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768B1 (ko) 프레스
CN107263070B (zh) 拉线制作设备
CN209969432U (zh) 一种汽车模具冲压件脱模机构
CN102773466B (zh) 铸造生产线用铸件自动脱模装置
CN218079692U (zh) 一种铝型材挤压模具残余铝清理装置
CN116160224A (zh) 一种扫地机面壳组装磁铁治具
KR100628552B1 (ko) 가압성형기
CN109794558B (zh) 金属捆扎带搭扣机
CN208303712U (zh) 一种快速取件装置
CN210848941U (zh) 一种医疗床面板连杆式夹紧定位机构
CN210023490U (zh) 一种板材成型装置
CN106890900A (zh) 一种厚板长短组合件u型冲压压弯模具结构及操作方法
CN216264385U (zh) 一种坯料进给装置
CN210549314U (zh) 一种电池模块压紧工装设备
CN214245063U (zh) 一种服饰裁剪用热压裁剪装置
CN212944841U (zh) 一种高效压定子铆扣条设备
CN205928344U (zh) 电视金属面框装饰条快换工装
CN215711478U (zh) 一种用于半导体加工的下料机构
CN217196696U (zh) 一种用于手机摄像头的注塑模具
CN217726668U (zh) 一种高效c型钢起拔机
CN216881719U (zh) 一种用于电动工具的粉末冶金压板
CN215279381U (zh) 一种快速试模机
CN212264460U (zh) 一种型砂铸造用射芯机
CN216989572U (zh) 一种暖风器芯体扩孔装置
CN210524233U (zh) 一种金属线材快速排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