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35B1 -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435B1
KR101000435B1 KR1020100072853A KR20100072853A KR101000435B1 KR 101000435 B1 KR101000435 B1 KR 101000435B1 KR 1020100072853 A KR1020100072853 A KR 1020100072853A KR 20100072853 A KR20100072853 A KR 20100072853A KR 101000435 B1 KR101000435 B1 KR 10100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m
plate
light emitting
hea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연통홀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발광소자, 이 케이싱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발광소자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 누름으로부터 발광소자를 보호하고 입체적이며 투광성인 라이트플레이트, 이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외부 누름 지점에 따라 설정된 신호를 발생하고 투광성이며 가요성인 정전용량필름, 및 이 정전용량필름의 상측에 형성되고 발광소자와 정전용량필름의 설정된 누름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모드문형을 형성하고 가요성을 갖는 그래픽필름을 포함하며, 이 정전용량필름과 그래픽필름은 서로 접착된 상태로 라이트플레이트의 입체적인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가요성을 갖는 그래픽필름과 정전용량필름을 서로 접착 후 이를 입체적인 라이트플레이트에 부착함으로써 필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고, 라이트플레이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누광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HEATER CONTROLL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을 갖는 그래픽필름과 정전용량필름을 서로 접착 후 이를 입체적인 라이트플레이트에 부착함으로써 필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고, 터치 타입을 채용함으로써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라이트플레이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누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DVD 플레이어와 같은 차량용 미디어 재생장치나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등 차량용 전장품은 각종 버튼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전면 패널에는 해당되는 전장품의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버튼 스위치는 전장품의 해당 작동을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버튼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각각의 동작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는 전장품 내부의 신호 감지 장치에서 해석되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존 차량의 전장품은 이러한 버튼 스위치를 통해 조작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열악한 환경에 취약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다. 즉 자동차 내부는 특히 먼지, 열, 습도 등에 따라서 각 내부의 장치에 오작동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성 도체로 인해서 습기에 의한 부식 가능성이나 인체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정전기 발생에 따른 회로 파손 가능성, 스위치 틈새로 오염 물질이 들어갈 가능성 등이 있으므로 이러한 오작동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 컨트롤러를 터치패널 조작 타입으로 변경하여 직,간접적 조작 응대감을 향상시키고, 버튼에 비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패널의 하측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야간에 터치패널의 누름 위치 확인을 위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광소자와 터치패널의 누름 위치를 일대일 대응되게 하고, 각 위치에 라이트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각 발광소자의 빛이 설정 위치에 집중되게 함에 따라 터치패널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연통홀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발광소자, 이 케이싱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발광소자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 누름으로부터 발광소자를 보호하고 입체적이며 투광성인 라이트플레이트, 이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외부 누름 지점에 따라 설정된 신호를 발생하고 투광성이며 가요성인 정전용량필름, 및 이 정전용량필름의 상측에 형성되고 발광소자와 정전용량필름의 설정된 누름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모드문형을 형성하고 가요성을 갖는 그래픽필름을 포함하며, 이 정전용량필름과 그래픽필름은 서로 접착된 상태로 라이트플레이트의 입체적인 부위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의 연통홀은 각각 라이트가이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트플레이트는 누광차단을 위해 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라이트플레이트와 상기 정전용량필름과 상기 그래픽필름을 적층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택트스위치를 실장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택트스위치에 접촉하는 노브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는 종래 기술과 달리 히터 컨트롤러를 터치패널 조작 타입으로 변경하여 직,간접적 조작 응대감을 향상시키고, 버튼에 비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패널의 하측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야간에 터치패널의 누름 위치 확인을 위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광소자와 터치패널의 누름 위치를 일대일 대응되게 하고, 각 위치에 라이트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각 발광소자의 빛이 설정 위치에 집중되게 함에 따라 터치패널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라이트플레이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필름 적층 순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라이트플레이트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의 필름 적층 순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는 베이스플레이트(10), 케이싱(20) 및 정전용량형 터치패널(30)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케이싱(20)과 정전용량형 터치패널(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0)는 케이싱(20)의 하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케이싱(20)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케이싱(20)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후크 결합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케이싱(20)은 상하 연통되는 연통홀(22)을 다수 개 형성한다.
이 연통홀(22) 각각은 서로 구획되어 케이싱(20)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케이싱(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연통홀(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더불어, 정전용량형 터치패널(30)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20)에 형성된다.
그리고, 정전용량형 터치패널(30)은 외부 누름시 해당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 해당되는 신호는 특정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정전용량형 터치패널(30)은 발광소자(31), 라이트플레이트(33), 정전용량필름(35) 및 그래픽필름(36)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소자(31)는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된다. 이 발광소자(31)가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는 방식은 납땜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특히, 인쇄회로기판(32)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장착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발광소자(31)는 외부 전원 인가시 발광하는 것으로서, LED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더불어, 발광소자(31)는 케이싱(20)의 연통홀(22) 개수만큼 구비되어 이 연통홀(22)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된다.
이때, 발광소자(31)는 대응되는 연통홀(22)의 중심축에 일직선 되도록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인쇄회로기판(32)은 베이스플레이트(1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라이트플레이트(33)는 발광소자(3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케이싱(20)의 상측에 지지되어 발광소자(31)를 보호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이트플레이트(33)는 케이싱(20)의 연통홀(22)을 막음으로써 연통홀(22)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발광소자(31)를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라이트플레이트(33)는 정전용량필름(35)을 하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정전용량필름(35)이 휘면서 발광소자(3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라이트플레이트(33)는 발광소자(31)의 빛이 투과되도록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전용량필름(35)은 라이트플레이트(3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정전용량필름(35)은 외부의 설정된 가압력 이상 누름력에 의해 특정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정전용량필름(35)이 외부 누름에 의해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한다.
특히, 정전용량필름(35)은 발광소자(31)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마다 외부 누름시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정전용량필름(35)은 발광소자(31)의 빛이 투과되도록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전용량필름(35)은 플렉시블 피씨비( Flexible PCB)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름에 따른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그래픽필름(36)은 정전용량필름(35)의 상측에 형성되어 정전용량필름(35)을 보호한다.
그리고, 그래픽필름(36)은 발광소자(31)와 정전용량필름(35)의 설정된 누름 위치에 동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모드문형(37)을 형성한다.
즉, 서로 대응되는 발광소자(31)와 정전용량필름(35)의 설정된 누름 위치 및 모드문형(37)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이때, 그래픽필름(36)은 각 모드문형(37)을 따라 투광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광소자(31)의 빛이 대응되는 모드문형(37)을 통해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모드문형(37)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모드문형(37)은 히터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그림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그래픽필름(36)은 얇은 투과형 PC Sheet나 PET Film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은 OCA Tape 또는 양면 Tape로 라미네이팅 한 후 곡률로 처리된 후 라이트플레이트(33)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소자(31)의 빛은 라이트플레이트(33)와 정전용량필름(35) 및 그래픽필름(36)을 통과한 상태에서 충분한 조도를 갖기 위해 케이싱(20)의 연통홀(22) 내부에서 모여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케이싱(20)의 연통홀(22)은 각각 라이트가이드(4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라이트가이드(40)는 연통홀(22) 각각에 끼워져 통과하는 빛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라이트가이드(40)는 프리즘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통홀(22)을 통과한 빛은 라이트플레이트(33)를 투과하면서 누광되며 산란하게 된다.
따라서, 라이트플레이트(33)는 누광차단을 위해 하측에 함몰되는 홈부(3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홈부(34)는 라이트플레이트(33)를 통과하는 빛의 누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라이트플레이트(33)는 누광을 위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도 누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라이트플레이트(33)와 정전용량필름(35) 및 그래픽필름(36)은 적층되어 일체화된 후 케이싱(2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케이싱(20)은 라이트플레이트(33)와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을 적층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턱(5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라이트플레이트(33), 정전용량필름(35) 및 그래픽필름(36)은 모든 테두리를 케이싱(20)의 테두리턱(5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은 밀착되게 면접한다.
이로 인해, 정전용량필름(35)은 외부 누름에 의한 응답 속도를 향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는 복합 기능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는 정전용량필름(35)을 구비하여 터치패널 방식을 채택함과 동시에 누름스위치 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32)은 택트스위치(42)를 실장하고, 케이싱(20)은 외부 누름 조작에 의해 택트스위치(42)에 접촉하는 노브(46)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홀(44)을 형성한다.
특히, 노브(46)는 캡(47)을 형성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캡(47)을 형성한 노브(46)는 인쇄회로기판(32)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노브(46)가 택트스위치(42)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이에 해당되는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택트스위치(42)와 노브(46) 및 캡(47)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처럼, 라이트플레이트(33)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의상, 라이트플레이트(33)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한다.
그래서, 정전용량필름(35)의 상측에는 그래픽필름(36)이 접착된다. 이때,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은 다양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 후, 함께 접착된 정전용량필름(35)과 그래픽필름(36)은 라이트플레이트(33)의 입체적인 부위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서, 그래픽필름(36)을 접착한 정전용량필름(35)은 라이트플레이트(33)의 상부로 볼록한 상측에 부착된다. 이때, 정전용량필름(35)은 테이핑이나 본딩 등 다양한 접착 방식에 의해 라이트플레이트(33)에 부착된다.
따라서, 그래픽필름(36)과 정전용량필름(35)은 입체 형상인 라이트플레이트(33)에 용이하게 적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플레이트 20: 케이싱
22: 연통홀 30: 정전용량형 터치패널
31: 발광소자 32: 인쇄회로기판
33: 라이트플레이트 35: 정전용량필름
36: 그래픽필름 40: 라이트가이드
42: 택트스위치 46: 노브

Claims (5)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수 개의 연통홀을 구비한 케이싱;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용량형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형 터치패널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연통홀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발광소자;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 누름으로부터 상기 발광소자를 보호하고, 입체적이며, 투광성인 라이트플레이트;
    상기 라이트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외부 누름 지점에 따라 설정된 신호를 발생하고, 투광성이며, 가요성인 정전용량필름; 및
    상기 정전용량필름의 상측에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그래픽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필름과 상기 그래픽필름은 서로 접착된 상태로 상기 라이트플레이트의 입체적인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연통홀은 각각 라이트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플레이트는 누광차단을 위해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라이트플레이트와 상기 정전용량필름과 상기 그래픽필름을 적층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택트스위치를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KR1020100072853A 2010-02-25 2010-07-28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KR101000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951 2010-02-25
KR20100016951 2010-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435B1 true KR101000435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853A KR101000435B1 (ko) 2010-02-25 2010-07-28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510B1 (ko) 2010-12-15 2012-07-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터치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57Y1 (ko) 2006-01-19 2006-05-25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발광용 정전용량 터치 센서
JP2006350789A (ja) 2005-06-17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789A (ja) 2005-06-17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0417157Y1 (ko) 2006-01-19 2006-05-25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발광용 정전용량 터치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510B1 (ko) 2010-12-15 2012-07-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터치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1994B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module
EP2365505B1 (en) Input device utilizing touch panel
US9088283B2 (en) Touch device
TWI532067B (zh) 鍵盤
JP2012014703A (ja) タッチ式透明キーボード
EP2661057B1 (en) Mounting structure for circuit boards
JP2020532132A (ja) 電子機器をホストするための多層構造体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US20150116609A1 (en) Display device
TWI603233B (zh) 具有觸控功能的電子裝置
US8466383B2 (en) Illuminant human interface device
CN106547392A (zh) 具有压力感测的显示装置与显示面板
TWI517001B (zh) 觸控模組與電子裝置
CN109792243B (zh) 用于提供用于家用器具的操作元件的层复合结构
KR101000435B1 (ko)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CN211319252U (zh) 一种电子设备
US8246222B2 (en) LED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799404B2 (ja) 静電容量式接触スイッチを使用した電子機器
US20170249040A1 (en)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guide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US11589456B2 (en) Backlit user interface
WO2016006216A1 (ja)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16205979A (ja) 計器装置
JP2015052732A (ja) 表示装置
CN213752474U (zh) 一种采用亚克力导光板的薄膜开关
EP3486757B1 (en) Film and input device
CN109885205B (zh) 触摸显示设备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