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283B1 - 어류용 개체 식별표 - Google Patents

어류용 개체 식별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283B1
KR101000283B1 KR1020080096981A KR20080096981A KR101000283B1 KR 101000283 B1 KR101000283 B1 KR 101000283B1 KR 1020080096981 A KR1020080096981 A KR 1020080096981A KR 20080096981 A KR20080096981 A KR 20080096981A KR 101000283 B1 KR101000283 B1 KR 10100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ork
close contact
portions
identification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743A (ko
Inventor
이종헌
김윤혁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인투비
김형수
김윤혁
이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비, 김형수, 김윤혁, 이종헌 filed Critical (주)인투비
Priority to KR102008009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2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에서 횟감 부위로 사용되지 않는 머리 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집게 형태로 제작되어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와 아래 주둥이 안쪽이 물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후단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및 제2 집게동체를 제1 및 제2 힌지편으로 결합하여 집게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의 끝단부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집게동체는 어류의 아래 주둥이 안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집게동체는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의 끝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다수의 포크날을 가지는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의 각각의 포크날은 서로 깍지맞춤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식어, 개체 식별번호, 식별표

Description

어류용 개체 식별표{INDICATOR FOR FISH}
본 발명은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어의 생산 이력 정보(양식장 정보, 먹이 정보, 투약 정보, 출하 정보 등)의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개체 식별번호가 부여되는데, 어류의 머리부분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양식어의 생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데 적용할 수 도 있으나, 자연산 활어의 유통 이력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분야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양식어는 양식장의 수질, 먹이의 종류 및 양, 약품 사용 정도 등 양식 환경에 의해 그 품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같은 어종이라도 양식 환경에 따라 품질이나 영양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양식어의 생산 이력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양식어가 어떠한 생산 환경 및 과정을 통해 양식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없으며, 양식장의 수질 오염, 약품 오남용, 수입산의 국산 둔갑 등의 문제와 결부되어 양식어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양식어를 제대로 된 과정을 통해 양식하여 출하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생산된 물품임을 입증할 길이 없어 생산 의욕이 상실되기 쉬우며, 이런 까닭에 양식어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리고, 유통 과정에서 수입산과 국산의 섞임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식별해 내기가 어렵고, 소비자 리콜(recall) 발생시 대응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문제 발생시 문제의 원인 및 발생지를 역추적해 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출원된 바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100)은 출하되는 양식어(200)에 부착된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생산자 단말(101), 이력 관리 서버(102) 및 소비자 단말(103)을 포함한다.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는 출하시 양식어(200)의 몸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있다.
생산자 단말(101)은 출하시 양식어(200)에 부착된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로부터 개체 식별번호(ID)를 제공받고 생산자로부터 어종, 양식장 정보, 급이 정보, 투약 정보 또는 출하 정보 등과 같은 생산 이력 정보를 입력 받고, 개체 식별 번호(ID)를 포함하는 생산 이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력 관리 서버(102)로 전송한다.
이력 관리 서버(102)는 개체 식별번호(ID)를 기반으로 생산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02A)와, 생산자 단말(101)로부터 제공받은 생산 이력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2A)에 저장하고 소비자 단말(103)에 데이터 베이스(102A)에 저장되어 있는 생산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102B)를 포함한다.
소비자 단말(103)은 취급되는 양식어(200)에 부착된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로부터 개체 식별번호(ID)를 제공받아 이를 이력 관리 서버(102)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력 관리 서버(102)로부터 생산 이력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소비자 단말(103)은 이력 관리 서버(102)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web), 모바일(mobile), 키오스크(kios)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는 태그(301)와, 태그(301)를 어류의 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태그 핀(302)을 포함한다.
태그(301)는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을 내장한다. 그리고, 태그(301) 외피에는 전자칩(301A)에 내장된 개체 식별번호(ID)가 일련의 숫자 또는/및 문자의 조합, 바코드 등이 형태로 기록될 수도 있다.
태그 핀(302)은 어류의 몸체에 삽입되는 횡단봉(302A)과, 횡단봉(302A)과 일체로 횡단봉(302A)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며 그 말단에 태그(301)가 부착되는 세장부(302B)를 포함한다. 태그 핀(302)의 횡단봉(302A)은 태깅 건(tagging gun, 미도시)을 이용하여 어류의 몸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횡단봉(302A)은 지느러미와 몸통의 경계 부위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류용 개체 식별표(300)는 어류 몸체의 살을 파고들어가 부착하므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장점이 있으나, 부착부위를 통해 세균 감염이 발생할 소지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착 후 살을 파고들어간 부위가 내부 부위를 파괴하여 살 속에 피멍이 드는 문제가 야기되어, 어류를 사고자 하는 소비자로부터 혐오감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활어에서 횟감 부위로 사용되지 않는 머리 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게 형태로 제작되어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와 아래 주둥이 안쪽이 물려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킹 건 등의 사용없이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각각 후단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및 제2 집게동체를 제1 및 제2 힌지편으로 결합하여 집게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의 끝단부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집게동체는 어류의 아래 주둥이 안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집게동체는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의 끝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다수의 포크날을 가지는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의 각각의 포크날은 서로 깍지맞춤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성은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되고, 일련의 숫자 또는/및 문자의 조합, 바코드 등이 형태로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의 외측에 기록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이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용 개체 식별표는 어류의 몸체에 부착하지 않고 횟감 부위로 사용하지 않는 머리 부분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몸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세균감염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양식어의 품질 향상 및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게 형태로 제작되어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와 아래 주둥이 안쪽이 물려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킹 건의 사용이 없이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인식이 가능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양식어에 부착함으로써, 유통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입산과 국산의 섞임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상부위의 살 속에 피멍이 들어 소비자의 혐오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신뢰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류용 개체 식별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가 양식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류용 개체 식별표(10)는 제1 손잡이부(11) 및 제2 손잡이부(12), 제1 집게동체(13) 및 제2 집게동체(14), 제1 힌지편(15) 및 제2 힌지편(16), 힌지축(17) 및 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1 손잡이부(11)와 제1 집게동체(13) 및 제1 힌지편(15)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손잡이부(12)와 제2 집게동체(14) 및 제2 힌지편(16)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대향되는 상기 제1 힌지편(15) 및 제2 힌지편(16)이 힌지축(17)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 체(13)(14)의 끝단부는 힌지축(17)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8)의 반발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전체적으로 빨래집게 또는 머리핀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10)는, 사용시 상기 제1 집게동체(13)가 어류의 아래 주둥이 안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집게동체(14)가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의 끝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다수의 포크날을 가지는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의 각각의 포크날은 서로 깍지맞춤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은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련의 숫자 또는/및 문자의 조합, 바코드 등이 형태로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11)(12)의 외측에 기록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11)(12)의 내부에는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미도시)이 선택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10)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게동체(13)를 어류의 아래 주둥이 안쪽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집게동체(14)가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에 밀착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착과정은 태깅 건 등의 별도 장비가 필요없이 수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에 의해 양식어(200)의 몸체에 일부를 삽입하지 않고도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류용 개체 식별표가 양식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 101 :생산자 단말
102 : 이력 관리 서버 102A : 데이터 베이스
102B : 처리부 103 : 소비자 단말
10 : 어류용 개체 식별표 11 : 제1 손잡이부
12 : 제2 손잡이부 13 : 제1 집게동체
13A : 제1 포크부 14 : 제2 집게동체
14A : 제2 포크부 15 : 제1 힌지편
16 : 제2 힌지편 17 : 힌지축
18 : 스프링

Claims (3)

  1. 각각 후단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11)(12)를 갖는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를 제1 및 제2 힌지편(15)(16)으로 결합하여 집게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의 끝단부는 스프링(18)의 반발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집게동체(13)는 어류의 아래 주둥이 안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집게동체(14)는 어류의 아래쪽 턱 사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게동체(13)(14)의 끝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다수의 포크날을 가지는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13A)(14A)의 각각의 포크날은 서로 깍지맞춤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
  3. 제 1항에 있어서,
    각 구성은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되고, 일련의 숫자 또는/및 문자의 조합, 바코드 등이 형태로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의 외측에 기록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이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20080096981A 2008-10-02 2008-10-02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100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981A KR101000283B1 (ko) 2008-10-02 2008-10-02 어류용 개체 식별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981A KR101000283B1 (ko) 2008-10-02 2008-10-02 어류용 개체 식별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43A KR20100037743A (ko) 2010-04-12
KR101000283B1 true KR101000283B1 (ko) 2010-12-13

Family

ID=4221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981A KR101000283B1 (ko) 2008-10-02 2008-10-02 어류용 개체 식별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34U (ko) 2019-11-26 2021-06-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488A (ja) 1998-06-22 2000-01-11 Kunio Kumamoto 洗濯ばさみの保持吊り具
JP2005216275A (ja) 2004-01-30 2005-08-11 Yoshihiro Nonoyama 非接触icタグを有したクリップ。
KR200419383Y1 (ko) 2006-04-06 2006-06-19 유관선 활어용 인식표 잠금장치
KR100824811B1 (ko) 2008-01-02 2008-04-23 임채욱 조개류의 인식표와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488A (ja) 1998-06-22 2000-01-11 Kunio Kumamoto 洗濯ばさみの保持吊り具
JP2005216275A (ja) 2004-01-30 2005-08-11 Yoshihiro Nonoyama 非接触icタグを有したクリップ。
KR200419383Y1 (ko) 2006-04-06 2006-06-19 유관선 활어용 인식표 잠금장치
KR100824811B1 (ko) 2008-01-02 2008-04-23 임채욱 조개류의 인식표와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34U (ko) 2019-11-26 2021-06-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43A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29730B (zh) 一种畜牧产品的可视化监控溯源系统和方法
Hastein et al. Traceability of aquatic animals
WO1995010812A1 (en) Method for tracking the production history of food products
Bell et al. The Australasian beef industries—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21st century
CN206021336U (zh) 一种基于rfid的养殖溯源跟踪系统
WO2008083688A3 (en) A device for tagging an animal and a magazine with tags for use in such device
KR101000283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CN105557550A (zh) 一种畜牧质量跟踪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000282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US20110000111A1 (en) Marking ear loop that promotes healing
CN108416598A (zh) 基于汉信二维码技术的肉牛肉羊追溯管理系统及方法
Connolly et al. Sensor networks and the food industry
KR101254950B1 (ko) 수정란 동결 보관 스트로우용 플러그
Jones Networked RFID for use in the Food Chain
EP1690451A1 (en) A method of provisionally joining livestock tag parts together, a livestock tag part and strip of livestock tags
JP2018196340A (ja) 個体識別用タグ
JP6805650B2 (ja) 識別用タグ
CN109430102B (zh) 一种适于禽畜管理的打卡装置
KR20090127685A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20210001234U (ko)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CN202565940U (zh) 一种应用于禽畜育种的农业物联网rfid射频标签装置
CN117291216A (zh) 一种家禽养殖溯源追踪管理系统及其所用标签环
KR100824811B1 (ko) 조개류의 인식표와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CN203538082U (zh) 手持机延长杆
JP6919332B2 (ja) 個体識別用タ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