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234U -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 Google Patents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234U
KR20210001234U KR2020190004777U KR20190004777U KR20210001234U KR 20210001234 U KR20210001234 U KR 20210001234U KR 2020190004777 U KR2020190004777 U KR 2020190004777U KR 20190004777 U KR20190004777 U KR 20190004777U KR 20210001234 U KR20210001234 U KR 202100012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g
flounder
individual identification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양해나
허인지
임한규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90004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234U/ko
Publication of KR20210001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로서, 개체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이 내장된 태그; 및 일측은 아가미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태그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타입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가자미목 어류의 경골조직인 아가미에 천공한 후 부착할 수 있어 횟감으로 사용되는 근육 부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2차 감염 등의 위험 없이 어류 개체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Identification Tag for Pleuronectiformes}
본 고안은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자미목 어류의 경골조직인 아가미 뚜껑에 천공한 후 부착할 수 있어 횟감으로 사용되는 근육 부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며 가자미목 어류의 머리를 사용할 경우 태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관한 것이다.
양식어는 양식장의 수질, 먹이의 종류 및 양, 약품 사용 정도 등 양식 환경에 의해 그 품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바, 같은 어종이라도 양식 환경에 따라 품질이나 영양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먹거리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문화 양식을 뜻하는 웰빙(well-being)이란 단어가 세간의 이목을 끌게 되면서 육류보다 건강에 더 좋다고 알려진 어류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양식어의 시장 규모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양식어의 생산 이력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인바, 소비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양식어가 어떠한 생산 환경 및 과정을 통해 양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양식장의 수질 오염, 약품 오남용, 수입산의 국산 둔갑 등이 문제되면서 소비자의 불안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고, 양식어를 제대로 된 과정을 통해 양식하여 출하하는 생산자 입자에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생산된 물품임을 입증할 길이 없어 생산 의욕이 상실되기 쉬우며, 이런 까닭에 양식어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유통 과정에서 섞임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식별해 내기가 어렵고, 리콜(recall)을 실시해야 할 경우에 대응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문제 발생시 문제의 원인 및 발생지를 역추적해 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어류용 개체 식별표가 제안된 바 있는데, 어류의 근육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chip)을 심는 방식, RFID 태그(tag)에 연결된 태그 핀을 어류의 근육에 심는 방식, 어류의 꼬리에 태그를 감는 방식 등이 있었다.
어류의 근육에 RFID 칩을 심는 방식은, 근육층이 얇고 육질이 연한 가자미목 어류의 작은 개체에는 사용할 수 없고, 중대형 개체에 사용할 경우라도 RFID 칩이 삽입된 근육 부위를 괴사시켜 2차 감염에 의한 폐사(斃死)율이 높아지며, 성장하면서 삽입된 칩이 근육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어느 부분에 존재하는지를 알 수 없는바 실험이 끝난 후 상품으로 출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RFID 태그(tag)에 연결된 태그 핀을 어류의 근육에 심는 방식도, 어류의 근육에 심어진 태그 핀이 주위의 근육을 괴사시켜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주위의 근육에 피멍이 들어 소비자에게 혐오감을 주는바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어류의 꼬리에 태그를 감는 방식은 어류는 꼬리의 운동량이 많고 계속 성장하는바 꼬리자루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바 중대형 개체의 출하 직전에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685호(공개일자 2009년 12월 1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282호(공고일자 2010년 12월 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283호(공고일자 2010년 12월 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9364호(공고일자 2012년 05월 30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자미목 어류의 경골조직인 아가미에 천공한 후 부착할 수 있어 횟감으로 사용되는 근육 부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2차 감염 등의 위험이 없는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종자 크기가 아닌 가자미목 어류의 소형 이상인 모든 개체에 부착이 가능하고 개체 식별표의 부착과 제거 및 교체가 쉬운바 연구용 및 이력 추적용으로 적합한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로서, 개체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이 내장된 태그; 및 일측은 아가미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태그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타입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 타입의 연결부재는, 고정밴드; 및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에 의하면, 가자미목 어류의 경골조직인 아가미에 천공한 후 부착할 수 있어 횟감으로 사용되는 근육 부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2차 감염 등의 위험 없이 어류 개체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종자 크기가 아닌 가자미목 어류의 소형 이상인 모든 개체에 부착이 가능하고 개체 식별표의 부착과 제거 및 교체가 쉬운바 연구용 및 이력 추적용으로 적합한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체 식별표가 가자미목 어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에 개체 식별표를 부착하는 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체 식별표가 가자미목 어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는, 태그(10) 및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그(10)는 이력 등의 정보 저장 또는 연구를 위하여 양식용 어류에 부착되는 구성요소로서, 개체 식별번호(ID)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11)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태그(10)는 전자칩(11)을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전체적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는 연결부재(20)의 고정밴드(2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태그(10)의 외피에는 전자칩(11)에 내장된 개체 식별번호(ID)가 일련의 숫자 또는/및 문자의 조합, 바코드 등의 형태로 기록될 수도 있다.
전자칩(11)은 개체 식별번호(ID)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고, 안테나(미도시)와 함께 구성되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가 요청하면 그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태그(10)에 이러한 전자칩(11)이 내장됨으로써 양식장의 수질, 먹이의 종류 및 양, 약품 사용 정도, 유통정보 등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태그(10)의 판독 거리 및 인식률은 RFID 리더의 송신 전력이 가지는 피드백 성분에 큰 영향을 받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900MHz 대역의 신호체계를 사용하였으나, 사용환경에 따라 125kHz, 13.56MHz, 2.45GHz 등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신호체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20)는 가자미목 어류의 아가미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과 태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는 링 타입의 부재로서 태그(10)를 가자미목 어류에 부착시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다양한 종류의 끈(wire)들을 고리형으로 묶어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기배선 등을 묶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케이블 타이를 연결부재(20)로 사용할 경우, 연결부재(20)는 고정밴드(21) 및 고정구(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고정밴드(21)는 대상물을 감을 수 있도록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일면에 톱니부가 형성된다.
고정구(22)는 고정밴드(21)의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고정밴드(21)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2a)이 형성되며, 삽입공(22a)의 내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고정밴드(21) 및 고정구(2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20)는 나일론 등의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고정밴드(21)의 타단부를 삽입공(22a)으로 관통시키기만 하여도 톱니부 및 스토퍼에 의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바, 별도로 묶는 과정이 필요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개체 식별표를 가자미목 어류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에 개체 식별표를 부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가자미목 어류를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놓고 아가미 뚜껑을 들어올린다(S10).
그리고, 임의의 천공도구로 들어올린 아가미 뚜껑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한다(S20).
이때, 가자미목 어류의 아가미 뚜껑은 경골조직인바 천공도구로 천공하는데에 큰 어려움이 없으며, 천공도구는 연결부재(20)의 고정밴드(21)가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태그(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 및 아가미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을 모두 통과하도록 연결부재(20)의 고정밴드(21)를 관통시킨다(S30).
그리고, 태그(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 및 아가미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고정밴드(21)의 타단부를 고정구(22)의 삽입공(22a)으로 관통시킨다(S40).
그 후, 삽입공(22a)을 관통한 고정밴드(21)의 타단부를 당겨서 삽입공(22a)으로 삽입되기 전까지의 고정밴드(21)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한다.
이때, 삽입공(22a)으로 삽입되기 전까지의 고정밴드(21)의 길이는, 어류의 아가미 뚜껑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지나치게 길어서 어류의 활동에 따른 연결부재(20)를 통해 부착된 태그(10)의 움직임이 커지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고정밴드(21)가 삽입공(22a)을 관통하여 고정구(22) 밖으로 노출된 부분을 니퍼 등의 도구로 절단한다.
이때, 고정밴드(21)의 고정구(22) 밖으로 노출된 부분을 고정구(22)와 가까운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절단 후에 고정구(22)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많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및 가자미목 어류에 개체 식별표를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면, 가자미목 어류의 경골조직인 아가미에 천공한 후 부착할 수 있어 횟감으로 사용되는 근육 부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2차 감염 등의 위험 없이 어류 개체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자 크기가 아닌 가자미목 어류의 소형 이상인 모든 개체에 부착이 가능하고 개체 식별표의 부착과 제거 및 교체가 쉬운바 연구용 및 이력 추적용으로 적합한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태그 11: 전자칩
20: 연결부재 21: 고정밴드
22: 고정구 22a: 삽입공

Claims (2)

  1. 개체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무선 인식이 가능한 전자칩이 내장된 태그; 및
    일측은 아가미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태그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타입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타입의 연결부재는,
    고정밴드; 및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2020190004777U 2019-11-26 2019-11-26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202100012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7U KR20210001234U (ko) 2019-11-26 2019-11-26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7U KR20210001234U (ko) 2019-11-26 2019-11-26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34U true KR20210001234U (ko) 2021-06-03

Family

ID=7637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77U KR20210001234U (ko) 2019-11-26 2019-11-26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2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1464A (zh) * 2021-11-18 2022-04-12 郑州大河智信科技股份公司 一种用于获取高温环境下产品信息的追溯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685A (ko) 2008-06-09 2009-12-14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101000283B1 (ko) 2008-10-02 2010-12-13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1000282B1 (ko) 2008-10-02 2010-12-13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1149364B1 (ko) 2010-09-13 2012-05-30 (주)크리노 어류용 태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685A (ko) 2008-06-09 2009-12-14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101000283B1 (ko) 2008-10-02 2010-12-13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1000282B1 (ko) 2008-10-02 2010-12-13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101149364B1 (ko) 2010-09-13 2012-05-30 (주)크리노 어류용 태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1464A (zh) * 2021-11-18 2022-04-12 郑州大河智信科技股份公司 一种用于获取高温环境下产品信息的追溯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2835A1 (en) Dual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US5891156A (en) Device for equipping birds with a transponder
EP2519098B1 (en)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farm animal data
CN101129132A (zh) 生物体植入用rfid标记及其插入工具
CN203523519U (zh) 一种防脱落抗低温环保电子耳标
CN101178784A (zh) 植入生物体用rfid标签及其插入器具
KR20210001234U (ko) 가자미목 어류용 개체 식별표
US11240992B2 (en) Radio device for implantation in an animal
Kim et al. Agricultural products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USN
RU2428836C2 (ru) Ремень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ого кольца
KR20100005356U (ko) Ic칩을 포함하는 동물용 전자태그 목걸이
AU4212585A (en) Animal identification
CN102415353A (zh) 肉狗圈养快速饲养技术
AU2008346354A1 (en) Healing-promoting marking auricular ring
CN218302826U (zh) 一种肉牛用身份识别耳标
JP5339148B2 (ja) 新家畜識別方法
JP2018196340A (ja) 個体識別用タグ
US20100199531A1 (en) Visual tag
CN204440453U (zh) 一种uhf频段rfid电子标签牛鼻环
KR101000282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JP2004350598A (ja) 豚用耳標及び家畜個体識別方法
KR100824811B1 (ko) 조개류의 인식표와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KR101000283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KR20090127685A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100687082B1 (ko) 알에프아이디 칩을 내장한 돼지용 이력태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