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027B1 - 수평 연속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연속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27B1
KR101000027B1 KR1020080091255A KR20080091255A KR101000027B1 KR 101000027 B1 KR101000027 B1 KR 101000027B1 KR 1020080091255 A KR1020080091255 A KR 1020080091255A KR 20080091255 A KR20080091255 A KR 20080091255A KR 101000027 B1 KR101000027 B1 KR 10100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nozzle
cast
discharge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209A (ko
Inventor
안기현
Original Assignee
안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현 filed Critical 안기현
Priority to KR102008009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horizont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travelling straight surface, e.g. through-like moulds, a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6Nozzles; Spray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형태의 주편을 주조하기 위한 수평 연속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는 내부에 구비되는 용탕 수용부에 용탕 공급관과 용탕 배출관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용탕 배출관의 배출측 단부에 구비되어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은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고, 유로의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는 장방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노즐부와; 상기 제1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입측 유로에서 배출측 유로로 갈수록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배출측 유로의 단부가 최종 주조되는 주편의 형태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에 최대한 근접한 규격의 주조를 할 수 있고, 가능하게 되어 주조되는 주편의 상태가 최대한 일정한 상태로 주조될 수 있으며, 또한, 스트립 형태로 주조할 수 있어 부가적인 공정 및/또는 장비의 생략 또는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091255
수평연속주조, 스트립, 노즐, 용탕, 가열부, 주편

Description

수평 연속 주조장치{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트립 형태의 주편을 주조하기 위한 수평 연속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평 연속 주조장치는 용탕이 공급되어 용탕이 일정한 형태의 주편으로 주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속주조를 위한 장치의 분류는 턴디쉬에 관련된 기술, 주형에 대한 기술, 주편(stand)에 대한 기술 등으로 분류되며, 이중, 주형에 대한 기술로 이루어진 연속주조 방식은 냉각주형 방식과 가열주형 방식 그리고 냉각주형 방식과 가열주형 방식이 겸비된 혼합형 주형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속주조기술은 생산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질의 향상을 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연속주조 공정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연속주조장치에 요구되는 별도의 압연과정 등과 같은 공정을 생략 또는 단순화시켜 최종형성되는 주편의 형상에 근접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종 생산되는 주편이 스트립 형태로 주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평 연속 주조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주조되는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폭과 두께 등)에 최대한 근접한 규격으로 주편이 주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주조되는 주편의 폭과 두께 및/또는 표면 상태가 최대한 일정한 상태로 주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주편의 주조를 위하여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이 스트립 형태의 주편을 주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주편의 주조를 위하여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을 잔류 용탕의 제거 및/또는 노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공작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 및/또는 표면 상태에 근접한 상태로 주편이 주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는 용탕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용탕 수용부가 구비되고, 용탕 수용부의 어느 일 측에 용탕 공급관이 구비되며, 수용부의 다른 일 측에 용탕 배출관이 구비되는 본체와; 용탕 배출관의 배출 측 단부에 구비되며, 스트립 형태의 주편의 주조를 가능하도록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즐은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고, 유로의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는 장방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노즐부와; 제1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입측 유로에서 배출측 유로로 갈수록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배출측 유로의 단부가 최종 주조되는 주편의 형태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는 유로가 연속되는 구조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제1 노즐부 또는 제2 노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가열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용탕 배출관의 배출측 단부와 제1 노즐부의 유입측 단부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노즐부는 배출측 유로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노즐부는 배출측 유로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의 단면적 보다 더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의 폭은 높이 보다 4 내지 6배가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노즐부는 전체 유로가 배출측 영역으로 갈수록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테이퍼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2 노즐부는 유입측 또는 배출측 위치의 유로 영역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나머지 유로 영역이 유입측 유로에서 배출측 유로 방향으로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테이퍼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노즐부는 배출측 유로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더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 단부의 단면적은 제2 노즐부의 유입측 유로 단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 단부의 면적은 제2 노즐부의 유입측 유로 단부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 단부의 일 영역이 제2 노즐부의 유입측 유로 단부의 일 영역과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되는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폭과 두께 등)에 최대한 근접한 규격으로 주편이 주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되는 주편의 폭과 두께 및/또는 표면 상태가 최대한 일정한 상태로 주조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편의 주조를 위하여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에 의해 스트립 형태의 주편이 주조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편의 주조를 위하여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잔류 용탕의 제거 및/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 및/또는 표면 상태와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주편이 주조될 수 있게 되어 부가적인 공정 및/또는 장비의 생략 또는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평 연속 주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최종 생산되는 주편의 규격 및/또는 표면 상태에 근접한 상태로 주편이 주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1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평 연속 주조장치(100)는 내부에 일정량의 용탕이 수용될 수 있는 용탕 수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탕 수용부(111)의 어느 일 측에는 용탕을 상기 용탕 수용부(111)로 공급하기 위하여 용탕 공급관(11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탕 수용부(111)의 다른 어느 일 측에는 용탕을 배출하여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용탕 배출관(11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탕 배출관(113)의 단부에는 주편의 주조를 가능하도록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은 주편을 스트립 형태로 주조하기 위하여 1차 주조 형상을 이루는 제1 노즐부(120)와 2차 주조 형상을 이루는 제2 노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1차 노즐부(120)는 용탕 배출관(113)으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이 스트립 형태의 주편으로 주조될 수 있도록 제1 노즐부 본체(121) 내부에 유로(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122)는 유입측 유로(122a)에서 배출측 유로(122b)로 갈수록 유로(122)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122)는 유입측 유로(122a)에서 배출측 유로(122b)로 갈수록 유로(122)의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측 유로(122b)는 스트립의 단면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주조되는 용탕의 단면 구조의 성형을 유도하여 이하 설명되는 제2 노즐부(130)에 의해 최종 주조되는 주편이 스트립의 형태로 주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주조되는 최종 주편이 스트립의 형태로 주조되는 경우, 최종 주조되는 주편에 발생하 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조되는 중간 과정에서 용탕의 성형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조과정을 위하여,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는 유로의 높이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장방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측 유로(122b)의 폭은 높이 보다 약 4 내지 6배 정도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노즐부(120)는 배출측 유로(122b)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122a)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노즐부(120)는 배출측 유로(122b)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122a)의 단면적 보다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주조를 위해 단면 구조가 성형되는 용탕의 퍼짐 형태와 정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노즐부(120)는 용탕 배출관(113)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경우,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본체(121) 유입측 단부 및/또는 용탕 배출관(113)의 배출측 단부에는 연결부재(123)가 더 구비되어 제1 노즐부(120)와 용탕 배출관(113)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23)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켓 또는 조인트 수단 등을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용탕 배출관(113)에 잔존하는 잔탕(배출되지 않은 잔류 용탕)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노즐 전체 또는 제1 노즐부(120)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교체작업으로 인한 손실 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노즐부(130)는 최종 주조되는 주편이 스트립 형태의 주편으로 주조될 수 있도록 제2 노즐부 본체(131) 내부에 유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132)는 유입측 유로(132a)가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는 전체 유로(132)의 길이 중 일정 길이의 영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는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영역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로(132)는 유입측 유로(132a)의 영역에서 배출측 유로(132b)의 영역으로 갈수록 전체 유로(132)의 길이 중 유입측 유로(132a) 영역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노즐부(130)의 배출측 유로(132b) 영역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배출측 유로(132)의 단부가 최종 주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단면 구조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가 충분한 넓이로 형성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로(132)는 전체가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전체 유로(132)는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는 높이가 일정 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노즐부(130)의 배출측 유로(132b)는 유입측 유로(132a)로부터 연장 선상으로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져 테이퍼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는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져 테이퍼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노즐부(130)의 배출측 유로(132b)는 유입측 유로(132a)로부터 연장 선상으로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 및/또는 배출측 유로(132b)는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경우, 주조되는 주편의 수축율 및/또는 주편에 대하여 가해져야 하는 압력 등을 고려하여 테이퍼의 경사도, 테이퍼지는 유로의 길이 등과 같은 조건을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조과정을 위하여, 상기 제2 노즐부(130)의 배출측 유로(132b)는 유로의 높이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장방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노즐부(130)는 배출측 유로(132b)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132a)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노즐부(130)는 배출측 유로(132b)의 단면적은 유입측 유로(132a)의 단면적 보다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최종 주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단면 구조(폭과 두께 등)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노즐부 본체(121) 및/또는 제2 노즐부 본체(131)에는 가열부(124,1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124,13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열수단의 구성과 같이 자킷 구조 또는 코일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각 노즐부(120,130)의 내부로 흐르는 용탕의 유동성이 확보되어 스트립 형태의 주편의 주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가열부(124,134)에 의해 제공되는 온도는 용탕의 물성 및/또는 주조되는 주편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노즐부 본체(131)에 구비되는 가열부(134)는 주조되는 주편의 성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조되는 주편의 형태와 물성의 조절 등에 요구되는 열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제1 노즐부(120)와 제2 노즐부(130)는 단일 구조의 노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부(120,130)는 노즐의 전체 유로에 대하여 각 해당 영역의 유로가 상기 설명된 조건들에 상응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 노즐부(120)와 제2 노즐부(130)는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의 영역에는 단턱부(13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 영역의 본체(121) 단부가 삽입되어 제1 노즐부(120)의 유로(122)와 제2 노블부(130)의 유로(132)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노즐부(120) 본체(121)의 배출측 단부와 제2 노즐부(130)의 단턱부(131a) 사이에는 용탕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킷 등과 같은 밀봉부재 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봉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와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는 서로 연장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유로(122b,132a)의 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 단부의 면적은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 단부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는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 단부의 일 영역이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 단부의 일 영역과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노즐부(120)의 배출측 유로(122b)의 단부로부터 제2 노즐부(130)의 유입측 유로(132a)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노즐부(120)와 제2 노즐부(130)가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10)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는 그 하부에 이송대차(114)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차(114)가 베이스(140)에 구비된 이송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용탕 배출관(113)의 단부에는 제1 노즐부(1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이동에 따라 제1 노즐부(120)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 노즐부(130)와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노즐부(130)는 상기 베이스(140)에 구비되는 지지부(142)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전진 및 후진)되는 제1 노즐부(120)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노즐부(130)는 지지부(142)에 가이드(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부(120)가 결합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의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4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노즐부(13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2 노즐부(130)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노즐부(130)는 상기 가이드(143)가 결합되는 측면의 유로가 개구되는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143)에 의해 유로가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42)에는 고정부(144)가 더 구비되어 제2 노즐부(130)의 위치를 조정한 상기 가이드(14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평 연속 주조장치의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수평 연속 주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 노즐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노즐부 유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를 구성하는 제2 노즐부의 유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를 구성하는 제2 노즐부의 유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연속 주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의 결합 구조에 관한 일 구성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의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일 구성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의 결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일 구성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수평 연속 주조장치 110 ... 수평 연속 주조장치 본체
111 ... 용탕 수용부 112 ... 용탕 공급관
113 ... 용탕 배출관 114 ... 이송대차
120 ... 제1 노즐부 121 ... 제1 노즐부 본체
122,132 ... 유로 123 ... 연결부재
124,134 ... 가열부 130 ... 제2 노즐부
131 ... 제2 노즐부 본체 140 ... 베이스
141 ... 이송레일 142 ... 지지부

Claims (11)

  1. 용탕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용탕 수용부가 구비되고, 용탕 수용부의 어느 일 측에 용탕 공급관이 구비되며, 수용부의 다른 일 측에 용탕 배출관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용탕 배출관의 배출측 단부에 구비되며, 스트립 형태의 주편의 주조를 가능하도록 용탕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은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고, 유로의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는 장방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노즐부와;
    상기 제1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입측 유로에서 배출측 유로로 갈수록 전체 유로의 길이 중 유입측 유로 영역의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고, 배출측 유로 영역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배출측 유로의 단부가 최종 주조되는 주편의 형태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는 유로가 연속되는 구조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와 제2 노즐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 또는 제2 노즐부 중 어느 하나에 가열부가 구비되거나, 또는 제1 노즐부 및 제2 노즐부 모두에 가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배출관의 배출측 단부와 제1 노즐부의 유입측 단부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노즐부는 배출측 유로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의 폭은 높이 보다 4 내지 6배가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전체 유로가 배출측 영역으로 갈수록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테이퍼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유입측 또는 배출측 위치의 유로 영역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나머지 유로 영역이 유입측 유로에서 배출측 유로 방향으로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테이퍼 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배출측 유로의 단면적이 유입측 유로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 단부의 단면적은 제2 노즐부의 유입측 유로 단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노즐부의 배출측 유로 단부의 일 영역이 제2 노즐부의 유입측 유로 단부의 일 영역과 연속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 주조장치.
KR1020080091255A 2008-09-17 2008-09-17 수평 연속 주조장치 KR10100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55A KR101000027B1 (ko) 2008-09-17 2008-09-17 수평 연속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55A KR101000027B1 (ko) 2008-09-17 2008-09-17 수평 연속 주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09A KR20100032209A (ko) 2010-03-25
KR101000027B1 true KR101000027B1 (ko) 2010-12-09

Family

ID=4218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55A KR101000027B1 (ko) 2008-09-17 2008-09-17 수평 연속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19B1 (ko) * 2010-11-16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노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1149A (ja) 1983-08-08 1985-04-08 デイデイエル−ヴエ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平連続鋳造設備用の耐火通路接続装置
JPS60145249A (ja) 1983-10-13 1985-07-31 ホエスト−アルピ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平連続鋳造鋳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1149A (ja) 1983-08-08 1985-04-08 デイデイエル−ヴエ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平連続鋳造設備用の耐火通路接続装置
JPS60145249A (ja) 1983-10-13 1985-07-31 ホエスト−アルピ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平連続鋳造鋳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09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7117B (zh) 模具和制造铸造制品的方法
USRE45093E1 (en) Submerged entry nozzle with installable parts
US7559353B2 (en) Distributor for use in a method of casting hot metal
ITMI961243A1 (it) Tuffante per la colata continua di bramme sottili
JP6875549B2 (ja) 金属ストリップまたは金属薄板の冷却のための装置
CN102753285B (zh) 用于铸造的供给嘴
KR101000027B1 (ko) 수평 연속 주조장치
US9333557B2 (en) Nozzle for guiding a metal melt
KR102271199B1 (ko) 반응고 고압 주조장치용 슬리브
JP5639369B2 (ja) 粗形材、特に二重t字粗形材を製造するため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CN210121921U (zh) 一种移动模模芯的水道装置
KR102048571B1 (ko) 사각 성형물 제조용 금형장치
CN108927495A (zh) 铸造系统、放热进料器单元和形成该铸造系统的方法
US20040020632A1 (en) Method and strand guide for supporting, guiding and cooling casting strands made of steel, especially preliminary sections for girders
JP5117077B2 (ja) 調温型
KR100676063B1 (ko) 용강토출 제어수단이 구비된 연속주조장치
KR102308297B1 (ko) 주조용 쉬라우드 노즐
US6681964B2 (en) Grooved refractory pouring tube for metallurgical casting, assembly of refractory components, casting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repairing the surface of a refractory component
KR102326253B1 (ko) 주조장치 및 방법
KR102265199B1 (ko) 냉각매체 분사장치
JP2010013291A (ja) ガラス成形型及びガラス成形体の製造装置
CN110653355B (zh) 压铸装置
CN101272876B (zh) 用于铸造板坯的锭模
JP2010274321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