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54B1 -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 Google Patents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54B1
KR100999954B1 KR1020100021468A KR20100021468A KR100999954B1 KR 100999954 B1 KR100999954 B1 KR 100999954B1 KR 1020100021468 A KR1020100021468 A KR 1020100021468A KR 20100021468 A KR20100021468 A KR 20100021468A KR 100999954 B1 KR100999954 B1 KR 10099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ing
teeth
head
toothbrush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형표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어라인 filed Critical (주)아이디어라인
Priority to KR102010002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부 상단에 헤드부의 두 분체를 각각 대향되게 배열하여 그립부와 두 분체가 상호 직교되는 형태를 이루며, 두 분체는 탄성형 중계부재에 의해서 요동 운동이 가능하고, 두 분체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칫솔모를 마련하며, 두 분체가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둔각을 이루고, 전면 칫솔모(둔각 칫솔모)는 오목하게 굴곡져 있으며, 후면 칫솔모(우각 칫솔모)는 볼록하게 굴곡져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하 왕복 칫솔질 동작과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칫솔질 동작 패턴만으로 치아, 혀, 입천장, 협낭 및 교두부 모두에 대한 칫솔질이 가능한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공지의 칫솔을 이용한 칫솔질 시 요구되는 여러 가지 칫솔질 동작에 비해 단순하면서 쉽고 반복되는 동작 패턴의 칫솔질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의 양면(兩面)에 각각 칫솔모를 구비하여 윗니와 아랫니 외측부 칫솔질 시 협낭(頰囊)에 대한 칫솔질도 함께 이루어지고, 아울러 혀의 백태(또는 설태) 제거를 위한 칫솔질 시 입천장에 대한 칫솔질도 함께 이루어지는 등, 하나의 동작 패턴으로 둘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20605호(1999.06.15.공개, 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 『개선된 양치기능을 갖는 칫솔』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은 복수개의 치모가 정면 상으로 입설 고정된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하향 절곡되는 손잡이부를 일체화시킴으로 헤드와 손잡이부가 서로 둔각의 'ㄱ'자 형상이 유지되고, 손잡이부의 외주면 적정 위치에는 엄지손가락 지지용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서, 상하 방향의 올바른 양치 습관을 도모하면서도, 상하운동의 양치에 따른 팔운동의 반경을 최소화하여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특히 양치의 효율성(예컨대, 프라그 제거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25409호(2001.03.16.등록, 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함) 『치솔』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2는 칫솔대 선단의 헤드부재에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는 손잡이부 및 목부가 상기 헤드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치아 세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칫솔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서, 치아와 칫솔모의 유효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치아 사이에 남게 되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의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구강 내 안쪽에 위치한 어금니 등을 세척할 경우 그 위치로 이동하여 세척하기가 용이하며, 혀 또는 앞니, 앞니 내측을 세척할 경우 칫솔대를 파지한 손가락과 손목, 팔의 각도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됨으로서, 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자세를 유도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치아세척을 할 경우에도 손쉽게 치아세척을 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칫솔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상하 칫솔질을 위하여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헤드가 'ㄱ'자 형상으로 일체화시킨 구성으로,
상기 헤드가 절곡된 방향에 따라, 즉 예를 들어 왼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의 전방으로 칫솔모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윗니와 아랫니 중 좌측에 위치한 치아 외측부에 대한 칫솔질 시 손잡이부가 아래에 있고 헤드가 위에 있는 상태로 칫솔질이 가능하나,
윗니 중 우측에 위치한 치아에 대한 칫솔질 시 손잡이부가 아래에 있고 헤드가 위에 있는 상태로는 칫솔질이 불가능하기에, 반대로 손잡이부가 위에 있고 헤드가 아래에 있는 상태, 즉 거꾸로 잡고 칫솔질을 해야 한다.
이때 윗니 중 좌측에 위치한 치아 내측부와, 아랫니 중 우측에 위치한 치아 내측부에 대한 칫솔질 시 헤드가 아래를 향하게 하거나 위로 향하게 손잡이부를 잡아도 헤드가 상기한 윗니 좌측 내측부와 아랫니 우측 내측부에 닿지 않게 됨으로서, 이에 대한 칫솔질을 할 수 없거나, 손잡이부를 이용해 입 꼬리를 최대한 어금니 측으로 밀어서 칫솔질을 하더라도 끝단부에 위치한 어금니까지 칫솔모가 닿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상기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상하 칫솔질을 위하여 손잡이부의 목부에 헤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상기 선행기술 1에 비해 윗니 중 좌측에 위치한 치아 내측부와, 아랫니 중 우측에 위치한 치아 내측부에 대한 칫솔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2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를 위한 칫솔질 동작을 세분화하여 보면,
상호 맞물린 윗니와 아랫니의 외측부에 대한 제1 칫솔질 동작,
제1 칫솔질 동작에서의 칫솔모가 반대를 향하도록 잡고 윗니의 내측부에 대한 제2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상부를 향하도록 잡고 윗니 어금니 맞물림부(즉, 아랫니와의 상호 맞물리는 부위로서, 이하에서는 '교두부'라 통칭함)에 대한 제3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하부를 향하도록 잡고 아랫니 어금니 맞물림부에 대한 제4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외부를 향하도록 잡고 아랫니의 내측부에 대한 제5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하부를 향하도록 잡고 혓바닥에 대한 제6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상부를 향하도록 잡고 입천장에 대한 제7 칫솔질 동작,
칫솔모 측이 외부를 향하도록 잡고 입안의 볼 안쪽 부분(이하에서는 '협낭(頰囊)'이라고 한다.)에서 좌측 및 우측 부위 협낭에 대한 제8 및 제9 칫솔질 동작 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런 칫솔질의 다양한 동작은 손잡이 길이방향에 맞게 동일 방향으로 헤드가 형성되고 이 헤드 일면에 칫솔모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공지의 칫솔과 마찬가지로 팔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칫솔질에 미숙한 어린이가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갖는데 있어 저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치아 세척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ㄱ'자 형상의 칫솔이나, 'T'자 형상의 칫솔 모두 칫솔모와 치아가 상호 접촉 시 치아의 치열에 맞게 대응할 수 없고, 또한 칫솔모의 접촉부가 치열에 맞게 각 치아를 덮을 수 있는 즉, 밀착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치간에 낀 이물질이나 프라그 제거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별도 제거 도구인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이나, 치실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은,
그립(grip)부;
상기 그립부 단부(端部)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에 각각 구비되는 칫솔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두 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체는 탄성형 중계부재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연결되어 있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칫솔모와 치아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칫솔질 운동 시 상기 중계부재를 기준으로 치열에 맞게 상기 각 분체가 밀렸다가 다시 원위치 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분체와 분체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중계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둔각(鈍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두 분체에서 둔각 측 전면에 위치한 칫솔모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치아와의 접촉부가 오목하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분체에서 둔각 반대 측 후면에 위치한 칫솔모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치아와의 접촉부가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은,
그립부 상단에 헤드부의 두 분체를 각각 대향되게 배열하여 그립부와 두 분체가 상호 직교되는 형태를 이루며, 두 분체가 탄성형 중계부재에 의해서 수시로 요동 운동을 함에 따라 개개인의 치열에 맞게 대응할 수 있어 칫솔모가 접촉되는 구간 내의 치아에 대한 밀착성을 높임으로서, 치아 세척이나, 치간 이물질 및 프라그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두 분체의 전면 및 후면, 즉 양면 모두에 칫솔모를 구비함으로서, 어금니 외측부와 협낭, 혀와 입천장 및 교두부 등을 하나의 칫솔질 동작 패턴에 의해서 동시에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하 왕복 칫솔질 동작과, 전후 또는 좌우 왕복 동작(예로 교두부 칫솔질 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로 왕복 동작) 패턴만으로 치아, 혀, 입천장, 협낭 및 교두부 모두에 대한 칫솔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칫솔질에 미숙한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올바른 양치 습관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치간의 이물질 및 프라그 제거 성능이 우수하여 별도의 제거도구(치간 치솔이나 치실 등)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다른 예의 중계수단이 구비된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제1 및 제2 칫솔질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제1 및 제4 칫솔질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제5 칫솔질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제1 칫솔질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제3 칫솔질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헤드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그립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하며, 둔각을 이루는 칫솔모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이라 정하고, 우각(優角)을 이루는 칫솔모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은,
크게 그립(grip)부(10), 헤드부(20) 및 칫솔모(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그립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1),
상기 목부(11)와 연결되고 한 손으로 잡기 용이할 정도의 적정 길이를 갖는 그립바디(12), 그리고
상기 그립바디(11)에 구비되는 파지부(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목부(11)는 상기 그립바디(1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3)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파지부(13)는 그립력 향상을 위해 움켜진 손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10) 단부(端部)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호 연결된 상기 그립부(10)와 상기 헤드부(20)는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T'자 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헤드부(2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압력에 의해 칫솔모(30)와 치아(1)가 상호 접촉되었을 때 치열에 맞게 상기 헤드부(20)가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에,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20)를 두 분체(20A, 20B)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각 분체(20A, 20B)를 탄성형 중계부재(25)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0) 단부, 즉 상기 그립부(10) 목부(11)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연결함으로서,
상하 칫솔질 운동 시 상기 중계부재(25)를 기준으로 치열에 맞게 상기 각 분체(20A, 20B)가 밀렸다가 다시 원위치 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윗니와 아랫니를 이루는 앞니, 송곳니, 어금니 등은 각기 형상이 틀리고, 앞니와 송곳니는 아래로 갈수록 날렵한 형상이며, 어금니는 뭉툭한 형상이고, 특히 앞니, 송곳니, 어금니 등의 외표면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두 분체(20A, 20B)는 칫솔모(30)와 치아(1)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칫솔질 시 치아(1)의 형상에 맞게 중계부재(25)를 기준으로 밀렸다가 다시 원위치하게 되는 요동 운동을 반복하게 됨으로서, 헤드가 고정된 공지의 칫솔에 비해 치아 세척이나 치간의 이물질 및 프라그 제거에 있어 더욱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를 이루는 두 분체(20A, 20B)의 길이는 유아, 어린이, 성인 등에 맞게 적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정 길이'라 함은 그립부(10)가 입 꼬리를 가압할 때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분체 칫솔모(30)가 어금니의 끝단부까지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25)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의 중계부재(25)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10)와 상기 헤드부(2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10)와 상기 헤드부(20)의 자체 연결부(251)이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예의 중계부재(25)는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력을 갖는 별도의 결합부(252)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252)는 상기 그립부(10)의 목부(11)와 상기 헤드부(20)에 개재된다. 결국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0)의 목부(11)와 상기 헤드부(20)에 각각 결합됨으로서 상기 그립부(10)의 목부(11)에 상기 헤드부(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칫솔모(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의 두 분체(20A, 20B)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칫솔질 시 치아의 세척, 치간의 이물질 및 프라그, 혓바닥의 설태(또는 백태), 협낭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질 브러시들이 세워져 밀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수의 연질 브러시들이 밀집된 형태는 상기 헤드부(20)의 전면 및 후면 형상 내에 전면 및 후면 둘레와 상응하게 밀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측에 위치한 분체(20A)의 칫솔모(30)와 타측에 위치한 분체(20B)의 칫솔모(30)는 상호 연결된 형태이거나, 또는 상호 비(非)연결된(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상기 헤드부(20)의 분체(20A)와 분체(20B)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중계부재(25)를 기준으로 서로 둔각(鈍角)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둔각 측에 위치한 칫솔모(30)가 윗니 및 아랫니 외측부와 상호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아울러 둔각 반대 측, 즉 우각(優角) 측에 위치한 칫솔모(3)가 윗니 및 아랫니 내측부와 상호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둔각 측에 위치한 칫솔모(30)와 우각 측에 위치한 칫솔모(30)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전자(前者)의 칫솔모를 '둔각 칫솔모'라 통칭하고 이에 대한 도면부호를 '30A'라 정하며,
아울러 후자(後者)의 칫솔모를 '우각 칫솔모'라 통칭하고 이에 대한 도면부호를 '30B'라 정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상기 두 분체(20A, 20B)에서 둔각 칫솔모(30A)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치아(1)와의 접촉부(31)가 오목하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두 분체(20A, 20B)에서 우각 칫솔모(30B)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치아(1)와의 접촉부(31)가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윗니와 아랫니의 치열이 직선이 아닌 유선 형태로 배열되어 있기에 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결국 둔각 칫솔모(30A)와 우각 칫솔모(30B)의 굴곡진 형태를 통해 치아의 외측부나 내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칫솔질이 이루어짐에 따라 치간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프라그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칫솔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작용 효과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호 맞닿은 윗니와 아랫니의 외측부에 둔각 칫솔모(30A)가 접촉될 수 있도록 그립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윗니와 아랫니의 외측부에 대한 상하왕복 제1 칫솔질 동작(A1),
이때 제1 칫솔질 동작(A1)을 유지하면서 좌우로 이동하여 앞니, 송곳니, 어금니의 외측부에 대한 칫솔질이 이루어지게 되고, 아울러 어금니의 외측부에 대한 칫솔질 시 우각 칫솔모(30B)를 통해 협낭에 대한 칫솔질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벌린 입의 윗니 내측부에 우각 칫솔모(30B)가 접촉될 수 있도록 그립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윗니 내측부에 대한 상하 왕복 제2 칫솔질 동작(A2),
벌린 입의 윗니와 아랫니의 교두부에 우각 칫솔모(30B)와 둔각 칫솔모(30A)(또는 이의 반대)가 접촉될 수 있도록 그립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윗니와 아랫니의 각 맞물림부에 대한 전후 왕복 제3 칫솔질 동작(A3),
이때 제3 칫솔질 동작(A3) 시 윗니와 아랫니의 교두부에 대한 칫솔질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벌린 입의 아랫니 내측부에 우각 칫솔모(30B)가 접촉될 수 있도록 그립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아랫니 내측부에 대한 상하 왕복 제4 칫솔질 동작(A4),
이때 제4 칫솔질 동작(A4) 시 둔각 칫솔모(30A)를 통해 혀의 둘레에 대한 칫솔질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벌린 입의 혀 상부에 둔각 칫솔모(30A)가, 그리고 입천장에 우각 칫솔모(30B)가 위치하도록, 또는 이의 반대로 위치하도록 그립부(10)를 잡은 상태에서 혀와 입천장에 대한 전후 왕복 제5 칫솔질 동작(A5),
이때 둔각 칫솔모(30A)와 우각 칫솔모(30B) 각각이 혀의 상부와 입천장에 각각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내지 제5 칫솔질 동작(A1~A5) 순서는 하나의 예이므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할 것이다.
이상의 제1 내지 제5 칫솔질 동작(A1~A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칫솔질 동작이 전체적으로 간단하면서 일정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칫솔질이 미숙한 어린이가 올바른 양치 습관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치아
10 : 그립부
11 : 목부 12 : 그립바디
13 : 파지부
20 : 헤드부
20A , 20B : 분체
25 : 중계부재
251 : 연결부 252 : 결합부
30 : 칫솔모
30A : 둔각 칫솔모 30B : 우각 칫솔모
31 : 접촉부

Claims (4)

  1. 그립(grip)부(10);
    상기 그립부(10) 단부(端部)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20); 및
    상기 헤드부(20)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에 각각 구비되는 칫솔모(30);
    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20)는 두 분체(20A, 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체(20A, 20B)는 탄성형 중계부재(25)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0)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연결되어 있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칫솔모(30)와 치아(1)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칫솔질 운동 시 상기 중계부재(25)를 기준으로 치열에 맞게 상기 각 분체(20A, 20B)가 밀렸다가 다시 원위치 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21468A 2010-03-10 2010-03-10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KR10099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468A KR100999954B1 (ko) 2010-03-10 2010-03-10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468A KR100999954B1 (ko) 2010-03-10 2010-03-10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954B1 true KR100999954B1 (ko) 2010-12-09

Family

ID=4351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468A KR100999954B1 (ko) 2010-03-10 2010-03-10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79U (ko) * 1977-06-10 1979-01-1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79U (ko) * 1977-06-10 197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504B1 (ko) 상하방향의 동작패턴을 이용한 칫솔
US20200352314A1 (en) Toothbrush
CN105722428B (zh) 口腔护理器具
US20130333134A1 (en) Toothbrush Head and Ergonomic Toothbrush Handle
US20140352719A1 (en) Toothbrush with gripping handle
US6397858B1 (en) Dental concave and convex rake
EP3097820A1 (en) L-shaped toothbrush
JP3130665U (ja) 歯ブラシ
CN200973759Y (zh) 口腔清洁用品
KR101202105B1 (ko)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KR100999954B1 (ko)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KR101203398B1 (ko)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CN207639860U (zh) 一种人体工程学牙刷
CN205513142U (zh) 一种无刷毛牙刷
KR200282830Y1 (ko) 잇몸 맛사지구가 구비된 유아용 손가락 칫솔
JP2005151882A (ja) 犬用歯ブラシ
CN202425854U (zh) 一种t字形牙刷
CN218390179U (zh) 一种3d儿童牙刷
CN207733843U (zh) 一种具有多个刷头的牙刷
CN207590250U (zh) 一种新型牙刷
US9918543B2 (en) Toothbrush with curved neck
JP6130961B2 (ja) 毛束群を有する歯ブラシ
KR200462448Y1 (ko) 입안 칫솔
JP2014138731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