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711B1 -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711B1
KR100998711B1 KR1020080065144A KR20080065144A KR100998711B1 KR 100998711 B1 KR100998711 B1 KR 100998711B1 KR 1020080065144 A KR1020080065144 A KR 1020080065144A KR 20080065144 A KR20080065144 A KR 20080065144A KR 100998711 B1 KR100998711 B1 KR 10099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or
pin
insulato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794A (ko
Inventor
김종복
Original Assignee
엠비콘넥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비콘넥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비콘넥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 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핀은 봉 형상을 가지는 프론트콘텍터와, 상기 프론트콘텍터가 삽입가능한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와,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상기 프론트콘텍터의 삽입 될때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유지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플러그 핀이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콘텍터 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65144
플러그(Plug), 플러그 핀, 프론트콘텍터(Front Contactor), 리어콘텍터(Rear Contactor), 인슐레이터(Insulator)

Description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A Plug Pin and a Plug Using the Plug Pin}
본원발명은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 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핀은 중실봉 형상을 가지는 프론트콘텍터와, 상기 프론트콘텍터가 삽입가능한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와,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상기 프론트콘텍터의 삽입 될때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유지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플러그 핀이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는 봉 형상을 가지는 프론트콘텍터와, 상기 프론트콘텍터가 삽입가능한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와,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상기 프론트콘텍터의 삽입 될때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유지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콘텍터 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대인은 많은 전자기기를 이용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들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자동차 등의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전자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휴대용 제품들의 경우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의 장치에 주기적인 충전을 함으로써 사용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일반적인 장치가 바로 플러그와 콘센트이다. 플러그는 전자기기의 케이블에 설치되는 연결기구를 말하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여 플러그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케이블에 전원을 전송하는 수단이 되는 기구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데, 예를 들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전자기기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자도 플러그라고 한다. 결국 플러그는 전자기기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이나 접속을 원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플러그의 구조는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 핀, 상기 플러그 핀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의 외형을 구성하는 쉘(Shell)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자기기가 전원 공급,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는 용도에 따른 각각의 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했어야만 했다.
결국 종래 전자기기는 전원공급과 데이터 송수신과 같이 용도에 따라 그에 맞는 플러그를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고, 용도에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플러그에 상응하는 다수의 콘센트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다수의 플러그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플러그에 다수의 플러그 핀을 쉘에 단순히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플러그 핀의 수와 동일한 수의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가지는 콘센트를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플러그 핀 수의 확대에 따른 플러그 외형이 증가하고, 공간적 제약을 받는 기기에 그러한 플러그를 적용하는데 부적합한 문제도 안고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주는 플러그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주는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플러그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가능한 플러그 핀을 통해 용도에 따른 다수의 플러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가능한 플러그 핀을 통해 플러그 핀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 는 플러그 핀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은 봉 형상을 가지는 프론트콘텍터와, 상기 프론트콘텍터가 삽입가능한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와,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상기 프론트콘텍터의 삽입 될때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유지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콘텍터는 프론트콘텍터의 일단 외주면 둘레에 확경되어 형성되는 접촉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을 통해 전기배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촉단은 봉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일정한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쉘고정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 형성시 프론트콘텍터의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어콘텍터는 중공봉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접촉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을 통해 전기배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어콘텍터는 중공봉의 일단 외주면에 확경되어 형성되는 쉘고정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슐레이터는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 안착부와, 상기 리어콘텍터 안착부 외주면을 절개하며 형성되는 프론트콘텍터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프론트콘텍터가 삽입된 후 상기 프론트콘텍터 결합홀을 통해 프론트콘텍터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콘텍터 안착부를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론트콘텍터와 리어콘텍터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제2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콘텍터의 양단에 상기 제1, 제2인슐레이터가 각각 위치함으로써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를 절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발명 핀이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는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콘텍터 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는 콘센트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가이드핀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핀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러그를 통해 연결하고자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앞서 살펴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주는 플러그 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주는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플러그 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가능한 플러그 핀을 통해 용도에 따른 다수의 플러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가능한 플러그 핀을 통해 플러그 핀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1은 프론트콘텍터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이고, 도2는 프론트콘텍터의 상측면도 및 좌우측면도이다.
도3은 리어콘텍터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이고, 도4는 리어콘텍터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고하여, 본원발명 플러그(100)는 플러그 핀(1), 가이드 핀(2), 제1, 제2인슐레이터(3, 5), 플레이트(7) 및 쉘(91, 93)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핀(1)은 상기 플러그(100)와 콘센트가 결합할 때 접속시키고자 하는 케이블 간을 직접 이어주는 구성으로 프론트콘텍터(11), 리어콘텍터(13)를 포함한다.
도1을 참고하여, 상기 프론트콘텍터(11)는 전체적으로 원형단면을 가지는 중실봉 형상의 핀으로 일단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은 콘센트에 삽입되어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프론트콘텍터(11)는 전도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 제1접촉단(115), 제1연결단(117) 및 고정단(119)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는 일측이 후술할 제1연결단(117)에 이어지고, 타측은 후술할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에 이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실봉이다.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는 후술할 리어콘텍터(13)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단면 형상은 원형 내지 사각 단면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정하여 설명 한다.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는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후술할 리어콘텍터(13)가 결합될 때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 간을 절연시켜주는 인슐레이터 중 제1인슐레이터(3)가 고정되는 턱이다.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는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의 일측에서 프론트콘텍터 바디의 지름보다 확경되어 나란하게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촉단(115)는 콘센트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턱이다. 상기 제1접촉단(115)은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의 일측에서 확경되어 띠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쉘고정홈(1151)을 포함한다.
도2를 참고하여, 상기 쉘고정홈(1151)은 후술할 핀쉘(93, 도9참고)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프론트콘텍터(11)가 상기 핀쉘(93)과 결합할 때 프론트콘텍터(11)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쉘고정홈(1151)은 상기 제1접촉단(115)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깊이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제1연결단(117)은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의 일측에 확경되어 형성되는 턱이다. 상기 제1연결단(117)은 후술할 리어콘텍터(13)와 프론트콘텍터(11)가 결합하면 제1연결단(117)과 리어콘텍터(1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공간에 접속대상 케이블 C1(도9 참고)이 결속되게 된다.
상기 고정단(119)은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제1연결단(117)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후술할 핀쉘(93)과 프론트콘텍터(1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고정단(119)은 상기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의 지름보다 확경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도3과 도4를 참고하여, 상기 리어콘텍터(13)는 상기 프론트콘텍터(11)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중공봉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리어콘텍터(13)는 전도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리어콘텍터 바디(131), 제2접촉단(132), 쉘고정단(133), 제2연결단(134), 플레이트 스토퍼(135), 플레이트 결합부(136) 및 중공(137)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137)은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제1연결단(117)이 관통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지만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제1접촉단(115)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콘텍터 바디(131)는 상기 중공(137)의 외주면을 이루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접촉단(132)은 콘센트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리어콘텍터 바디(131)의 일측말단 외주면을 따라 띠를 형상을 가지는 턱을 말한다.
상기 쉘고정단(133)은 상기 리어콘텍터(13)가 후술할 쉘바디(91, 도9참고)와 결합할 때 상기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가 결합된 플러그 핀(1)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쉘고정단(133)은 상기 제2접촉단(132)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리어콘텍터 바디(131)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다단의 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단(134)은 플러그를 통해 접속하고자하는 케이블(C2, 도9참고)이 상기 리어콘텍터(1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쉘고정단(133)과 후술할 플레이트 스토퍼(135) 사이에 형성되는 리어콘텍터 바디(131) 부분이다. 상기 쉘고정단(133)과 플레이트 스토퍼(135)의 이격거리는 상술한 제2연결단(134)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플레이트 스토퍼(135)는 후술할 플레이트 결합부(136)가 후술할 플레이트(7)의 콘텍터 관통홀(71)에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쉘고정단(133)에서 일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리어콘텍터 바디(131) 외주면을 따라 턱을 이루며 형성되는 띠형상의 구성이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136)는 후술할 플레이트(7)의 콘텍터 관통홀(71, 도7참고)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리어콘텍터 바디(131)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스토퍼(135)에 이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리어콘텍터(13)의 전체길이 L2(도3참고)는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바디(111) 길이 L1(도1참고)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 길이범위(L2) 이내에서 상기 쉘고정단(133), 플레이트 스토퍼(135)및 플레이트 결합부(136)를 구성하여야만 한다.
상기 가이드 핀(2, 도10참고)은 플러그(100)가 콘센트와 결합할 때 상기 플러그 핀(1)이 용이하게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 이드 핀(2)은 일측이 후술할 플레이트(7)의 가이드 핀 관통홀(75, 도7참고)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고정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상기 가이드 핀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핀(1)이 용이하게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5는 제1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6은 제2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5를 참고하여, 상기 제1인슐레이터(3)는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을 가진 중공봉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프론트콘텍터(11)와 상기 리어콘텍터(13)를 절연시켜주는 구성으로 걸림턱(31), 안착부(33) 및 프론트콘텍터 삽입홈(35)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31)은 상기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가 결합할 때 프론트콘텍터(11)의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와 리어콘텍터(13)의 제2접촉단(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리어콘텍터(13)의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걸림턱(31)의 외주면 지름보다 축경되어 연장되는 중공봉의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리어콘텍터(13)의 중공(137) 내부면과 상기 프론트콘텍터(11)의 바디(11) 외주면이 형성하는에 공간에 삽입되어 프론트콘텍터 바디(11)와 리어콘텍터(13)를 절연시켜주는 구성이다.
상기 프론트콘텍터 삽입홈(35)은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상기 제1인슐레이터(3)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프론트콘텍터 삽입홈(35) 은 상기 제1인슐레이터(3)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과 외주면을 터주는 절취된 구성으로 상기 제1인슐레이터(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 직하다.
도6을 참고하여, 제2인슐레이터(5)는 상기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와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 사이에 결합하여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를 절연시켜 주는 구성으로 걸릴턱(51), 안착부(53) 및 프론트콘텍터 삽입홈(55)을 포함한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5)는 상기 안착부(53)가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와 프론트콘텍터 바디(111) 사이에 결합 된다는 것만 제1인슐레이터(3)와 다를 뿐 제1인슐레이터(3)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그 결합위치 및 연결관계에 관하여는 본원발명 플러그 핀의 조립관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7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여 상기 플레이트(7)를 설명하면, 상기 플레이트(7)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판재로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91 및 93, 도10참고)에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가 결합된 플러그 핀(1)과 상기 가이드 핀(2)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구성이다.
상기 플레이트(7)는 외주면과 중심에 판재를 관통하는 구멍인 콘텍터 관통홀(71), 케이블 관통홀(73) 및 가이드 핀 관통홀(75)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7)의 두께는 상기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와 상기 제2인슐레이터(5)의 걸림턱(51)의 길이를 합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텍터 관통홀(71)은 상기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가 삽입되는 구멍으로 후술할 케이블 관통홀(73)의 외주를 따라 상기 플러그 핀(1)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레이트 결합부(136)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텍터 관통홀(71)은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플러그 핀(1)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그 수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콘텍터 관통홀(7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 관통홀(73)은 상기 플레이트(7)의 중심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상기 리어콘텍터(13)의 제2연결단(134)에 연결될 케이블(C2, 도9참고)이 관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핀 관통홀(75)은 상기 가이드 핀(2)을 고정하는 구멍이다.
도9는 플러그 핀, 플레이트 및 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9를 참고하여, 본원발명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편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쉘(9)은 쉘바디(91)와 핀쉘(93)을 포함한다.
상기 쉘바디(91)는 케이블(C1, C2)과 플레이트(7) 및 리어콘텍터(13)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핀쉘(93)은 상기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기 핀쉘(93)은 프론트콘텍터(11)의 고정단(119)과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핀쉘(93)은 프론트콘텍터(11)의 쉘고정홀(1151)을 통해 상기 고정단(119)에 형성되는 핀쉘과 인슐레이터 고정바 디(113)에 형성되는 핀쉘이 이어지게 되므로, 플러그 핀(1)을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쉘(9)의 형성과정에 관해서는 후술할 플러그(100)의 조립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플러그 핀 및 플러그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도8은 플러그 핀 및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9는 플러그 핀, 플레이트 및 쉘의 결합단면도이며, 도10은 플러그 핀의 부분단면도를 포함하는 플러그 전체의 도면이다.
도8을 참고하여 플러그 핀(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1인슐레이터(3)를 프론트콘텍터(11)의 바디(111)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상기 제1인슐레이터(3)의 프론트콘텍터 삽입홈(35)을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맞대어 밀어주면 된다. 이때 제1인슐레이터(3)의 걸림턱(31)이 프론트콘텍터의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를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도9를 참고하여 제1인슐레이터(3)의 결합위치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인슐레이터(3)는 걸림턱(31)이 프론트콘텍터(11)의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에 접촉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도8을 참고하여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리어콘텍터(13)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137)을 이용하여 프론트콘텍터(11)의 고정단(119) 방향에서 상기 리어콘텍터(13)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리어콘텍터(13)는 제2접촉단(132)을 선두로 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합의 위치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3)의 안착부(33)에 상기 리어콘텍터(13)의 중공(137)이 안착될 때까지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9를 참고해서 살펴보면, 제1인슐레이터(3)의 안착부(33) 하부에는 프론트콘텍터 바디(111)가 접하고, 안착부(33)의 상부에는 리어콘텍터(13)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1인슐레이터(3)의 걸림턱(31)은 일측이 프론트콘텍터(11)의 인슐레이터 고정바디(113)가 형성하는 턱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은 상기 리어콘텍터(13)의 제2접촉단(132)에 위치함으로써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를 절연할 수 있게 한다.
도8을 참고하여 제2인슐레이터(5)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기 제2인슐레이터(5)는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와 프론트콘텍터(11)의 연결단(11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2인슐레이터(5)를 프론트콘텍터(11)와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2인슐레이터의 프론트콘텍터 삽입홈(55)을 상기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맞대어 밀어 넣어주면 된다.
도9를 참고하여 이후의 제2인슐레이터(5) 결합위치를 설명하자면,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결합된 제2인슐레이터(5)는 리어콘텍터(13)의 중공(137)으로 삽 입되어야 한다.
이때 제2인슐레이터(5)의 안착부(53) 하부는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에 접하고, 상부는 리어콘텍터(13)의 중공(137)과 접하게 된다. 또 제2인슐레이터(5)의 걸림턱(51)은 일측이 상기 리어콘텍터(5)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에 접하게 됨으로써 프론트콘텍터(11)와 리어콘텍터(13)를 절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프론트콘텍터 바디(111)의 길이(L1)가 리어콘텍터(13)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인슐레이터(5)와 프론트콘텍터의 연결단(117)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술한 제2인슐레이터(5)와 프론트콘텍터 연결단(1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후술할 케이블 C1이 결속되게 된다.
이후에는 플레이트(7)의 결합과 쉘(9)의 결합을 살펴보면, 우선 도8에서와 같이 플레이트(7)의 콘텍터 관통홀(71)에 상기 플러그 핀(1)을 삽입하여야 한다.
도9를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 핀(1)과 콘텍터 관통홀(71)의 결합관계를 보면, 상기 리어콘텍터(13)의 플레이트 결합부(136)와 상기 제2인슐레이터(5)의 걸림턱(51)이 상기 콘텍터 관통홀(71)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1)을 플레이트(7)에 결합하게 된다.
플러그 핀(1)과 플레이트(7)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면, 가이드 핀(2)을 플레이트(7)의 가이드 핀 관통홀(75, 도8참고)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핀(2)과 가이드 핀 관통홀(75)과의 결합관계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채택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것이므로 본원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 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플러그 핀(1)과 가이드 핀(2)까지 플레이트(7)에 결합되었다면, 이제는 케이블(C1, C2)을 플러그 핀(1)에 결속하여야 한다.
도9를 참고하여, 플러그 핀(1)과 플레이트(7)가 콘텍터 관통홀(71)을 통해 결합하고 나면, 플레이트(7)와 프론트콘텍터 연결단(1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케이블 C1이 결속되게 된다. 한편 케이블 C2는 상기 플레이트(7)의 케이블 관통홀(73)에 삽입된 후 리어콘텍터(13)의 제2연결단(134)에 결속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 C1과 케이블 C2의 결속방법은 납땜과 같이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법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도9와 도10을 참고하여 쉘(9)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본원발명 플러그(100)는 상기 쉘(9)을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계된 플러그(100)의 외형과 상술한 플러그 핀(1) 및 가이드 핀(2)의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틀을 제작한 뒤 상기 틀에 플러그 핀(1)을 비롯한 플레이트(7)와 케이블(C1, C2)를 위치시키고 쉘(9)의 제료가 되는 고무 기타의 액상수지를 사출하면 쉘(9)이 형성되고, 이로써 본원발명인 플러그(100)도 완성되게 된다.
도1은 프론트콘텍터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이고, 도2는 프론트콘텍터의 상측면도 및 좌우측면도이다.
도3은 리어콘텍터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이고, 도4는 리어콘텍터의 단면도이다.
도5는 제1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6은 제2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7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8은 플러그 핀과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9는 플러그 핀, 플레이트 및 쉘의 결합단면도이며, 도10은 플러그 핀의 부분단면도를 포함하는 플러그 전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플러그: 100 플러그 핀: 1
프론트콘텍터: 11 프론트콘텍터 바디: 111
인슐레이터 고정바디: 113 제1접촉단: 115
쉘고정홈: 1151 제1연결단: 117
고정단: 119 리어콘텍터: 13
리어콘텍터 바디: 131 제2접촉단: 132
쉘고정단: 133 제2연결단: 134
플레이트 스토퍼: 135 플레이트 결합부: 136
중공: 137 가이드 핀: 2
제1인슐레이터: 3 걸림턱: 31
안착부: 33 프론트콘텍터 삽입홀: 35
제2인슐레이터: 5 플레이트: 7
콘텍터 관통홀: 71 케이블 관통홀: 73
가이드 핀 관통홀: 75 쉘: 9
쉘바디: 91 핀쉘: 93

Claims (10)

  1.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 핀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은 봉 형상을 가지는 프론트콘텍터와, 상기 프론트콘텍터가 삽입가능한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와,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상기 프론트콘텍터의 삽입 될때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유지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핀으로 다수의 배선을 접속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콘텍터는 프론트콘텍터의 일단 외주면 둘레에 확경되어 형성되는 접촉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을 통해 전기배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은 봉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일정한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쉘고정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 형성시 프론트콘텍터의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콘텍터는 중공봉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접촉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을 통해 전기배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콘텍터는 중공봉의 일단 외주면에 확경되어 형성되는 쉘고정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중공봉 형상의 리어콘텍터 안착부와, 상기 리어콘텍터 안착부 외주면을 절개하며 형성되는 프론트콘텍터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프론트콘텍터가 삽입된 후 상기 프론트콘텍터 결합홀을 통해 프론트콘텍터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콘텍터 안착부를 상기 리어콘텍터의 중공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론트콘텍터와 리어콘텍터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제2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콘텍터의 양단에 상기 제1, 제2인슐레이터가 각각 위치함으로써 리어콘텍터와 프론트콘텍터를 절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8. 핀이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간을 이어주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핀이 플러그의 외형을 형성하는 쉘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콘텍터 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콘센트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가이드핀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핀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러그를 통해 연결하고자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80065144A 2008-07-04 2008-07-04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KR10099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144A KR100998711B1 (ko) 2008-07-04 2008-07-04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144A KR100998711B1 (ko) 2008-07-04 2008-07-04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4A KR20100004794A (ko) 2010-01-13
KR100998711B1 true KR100998711B1 (ko) 2010-12-07

Family

ID=4181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144A KR100998711B1 (ko) 2008-07-04 2008-07-04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91Y1 (ko) * 2010-09-30 2011-06-02 이완규 220v 전원플러그용 핀단자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371Y1 (ko) 1999-09-11 2000-03-15 김근상 이어폰용 다극화 플러그
JP2001357948A (ja) 2000-06-14 2001-12-26 Hideaki Moji 同軸多極プラグ
US6860760B2 (en) 2002-12-19 2005-03-01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06294475A (ja) 2005-04-12 2006-10-26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371Y1 (ko) 1999-09-11 2000-03-15 김근상 이어폰용 다극화 플러그
JP2001357948A (ja) 2000-06-14 2001-12-26 Hideaki Moji 同軸多極プラグ
US6860760B2 (en) 2002-12-19 2005-03-01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06294475A (ja) 2005-04-12 2006-10-26 Yazaki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4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1983B (zh) 插接连接器
US7601029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US809682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US9172193B2 (en) Joint connector extending structure and joint connector
US1017747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5811164A (zh) 用于汽车中的数据传输的连接器插入件和连接器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KR20080036800A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KR100998711B1 (ko) 플러그 핀 및 상기 플러그 핀을 이용한 플러그
US7914334B2 (en) Adapter having flexible cable
US7201612B1 (en) High amperage electrical connector
KR101725929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JP2008084672A (ja) 合体解除治具
CN103367979A (zh) 连接器组件
US20220294159A1 (en) Connector
US20210166842A1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An Insulator Sleeve To An Electrical Conductor
JP2002231361A (ja) 電気連結器用接触片組立体
US20100178785A1 (en) Wire connection unit
US9368949B2 (en) Channel system
CN109950764B (zh) 印制板接线用转接器
CN103503245B (zh) 包括从插座枢转出的插脚的插头
TWI393301B (zh) 電源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