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600B1 -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600B1
KR100998600B1 KR1020070122403A KR20070122403A KR100998600B1 KR 100998600 B1 KR100998600 B1 KR 100998600B1 KR 1020070122403 A KR1020070122403 A KR 1020070122403A KR 20070122403 A KR20070122403 A KR 20070122403A KR 100998600 B1 KR100998600 B1 KR 10099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ooden
herbal
orient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420A (ko
Inventor
김종이
Original Assignee
김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이 filed Critical 김종이
Priority to KR102007012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6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합한 한약재를 적량 가미한 한방황토판넬의 설치가 용이한 한방황토보료로 제공되게 하며, 한약재의 약리가 한방황토판넬의 하부에 위치된 가열수단체의 가온으로 지속적으로 미치도록 건강기능성 한방황토보료를 제공하며, 특히 유지보수나 이사시 목재외곽틀과 목재수납부로부터 한방황토판넬이 내장된 목곽틀을 용이하게 분리 조립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도록 한 발명인 것이다.
Figure R1020070122403
한방,황토,보료

Description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The korean medicine loess bed and th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방 한약재를 가미한 한방황토판넬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R 공개특허공보(A) 공개특허특 1995-0028708호
[문헌 2] KR 공개실용공보(U) 공개실용 1993-21072호
[문헌 3] KR 등록특허공보(B1) 등록특허 10-051138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한약재를 농축 또는 분말하여 풀로서 직포에 접착하여 한약재층이 형성된 직포를 마련하고, 상,하부에 촘촘한 직포를 덮어서 봉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침대용포'와 상기 직포에 접착하는 한약재를 십전대보탕,쌍화탕과 같은 수개의 처방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문헌 1]기술이나, 침대통체에 철망재에 의해 가열실과 한약수납실 및 자갈수납실을 각각 설치하여 가열실에는 난방관을 배관하고 약제 수납실에는 한약재나 방향제를 수납하며 자갈수납실에는 통상의 자갈을 일정두께로 장입하여 침대매트로 구성한 '한약제 내장형 자갈침대'와 같은 [문헌 2] 기술 및 소정 넓이의 수용공간을 갖는 윗면만이 개구된 구리재질의 직방체의 금속함체와, 상기 금속함체의 수용공간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그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황토재질이 제1판과,상기 제1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라텍스재질의 쿠션판 및 그 전체를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여 된 매트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쿠션판과의 사이에 동일크기로 위치되며,쑥,솔잎,당귀,백지,두충,백충,고본,전초와 같은 한약재를 잘게 썰은 시료들에 천연 접착제를 일정 혼합하여 압축하여 된 제2판; 및 상기 제2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1판의 내부에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갖는 황토매트'로 상기 제1판에는 갈라짐 방지용 구리재질의 그물망이 내장되거나, 제1판에는 황토에 볏짚,맥반석가루,옥가루,숯가루를 혼합하여 압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헌 3]기술과 같은 종래기술들이 있었다.
삭제
즉,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보약형 한약재나 탕 또는 분말을 풀로 직포에 붙여 봉재한 침대용포나, 불특정 한약재를 내장한 자갈매트,쑥,솔잎 등과 같은 수가지의 한약재를 내장한 황토매트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기술들에 제시된 침대포,자갈매트,황토매트에서는 침대포나 매트 교체시 판넬 전체를 폐기하거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황토보료 등에 첨가되는 각종 한약재의 취사선택은 이조 말엽 동무공(東武公) 이제마 선생에 의하여 유학과 한의학적인 관점에 따라 연구 완성된 학문으로 사상의학(四象醫學)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마의 한의서인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는 사람은 날때 타고난 장부(臟腑)의 이치는 서로 갖지 않은 것으로, 폐(肺)가 크고 간(肝)이 작은자를 '태양인'이라 하고, 간(肝)이 크고 폐(肺)가 작은 자를 '태음인'이라 하고,지라(脾)가 크고 콩팥(腎)이 작은자를 '소양인'이라 하고, 콩팥(腎)이 크고 지라(脾)가 작은 사람을 '소음인'으로 분류 하였다.
나아가, 태양인은 폐가 강하고 간이 약하게 태어난 체질,태음인은 간이 강하고 폐가 약하게 태어난 체질, 소양인은 지라가 강하고 콩팥이 약하게 태어난 체질,소음인은 콩팥이 크고 지라가 약하게 태어난 체질로서, 폐의 기능이 약하면 심장 및 호흡기 계통이 약하며,지라가 강하면 췌장 및 위장과 같은 비위 즉, 소화기계통이 강하고, 콩팥이 강하면 신장 및 내분비계통이 강한 체질로 분류된다는 것으로,사람은 상기와 같은 오장육부의 크기에 따라 체형과 성격,음식물의 섭취도 크게 달라지게 되므로, 한방에서는 체질을 고려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가열수단체를 하방에 수용 배치한 목재 수납부와, 목재 수납부의 사방테두리를 수용 커버하는 목재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방황토침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토를 심층채굴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100 매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수분 15%대로 자연건조시킨 황토준비 제1단계와; 약재분쇄기로 오가피,목과,송아,교맥,해송자,한련초,숙지황,육종용,차전자,목통,천문동, 오미자, 산약, 상백피, 마황, 황기, 인삼,창출,원지,육계와 같은 한약재를 분쇄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황토 80중량%에, 제2단계에서 준비된 한약분쇄물을 20중량% 혼합하는 제3단계와; 한약재가 혼합된 황토를 유압프레스식 성형기로 상측 사방테두리에 폭 10㎜*깊이 15㎜의 단(段), 또는 상측 사방테두리 내측 상면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요홈이 형성된 소정의 넓이와 두께 30㎜의 한방황토판넬을 준비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이 수용되도록 내측 상부테가 단턱으로된 목곽틀, 또는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전통문살이 내측테에 짜맞춤 되는 목곽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목곽틀을 준비하는 제5단계; 제5단계의 목곽틀 어느 양변을 요홈부를 형성하는 제6단계;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을 제5단계에서 준비된 목곽틀에 수용하는 제7단계; 준비된 목재수납부의 길이방향 상측 양편과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내측프레임에 상기 목곽틀에 형성된 요홈부 간격으로 간봉요홈부를 각 형성하는 제8단계; 목재수납부에 마련된 간봉요홈부에 간봉을 배치함과 동시에, 간봉 양편에 한방황토판넬을 수용한 목곽틀의 요홈부를 밀착조립하는 제9단계; 간봉과 목곽틀 조립이 완료된 목재수납부 사방테두리에 목재외곽프레임을 수용 커버시킨 후,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외곽측방에서 목재수납부 길이방향프레임까지 고정수단을 체결 관통하여 완성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황토보료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하도록 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를 가미한 한방황토판넬로 이루어지는 한방황토보료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공되는 한방황토보료에 관한 것으로, 한방황토판넬에 가미한 한약재의 약리가 한방황토판넬 하부에 위치된 가열수단체의 가온에 의해, 이로운 약리가 지속적으로 미치도록 하는 건강기능성 한방황토보료를 제공하는 효과와 동시에 유지보수나 이사시에도 목재외곽틀과 목재수납부로부터 한방황토판넬이 내장된 목곽틀을 용이하게 분리 조립하여, 분리가 어려운 여타의 일반 황토,옥,돌침대 및 보료에 비해 취급이 간편한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한방 한약재를 적정 가미한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침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가미된 한약재의 약리기능이 한방황토판넬 하부에 위치된 가열수단체의 가온에 의해, 이로운 약리가 지속적으로 미치도록 하는 한방황토보료로서, 특히 한방황토판넬의 교체 등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채택된 한약재로는 백과사전 및 한의서 및 각종 문헌에 제시되고 검증된 바로 그 취사선택은 전문의 한방 처방전에 따름이 바람직하다.
[오가피]
오가피(五加皮;오갈피)는 성질은 따뜻하며[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기운을 돕고 정수를 보충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히 하고 의지를 굳세게 하며 남자의 음위증과 여자의 음부 가려움증을 낫게 한다. 허리와 등골뼈가 아픈 것, 두 다리가 아프고 저린 것, 뼈마디가 조여드는 것, 다리에 힘이 없어 늘어진 것 등을 낫게 한다.
[목과]
목과(木瓜;모과)는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시고[酸] 독은 없다. 곽란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며 계속 쥐가 이는 것을 치료하며 소화를 잘 시키고 이질 뒤의 갈증을 멎게 한다. 또한 분돈(奔豚), 각기(脚氣), 수종(水腫), 소갈, 구역과 담연이 있는 것 등을 치료한다. 또한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것을 낫게 한다. 힘줄과 혈을 보하며, 모과의 열매는 박 같은 것이 좋다. 수, 족태음경(手足太陰經)에 들어가기 때문에 폐를 도와주고 습을 없애며 위를 고르게 하고 비(脾)를 자양한다[입문].
달인 물을 마시면 곽란이 치료된다. 그 달인 물로 발과 정강이를 씻으면 잘 쓰지 못하던 다리를 쓸 수 있다[본초].
모과근(木瓜根)은 각기(脚氣)를 치료한다[본초]
[송아]
폐를 보하고 신경통, 두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송화가루에 함유된 칼슘,비타민 B1,B2,비타민 E는 인체의 혈관을 확장시켜주어 피돌기를 좋게 하여 치매예방에 좋다고 한다. 송화차(松花茶)는 중풍·고혈압 및 심장병에 가장 좋은 차이다.
또, 송화가루에 함유된 콜린은 죽순 콜린함량이 6,800배나 되며,지방간을 해소 하는 특수물질이라고 한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91 일월서각,후지죽류 식물원 보고 12호-'67)
[교맥]
교맥(蕎麥, 메밀)은 성질이 평(平)하면서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을 돕는다. 그리고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고는 하나 5장에 있는 더러운 것을 몰아내고 정신을 맑게 한다[본초].
[해송자]
해송자(海松子, 잣)의 성질은 조금 따뜻하고[小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골절풍(骨節風)과 풍비증(風痺證), 어지럼증 등을 치료한다. 피부를 윤기나게 하고 5장을 좋게 하며 허약하고 여위어 기운이 없는 것을 보한다[본초].
[한련초]
국화과(Asteraceae)의 한해살이풀로,잎이나 줄기를 꺾으면 검은 즙이 흘러내리므로 묵련초, 혹은 검은 물고기인 가물치 "례" 자를 써서 예장초라 하며, 조선 세종 임금이 편찬한 세계 최대의 의학백과사전인<의방유취>에 흰 머리카락을 검어지게 하는 처방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향약집성방>에 나온 기록으로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이 평하고 독이 없 다. 피똥을 누는데,침을 맞은 자리나 뜸을 뜬 자리가 곪은 데와 피가 몹시 나면서 멎지 않는 데에 달여먹거나 짓찧어 붙이면 곧 낫는다. 한련초 즙을 머리카락이나 눈썹에 바르면 머리카락과 눈썹이 빨리 자라면서 숱이 많아진다. 고름을 빨아내고 피나는 것을 멋게 하며 소장을 통하게 하며,또 수염과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고 여러 가지 헌 데와 손바닥에 생긴 부스럼에 붙인다."
이와 같은 한련초에는 사포닌,탄닌,에크립틴,쿠마린 화합물인 웨텔로락틴,비타민 A등이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웨텔로락틴이라는 성분이 공기와 닿으면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색깔이 까맣게 변하는데, 이 성분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력이 있다고 한다.
[숙지황]
숙지황(熟地黃, 찐지황)의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약간 쓰고[微苦] 독이 없다. 부족한 혈을 크게 보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해 주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허손증(虛損證)을 보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기운을 더 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육종용]
육종용은 겉은 잣송이 처럼 비늘이 있고 길이는 1자가 넘는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려 쓴다. 술에 담갔다가 비늘 같은 것을 벗겨버린다[본초].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달고[甘] 시며[酸] 짜고[鹹] 독이 없다.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하며 음경 속이 찼다 더웠다 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하며 양기를 세게 하고 정기를 보하여 아이를 많이 낳게 한다. 남자의 양기가 끊어져서 음위증이 된 것과 여자의 음기가 끊어져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5장을 녹여 주고 살찌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남자의 몽정과 유정, 피오줌이 나오는 것,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여자의 대하와 음부가 아픈 데 쓴다.
[차전자]
차전자(車前子)는 성질은 차며[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짜며 독이 없다. 주로 기의 장애로 오줌이 나오지 않은 곳에 쓰며, 5림(淋)을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간의 풍열(風熱)과 풍독(風毒)이 위로 치밀어서 눈에 퍼져 장애가 생긴 것에 사용한다.
[목통]
열매는 으름이라고 하며, 그 넝쿨을 목통이라 하는데, 줄기에는 여러 가지 트리테르펜사포닌성분이 있으며, 칼륨이 많은 회분성분이 풍부하며, 특히 달임액은 이뇨작용과 강심작용이 있어, 한의에서는 한의에서 소염약, 이뇨약, 진통약, 배농약으로 신장염, 심장병으로 인한 부기, 신경통, 관절염, 임신부기에 사용한다.
[천문동]
천문동(天門冬)의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달며[甘] 독이 없다. 폐에 기가 차서 숨이 차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는 담을 삭이고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를 낫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신기(腎氣)를 통하게 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천문동은 수태음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오미자]
오미자(五味子)의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약간 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虛勞)로 몹시 여윈 것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신[水藏]을 덥히고 양기를 세게 한다. 남자의 정을 돕고 음경을 커지게 한다. 소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술독을 풀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손진인(孫眞人)이 “여름철에 오미자를 늘 먹어 5장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고 한 것은 위로는[上] 폐를 보하고 아래로는 신을 보하기 때문이다. 수태음,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산약]
산약(山藥)은 참마의 한방명으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유효 성분이 많아 자양 강장, 불로장생의 약죽으로 손꼽히는 참마죽의 재료로 쓰인다. 보통 참마 하면 생것을 가리키고, 산약은 참마를 말려 한방 약재로 만든 것을 가리키는데, 기침, 천식, 식은땀, 숨가쁨을 치료하고 허약 체질을 개선 시킨다.
[상백피]
상백피는 소염·이뇨·진해제로서 해소·천식·부종·소변불리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또 잎은 뽕잎이라 해서 해열·진해·소염제로서 감기·눈병·고혈압 등의 치료에 쓰인다.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는 상심이라고 해서 강장·진정·보혈·설사멎이약으로 이용된다.상백피는 맛과 성질은 달고 차갑다. 폐경(肺經),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뽕나무가지를 하루 10-15g을 달여먹으면 痺症(비증), 팔이 쑤시고 저리는 관절염,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사지마비,각기,고혈압, 부증에 좋다. 혈당 저 하 성분이 있어 당뇨환자에 적합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높고, 멜라닌 생성 억제, 미백 효과와 함께 보습 효과까지 뛰어나다.
[마황]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수태음경의 약이며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수소음경과 양명경을 돌아간다. 태양경과 소음경에 땀을 내어 겉에 있는 한사(寒邪)를 없애고 위기(衛氣)가 실한 것을 사(瀉)하여 영(榮) 속에 찬 기운을 없앤다[탕액].
[황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허손증으로 몹시 여윈 데 쓴다. 기를 돕고 살찌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신이 약해서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하며 옹저를 없애고 오래된 헌데에서 고름을 빨아내며 아픈 것을 멎게 한다.비위의 약이며, 상한에 척맥(尺脈)이 짚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기(腎氣)를 보한다는 것은 속을 치료하는 약이라는 것이다.
[인삼]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약간 쓰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주로 5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기억력을 좋게 한다. 허손된 것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로 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힌다.
인삼은 폐화(肺火)를 동하게 하므로 피를 토하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하거나 얼굴빛이 검고 기가 실하며 혈이 허하고 음이 허해진 사람에게는 쓰지 말고 더덕 (사삼)을 대용으로 쓰는 것이 좋다[단심].
[창출]
창출(蒼朮, 삽주)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근육이 땅기는병, 기괴(氣塊), 풍토병,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족양명과 족태음경에 들어가며 위(胃)를 든든하게[健] 하고 비(脾)를 편안하게 한다[입문]. 삽주는 웅장하여 올라가는 힘이 세고 습을 잘 없애며 비를 안정시킨다[역로].
[원지]
원지(遠志)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지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을 없애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또는 심기(心氣)를 진정시키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驚悸]을 멎게 하며 건망증[健忘]을 치료하고 정신을 안정시킬 뿐 아니라 정신을 흐리지 않게 한다.
[육계]
육계(肉桂)는 신(腎)을 잘 보하므로 5장이나 하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下焦藥]으로 쓴다. 수족소음경에 들어간다. 빛이 자줏빛이면서 두터운 것이 좋다[입문]
이하,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방황토보료의 실시예]
통상의 가열수단체를 하방에 수용 배치한 목재 수납부와, 목재 수납부의 사방테두리를 수용 커버하는 목재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방황토보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토를 심층채굴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100 매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수분 15%대로 자연건조시킨 황토준비 제1단계와; 약재분쇄기로 오가피,목과,송아,교맥,해송자,한련초,숙지황,육종용,차전자,목통,천문동, 오미자, 산약, 상백피, 마황, 황기, 인삼,창출,원지,육계와 같은 한약재를 분쇄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서 준비된 황토 80중량%에, 제2단계에서 준비된 한약분쇄물을 20중량% 혼합하는 제3단계와; 한약재가 혼합된 황토를 유압프레스식 성형기로 상측 사방테두리에 폭 10㎜*깊이 15㎜의 단(段), 또는 상측 사방테두리 내측 상면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요홈이 형성된 소정의 넓이와 두께 30㎜의 한방황토판넬을 준비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이 수용되도록 내측 상부테가 단턱으로된 목곽틀, 또는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전통문살이 내측테에 짜맞춤 되는 목곽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목곽틀을 준비하는 제5단계; 제5단계의 목곽틀 어느 양변을 요홈부를 형성하는 제6단계;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을 제5단계에서 준비된 목곽틀에 수용하는 제7단계; 준비된 목재수납부의 길이방향 상측 양편과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내측프레임에 상기 목곽틀에 형성된 요홈부 간격으로 간봉요홈부를 각 형성하는 제8단계; 목재수납부에 마련된 간봉요홈부에 간봉을 배치함과 동시에, 간봉 양편에 한방황토판넬을 수용한 목곽틀의 요홈부를 밀착조립하는 제9단계; 간봉과 목곽틀 조립이 완료된 목재수납부 사방테두리에 목재외곽프레임을 수용 커버시킨 후,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외곽측방에서 목재수납부 길이방향프레임까지 고정수단을 체결 관통하여 완성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목재수납부는 일정규격의 목재수납부바닥판에 일정높이의 사방테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사방테 좌우상단에는 수개의 간봉요홈부가 형성되며, 폭방향 일측 테두리에서 일정이격 된 헤드경계목을 형성하며, 헤드경계목 양 하단과 폭방향 일측테두리 하단에는 가열수단체 라인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재외곽프레임은 폭방향 일측부는 헤드커버를 형성하고, 헤드커버 하단에는 형성한 가열수단체 라인홈에는 라텍스폼을 고정하도록 하여, 목재수납부에 목재외곽프레임을 커버 수용하거나, 오픈시킬때 목재수납부 목재수납부바닥판에 수납된 가열수단체의 가열수단체라인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방해받지 않은체 라텍스폼 하방으로 긴밀하게 인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목곽틀 양변중 외측 어느 일변에 형성되는 요홈부는 바람직하게 반원홈,[,<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를 이루도록 홈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외곽측방에서 목재수납부 길이방향프레임까지 관통하는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 목재 육각구멍붙이멈춤나사 또는 금속재 육각구멍붙이멈춤나사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고정수단을 사용하며, 목재 외곽프레임의 고정수단입구인 나사공에는 캡으로 마감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판넬에 형성되는 전통문살은 井,+,×,◇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체는 온수보일러액슬,전기축열판,가열시트,히트파이프중 선택되는 어느 한 수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판넬을 수용한 목곽틀의 저부는 한지(도시되지 않았음)를 바르는 것이 유지관리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보료에는 가열수단체에 따르는 각종 부대품으로 온도조절기,온도감지센서,또는 소형온수보일러 및 순환펌프 등이 생략되어 있으나, 지극히 일반적인 부대품으로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약재는 전문의 처방전에 따라 취사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방 한약재를 가미해 제조한 한방황토판넬제조방법 및 한방황토보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미된 한방약재의 약리가 한방황토판넬 하부에 위치된 가열수단체의 가온에 의해, 장기 지속적으로 미쳐, 허한 부분들이 보하도록 하는 건강기능성 한방황토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보료는 유지보수 및 이사 때 목재외곽틀과 목재수납부를 따로 분리하거나, 또는 목재수납부로부터 한방황토판넬이 내장된 목곽틀 까지 따로 분리하여 운송시키기 용이하며, 한방황토판넬의 약리가 저감된 한방황토판넬만을 정기적으로 용이하게 교체 보수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한방황토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한방황토침대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인 목곽틀의 참고도로 ⅰ)은 사시도, ⅱ)는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곽틀에 수용되는 한방항토판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곽틀에 전통문살이 가미된 또 다른 실시예로, ⅰ)은 정(井)자 패턴 평면도, ⅱ)는 +자 패턴 평면도, ⅲ)은 ×자 패턴 평면도, ⅳ)은 ◇자 패턴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목곽틀에 수용되는 한방황토판넬 실시예로 ⅰ)은 정(井)자 패턴 한방황토판넬사시도, ⅱ)는 +자 패턴 한방황토판넬사시도, ⅲ)은 ×자 패턴 한방황토판넬사시도, ⅳ)은 ◇자 패턴 한방황토판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곽틀 양변중 외측 어느 일변에 형성되는 요홈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 ⅰ)은 [ 형 요홈부가 형성된 목곽틀 단면도, ⅱ)는 < 형 요홈부가 형성된 목곽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황토침대의 부분 발췌사시도로 목재 외곽프레임 헤드부에서 인출되는 가열수단체 라인을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한방황토침대 200:목재외곽프레임
201;501:간봉요홈부 202;502:나사공
203:육각구멍붙이멈춤나사 204:캡
205:헤드커버
300;300A;300B;300C;300D:목곽틀
301:요홈부 302:단턱
400;400A;400B;400C;400D:한방황토판넬
401;401A;401B;401C;401D:단(段)
500:목재수납부 520:헤드경계목
530:가열수단체 라인홈 540:라텍스폼
600:가열수단체 601:가열수단체 라인
700:단열시트부

Claims (19)

  1. 통상의 가열수단체를 하방에 수용 배치한 목재 수납부와, 목재 수납부의 사방테두리를 수용 커버하는 목재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방황토침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토를 심층채굴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100 매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수분 15%대로 자연건조시킨 황토준비 제1단계와; 약재분쇄기로 오가피,목과,송아,교맥,해송자,한련초,숙지황,육종용,차전자,목통,천문동, 오미자, 산약, 상백피, 마황, 황기, 인삼,창출,원지,육계와 같은 한약재를 분쇄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황토 80중량%에, 제2단계에서 준비된 한약분쇄물을 20중량% 혼합하는 제3단계와; 한약재가 혼합된 황토를 유압프레스식 성형기로 상측 사방테두리에 폭 10㎜*깊이 15㎜의 단(段), 또는 상측 사방테두리 내측 상면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요홈이 형성된 소정의 넓이와 두께 30㎜의 한방황토판넬을 준비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이 수용되도록 내측 상부테가 단턱으로된 목곽틀, 또는 한방황토판넬의 상측 사방테두리 단(段)에 폭 7㎜*깊이 10㎜의 전통문살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의 전통문살이 내측테에 짜맞춤 되는 목곽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목곽틀을 준비하는 제5단계; 제5단계의 목곽틀 어느 양변을 요홈부를 형성하는 제6단계; 제4단계에서 준비된 한방황토판넬을 제5단계에서 준비된 목곽틀에 수용하는 제7단계; 준비된 목재수납부의 길이방향 상측 양편과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내측프레임에 상기 목곽틀에 형성된 요홈부 간격으로 간봉요홈부를 각 형성하는 제8단계; 목재수납부에 마련된 간봉요홈부에 간봉을 배치함과 동시에, 간봉 양편에 한방황토판넬을 수용한 목곽틀의 요홈부를 밀착조립하는 제9단계; 간봉과 목곽틀 조립이 완료된 목재수납부 사방테두리에 목재외곽프레임을 수용 커버시킨 후,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외곽측방에서 목재수납부 길이방향프레임까지 고정수단을 체결 관통하여 완성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목재수납부는 일정규격의 목재수납부바닥판에 일정높이의 사방테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사방테 좌우상단에는 수개의 간봉요홈부가 형성되며, 폭방향 일측 테두리에서 일정이격된 헤드경계목을 형성하며, 헤드경계목 양 하단과 폭방향 일측테두리 하단에는 가열수단체 라인홈을 구비해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목재외곽프레임은 폭방향 일측부는 헤드커버를 형성하고, 헤드커버 하단에는 형성한 가열수단체 라인홈에는 라텍스폼을 고정해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목곽틀 양변중 외측 어느 일변에 형성되는 요홈부는 반원홈,[,<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목재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 외곽측방에서 목재수납부 길이방향프레임까지 관통하는 고정수단은 목재 육각구멍붙이멈춤나사 또는 금속재 육각구멍붙이멈춤나사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고정수단을 사용하며, 목재외곽프레임의 고정수단입구인 나사공에는 캡으로 마감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한방황토판넬에 형성되는 전통문살은 井,+,×,◇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턴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체는 온수보일러액슬,전기축열판,가열시트,히트파이프중 선택되는 어느 한 수단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한방황토판넬을 수용한 목곽틀의 저부는 한지를 발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제조방법.
  19. 제1항,제12항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한방황토보료제조방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황토보료.
KR1020070122403A 2007-11-29 2007-11-29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403A KR100998600B1 (ko) 2007-11-29 2007-11-29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403A KR100998600B1 (ko) 2007-11-29 2007-11-29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20A KR20080004420A (ko) 2008-01-09
KR100998600B1 true KR100998600B1 (ko) 2010-12-07

Family

ID=3921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403A KR100998600B1 (ko) 2007-11-29 2007-11-29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02B1 (ko) * 2008-06-19 2011-01-12 강현숙 신침 기능을 가지는 한방 황토 찜질 장치
KR101023824B1 (ko) * 2010-11-02 2011-03-22 김광우 조립식 황토바닥부재 및 이를 이용한 침구
KR101325493B1 (ko) * 2011-02-08 2013-11-07 권세정 친환경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KR101406750B1 (ko) * 2012-07-09 2014-06-17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매트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232076B1 (ko) * 2017-12-29 2021-03-25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의 제조방법
KR102589575B1 (ko) * 2020-10-27 2023-10-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 난방 시스템용 축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0Y1 (ko) 2003-03-21 2003-06-25 최석철 카트리지교환식전기매트
KR200405695Y1 (ko) 2005-10-19 2006-01-10 대 석 강 매트용 한방 황토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0Y1 (ko) 2003-03-21 2003-06-25 최석철 카트리지교환식전기매트
KR200405695Y1 (ko) 2005-10-19 2006-01-10 대 석 강 매트용 한방 황토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20A (ko)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600B1 (ko) 한방황토보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4561A (ko) 사상의학
CN105838545A (zh) 一种山楂酒酒饼及其制作方法
CN106215012A (zh) 预防和治疗高血压、高血脂、高血糖的袋泡茶及加工方法
CN100389707C (zh) 一种保健药枕
CN102743730B (zh) 一种治疗关节炎的中药酒及配制方法
US20070248695A1 (en) Landscaping, plant potting, and horticulture method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oriental or korean medicine
CN107951966A (zh) 一种中藏药结合的浴足液
CN103393591A (zh) 香体酵素沐浴露
CN110124006A (zh) 百草香灸及其制作工艺
CN101301459B (zh) 药枕
CN103182051B (zh) 一种护胃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7338150A (zh) 一种沉香保健酒曲及其制备方法
CN107048903A (zh) 一种中药保健盐枕及其制备方法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CN106511762A (zh) 一种补肾壮阳的玛咖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5935090A (zh) 一种龙甘酸五味茶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042750A (zh) 小儿益智灵
CN2533750Y (zh) 宝草药枕
CN104664505A (zh) 一种改善睡眠的饮料
KR100654825B1 (ko) 쑥뜸조성물이 내장된 부항기
CN104083495A (zh) 一种用于治疗老年性失眠的中药
CN108887658A (zh) 一种治疗糖尿病的保健酱油及其制作方法
KR20120093127A (ko)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CN107184034A (zh) 一种用于白发转黑的保健枕芯和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