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261B1 - 일체형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일체형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261B1
KR100998261B1 KR1020080109507A KR20080109507A KR100998261B1 KR 100998261 B1 KR100998261 B1 KR 100998261B1 KR 1020080109507 A KR1020080109507 A KR 1020080109507A KR 20080109507 A KR20080109507 A KR 20080109507A KR 100998261 B1 KR100998261 B1 KR 10099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bracket
coupling
piston
bac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288A (ko
Inventor
조붕구
김곤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엠중장비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764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82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엠중장비,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케이엠중장비
Priority to KR102008010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2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치즐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형성된 치즐결합구멍과, 상기 치즐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가 결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로어부시결합턱과, 상기 치즐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가 결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부시결합턱과,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피스톤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구멍과, 상기 피스톤구멍의 상부에 형성되는 백헤드결합단턱과, 상기 백헤드결합단턱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백헤드결합단턱에 결합되는 백헤드; 상기 백헤드 및 브라켓의 백헤드결합단턱에 체결되는 장볼트;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캡;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치즐의 작동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고, 장볼트의 길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커의 전체 하부 폭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브라켓의 하부 단면 두께는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부품수가 감소된다.
브라켓, 치즐결합구멍, 피스톤구멍, 백헤드결합단턱, 치즐, 피스톤

Description

일체형 브레이커{Single body type breaker}
본 발명은 일체형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즐의 작동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고, 장볼트의 길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커의 전체 하부 폭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브라켓의 하부 단면 두께는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부품수가 감소되는 일체형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는 굴삭기, 로우더 등의 건설기계에 장착하여 콘크리트나 암반 등의 파쇄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유압브레이커의 실린더가 작동되면 그 내부의 피스톤이 승강되면서 파쇄공구인 치즐을 타격하게 되며, 타격받은 치즐이 콘크리트 및 암반을 파쇄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브레이커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브레이커의 전체 외형을 이루고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브라켓(bracket; 1)과, 이 브라켓(1)의 내부에 내장되는 메인바디어셈블리(main body assembly; 2)가 구비된다.
메인바디어셈블리(2)에는 하부의 프론트헤드(Front Head; 3)와, 프론트헤드(3) 상측에 결합되는 실린더(4)와, 실린더(4)의 상측에 결합되는 백헤드(Back Head; 5)가 구비된다.
프론트헤드(3)에는 치즐(6)의 상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치즐(6)은 승강되는 피스톤(미도시)에 의해 타격되어 일정한 스트로크로 하강하면서 암석 등을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린더(4)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피스톤은, 실린더(4) 내부에 설치되어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므로 치즐(6)을 타격한다. 실린더(4)의 외부에는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등의 구성요소들의 장착되어 있다.
백헤드(5)는 실린더(4)의 상부에 결합되며, 실린더(4)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유압통로가 형성된다.
한편, 백헤드(5), 실린더(4), 프론트헤드(3)에는 4개의 장볼트(8)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장볼트(8)에 의해 메인바디어셈블리(2) 전체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메인바디어셈블리(2)가 브라켓(1)의 내부에 내장되면 브라켓(1)의 상부에 마운팅캡(9)을 안착시키고 볼트들을 이용하여서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브레이커의 작동시 메인바디어셈블리(2)가 브라켓(1)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백헤드(5)의 상부와 마운팅캡(9)의 저면 사이에는 방진고무(10)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브레이커는, 메인바디어셈블리(2)를 브라켓(1)에 용이하게 내장시키려면 이들 사이에 조립공차가 필요하다. 이들 사이에 형성된 조립공차는 메인바디어셈블리(2)를 브라켓(1)에 용이하게 내장시키는 장점을 갖게 하지만, 치즐(6)의 작동시 그 충격에 의해 내장된 메인바디어셈블리(2)가 브라켓(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메인바디어셈블리(2)의 유동은 소음을 유발시키 며 주요 부품들의 손상을 가속화시킨다.
또한 종래 브레이커는, 벡헤드(5), 실린더(4), 프론트헤드(3)로 이루어진 메인바디어셈블리(2) 전체를 결합시키기 위해 비교적 긴 길이의 장볼트(8)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긴 길이의 장볼트(8)는 외부의 충격시 휨이 발생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메인바디어셈블리(2)를 해체하거나 조립할 때에 휘어진 장볼트(8)가 제대로 분리되거나 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브레이커는 프론트헤드(3)를 감싸는 브라켓(1)의 하측 부분이 취약하게 설계되어 있다. 브라켓(1) 하측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브레이커 하부의 전체 폭이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브레이커의 하부의 폭이 증가되면 브레이커의 전체 중량이 증가될 뿐 아니라 파쇄된 암반이 브레이커의 하부에 그만큼 더 부딪히면서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충격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커의 하측 부분은 파쇄 작업시 비산되는 조각들이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측부분의 폭이 상측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어셈블리(2)의 프론트헤드(3) 부분을 감싸는 브라켓(1)의 하측부분은 그 두께가 비교적 얇다.
이와 같이 종래의 브레이커는 브라켓(1)의 하부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시 브라켓(1)의 하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메인바디어셈블리(2)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제대로 차단되지 못한다.
이러한 종래 브레이커는 메인바디어셈블리(2)가 브라켓(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백헤드(5)의 상부와 마운팅캡(9)의 하부 사이에 방진고 무(10)가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브레이커에는 별도의 방진고무(10)가 더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그만큼 더 증가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증가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즐의 작동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한 일체형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볼트의 길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레이커의 전체 하부 폭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브라켓의 하부 단면 두께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부품수가 감소되도록 한 일체형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암석, 지반 등을 파쇄하는 치즐과, 상기 브라켓에 내장되고 상기 치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일체형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치즐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형성된 치즐결합구멍과, 상기 치즐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가 결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로어부시결합턱과, 상기 치즐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가 결 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부시결합턱과,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상기 치즐의 상단 측으로 진입하여서 이를 타격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측에 형성되는 피스톤구멍과, 상기 피스톤구멍의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결합단턱과, 상기 실린더결합단턱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브라켓의 실린더결합단턱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백헤드; 상기 백헤드, 실린더 및 브라켓의 실린더결합단턱에 체결되는 장볼트;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캡;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는,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암석, 지반 등을 파쇄하는 치즐과, 상기 브라켓에 내장되고 상기 치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일체형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치즐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형성된 치즐결합구멍과, 상기 치즐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가 결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로어부시결합턱과, 상기 치즐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가 결합되도록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부시결합턱과, 상기 치즐결합구멍의 상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피스톤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구멍과, 상기 피스톤구멍의 상부에 형성되는 백헤드결합단턱과, 상기 백헤드결합단턱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백헤드결합단턱에 결합되는 백헤드; 상기 백헤드 및 브라켓의 백헤드결합단턱에 체결되는 장볼트;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캡;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의 다른 특징은, 상기 브라켓에는, 결합공간부 하단부와 피스톤구멍의 하부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브라켓의 내부 하측에 치즐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치즐결합구멍의 하측 및 상측에 로어부시결합턱 및 어퍼부시결합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퍼부시결합턱의 상부에 피스톤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치즐이 종래의 프론트헤드 없이도 브라켓의 치즐결합구멍에 직접 결합되며, 피스톤은 피스톤구멍에 출입하면서 치즐의 상단을 타격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프론트헤드가 불필요하므로 프론트헤드 및 브라켓 사이의 결합공차로 인해 소음 및 부품 손상 등이 발생하였던 종래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종래의 프론트헤드가 삭제되는 대신에 브라켓의 내부 두께를 증가시켜서 치즐이 브라켓의 하부 중앙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프론트헤드가 삭제되므로 브레이커 하부의 전체 폭이 감소되는 반면, 브라켓의 단면 두께는 크게 증가된다. 그러므로 브라켓의 하부 폭이 감소되므로 암반 파쇄 작업시 비산되는 조각들이 브라켓의 하부에 최소한으로 부딪히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서 브레이커의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브라켓의 하부 두께가 최대한 증가되므로 외부의 충격시 브라켓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브레이커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메인바디어셈블리의 하부인 프론트헤드 부분이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및 백헤드는 브라켓의 하부에 장볼트로 체결되므로 브라켓의 내부 부품들 전체가 브라켓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치즐 작업시 브레이커에 충격이 전달되어도 실린더 및 백헤드가 브라켓의 내부에서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백헤드의 상부와 마운팅캡의 하부 사이에 별도의 방진고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에는 별도의 방진고무가 필요없으므로 부품수가 그만큼 감소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3의 브라켓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브라켓(20)과, 치즐(40), 피스톤(60), 실린더(50), 백헤드(70), 장볼트(80), 방음부재(32), 로어부시(30), 어퍼부시(31)로 이루어진다.
브라켓(20)은, 치즐(40)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치즐결합구멍(21)이 형성된다. 이 치즐결합구멍(21)의 하부에는 치즐(4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30)가 결합되도록 로어부시결합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치즐결합구멍(21)의 상 부에는 치즐(4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31)가 결합되도록 어퍼부시결합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치즐결합구멍(21)의 상측에는 피스톤(60)의 하단이 치즐(40)의 상단 측으로 진입하여서 이를 타격하도록 피스톤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구멍(24)의 상부에는 후술할 실린더(5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실린더결합단턱(25)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결합단턱(25)의 상측에는 실린더(50)와 백헤드(70)가 위치되도록 결합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20)의 하단 둘레에는 방음부재(32)가 결합되도록 방음부재결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0)의 일측에는 관통구멍(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28)에는 실린더(50)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유압호스 연결용 니플(33)이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20)의 관통구멍(28)에는 브라켓(20)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소음방지캡(34)이 씌워진다.
브라켓(20)의 일측 상부에는 에어밴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밴트(35)는 피스톤구멍(24)의 하부에 공기통로(29)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중 작업을 할 때에 압축된 공기가 에어밴트(35)를 통해 유입되어서 피스톤(60)의 작동시 물의 흡입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피스톤(60)이 상승되면 진공상태에 물이 로어부쉬(30) 사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된 공기를 타격실에 넣어주어 물이 타격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브라켓(20)의 결합공간부(26) 내에는 실린더(50)가 위치된다. 실린 더(50)는 하단이 브라켓(20)의 실린더결합단턱(25)에 안착되며, 내부에 피스톤(60)이 결합된다.
브라켓(20)의 결합공간부(26) 내에는 백헤드(back head; 70)가 위치된다. 이 백헤드(70)는 실린더(50)의 상부에 결합된다.
백헤드(70), 실린더(50) 및 브라켓(20)의 실린더결합단턱(25)에는 장볼트(80)가 체결된다.
브라켓(20)의 내부 하측에 치즐(40), 실린더(50), 피스톤(60), 백헤드(70), 장볼트(80)가 내장되면 브라켓(20)의 상부에 마운팅캡(9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주형에 주물을 부어서 브라켓(20)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브라켓(20)의 특징인 브라켓(20)의 하부에 치즐(40)이 결합되도록 치즐결합구멍(21)이 형성되고, 치즐결합구멍(21)의 상하측에 로어부시결합턱(22) 및 어퍼부시결합턱(23)이 형성되며, 치즐결합구멍(21)의 상측에 피스톤구멍(24)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구멍(24)의 상부에 실린더결합단턱(25)이 형성되고 실린더결합단턱(25)의 상측에 결합공간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브라켓(20)이 주조되면 그 내면을 가공하여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치즐결합구멍(21)에 어퍼부시(31) 및 로어부시(30)를 끼우고 그 내측으로 치즐(40)의 상부를 삽입시킨다.
치즐(40)이 결합되면 브라켓(20)의 실린더결합단턱(25)에 피스톤(60)이 삽입 된 실린더(50)를 안착시키고 실린더(50)의 상부에 백헤드(7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백헤드(70), 실린더(50), 실린더결합단턱(25)에 장볼트(80)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브라켓(20)의 내부에 부품들이 내장되면 브라켓(20)의 상부에 마운팅캡(90)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브라켓(20)의 내부 하측에 치즐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치즐결합구멍(21)의 하측 및 상측에 로어부시결합턱(22) 및 어퍼부시결합턱(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퍼부시결합턱(23)의 상부에 피스톤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치즐(40)이 종래의 프론트헤드(3) 없이도 브라켓(20)의 치즐결합구멍(21)에 직접 결합되며, 피스톤(60)은 피스톤구멍(24)에 출입하면서 치즐(40)의 상단을 타격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프론트헤드(3)가 불필요하므로 프론트헤드(3) 및 브라켓(1) 사이의 결합공차로 인해 소음 및 부품 손상 등이 발생하였던 종래 문제점이 해결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종래의 프론트헤드(3)가 삭제되는 대신에 브라켓(20)의 내부 두께를 증가시켜서 치즐(40)이 브라켓(20)의 하부 중앙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프론트헤드(3)가 삭제되므로 브레이커 하부의 전체 폭이 감소되는 반면, 브라켓(20)의 단면 두께는 크게 증가된다. 그러므로 브라켓(20)의 하부 폭이 감소되므로 암반 파쇄 작업시 비산되는 조각들이 브라켓(20)의 하부에 최소한으로 부딪히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서 브레이커의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브라켓(20)의 하부 두께가 최대한 증가되므로 외부의 충격시 브라켓(20)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브레이커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시킬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종래의 메인바디어셈블리(2)의 하부인 프론트헤드(3) 부분이 브라켓(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50) 및 백헤드(70)는 브라켓(20)의 하부에 장볼트(80)로 체결되므로 브라켓(20)의 내부 부품들 전체가 브라켓(20)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치즐(40) 작업시 브레이커에 충격이 전달되어도 실린더(50) 및 백헤드(70)가 브라켓의 내부에서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백헤드(70)의 상부와 마운팅캡(90)의 하부 사이에 별도의 방진고무(10)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에는 별도의 방진고무(10)가 필요없으므로 부품수가 그만큼 감소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은 도6의 브라켓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브라켓(100), 백헤드(140), 장볼트(150), 마운팅캡(160)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프론트헤드(3), 실린더(4)가 삭제된 것에 특징이 있다.
브라켓(100)은, 치즐(120)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치즐결합구멍(101)이 형성된다. 치즐결합구멍(101)의 하부에는 치즐(12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107)가 결합되도록 로어부시결합턱(102)이 형성되어 있다. 치즐결합구멍(101)의 상부에는 치즐(12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108)가 결합되도록 어퍼부시결합턱(103)이 형성되어 있다. 치즐결합구멍(101)의 상측에는 피스톤(13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구멍(104)의 상부에는 백헤드결합단턱(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백헤드결합단턱(105)의 상측에는 결합공간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00)의 일측 상부에는 에어밴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밴트(110)는 피스톤구멍(104)의 하부에 공기통로(109)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130)이 상승되면 진공상태에 물이 로어부쉬(107) 사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된 공기를 타격실에 넣어주어 물이 타격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브라켓(100)의 결합공간부(106) 내에는 백헤드결합단턱(105)에 결합되는 백헤드(140)가 위치된다. 백헤드(140) 및 브라켓(100)의 백헤드결합단턱(105)에는 장볼트(150)가 체결된다. 그리고 브라켓(100)의 상부에는 마운팅캡(16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주형에 주물을 부어서 치즐결합구멍(101), 로어부시결합턱(102), 어퍼 부시결합턱(103), 피스톤구멍(104), 백헤드결합단턱(105), 결합공간부(106)가 형성된 브라켓(100)을 성형한다.
이러한 형상의 브라켓(100)이 주조되면 그 내면을 가공하여서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치즐결합구멍(101)에 어퍼부시(108) 및 로어부시(107)를 끼우고 그 내측으로 치즐(120)의 상부를 삽입시킨다. 치즐(120)이 결합되면 피스톤구멍(104)에 피스톤(130)을 삽입시키고, 브라켓(100)의 백헤드결합단턱(105)에 백헤드(14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백헤드(140)와 백헤드결합단턱(105)을 장볼트(150)로 체결시킨다. 브라켓(100)의 내부에 부품들이 내장되면 브라켓(100)의 상부에 마운팅캡(160)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치즐(120) 및 피스톤(130)이 종래의 프론트헤드(3), 실린더(4) 없이도 브라켓(100)의 치즐결합구멍(101), 피스톤구멍(104)에 직접 결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는 프론트헤드(3), 실린더(4)가 불필요하므로 프론트헤드(3), 실린더(4) 및 브라켓(1) 사이의 결합공차로 인해 소음 및 부품 손상 등이 발생하였던 종래 문제점이 해결된다.
둘째, 종래의 프론트헤드(3), 실린더(4)가 삭제되는 대신에 브라켓(100)의 내부 두께를 증가시켜서 치즐(120) 및 피스톤(130)이 브라켓(100)의 하부 중앙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프론트헤드(3), 실린더(4)가 삭제되므로 브레이커 하부의 전체 폭이 감소되는 반면, 브라켓(100)의 단면 두께는 크게 증가된다. 그러므로 브라켓(100)의 하부 폭이 감소되므로 암반 파쇄 작업시 비산되는 조각들 이 브라켓(100)의 하부에 최소한으로 부딪히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서 브레이커의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셋째, 종래의 프론트헤드(3), 실린더(4) 부분이 브라켓(1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백헤드(140)는 브라켓(100)의 하부에 장볼트(150)로 체결되므로 브라켓(100)의 내부 부품들 전체가 브라켓(100)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치즐(120) 작업시 브레이커에 충격이 전달되어도 백헤드(140)가 브라켓의 내부에서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백헤드(140)의 상부와 마운팅캡(160)의 하부 사이에 별도의 방진고무(10)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넷째, 치즐(120) 및 피스톤(130)이 브라켓(100)에 직접 설치되므므로 종래의 프론트헤드(3), 실린더(4) 부분이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장볼트(150)로 백헤드(140)를 브라켓(100)의 백헤드결합단턱(105)에 체결시키면 된다. 따라서 장볼트(150)가 백헤드(140)를 관통한 후 백헤드결합단턱(105)에 체결되므로 장볼트(150)의 전체 길이가 대폭 감소된다. 이와 같이 장볼트(150)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감소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휨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장볼트(15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커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브레이커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3의 브라켓을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 브레이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도6의 브라켓을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00 : 브라켓 21,101 : 치즐결합구멍
22,102 : 로어부시결합턱 23,103 : 어퍼부시결합턱
24,104 : 피스톤구멍 25 : 실린더결합단턱
26,106 : 결합공간부 27 : 방음부재결합홈
28 : 관통구멍 29,109 : 공기통로
30,107 : 로어부시 31,108 : 어퍼부시
32 : 방음부재 33 : 니플
34 : 소음방지캡 35,110 : 에어밴트
40,120 : 치즐 50 : 실린더
60,130 : 피스톤 70,140 : 백헤드
80,150 : 장볼트 90,160 : 마운팅캡
105 : 백헤드결합단턱

Claims (3)

  1.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암석, 지반 등을 파쇄하는 치즐과, 브라켓에 내장되고 치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일체형 브레이커에 있어서,
    치즐(40)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형성된 치즐결합구멍(21)과, 치즐(4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30)가 결합되도록 치즐결합구멍(21)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로어부시결합턱(22)과, 치즐(4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31)가 결합되도록 치즐결합구멍(21)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부시결합턱(23)과, 피스톤(60)의 하단이 치즐(40)의 상단 측으로 진입하여서 이를 타격하도록 치즐결합구멍(21)의 상측에 형성되는 피스톤구멍(24)과, 피스톤구멍(24)의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결합단턱(25)과, 실린더결합단턱(25)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26)를 포함하는 브라켓(20);
    브라켓(20)의 결합공간부(26) 내에 위치되고, 하단이 브라켓(20)의 실린더결합단턱(25)에 안착되며, 내부에 피스톤(60)이 결합되는 실린더(50);
    브라켓(20)의 결합공간부(26) 내에 위치되고, 실린더(5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백헤드(70);
    백헤드(70), 실린더(50) 및 브라켓(20)의 실린더결합단턱(25)에 체결되는 장볼트(80);
    브라켓(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캡(9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브레이커.
  2.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암석, 지반 등을 파쇄하는 치즐과, 브라켓에 내장되고 치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일체형 브레이커에 있어서,
    치즐(120)이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형성된 치즐결합구멍(101)과, 치즐(12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로어부시(107)가 결합되도록 치즐결합구멍(101)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로어부시결합턱(102)과, 치즐(12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어퍼부시(108)가 결합되도록 치즐결합구멍(101)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부시결합턱(103)과, 치즐결합구멍(101)의 상측에 형성되어서 피스톤(13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피스톤구멍(104)과, 피스톤구멍(104)의 상부에 형성되는 백헤드결합단턱(105)과, 백헤드결합단턱(105)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106)를 포함하는 브라켓(100);
    브라켓(100)의 결합공간부(106) 내에 위치되고, 백헤드결합단턱(105)에 결합되는 백헤드(140);
    백헤드(140) 및 브라켓(100)의 백헤드결합단턱(105)에 체결되는 장볼트(150);
    브라켓(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캡(1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브레이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라켓(20)(100)에는,
    피스톤(60)(130)이 상승될 때에 압축된 공기를 타격실 측으로 공급하여서 외부의 물이 로어부쉬(30)(107) 사이로 흡입되지 않도록, 결합공간부(26)(106) 하단부와 피스톤구멍(24)(104)의 하부 사이에, 공기통로(29)(10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브레이커.
KR1020080109507A 2008-11-05 2008-11-05 일체형 브레이커 KR10099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507A KR100998261B1 (ko) 2008-11-05 2008-11-05 일체형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507A KR100998261B1 (ko) 2008-11-05 2008-11-05 일체형 브레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88A KR20100050288A (ko) 2010-05-13
KR100998261B1 true KR100998261B1 (ko) 2010-12-03

Family

ID=4227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507A KR100998261B1 (ko) 2008-11-05 2008-11-05 일체형 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73A (ko) 2014-12-19 2016-06-29 장명수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US9988843B2 (en) 2012-07-03 2018-06-05 Il Jae Lee Impact body for hydraulic impact device
KR20240042947A (ko) 2022-09-26 2024-04-02 송호철 브레이커용 호스가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45Y1 (ko) 2005-12-29 2006-05-10 강대식 유압 브레이커의 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 구조
KR200434268Y1 (ko) 2006-09-22 2006-12-18 박기주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45Y1 (ko) 2005-12-29 2006-05-10 강대식 유압 브레이커의 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 구조
KR200434268Y1 (ko) 2006-09-22 2006-12-18 박기주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8843B2 (en) 2012-07-03 2018-06-05 Il Jae Lee Impact body for hydraulic impact device
KR20160074973A (ko) 2014-12-19 2016-06-29 장명수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20240042947A (ko) 2022-09-26 2024-04-02 송호철 브레이커용 호스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88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61B1 (ko) 일체형 브레이커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1037919B1 (ko) 치즐 고정장치
KR200434268Y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JP5145503B1 (ja) 破砕方法
KR200369452Y1 (ko)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KR100870983B1 (ko) 유압브레이커 어셈블리
MX2015003480A (es) Dispositivo percutor hidraulico para maquinas excavadoras.
KR101285288B1 (ko) 저소음진동 구조의 유압 브레이커
KR20120005908A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0956079B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CN210066873U (zh) 一种具备提升冲击功的液压破碎锤
KR20110004750U (ko) 브레이커의 본체 결합구조
KR200443103Y1 (ko) 유압 브레이커의 치즐 소음 감쇄장치
KR101336993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KR20220043386A (ko) 저소음 유압 브레이커
KR100642073B1 (ko) 굴착용 공압해머의 구조와 그 구동시스템
KR200426047Y1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 저감 구조
KR102140621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20090035764A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치즐핀
KR102439392B1 (ko) 진공타격식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090008695U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CN219909141U (zh) 一种液压冲击锤防空打装置
KR102197884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0630438B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04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03

Effective date: 20111024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03

Effective date: 201110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11293;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1129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26

Effective date: 20120525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26

Effective date: 201205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3000010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22

Effective date: 201209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22

Effective date: 201209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