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251B1 -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251B1
KR100998251B1 KR1020020063627A KR20020063627A KR100998251B1 KR 100998251 B1 KR100998251 B1 KR 100998251B1 KR 1020020063627 A KR1020020063627 A KR 1020020063627A KR 20020063627 A KR20020063627 A KR 20020063627A KR 100998251 B1 KR100998251 B1 KR 10099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main body
l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965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2006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251B1/ko
Priority to AU2002359002A priority patent/AU2002359002A1/en
Priority to JP2003547276A priority patent/JP2005510425A/ja
Priority to EP02793472A priority patent/EP1458623A4/en
Priority to PCT/KR2002/002219 priority patent/WO2003045811A1/en
Publication of KR2004003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8Low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링부재로 밀봉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 실링, 승강부재, 커팅, 혼합, 의료용기, 밀봉

Description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1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실시 예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의 하강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도시된 뚜껑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2 실시 예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팩 제품에 적용된 상태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상측원통부
12 : 하측원통부 13 : 구획판
20 : 승강부재 21,22 : 나사홈
30 : 실링부재 31 : 커팅날
40 : 뚜껑 41 : 상부면
42 : 봉인띠 43 : 내부원통체
44 : 이음부 45 :절취부
50 : 내용물 A 60 : 내용물 B
110 : 본체 111 : 상측원통부
112 : 하측원통부 113 : 구획판
114 : 패킹부재 115 : 나사홈
120 : 승강부재 121,122 : 나사홈
130 : 실링부재 131 : 턱부
140 : 뚜껑 142 : 봉인띠
143 : 내부원통체 144 : 이음부
150 : 내용물 A 160 : 내용물 B
본 발명은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링부재로 밀봉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내용물의 상태보존을 위하여 입구에 실링부재로 밀봉처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종래의 음료용기의 개폐장치는 실링부재(2)로 밀봉처리된 음료용기(1)의 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4)와, 상기 본체(3)의 상측부에 씌워진 뚜껑(5)으로 구성되어, 음료를 마실때는 상기 본체(3)를 음료용기(1)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실링부재(2)를 제거하고, 다시 상기 본체(3)를 음료용기(1)의 입구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뚜껑(5)을 열고 상기 승강부재(4)를 손으로 잡아서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의 헤드부(3')로 부터 상기 승강부재(4)의 상측면(4')이 이격되어 음료용기(1)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용기(1)를 기울여서 음료를 배출시켜 마시게 되고,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기 승강부재(4)를 손으로 압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장치는 음료용기에 장착된 실링부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폐장치의 본체를 용기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사용상 불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음료용기로부터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음료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부재를 제거해야 하므로,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를 음료용기로부터 분리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실링부재를 제거하게 된다. 실링부재가 제거된 이후 뚜껑의 개 폐에 상관없이 음료의 누설방지를 위해 승강부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승강부재의 사용을 위하여 승강부재가 결합된 본체를 음료용기의 입구에 다시 결합시켜야 한다. 결국, 실링부재의 제거를 위하여 본체를 용기로부터 분리시켰다가 다시 결합시키는 이중 작업이 필수적이므로 사용상 어느 정도의 불편은 감수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부재를 이용하여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거나 음료 배출을 차단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승강부재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게 되므로 위생상 좋지 않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즉, 본체를 음료용기에 결합시켜킨 다음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상측으로 잡아당겨야 하고 음료를 마시고 난 다음에는 다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원래 위치로 밀어 넣어야 한다. 따라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손에 의하여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링부재로 밀봉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먹거나 주사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도 용기의 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입구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와 함께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키는 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 링부재를 밀어 뜯어내는 턱부가 형성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1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를 이용하여 실링부재를 제거한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뚜껑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1 실시 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가 내용물 B(60)가 채워진 용기(1)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1)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1)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1)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내용물 A(5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4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4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30)를 커팅하는 커팅날(31)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주면에 나사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1)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홈(1')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12)와, 상기 하측원통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뚜껑(40)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상측원통부(11)와, 상기 하측원통부(12)의 상측단이 내경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측원통부(11)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환상의 구획판(13)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뚜껑(40)은 상측면(41)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20)와 결합되는 내부원통체(43)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뚜껑(4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띠(42)가 설치된다. 상기 봉인띠(42)는 상기 뚜껑(40)의 하단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40)과의 사이에 이음부(44)가 설치되며, 상기 뚜껑(40)이 회전될 때 상기 이음부(44)가 파단되어 봉인띠(42)와 뚜껑(40)이 분리된다.
상기 승강부재(20)는 내주면이 상기 뚜껑(40)의 내부원통체(43)의 나사홈(43')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측원통부(11)의 나사홈(11')에 결합되도록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나사홈(21)(22)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날(31)은 상기 승강부재(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각 커팅날(31)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본체(10)의 내용물 A(50)는 상기 커팅날(31)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30)가 커팅될 때 상기 용기(1) 내부로 투입되며, 용기(1) 속의 내용물 B(60)와 혼합되어 요구하는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 내에 삽입되는 내용물 A(50)의 종류는 요구되는 액체 혼합물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그 성상은 가루 형태나 알약 형태는 물론 액체 형태 중 어느 형태라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뚜껑(4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이음부(44)가 파단되고, 상기 뚜껑(40)은 봉인띠(42)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뚜껑(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뚜껑(40)의 내부 원통체(4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승강부재(20) 역시 회전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20)가 본체(10)의 상부원통체(11)에도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강부재(20)는 흔들리지 않고 회전과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커팅날(31)에 의해 용기(1)의 입구에 부착된 실링부재(30)가 원주를 따라 커팅되며, 360°커팅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승강부재(20)가 실링부재(30)의 하측으로 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30)는 용기(1)의 입구에서 완전히 탈락되지 않고 용기(1)의 내벽 쪽으로 젖혀지게 되며, 용기(1)의 입구가 개방된다.
상기 실링부재(30)가 커팅됨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내용물 A(50)가 용기(1) 속으로 투입되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 A(50)가 용기(1) 내부의 내용물 B(60)에 녹거나 혼합되어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 A(50)와 용기(1)의 내용물 B(60)는 요구되는 액체 혼합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요구되는 액체 혼합물이 커피, 쥬스와 같은 음료인 경우에는 내용물 A(50)로 커피가루 또는 쥬스 가루를 사용하고, 내용물 B(60)는 설탕물 또는 물을 사용한다. 또, 요구되는 액체 혼합물이 주사액인 경우에는, 내용물 A(50)로 항생제를 사용하고, 내용물 B(60)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또, 요구되는 액체 혼합물이 감기약과 쌍화탕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내용물 A(50)로 알약 또는 캡슐 형태의 감기약을 사용하고, 내용물 B(60)는 쌍화탕을 사용한다.
상기 본체(10)의 내용물 A(50)가 용기(1)의 내용물 B(60)에 잘 녹지 않는 경우에는 뚜껑(40)을 닫고 잘 흔들어 혼합한다. 내용물 A(50)와 내용물 B(60)의 혼합물이 만들어지면 혼합물의 용도, 즉 음료나 주사액 또는 감기약으로 사용한다. 음료나 감기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4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용기(1)를 기울여서 용기(1) 내의 혼합물을 상기 승강부재(20)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취출시켜 마시게 된다. 물론, 주사액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뚜껑(4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1) 내의 혼합물을 주사기로 빨아들여 주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는 뚜껑(40)을 여는 것만으로도 실링부재(30)를 절단하여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용기(1) 내의 내용물 속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내용물을 손을 대지 않고도 혼합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2개의 내용물을 직접 혼합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고, 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특히, 혼합되어 사용되어지는 두 구성물을 평소에는 분리시켜 두었다가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혼합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혼합물의 성질이 변화되는 두 구성물을 하나의 용기에 모두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주사액 제재와 같은 의약품을 저장하는데 특히 유효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가 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100)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용물 A(15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00)의 입구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130)와 함께 용기(100)의 입구를 기밀시키는 패킹부재(114)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140)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1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14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130)를 밀어 뜯어내는 턱부(131)가 형성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내주면에 나사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112)와, 상기 하측원통부(1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뚜껑(140)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14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나사홈(115)이 형성된 상측원통부(111)와, 상기 하측원통부(112)의 상측단이 내경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측원통부(111)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실링부재(130)가 설치되며 내측 끝부분에 하측 방향으로 상기 패킹부재(114)가 설치된 환상의 구획판(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140)은 상측면(141)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내부원통체(143)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원통체(143)의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1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14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원통체(143)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122)이 형성되고, 승강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측원통부(111)의 나사홈(115)과 결합되는 나사홈(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120)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턱부(131)가 상기 승강부재(120)의 저면 가장자리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면에 형성된 형태로 하거나, 일정 폭을 가진 턱부(131)가 상기 승강부재(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팩 제품(200)과 같은 형태의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본체(210)의 하단(212)이 팩 제품(200)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즉, 뚜껑(240)의 회전에 따라 승강부재가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만, 용기 내의 내용물의 인출을 위하여 승강부재의 측면에 내용물의 인출을 위한 구멍을 적어도 1개소 형성하게 된다. 특히, 종이 팩 제품(200)의 경우에는 실링부재의 제거를 위하여 하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승강부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원추 부분 및 측면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뚜껑(14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절취부에 의하여 이음부(144)가 파단되고, 상기 뚜껑(140)은 봉인띠(142)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뚜껑(1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뚜껑(140)의 내부원통체(14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승강부재(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원통체(111) 내주면과도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20)의 하강에 따라 승강부재(120) 하단의 턱부(131)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실링부재(130)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승강부재(120)가 계속 하강됨에 따라 턱부(131)에 의해 실링부재(130)가 밀리게 되므로, 실링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밀려 뜯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턱부(131)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 특히 턱부(131) 사이의 간격이 더 큰 부분은 턱부(131)에 의한 압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상기 실링부재(130)는 완전히 뜯어지지 않고 일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130)는 본체(110)에서 완전히 탈락되지 않고 용기(100)의 내벽 쪽으로 젖혀지게 되며, 용기(100)의 입구가 개방된다.
상기 실링부재(130)가 밀려 뜯어짐에 따라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 A(150)가 용기(100) 속으로 투입되며, 본체(100) 내부의 내용물 A(150)가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 B(160)에 녹거나 혼합되어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내용물 A(150)와 내용물 B(160)의 혼합물이 만들어지면 혼합물의 용도, 즉 음료나 주사액 또는 감기약으로 사용한다. 음료나 감기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140)을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용기(100)를 기울여서 용기(100) 내의 혼합물을 상기 승강부재(120)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취출시켜 마시게 된다. 물론, 주사액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뚜껑(140)을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용기(100) 내의 혼합물을 주사기로 빨아들여 주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의 제2 실시 예는 뚜껑(140)을 여는 것만으로도 실링부재(130)를 제거하여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용기(100) 내의 내용물 속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내용물을 손을 대지 않고도 혼합 사용할 수 있어 2개의 내용물을 직접 혼합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고 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특히, 제1 실시 예와 같이 커팅날을 이용하여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실링부재의 조각이 혼합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극도의 위생이 요구되는 의료용기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당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는 실링부재로 밀봉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진 뚜껑을 회전시켜 실링부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본체를 용기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회전함에 따라 하강되는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칼날을 장착시키거나 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실링부재를 절단하거나 밀어 뜯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본체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료 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뚜껑을 여는 것만으로도 실링부재를 제거하여 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용기 내의 내용물 속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내용물을 손을 대지 않고도 혼합 사용할 수 있어 2개의 내용물을 직접 혼합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고 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매우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상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의 상측단이 내경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측원통부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환상의 구획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측면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는 내부원통체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뚜껑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3.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측면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는 내부원통체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뚜껑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4.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날은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각 커팅날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뚜껑의 내부원통체에 나사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은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각 커팅날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용물은 상기 커팅날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가 커팅될 때 상기 용기 내부로 투입되며, 용기 속의 내용물과 혼합되어 요구하는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8.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와 함께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키는 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밀어 뜯어내는 턱부가 형성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상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의 상측단이 내경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측원통부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실링부재가 설치되며 내측 끝부분에 하측 방향으로 상기 패킹부재가 설치된 환상의 구획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9.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와 함께 용기의 입구를 기밀시키는 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탈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도록 뚜껑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실링부재를 밀어 뜯어내는 턱부가 형성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 턱부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측면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내부원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원통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원통체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상측원통부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 가장자리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13. 제 8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 턱부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 의 입구 커팅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그 측면에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을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커팅장치.
KR1020020063627A 2001-11-27 2002-10-17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KR10099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27A KR100998251B1 (ko) 2002-10-17 2002-10-17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AU2002359002A AU2002359002A1 (en) 2001-11-27 2002-11-27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JP2003547276A JP2005510425A (ja) 2001-11-27 2002-11-27 容器の開閉装置
EP02793472A EP1458623A4 (en) 2001-11-27 2002-11-27 CUTTING DEVICE FOR LOCKED BEVERAGE CONTAINER
PCT/KR2002/002219 WO2003045811A1 (en) 2001-11-27 2002-11-27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27A KR100998251B1 (ko) 2002-10-17 2002-10-17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65A KR20040034965A (ko) 2004-04-29
KR100998251B1 true KR100998251B1 (ko) 2010-12-07

Family

ID=3733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627A KR100998251B1 (ko) 2001-11-27 2002-10-17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76B1 (ko) * 2017-08-08 2018-11-28 주식회사 셀피알 3단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24A (ja) * 1994-11-08 1996-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容器用注出口
KR19990040589U (ko) * 1999-06-30 1999-12-06 허연 밀봉용기의개폐장치
US6279779B1 (en) * 1999-10-01 2001-08-2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los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24A (ja) * 1994-11-08 1996-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容器用注出口
KR19990040589U (ko) * 1999-06-30 1999-12-06 허연 밀봉용기의개폐장치
US6279779B1 (en) * 1999-10-01 2001-08-2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los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76B1 (ko) * 2017-08-08 2018-11-28 주식회사 셀피알 3단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65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1402B2 (en)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er for separately holding two substances and having a mixing device and dosed dispensation means
US6527110B2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by mating with a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US4770305A (en) Bottle cap
TWI478850B (zh) 原料釋出嘴
EP1562839B1 (en) Dispensing closure
CA2683924C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KR2002563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BR112013018040A2 (pt) garrafa com um gargalo em rosca tendo um dispositivo dispensador
JP2007528324A (ja) プッシュ型開封装置を有する容器の栓
BRPI0608517A2 (pt) acondicionamento para produtos extemporáneos
EA013111B1 (ru) Средство укупоривания &#34;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34; для контейнера
RU2566935C2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нтейнер,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запир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09518253A (ja) 作動部一体形の異種物質貯蔵空間を有する受容装置
WO2008002160A2 (en) Cap with a capsule rupturable by a cutter
KR100998252B1 (ko)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KR100998251B1 (ko)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BR102018015156A2 (pt) Tampa de fechamento para um recipiente
KR20150037802A (ko) 병뚜껑
KR101569493B1 (ko) 병뚜껑
JP3153904U (ja) 蓋装置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200099228A (ko) 이종물질 혼합장치
KR200281824Y1 (ko) 일회용 포장 용기
JP4409204B2 (ja) 混合物収納部を設けた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