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186B1 - 봉합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186B1
KR100997186B1 KR1020080051495A KR20080051495A KR100997186B1 KR 100997186 B1 KR100997186 B1 KR 100997186B1 KR 1020080051495 A KR1020080051495 A KR 1020080051495A KR 20080051495 A KR20080051495 A KR 20080051495A KR 100997186 B1 KR100997186 B1 KR 10099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uture needle
ear
round b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399A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5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1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03Needles for special purposes, e.g. knitting, crochet, hat-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침을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봉합침은 긴 환봉 형상의 원재료를 종래와 달리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금형기기로 연속 공급하여 a) 제1성형공정, b) 제2성형공정, c) 절취/절단배출공정 및 d) 마무리공정 순으로 제조하므로 보다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봉합침, 도부, 귀홈, 프레스금형기기, 침재

Description

봉합침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urgical needle}
본 발명은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침을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봉합침은 그 용도 등에 맞게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봉합침의 선단부가 삼각형 그 밖의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각침과 봉합침의 선단부가 원뿔형으로 형성된 환침 등이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봉합침은 각침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합침의 한쪽은 봉합사가 꿰어지는 귀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인체조직에 자입(刺入)할 때, 자통(刺通)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리한 형상을 가진 다각형 단면이 형성된 선단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는 상면에 형성되는 가공상면과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대응저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합침은 생체조직에 자입할 때의 자통저항을 가능한 작게 해서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통성이 좋게 되는 것에 의해 봉합조작도 양호하게 된다. 자통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선단부의 도부가 예리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선단부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이러한, 봉합침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긴 환봉 형으로 형성된 원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침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재의 한쪽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귀홈을 형성하는 단계, 다른 한쪽을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요입홈이 형성된 금형에 상기 선단부를 올려놓고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버어(burr)편을 연삭해서 도부를 형성하는 단계, 도부(刀部)를 형성한 후 선단부를 전해연마, 화학연마 또는 버퍼(buffer)연마 등으로 표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111365에 잘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종래의 봉합침은 원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침재를 형성하여 각 침재의 양쪽에 귀홈과 도부를 각각 성형하게 되므로 원재료를 일일이 절단하는 시간 낭비와 동시에 절단된 침재의 양 쪽을 작업자가 각각 성형해야 되므로 하나의 봉합침을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여 작업시간 낭비는 물론이고 작업능률 저하와 제작단가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침을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쪽에는 천공된 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끝이 예리한 도부가 형성된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긴 환봉 형상의 원재료를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금형기기로 공급하여 그 일단부에 귀홈부 혹은 도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대칭되게 먼저 성형하고, 환봉을 일정거리 이동시켜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제1성형공정; b) 상기 제1성형공정 후, 상기 대칭된 귀홈부를 천공하는 귀홈 형성 작업 혹은 상기 도부 성형시 발생된 버어(Burr)를 제거하여 끝이 예리한 도부를 형성하는 작업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업을 먼저 하고, 상기 환봉을 더 이동시켜 다른 하나의 작업을 하는 제2성형공정; c) 상기 제2성형공정 후, 한 쌍의 귀홈 중간에 절취부를 형성하고, 상기 환봉을 일정거리 이동시켜 버어가 제거된 한 쌍의 도부 중간을 절단하여 절취부를 매개로 대칭 부착된 한 쌍의 침재를 배출하는 절취/절단배출공정; 및 d) 상기 절취/절단배출공정 후, 배출되는 한 쌍의 침재를 절취하여 한쪽에는 귀홈과 다른 한 쪽에는 도부가 형성된 봉합침을 완성하는 마무리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마무리공정 후, 봉합침 끝단에 형성된 도부의 끝을 더욱 예리하게 하는 연삭공정과 표면처리공정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봉합침은 긴 환봉 형상의 원재료를 종래와 달리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금형기기로 연속 공급하여 a) 제1성형공정, b) 제2성형공정, c) 절취/절단배출공정 및 d) 마무리공정 순으로 제조하므로 보다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부분 확대 순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봉합침은 크게 a) 제1성형공정(S100), b) 제2성형공정(S110), c) 절취/절단배출공정(S120) 및 d) 마무리공정(S130)을 포함하여 제조되는데, 상기한 a) 내지 d)의 공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a) 제1성형공정(S100)은, 긴 환봉(10) 형상의 원재료에 귀홈부(12) 혹은 도부(14)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대칭되게 먼저 성형하고, 긴 환봉(10)을 일정거리 더 이동시켜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귀홈부(12)를 먼저 성형하고, 도부(14)를 나중에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겠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귀홈부(12)를 먼저 성형하나 도부(14)를 먼저 성형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이 공정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즉,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금형기기(70)의 금형은 귀홈부 성형금형(40), 도부 성형금형(42), 귀홈 천공금형(44), 버어 제거금형(46), 절취금형(48) 및 절단금형(50)의 순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금형의 배치 순서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귀홈부(12)를 먼저 성형한다는 조건 하에 배열된 순서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아무튼, 상기와 같이 금형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스금형기기(70)로 긴 환봉(10) 형상의 원재료가 이송장치(60)에 의해서 공급되면 우선 귀홈부 성형금형(40)이 상기 환봉(10)의 일단부에 도 3의 "가"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귀홈부(12)를 대칭되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귀홈부(12)는 후술할 귀홈(13) 천공 작업이 용이하도록 귀홈(13)이 천공될 부분에 1차적으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귀홈부(12) 성형과 동시에 그 인접 부분의 상하면은 파지가 용이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형을 가지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 귀홈부(12) 성형이 완료되면 이송장치(60)는 도 2의 "나"와 같이 환봉(10)을 진행방향으로 셋팅된 일정거리 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의 셋팅된 일정거리라 함은 이 또한 제작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형 배치 순서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먼저 형성된 한 쌍의 귀홈부(12) 중심이 상기 귀홈 천공금형(44)의 중심에 맞도록 이동되는 거리를 말한다.
그리하여, 환봉(10)의 이동이 완료되면 귀홈부(12)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는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부 성형금형(42)에 의해서 대칭된 한 쌍의 도부(14)가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도부 성형금형(42)의 형상은 하측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을 가지면서 끝단이 예리한 도부(14)를 대칭되게 형성하기 위해 삼각요입홈(43)이 대칭되어 있는 형상이다. 물론, 상기 도부 성형금형(42)의 삼각요입홈(43)의 형상은 도부(14)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아무튼, 상기의 도부 성형금형(42)에 의해서 형성된 도부(14)에는 압착에 의해 통상 버어(Burr)(16)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도부(14)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후방의 환봉(10)에는 원재료의 연속 공급에 의해 새로운 귀홈부가 성형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 제1성형공정(S100)에서는 공급되는 환봉(10)에 일정거리를 두고 한 쌍의 귀홈부(12)와 도부(14)가 각각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b) 제2성형공정(S110)은, 상기 제1성형공정(S100)에서 성형된 귀홈부(12)를 천공하여 귀홈(13)을 형성하는 작업 혹은 도부(14)에 발생된 버어(16)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먼저 하고 다른 하나를 뒤에 하게 된다. 이 순서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임의대로 변경 가능함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귀홈(13) 천공 작업을 먼저 하도록 하겠다.
즉,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공정(S100)에서, 먼저 성 형된 한 쌍의 귀홈부(12)에 귀홈 천공금형(44)이 도 3의 "다"와 같이 천공된 귀홈(13)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귀홈(13)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도 2의 "다"와 같이 환봉(10)을 셋팅된 일정거리만큼 더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의 셋팅된 일정거리라 함은 이 또한 제작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형 배치 순서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으나 형성된 한 쌍의 귀홈(13) 중심이 절취금형(48)의 중심에 맞도록 이동되는 거리를 말한다.
이렇게 환봉(10)이 이동되고 나면 버어 제거금형(46)은 도 3의 "라"와 같이 한 쌍의 도부(14)에 형성된 버어(16)를 제거하게 되는데 비록, 도부(14)의 버어(16)는 이 공정에서 제거되었지만 대칭된 한 쌍의 도부(14) 끝단은 서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어(16) 제거에 사용되는 버어 제거금형(46)은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부 성형금형(42)과 같은 형상을 하되 버어편 형상의 돌부(47)가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버어 제거금형(46) 또한 여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한 것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음을 분명히 하는데, 상기 버어 제거금형(46)의 정밀도에 의해서 버어(16)가 완전제거 되느냐 일부만 제거되느냐의 차이가 발생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일부만이 제거되어도 후술할 연삭공정에 의해서 재가공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짚고 넘어 간다.
이러한 작업과 함께 계속 공급되는 환봉(10)의 후방에는 새로운 귀홈부와 도 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b) 제2성형공정(S110)에서는 상기 a) 제1성형공정(S100)에서 형성된 귀홈부(12)에 귀홈(13)을 천공하게 되고, 도부(14) 성형시 발생된 버어(16)를 제거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c) 절취/절단배출공정(S120)은, 상기 제2성형공정(S110)에서 형성된 한 쌍의 귀홈(13) 중간에 절취부(18)를 형성하고, 한 쌍의 도부(14) 중간을 절단하여 한 쌍의 침재(20)를 배출하는 공정으로서,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금형(48)에 의해서 한 쌍의 귀홈(13) 중간에 도 3의 "마"와 같이 절취부(18)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절취부(18)를 형성하는 것은 기계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작업자가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도 2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봉(10)을 다시 셋팅된 일정거리 만큼 더 이동시켜 한 쌍의 도부(14) 중간을 도 3의 "바"와 같이 절단하여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부(14) 중간을 절단하여 배출하게 되면 환봉(10)은 절취부(18)를 매개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침재(20)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최초 배출되는 침재(20)는 대칭된 형상이 아니나 다음부터 배출되는 침재(20)는 한 쌍의 형태로 배출될 것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절단된 도부(14)는 일부 확대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도부 성형금형(42)의 형상에 따라 삼각형이 아닌 다각형 형상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도부(14)는 중간이 비록 절단되었으나 이 절단금형(50)은 정교한 금형이므로 도부(14) 끝단은 예리함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공정과 함께 환봉(10)의 후방에는 상기한 a) 내지 b) 공정이 반복되고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c) 절취/절단배출공정(S120)에서는 한 쌍의 귀홈(13) 중간에 절취부(18)를 형성하게 되고, 한 쌍의 도부(14) 중간을 절단하여 절취부(18)를 매개로 대칭 부착된 한 쌍의 침재(20)를 배출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d) 마무리공정(S130)은, 배출되는 한 쌍의 침재(20)를 절취하여 한 쪽에는 귀홈(13)이 다른 한 쪽에는 끝이 예리한 도부(14)가 형성된 봉합침(3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도 2의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재(20)에 형성된 절취부(18)를 절취하여 도 3의 "사"와 같이 한 쪽에는 귀홈(13)이 다른 한 쪽에는 끝이 예리한 도부(14)가 형성된 봉합침(30)을 제조하게 된다.
물론, 최초로 배출되는 침재(20)는 절취부(18)를 통해 대칭된 한 쌍이 아니므로 절취하여 봉합침(30)을 제외하고 다른 일측은 버리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한편, 상기 d) 마무리공정(S130)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부(14)의 끝단을 더욱 예리하게 하는 연삭공정(S140)과 표면처리공정(S150)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연삭공정(S140)은 생체조직에 자입시 보다 쉽게 자입되도록 도부(14)의 끝단을 연삭가공하여 더욱 예리하게 하는 것으로, 버어제거시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일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이 연삭공정에 의해서 완전제거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공정(S150)은 전해연마, 화학연마 또는 버퍼연마 등의 연마를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생체조직에 쉽게 자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에서도 상기한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침(30)이 수평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 휜 곡선 형태가 요구되면 그에 맞도록 봉합침(30)을 드로잉 하는 드로잉공정(S16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드로잉은 공지된 기계를 이용하여 하게 되고, 널리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 또한 별도의 부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은 봉합침(30)을 제조함에 있어, 종래와 달리 긴 환봉(10) 형상의 원재료를 절단하지 않고 긴 형상 그대로를 프레스금형기기(70)로 연속 공급하여 이송시키되 환봉(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귀홈(13)과 도부(14)를 연속적으로 성형한 후 한쪽에는 귀홈(13)이 다른 한쪽에는 도부(14)가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완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봉합침(30)은 긴 환봉(10) 형상의 원재료를 종래와 달리 절단하지 않고 복수의 금형이 구비된 프레스금형기기(70)로 연속 공급하여 a) 제1성형공정(S100), b) 제2성형공정(S110), c) 절취/절단배출공정(S120) 및 d) 마무리공정(S130) 순으로 제조하므로 보다 일률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제조단가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부분 확대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봉 12 : 귀홈부
13 : 귀홈 14 : 도부
16 : 버어 18 : 절취부
20 : 침재 30 : 봉합침
40 : 귀홈부 성형금형 42 : 도부 성형금형
43 : 삼각요입홈 44 : 귀홈 천공금형
46 : 버어 제거금형 47 : 돌부
48 : 절취금형 50 : 절단금형
60 : 이송장치 70 : 프레스금형기기
S100 : 제1성형공정 S110 : 제2성형공정
S120 : 절취/절단배출공정 S130 : 마무리공정
S140 : 연삭공정 S150 : 표면처리공정
S160 : 드로잉공정

Claims (4)

  1. 한쪽에는 천공된 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끝이 예리한 도부가 형성된 봉합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긴 환봉 형상의 원재료를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금형기기로 공급하여 그 일단부에 귀홈부 혹은 도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대칭되게 먼저 성형하고, 환봉을 일정거리 이동시켜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제1성형공정;
    b) 상기 제1성형공정 후, 상기 대칭된 귀홈부를 천공하는 귀홈 형성 작업 혹은 상기 도부 성형시 발생된 버어(Burr)를 제거하여 끝이 예리한 도부를 형성하는 작업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업을 먼저 하고, 상기 환봉을 더 이동시켜 다른 하나의 작업을 하는 제2성형공정;
    c) 상기 제2성형공정 후, 한 쌍의 귀홈 중간에 절취부를 형성하고, 상기 환봉을 일정거리 이동시켜 버어가 제거된 한 쌍의 도부 중간을 절단하여 절취부를 매개로 대칭 부착된 한 쌍의 침재를 배출하는 절취/절단배출공정; 및
    d) 상기 절취/절단배출공정 후, 배출되는 한 쌍의 침재를 절취하여 한쪽에는 귀홈과 다른 한 쪽에는 도부가 형성된 봉합침을 완성하는 마무리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마무리공정 후, 봉합침 끝단에 형성된 도부의 끝을 더욱 예리하게 하는 연삭공정과 표면처리공정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51495A 2008-06-02 2008-06-02 봉합침의 제조방법 KR10099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5A KR100997186B1 (ko) 2008-06-02 2008-06-02 봉합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5A KR100997186B1 (ko) 2008-06-02 2008-06-02 봉합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99A KR20090125399A (ko) 2009-12-07
KR100997186B1 true KR100997186B1 (ko) 2010-11-29

Family

ID=4168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95A KR100997186B1 (ko) 2008-06-02 2008-06-02 봉합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44A (ko) 2017-11-06 2019-05-15 최선영 봉합침 제조방법 및 그 봉합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334B1 (ko) * 2000-06-10 2002-07-24 이상호 수술용 봉합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334B1 (ko) * 2000-06-10 2002-07-24 이상호 수술용 봉합침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44A (ko) 2017-11-06 2019-05-15 최선영 봉합침 제조방법 및 그 봉합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99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0033B1 (en) Multiple-angle scissor blade
EP0619983A2 (en) Surgical needle and apparatus for grinding the same
KR101502074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JP6222495B2 (ja) バイオ穿刺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12610A1 (en) Medical knife
KR100997186B1 (ko) 봉합침의 제조방법
EP1820581A1 (en) Grindless surgical needle manufacture
JP5377584B2 (ja) 医療用ナイフ
KR20050019016A (ko)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
US11020108B2 (en) Needle with rounded edge
WO2011105541A1 (ja) 外科用刃物類とその製造方法
CA2477469C (en) Grindless surgical needle manufacture
KR100211454B1 (ko) 수술용 봉합침의 제조방법
KR101045041B1 (ko) 봉합침 제조방법
JP3718157B2 (ja) 医療用縫合針の研削装置
KR100345334B1 (ko) 수술용 봉합침 제조방법
EP1566230B1 (en) Surgical needle manufacturing process
JP3811913B2 (ja) 手術用縫合針の製造方法
CN106456211A (zh) 医用注射针头及其制造方法
KR102316030B1 (ko) 레이저로 가공하여 제작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바늘
JP2005224236A (ja) 釣り針の製造方法及び釣り針
JP7098598B2 (ja) リーマの製造方法
US20230355247A1 (en) Scoring blade and method for bone cement removal from intramedullary canal
JP4613255B1 (ja) マイクロサージャリー用刃体の製造方法
KR19980056840U (ko) 수술용 봉합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