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78B1 -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 Google Patents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78B1
KR100996478B1 KR1020087014480A KR20087014480A KR100996478B1 KR 100996478 B1 KR100996478 B1 KR 100996478B1 KR 1020087014480 A KR1020087014480 A KR 1020087014480A KR 20087014480 A KR20087014480 A KR 20087014480A KR 100996478 B1 KR100996478 B1 KR 10099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ole body
gymnastics
impedanc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527A (ko
Inventor
테츠야 사토
야스유키 토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Abstract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기 위한 체조성계로서, 손용 전극 및 발용 전극을 사용하여 전신, 양손 및 양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체 부위 각각에서의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와, 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전위차 중의 적어도 하나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조성 산출부(103, 105)와, 전신 체조성의 산출에 사용된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부(108)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87014480
체조성계, 전극

Description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 체조성계{BODY COMPOSITION METER ENABLING THE RECOGNITION OF BODY PARTS USED IN COMPUTING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체조성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으로 신체의 조성성분(체조성)을 산출할 수 있는 체조성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으로 피험자의 체조성을 산출하는 체조성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체조성계는 피험자의 건강 관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5-230120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에는, 전류 인가 전극 및 전압 측정 전극을 양손 및 양발에 배치하여 생체의 각 부위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피험자의 체조성을 산출하는 체조성계에서, 측정한 각 부위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각 부위의 측정 상태를 판별하는 수단과, 측정 상태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의 측정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수단을 갖는 체조성 측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피험자에게 적합한 측정 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신뢰성 높은 체조성 데이터를 간편한 조작으로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5-230120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어느 측정 모드 또는 어느 부위에서의 측정 결과인지를 피험자에게 통지하는 것에 관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피험자는 상이한 측정 모드 또는 상이한 부위의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된 체조성을, 마치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산출된 체조성인 것 같이 혼동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신 체조성 산출에 사용된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가 어디인지를 피험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체조성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어느 국면에 따른 체조성계는, 복수의 손용 전극 및 복수의 발용 전극과, 손용 전극 및 발용 전극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전신, 양손 및 양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체 부위 각각에서의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위차 중의 적어도 하나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체조성 산출부와, 전신 체조성의 산출에 사용된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부를 구비한다.
「전신 체조성」 이란, 적어도 전신의 제지방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근육량, 뼈의 양, 체지방량, 체지방률, 근육률 및 내장지방 레벨 등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이다.
「신체 부위」 는, 적어도 전신(양손-양발), 양손(오른손-왼손) 및 양발(오른발-왼발)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양손 및 양발에 더하여, 한쪽 손-한쪽 발(예를 들어, 오른손-오른발, 오른손-왼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각 전위차에 대응하는 임피던스와 각 신체 부위에 관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손용 전극, 검출부 및 체조성 산출부가 설치되고, 피험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는 제1 유닛과, 발용 전극이 설치되고, 피험자의 양발을 얹을 수 있는 제2 유닛과,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구비하고, 케이블은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에 대해 착탈가능하고, 케이블과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과의 접속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접속 검지부와, 접속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판별부는, 접속 검지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전신으로 판별하고, 접속 검지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양손으로 판별한다.
또는, 체조성계에는 손용 전극이 설치되고, 체조성계는, 피험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는 제1 유닛과, 발용 전극이 설치되고, 피험자의 양발을 얹을 수 있는 제2 유닛을 더 구비하고, 제2 유닛은, 제1 유닛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수납부에 제1 유닛이 수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수납 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과, 수납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판별부는, 수납 검지부에 의해 수납되어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양발로 판별하고, 수납 검지부에 의해 수납되어 있지 않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전신으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 산출부는, 전신에서의 제1 전위차에 기초하는 전신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부와, 전신 이외의 신체 부위에서의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와, 보정부에 의한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산출부는, 전신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전신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1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팔다리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3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3 산출부와, 제1 전신 체조성과 제3 전신 체조성이 일치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산출하기 위한 보정치 산출부와, 보정치의 데이터를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또, 보정부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보정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제2 산출부는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산출부는, 전신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전신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전신 임피던스와,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와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기 위한 상관 관계 산출부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관계 데이터를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또, 보정부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상관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제2 산출부는,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추정식에 기초하여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체조성 산출부는, 전신에서의 제1 전위차에 기초하는 전신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부와, 전신 이외의 신체 부위에서의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부와, 산출된 제2 전신 체조성을, 제1 전신 체조성과 제2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산출부는, 전신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전신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1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제2 산출부는, 팔다리 임피던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팔다리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체조성계는, 제1 전신 체조성과,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제2 전신 체조성과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기 위한 상관 관계 산출부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관계 데이터를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전신 체조성의 산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통지부는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통지부는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음성 출력부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조성계는 기억부에 기억된 전신 체조성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통지부는, 판독된 전신 체조성과, 전신 체조성에 대응시켜 기억된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통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는, 어느 신체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치 동일한 신체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인 것 같은 혼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체조성계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체조성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 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체조성계에서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체조성계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체조성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모드 판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모드 판별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전신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8의 단계 S120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1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2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손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우차트이다.
도 14는 도 12의 단계 S314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서의 발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도 15의 단계 S514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메모리 판독ㆍ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계 S908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체조성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체조성계에서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1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2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우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체조성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체조성계에서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1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2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 팔 유닛 2 : 다리 유닛
3 : 케이블 10a : 본체부
10b, 10c : 그립 11 : 검출부
12, 12A, 12B : 제어부 13 : 타이머
14 : 메모리 15 : 표시부
16 : 조작부 17 : 전원부
18, 31 : 커넥터 19 : 센서
20 : 수납부 21 : 수납 검지부
22 : 체중 측정부 100 : 체조성계
101 :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 102 :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
103 : 제1 체조성 산출부 104, 205, 304 : 보정부
105, 204 : 제2 체조성 산출부 106 : 상관 설정부
107 : 판별부 108 : 통지부
206, 306 : 상관 관계 산출부 1061 : 제3 체조성 산출부
1062 : 보정치 산출부 E10 : 손용 전극
E20 : 발용 전극
E11, E12, E13, E14, E21, E22, E23, E24 : 전극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의 외관 및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10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체조성계(100)는, 피험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는 팔 유닛(1)과, 피험자의 양발을 얹을 수 있는 다리 유닛(2)과, 팔 유닛(1) 및 다리 유닛(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팔 유닛(1)은, 본체부(10a)와 본체부(10a)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그립(10b, 10c)을 포함한다. 본체부(10a)에는, 측정 결과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 및 피험자에 의해 조작되어 피험자로부터의 지시나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16)가 설치된다. 그립(10b, 10c)에는, 복수의 전극(E11, E12, E13, E14)이 설치된다. 그립(10b, 10c)은 피험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왼손용 그립(10b)에는 전극(E11, E13)이, 오른손용 그립(10c)에는 전극(E12, E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립(10b, 10c)의 상부측(측정 자세에서 피험자의 머리측)에 각각 설치된 전극(E11, E12)은 전류 인가용 전극이며, 그립(10b, 10c)의 하부측에 각각 설치된 전극(E13, E14)은 전압 검지용 전극이다. 여기서는, 팔 유닛(1)이 핸들형으로 구성된 그립(10b, 10c)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험자가 팔 유닛(1)을 양손으로 쥘 수 있고, 또한 양손으로 쥐여지는 부분에 전극(E11∼E14)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피험자의 왼손에 전극(E11, E13)이, 오른손에 전극(E12, E14)이 각각 접촉되면 된다.
다리 유닛(2)의 상면(피험자가 양발을 얹어 놓기 위한 면)에는 복수의 전극(E21, E22, E23, E24)이 설치된다. 이들 전극 중, 다리 유닛(2)의 전방측(측정 자세에서 피험자의 발끝측)에 각각 설치된 전극(E21, E22)은 전류 인가용 전극이며, 하지 유닛(2)의 후방측(측정 자세에서 피험자의 발뒤꿈치측)에 각각 설치된 전극(E23, E24)은 전압 검지용 전극이다. 또, 다리 유닛(2)은 팔 유닛(1)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를 포함한다. 또한, 다리 유닛(2)에는, 팔 유닛(1)의 수납부(20)에 대한 수납을 검지하기 위한 수납 검지부(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검 지부(21)는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케이블(3)의 단부에는, 팔 유닛(1)에 내장된 커넥터(18)에 대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3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팔 유닛(1)과 케이블(3)이 착탈가능한 것으로 하지만, 다리 유닛(2)과 케이블(3)이 착탈가능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극(E11∼E14)을 총칭하여 「손용 전극(E10)」, 전극(E21∼E24)을 총칭하여 「발용 전극(E20)」 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팔 유닛(1)은, 상기 손용 전극(E10), 표시부(15), 조작부(16), 커넥터(18)에 더하여, 손용 전극(E10) 및 발용 전극(E20)의 쌍방에 의해, 피험자의 수족간에 전류를 인가하여 수족간(전신)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또한, 손용 전극(E10) 및 발용 전극(E20) 중 어느 한쪽에 의해, 피험자의 전신(양손-양발), 양손(오른손-왼손) 및 양발(오른발-왼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체 부위 각각에서의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와, 체조성계(10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일시를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13)와,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4)와, 제어부(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와, 케이블(3)과 팔 유닛(1)과의 착탈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19)를 더 포함한다.
검출부(11)는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어 전극을 전환한다. 또, 검출한 전위차의 정보는 제어부(12)에 출력된다. 검출부(11)는, 예를 들어 손용 전극(E10) 및 발용 전극(E20) 모두와 접속된다. 검출부(11)는, 제어부(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극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전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적어도 한쌍의 전류용 전극에 정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정전류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전류용 전극을 통해 정전류가 피험자에게 인가된 상태에서, 전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적어도 한쌍의 전압용 전극의 전위차를 검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검출부(11)가 손용 전극(E10)과 발용 전극(E20) 모두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전위차에 기초하는 임피던스를 「전신 임피던스」라 한다. 또, 검출부(11)가 손용 전극(E10)만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전위차에 기초하는 임피던스를 「양손간 임피던스」, 검출부(11)가 발용 전극(E20)만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전위차에 기초하는 임피던스를 「양발간 임피던스」라 한다. 또, 양손간 임피던스 및 양발간 임피던스 등의 전신 이외의 신체 부위(양손, 양발, 오른손-왼발 등)에서의 임피던스를 「팔다리 임피던스」라고도 한다.
제어부(12)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14)는,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15)는, 예를 들어 액정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16)는, 전원의 ON/OFF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6.1) 또는 측정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시작 스위치(16.2) 등을 포함한다.
다리 유닛(2)은, 상기 발용 전극(E20) 및 수납 검지부(21)에 더하여, 피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중 측정부(22)는,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체조성계(100)는,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체조성계(100)는, 전신 임피던스(「Zw」로 나타낸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전신 계측 모드" 와, 팔다리 임피던스, 즉 양손간 임피던스(「Zh」로 나타낸다) 또는 양발간 임피던스(「Zf」로 나타낸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간이 계측 모드" 를 갖는다. 간이 계측 모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손-간이 계측 모드」와, 양발간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발-간이 계측 모드」를 포함한다.
전신 계측 모드로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경우의 피험자의 측정 자세는, 피험자의 양손 및 양발이 각각 손용 전극(E10) 및 발용 전극(E20)에 접촉된 상태이다. 손-간이 계측 모드로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경우의 피험자의 측정 자세는, 피험자의 양손이 손용 전극(E10)에 접촉된 상태이다. 발-간이 계측 모드로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경우의 피험자의 측정 자세는, 피험자의 양발이 발용 전극(E10)에 접촉된 상태이다.
그런데, 간이 계측 모드로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경우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일내 변동의 영향 등에 의해 체조성 산출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전신 체조성의 산출에 사용된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이하 「측정 부위」라 한다)에 관한 정보를 피험자에게 통지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 란, 예를 들어 측정 부위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되고, 모드명 등의 측정 부위를 간접 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마치 동일한 측정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조성인 것 같은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피험자는 가능한 한 신뢰성 높은 체조성의 결과를 얻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따라서, 간이 계측 모드의 경우도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과 동일한 신뢰성 높은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해, 보정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신뢰성 높은 체조성을 얻으면서도,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체조성의 값이 보정될 가능성이 있는 값인지 아닌지까지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이 계측 모드의 경우, 후술하는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2)는, 전신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한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와, 팔다리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와,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에 의해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체조성 산출부(103)와,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104)와, 보정부(104)에 의한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체조성 산출부(105)와, 상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상관 설정부(106)와, 측정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107)와, 판별부(107)에 의해 판별된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부(108)를 포함한다.
상관 정보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의 데이터이다.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검출부(11)를 제어하여 전신 임피던스를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E11, E12)으로부터 전극(E21, E22)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험자의 전신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극(E13, E14)과 전극(E23, E24) 사이의 전위차(이하 「전신 전위차」라 한다)를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검출된 전신 전위차에 기초하여 전신 임피던스 Zw가 산출(계측)된다. 전신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경우, 전극(E11)과 전극(E12), 전극(E21)과 전극(E22), 전극(E13)과 전극(E14) 및 전극(E23)과 전극(E24)은, 각각 단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전신 계측 모드 및 간이 계측 모드의 각각에서, 검출부(11)를 제어하여 팔다리 임피던스를 계측한다. 전신 계측 모드에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양발간 임피던스 Zf 모두를 계측한다. 손-간이 계측 모드에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계측하고, 발-간이 계측 모드에서는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계측한다.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계측하는 경우,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구체적으로는, 전극(E11)과 전극(E12)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험자의 양손간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극(E13)과 전극(E14) 사이의 전위차(이하 「양손간 전위차」라 한다)를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계측하는 경우,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구체적으로는, 전극(E21)과 전극(E22)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험자의 양발간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극(E23)과 전극(E24) 사이의 전위차(이하 「양발간 전위차」라 한다)를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1 체조성 산출부(103) 및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각각 전신 체조성으로서, 예를 들어 체지방률을 산출한다. 체지방률(%FAT)은 이하와 같은 식 (1)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FAT=W-FFM/W*100ㆍㆍㆍ(1)
(단, FFM : 제지방량, W : 체중)
여기서, (전신의) 제지방량 FFM의 추정식은, 전신 임피던스 Zw를 사용하는 경우,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사용하는 경우 및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사용하는 경우의 각각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피험자의 제지방량은, 예를 들어 MRI 등으로 측정된 기준(reference)과의 상관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 임피던스와 신체 정보와 제지방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하와 같은 추정식 (2)∼(4)를 사용하여 산출된다. 전신 임피던스 Zw를 사용하여 추정되는 제지방량을 「FFM_w」,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사용하여 추정되는 제지방량을 「FFM_h」,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사용하여 추정되는 제지방량을 「FFM_f」로 나타낸다.
FFM_w=α1*H2/Zw+β1*W+γ1ㆍㆍㆍ(2)
FFM_h=α2*H2/Zh+β2*W+γ2ㆍㆍㆍ(3)
FFM_f=α3*H2/Zf+β3*W+γ3ㆍㆍㆍ(4)
(단, α1, β1, γ1, α2, β2, γ2, α3, β3, γ3 : 계수, H : 신장, W : 체중).
상기 추정식에서의 계수는, 개인의 속성(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1 체조성 산출부(103)는,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에 의해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 Zw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1) 식 및 (2) 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체지방률)을 산출한다. 또,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손-간이 계측 모드에서, 보정부(104)에 의한 보정후의 양손간 임피던스(「Zh'」로 나타낸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1) 식 및 (3) 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한다. 또,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발-간이 계측 모드에서, 보정부(104)에 의한 보정후의 양발간 임피던스(「Zf'」로 나타낸다)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1) 식 및 (4) 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정식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임피던스값과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이 산출되는 것으로 하지만, 각 전위차의 값과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이 산출되는 것이어도 된다.
보정부(104)는, 간이 계측 모드에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를, 메모리(14)에 기억된 상관 정보(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상관 설정부(106)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 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3 체조성 산출부(1061)와, 제1 체조성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제3 체조성 산출부(1061)에 의해 산출된 전신 체조성이 일치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산출하기 위한 보정치 산출부(1062)를 갖는다. 제3 체조성 산출부(1061)는, 구체적으로는, 전신 전위차의 검출시에 검출된 양손간 전위차에 기초하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1) 식 및 (3) 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한다. 또한, 전신 전위차의 검출시에 검출된 양발간 전위차에 기초하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1) 식 및 (4) 식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한다. 「전신 전위차의 검출시」는, 적어도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일련의 측정 처리의 기간내이면 된다.
판별부(107)는, 예를 들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계측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즉, 전신 계측 모드, 손-간이 계측 모드 및 발-간이 계측 모드 중 어느 계측 모드를 실행하는지를 판별한다. 구체적인 판별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통지부(108)는, 전신 체조성의 정보와 함께, 판별된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통지부(108)는, 표시부(15)에 전신 체조성의 정보와 함께,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메모리(14)에 각 측정 부위를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어 문자, 그림, 기호 등의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통지부(108)가, 판별된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판독, 표시한다. 여기서는, 통지부(108)는 표시부(15)에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통 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부에,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지부(108)는, 표시부(15)에 전신 체조성을 표시하고, 전신 체조성이 표시되어 있을 때, 예를 들어 측정 부위의 명칭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는, 측정 부위마다 다른 멜로디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어부(12)는, 각 전위차 검출시의 시간대(예를 들어, 아침시간대, 낮시간대, 밤시간대 등)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신 계측 모드의 경우, 제어부(12)는, 타이머(13)로부터의 계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신 전위차 검출시의 시간대를 판정한다. 또, 간이 계측 모드의 경우, 제어부(12)는, 타이머(13)로부터의 계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손간 전위차 또는 양발간 전위차 검출시의 시간대를 판정한다. 「양손간 전위차 또는 양발간 전위차 검출시」는, 적어도 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일련의 측정 처리의 기간내이면 된다.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은, 메모리(14) 중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에 관해서는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체조성계(100)에서의 메모리(14)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메모리(14)에는, 아침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아침시간대 기억 영역(141)과, 낮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낮시간대 기억 영역(142)과, 밤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밤시간대 기억 영역(143)이 포함된다. 이들 기억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측정 결과가 기억될지 는, 제어부(12)에 의해 판별된 시간대에 따라 결정된다. 시간대의 범위는, 미리 출하시에 정해져 있어도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생활 사이클에 맞춰 설정할 수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5시∼10시를 「아침시간대」, 10시∼16시를 「낮시간대」, 16시∼다음날 4시를 「밤시간대」와 같이 정할 수 있다.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체조성 측정 처리가 실행되면, 메모리(14)에는, 측정 결과가 측정시의 시간대에 따른 기억 영역에 레코드 Ra 단위로 기억된다. 레코드 Ra(Ra1, Ra2,ㆍㆍㆍ, Ran)에는, 측정시(각 전위차 검출시)의 일시 데이터 T, 신체 정보로서의 신장 입력치 데이터 H, 신체 정보로서의 체중치 데이터 W, 신체 정보로서의 성별 데이터 S, 신체 정보로서의 연령 데이터 A, 계측 모드 데이터 M, 측정 결과로서의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가 포함된다. 이들 데이터는, 측정마다 대응되어 각 영역에 저장되면 되고, 레코드 Ra를 사용한 저장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여기서는 시간대마다 기억 영역을 미리 설치해 두는 것으로 했지만, 시간대마다의 기억 영역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간대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레코드 Ra에 포함시켜, 메모리(14)에 측정 일시의 순으로 저장해도 된다.
계측 모드 데이터 M은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신 계측 모드, 손-간이 계측 모드 및 발-간이 계측 모드 중 어느 계측 모드가 실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전신 계측 모드이면 「0」, 손-간이 계측 모드이면 「1」, 발-간이 계측 모드이면 「2」가 저장된다.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는 최종적인 체조성의 측정 결과이며, 제1 체조성 산 출부(103) 또는 제2 체조성 산출부(105)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률의 데이터이다.
상관 정보 Rwh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의 보정치 Zr_h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관 정보 Rwf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의 보정치 Zr_f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전신 계측 모드에 의해 전신 체조성이 측정되면, 상기 모든 데이터가 메모리(14)에 기억된다. 한편, 손-간이 계측 모드에 의해 전신 체조성이 측정되면, 체중 W,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 이외의 데이터가 메모리(14)에 기억된다. 또, 발-간이 계측 모드에 의해 전신 체조성이 측정되면,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 이외의 데이터가 메모리(14)에 기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의 동작>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100)의 제어부(12)가 실행하는 체조성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2)가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체조성 측정 처리의 기능이 실현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어 측정 시작 스위치(16.2)를 누름에 따라 시작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판별부(107)는 모드 판별 처리를 행한다(단계 S2). 단계 S2에서의 모드 판별 처리의 서브 루틴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판별부(107)는,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커넥터(18)와 커넥터(31)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2). 즉, 팔 유 닛(1)과 케이블(3)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커넥터(18)와 커넥터(3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2에서 YES), 단계 S24로 진행한다. 한편, 커넥터(18)와 커넥터(3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2에서 NO),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4에서, 판별부(107)는, 수납 검지부(2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4에서 NO), 판별부(107)는, 측정 부위는 전신으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를 전신 계측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28).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24에서 YES), 측정 부위는 양발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는 발-간이 계측 모드로 설정된다(단계 S30).
단계 S26에서도, 판별부(107)는, 수납 검지부(2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6에서 NO), 판별부(107)는, 측정 부위는 양손으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를 손-간이 계측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32). 한편,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6에서 YES), 모드 설정 에러(측정 부위의 판별불가능)로 판정된다(단계 S34). 이상으로 모드 판별 처리는 종료된다.
이와 같이, 피험자는 각 계측 모드의 측정 자세를 취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측정 부위가 판별되어, 각 계측 모드에 따른 측정이 시작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12)는 타이머(1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시의 시간대를 판정한다(단계 S4).
다음으로, 제어부(12)는 단계 S2에서 판별된 모드를 판별한다(단계 S6). 전신 계측 모드이면,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 처리(전신 측정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2). 손-간이 계측 모드 또는 발-간이 계측 모드이면, 제어부(12)는 과거, 예를 들어 7일 이내로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8). 과거 7일 이내로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8에서 YES), 단계 S14 또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즉, 단계 S2에서 판별된 모드가 손-간이 계측 모드인 경우,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 판별된 모드가 발-간이 계측 모드인 경우,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시간대」란, 단계 S4에서 판정된 시간대(즉, 이번 측정시의 시간대)와 동일한 시간대를 나타낸다.
단계 S14에서 손-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 처리(손측정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6에서 발-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 처리(발측정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 S8에서, 과거 7일 이내로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8에서 NO), 제어부(12)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을 재촉한다(단계 S1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는, 예를 들어 표시부(15)에 「전신 계측 모드로 측정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센서(19) 및 수납 검지부(2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 즉 측정 부위를 판별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를 들어, 각각의 모드(측정 부위)에 대응한 버튼을 조작부(16)에 설치하여, 피험자에게 어느 모드를 실행할지(어느 측정 부위에서 측정할지)를 선택시켜도 된다. 또는, 도 7에 나타낸 모드 판별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모드 판별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판별부(107)는 발용 전극(E20)이 피험자의 양발에 접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발용 전극(E20)이 피험자의 양발에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2에서 YES), 단계 S44로 진행한다.
한편, 발용 전극(E20)이 피험자의 양발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2에서 NO),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4에서, 판별부(107)는 손용 전극(E10)이 피험자의 양손에 접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손용 전극(E10)이 피험자의 양손에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4에서 YES), 판별부(107)는 측정 부위는 전신으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를 전신 계측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48). 손용 전극(E10)이 양손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4에서 NO), 판별부(107)는 측정 부위는 양발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를 발-간이 계측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50).
단계 S46에서, 판별부(107)는 손용 전극(E10)이 피험자의 양손에 접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손용 전극(E10)이 피험자의 양손에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6에서 YES), 판별부(107)는 측정 부위는 양손으로 판별하여, 이후의 측정 처리를 손-간이 계측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52). 한편, 손용 전극(E10)이 피험자의 양손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6에서 NO), 모드 설정 에러(측정 부위의 판별불가능)로 판정된다(단계 S54). 이상으로 모드 판별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42, 44, 46에서의 판단은,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5-230120 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실현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신체 부위(전신, 양손, 양발)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는 임피던스와, 각 신체 부위에 관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접촉 상태의 판단이 가능하다. 도 7의 플로우차트에서는, 측정 부위가 전신, 양손 및 양발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기 부위에 더하여, 오른손-오른발간, 오른손-왼발간, 왼손-왼발간 및 왼손-오른발간인지를 더 판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전신 계측 모드 및 간이 계측 모드에 더하여, 한손-한발 모드를 더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계 S46에서 손용 전극이 양손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46에서 NO), 이들 다른 신체 부위(오른손-오른발간, 오른손-왼발간, 왼손-왼발간 및 왼손-왼발간)의 전극에 대한 접촉 상태를 더 검지하여 측정 부위를 판별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전신 측정 처리(S12), 손측정 처리(S14) 및 발측정 처리(S16)의 각각에 관해 서브 루틴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전신 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12)는 피험자로부터 신체 정보(신장, 연령, 성별)의 입력을 접수한다(단계 S102). 다음으로, 제어부(12)는 체중 측정부(22)에 의해 체중을 측정한다(단계 S104).
다음으로,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는 피험자의 전신 임피던스 Zw를 계측한다(단계 S106). 이어서, 제1 체조성 산출부(103)는, 단계 S106에서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 Zw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 즉 체지방률(「%FAT_w」로 나타낸다)을 산출한다(단계 S108).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체조성 산출부(103)는, 전신 임피던스 Zw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추정식 (2)을 사용하여, 우선 전신의 제지방량(FFM_w)을 산출한다. 그 후, 식 (1)을 사용하여 체지방률(%FAT_w)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나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지만, 전신 임피던스 Zw 및 피험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제지방량만을 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피험자의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계측한다(단계 S110). 또, 피험자의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계측한다(단계 S112). 다음으로, 상관 설정부(106)는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단계 S114) 및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단계 S116)를 행한다. 이들 설정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제어부(12)는, 단계 S4에서 판정된 시간대에 대응하여, 측정 결과나 상관 정보 등을 메모리(14)에 기록한다(단계 S118). 또, 통지부(108)는, 측정 결과(체지방률) 및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서, 표시영역 D1에 단계 S108에서 산출된 전 신의 체지방률이 표시되고, 표시영역 D2에는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양손-양발」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전신(양손-양발간)에서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지방률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피험자는 가장 신뢰성 높은 체지방률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측정 부위 그 자체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전신 계측 모드」와 같이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피험자는 전신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체지방률이 산출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의 평가에 관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도면에서는,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블록이 표시되고, 좌측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홀수번째의 블록과 관련지어, 적다 (1), 약간 적다 (2), 표준 (3), 약간 많다 (4) 및 많다 (5) 라는 문자 및 숫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가장 좌측의 블록으로부터 산출 결과의 평가에 해당하는 위치의 블록까지를 점등 표시(색칠 표시)시킴으로써, 피험자에게 산출 결과의 평가를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적다 (1)" 부터 "약간 많다 (4)" 까지의 블록이 점등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체지방률이 표준 레벨보다 약간 많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산출 결과의 평가는, 예를 들어 연령 및 성별마다 미리 설치된 평가 테이블(체지방률의 값과 평가의 대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정보는 도 9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좀 더 운동합시다." 와 같은 메시지이어도 된다.
이상으로 전신 측정 처리는 종료된다.
여기서,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S114) 및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S116)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3 체조성 산출부(1061)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 즉 체지방률(「%FAT_h」로 나타낸다)을 산출한다(단계 S202).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체조성 산출부(1061)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추정식 (3)을 사용하여, 먼저 전신의 제지방량(FFM_h)을 산출한다. 그 후 체지방률(%FAT_h)을 산출한다. 이 경우도,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나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러한 산출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관 설정부(106)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 정보인 보정치 Zr_h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204).
이어서, 상관 설정부(106)는, 단계 S202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h와 단계 S108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w의 차분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Th_h를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06). 임계치 Th_h를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6에서 YES), 단계 S208로 진행한다. 한편, 임계치 Th_h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6에서 NO), 단계 S212로 진행한다. 이 임계치 Th_h는, 일내 변동에 의한 차이가 1% 정도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0.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08에서, 보정치 산출부(1062)는, 체지방률 %FAT_h와 체지방률 %FAT_w 이 일치하는 임피던스 Zhα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단계 S208에서 산출된 임피던스 Zhα와 단계 S110에서 계측된 양손간 임피던스 Zh의 차이가, 이번의 보정치 Zr_hα로서 산출된다(단계 S210). 단계 S210의 처리가 끝나면, 단계 S214로 진행한다.
단계 S212에서 이번의 보정치 Zr_hα는 "0" 이 된다.
단계 S214에서 보정치 Zr_h가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계 S204에서 판독한 직전의 보정치 Zr_h와, 이번의 보정치 Zr_hα를 평균화(예를 들어, (Zr_h+Zr_hα)/2)함으로써, 새로운 보정치 Zr_h가 산출된다.
메모리(14)에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이번의 보정치 Zr_hα가 보정치 Zr_h가 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으로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3 체조성 산출부(106)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 즉 체지방률(「%FAT_f」로 나타낸다)을 산출한다(단계 S2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체조성 산출부(106)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추정식 (4)을 사용하여, 먼저 전신의 제지방량(FFM_f)을 산출한다. 그 후, 식 (1)을 사용하여 체지방률(%FAT_f)을 산출한다. 여기서도,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나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러한 산출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관 설정부(106)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 정보인 보정치 Zr_f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224).
이어서, 상관 설정부(106)는, 단계 S222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f와 단계 S108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w의 차분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Th_f를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26). 임계치 Th_f를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26에서 YES), 단계 S228로 진행한다. 한편, 임계치 Th_f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26에서 NO), 단계 S232로 진행한다. 이 임계치 Th_f도, 일내 변동에 의한 차이가 1% 정도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0.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28에서, 보정치 산출부(1062)는 체지방률 %FAT_f와 체지방률 %FAT_w가 일치하는 임피던스 Zfα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단계 S228에서 산출된 임피던스 Zfα와 단계 S110에서 계측된 양발간 임피던스 Zf의 차이가, 이번의 보정치 Zr_fα로서 산출된다(단계 S230). S230의 처리가 끝나면, 단계 S234로 진행한다.
단계 S232에서 이번의 보정치 Zr_fα는 "0" 이 된다.
단계 S234에서 보정치 Zr_f가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계 S224에서 판독한 직전의 보정치 Zr_f와 이번의 보정치 Zr_fα를 평균화(예를 들어, (Zr_f+Zr_fα)/2)함으로써, 새로운 보정치 Zr_f가 산출된다.
메모리(14)에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이번의 보정치 Zr_fα가 보정치 Zr_f가 된다.
이상으로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전의 보정치와 이번의 보정치를 평균화함으로써 보정 치를 갱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과거 모든 보정치를 판독하여 평균화해도 된다. 또는, 소정기간 이내의 보정치를 판독하여 평균화해도 된다. 또는, 평균화하지 않고, 단순히 이번의 보정치를 구하기만 해도 된다.
또,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에서의 단계 S206, S208 및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에서의 단계 S226, S228에서 사용되는 체지방률 %FAT_w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치의, 일정 기간에서의 평균치이어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손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어부(12)는 피험자의 신체 정보(신장, 연령, 성별)의 입력을 접수한다(단계 S302). 다음으로, 제어부(12)는 메모리(14)로부터 직전의 체중을 판독한다(단계 S304). 이에 의해, 피험자에 의한 체중치의 입력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여기서 판독되는 체중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데이터이어도 되고, (시간대에 관계없이) 단순히 직전의 데이터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계측한다(단계 S306). 이어서, 제어부(12)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바로 근처)의 상관 정보인 보정치 ZR_h를 판독한다(단계 S308). 이어서, 제1 체조성 산출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310). 여기서, 단계 S310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에 관해,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 로우차트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보정부(104)는 단계 S306에서 계측된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보정한다(단계 S402). 구체적으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에, 단계 S3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보정치 Zr_h를 가산함으로써, 보정후의 임피던스 Zh'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 즉 체지방률(%FAT_h)을 산출한다(단계 S404).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피던스 Zh'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 (1) 및 (3)에 기초하여 체지방률이 산출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제1 체조성 산출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12)는, 단계 S4에서 판정된 시간대에 대응하여, 측정 결과 등을 메모리(14)에 기록한다(단계 S312). 마지막으로, 통지부(108)는, 측정 결과(체지방률) 및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단계 S314). 단계 S314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서, 표시영역 D1에 단계 S404에서 산출된 전신의 체지방률이 표시되고, 표시영역 D2에는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오른손-왼손」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양손(오른손-왼손간)에서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지방률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도,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측정 부위 그 자체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손-간이 계측 모드」와 같이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 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피험자는 양손간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체지방률이 산출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의 평가에 관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손측정 처리는 종료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발측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제어부(12)는 피험자의 신체 정보(신장, 연령, 성별)의 입력을 접수한다(단계 S502). 다음으로, 제어부(12)는 체중 측정부(22)에 의해 체중을 측정한다(단계 S504).
다음으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는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계측한다(단계 S506). 이어서, 제어부(12)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 정보인 보정치 ZR_f를 판독한다(단계 S508). 이어서, 제2 체조성 산출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510). 여기서, 단계 S510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에 관해,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보정부(104)는 단계 S506에서 계측된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보정한다(단계 S602). 구체적으로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에, 단계 S5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보정치 Zr_f를 가산함으로써, 보정후의 임피던스 Zf'가 산출된 다.
다음으로,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 즉 체지방률(%FAT_f)을 산출한다(단계 S604).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피던스 Zf'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 (1) 및 (4)에 기초하여 체지방률이 산출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여, 제2 체조성 산출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12)는 시간대에 대응하여, 측정 결과 등을 메모리(14)에 기록한다(단계 S512). 마지막으로, 통지부(108)는 측정 결과(체지방률) 및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단계 S514). 단계 S514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여, 표시부(15)에서, 표시영역 D1에 단계 S604에서 산출된 전신의 체지방률이 표시되고, 표시영역 D2에는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오른발-왼발」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양발(오른발-왼발간)에서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지방률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도,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측정 부위 그 자체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발-간이 계측 모드」와 같이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피험자는, 양발간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체지방률이 산출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의 평가에 관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발측정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상관 정보로서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설정해 둔다. 즉, 전신 계측 모드시에 산출된,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추정식 (2)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추정식 (3), (4)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이 일치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상관 정보로서 설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간이 계측 모드에서도, 사용자(피험자)에 대응한, 신뢰성 높은 전신 체조성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를 표시부(15)에 표시할 때, 측정 부위를 나타내는 문자가 동시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어느 측정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예에서는,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와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체지방률의 산출 결과와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가 교대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시의 시간대마다 상관 정보를 설정했기 때문에, 일내 변동의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관 정보로서, 전신 임피던스와 추정식 (2)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와 추정식 (3), (4)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이 일치하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이 계측 모드에서도, 전신 임피던스와 추정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신 체조성과 동등한, 정밀도가 높은 체조성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간이 계측 모드로 전신 체조성을 측정했다 하더라도, 일내 변동의 영향에 신경쓰지 않고, 전신 체조성의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기간(예를 들어 7일간) 이내로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가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8에서 NO),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사용을 재촉하는 통지를 행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통지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사용을 금지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고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여, 그 취지(보정 처리는 적용외라는 취지)를 통지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순히 팔다리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전신 체조성을 측정하는 모드명을 「단독 팔다리 계측 모드」라 하는 경우, 단독 팔다리 계측 모드에 의한 측정 결과인 취지를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 기간 이내로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의 유무를 판정했지만, 단순히 동일한 시간대의 상관 정보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할 때마다 신체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했지만, 한번 입력된 신체 정보를 메모리(14)에 기억해 두고, 이후의 입력을 생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간대마다 상관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시간대에 관계없이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시간대 이외의 다른 측정 조건(운동전, 운동후 등)마다 상관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관 정보를 설정할 때, 체지방률 %FAT_w와 체지방률 %FAT_h, f를 기준으로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구하는 것으로 했지만, 제지 방량 FFM_w와 제지방량 FFM_h, f를 기준으로 해도 된다. 또는, 팔다리의 체조성(예를 들어 제지방량)의 보정치를 상관 정보로서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팔다리의 전위차의 보정치를 상관 정보로서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관 정보를 시간대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간이 계측 모드시에 판정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관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상관 정보를 시각과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간이 계측 모드시에 판정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관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부위가 어느 신체 부위라 하더라도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으로 했지만, 측정 부위가 전신 이외의 신체 부위인 경우(측정 부위가 2개의 경우)에만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이 계측 모드에, 손-간이 계측 모드와 발-간이 계측 모드를 모두 설치했지만, 어느 한쪽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손-간이 계측 모드만을 설치하는 경우, 상술한 모드 판별 처리에서, 단순히 커넥터(18)와 커넥터(31)가 접속되어 있으면 「전신 계측 모드」,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손-간이 계측 모드」로 판별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발-간이 계측 모드만을 설치하는 경우, 팔 유닛(1)이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으면 「발-간이 계측 모드」, 수납되어 있지 않으면 「전신 계측 모드」로 판별해도 된다. 또는, 오른손-왼발간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조성을 측정하는 모드 등을 더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측정할 때마다, 산출된 체조성의 값과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가 관련되어 표시되는 것이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과거에 측정된 체조성의 값과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가 관련되어 더 표시되어도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서의 메모리 판독ㆍ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2)가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메모리 판독ㆍ표시 처리의 기능이 실현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어 조작부(16)에 포함되는, 과거의 측정 데이터의 표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메모리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름에 따라서 시작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제어부(12)는, 표시부(15)에 부위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S902). 예를 들어, 표시부(15)에는 전신, 양손 및 양발 각각을 나타내는 버튼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2)는, 사용자(피험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전신, 양손 및 양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다(단계 S904). 예를 들어, 조작부(16)의 소정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측정 부위가 선택된다.
지시를 접수하면, 제어부(12)는, 선택된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체조성을 메모리(14)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906). 그리고, 통지부(108)는, 표시부(15)에 판독된 측정치를 그래프 표시하고,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908). 구체적으로는, 단계 S906에서, 제어부(12)는, 선택된 측정 부위를 나타내는 계측 모 드 데이터 M과 관련된 체조성 데이터 F를, 예를 들어 소정 횟수분 판독한다. 단계 S908에서, 제어부(12)는, 판독한 측정치를 시간(몇회분 전인지)과 관련지어 플롯함으로써, 시간 변화에 따르는 측정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S908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는, 체지방률(단위 : %)을 종축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한, 측정치의 궤적(추이)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된다. 또, 소정의 표시영역 D3에,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오른손-왼손」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는, 양손(오른손-왼손간)에서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지방률의 궤적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측정 부위(계측 모드)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도,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로서, 측정 부위 그 자체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손-간이 계측 모드」와 같이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피험자는, 양손간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지방률의 궤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스위치가 눌려졌을 때 상기 처리가 시작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일련의 체조성 측정 처리에서 (예를 들어, 체조성 표시후에), 각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과거의 측정치의 궤적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측정 부위마다 메모리 스위치를 설치해 두고, 선택된 메모리 스위치에 따라 측정치의 판독 및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과거의 측정치의 궤적이 그래프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 만, 측정 부위와 과거의 측정치가 관련되어 표시(통지)되면 되고, 그래프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리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를 때마다, 단계 S904에서 선택된 부위에 대응하는 측정치를 하나씩 판독하여, 측정 부위에 관한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측정 부위가 전신 이외의 신체 부위인 경우에는, 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치의 궤적과 겹치게 하여,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치의 궤적을 더 표시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측정 부위의 차이에 의해, 얼마만큼 측정 결과가 상이한지를 알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상관 정보의 설정 및 간이 계측 모드에서의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험자 개인의 일내 변동의 영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상관 정보로 하였다. 실시형태 2에서는, 전신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를 상관 정보로 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2에서의 체조성계의 외관 및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형태 1에서의 체조성계(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도 도 1, 2에 나타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실시형태 1과의 상이점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체조성계(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실시형태 2에서의 제어부는, 실시형태 1에서의 제어부(12)의 기능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2A)로 기재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제어부(12A)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 제1 체조성 산출부(103), 판별부(107) 및 통지부(108)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12A)는, 실시형태 1에서의 보정부(104), 제2 체조성 산출부(105) 및 상관 설정부(106) 대신, 제2 체조성 산출부(204), 보정부(205)및 상관 관계 산출부(206)를 포함한다.
제2 체조성 산출부(204)는,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을 산출한다.
보정부(205)는, 간이 계측 모드에서 제2 체조성 산출부(204)에 의해 산출된 전신 체조성을, 메모리(14)에 기억된 상관 정보(전신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상관 관계 산출부(206)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제2 체조성 산출부(204)에 의해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제1 체조성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관 관계 산출부(206)에 의해, 예를 들어, 제지방량 FFM_w와 제지방량 FFM_h, f의 상관 관계가 산출된다. 상세한 산출방법은 후술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체조성계(100)에서의 메모리(14)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메모리(14)에는, 아침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아침시간대 기억 영역(141)과, 낮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낮시간대 기억 영역(142)과, 밤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밤시간대 기억 영역(143)이 포함된다.
체조성 측정 처리가 실행되면, 측정시의 일시 데이터 T, 신체 정보로서의 신장 입력치 데이터 H, 신체 정보로서의 체중치 데이터 W, 신체 정보로서의 성별 데이터 S, 신체 정보로서의 연령 데이터 A, 계측 모드 데이터 M, 측정 결과로서의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 전신의 제지방량 데이터 Fw, Fh, Ff,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로 이루어진 레코드 Rb(Rb1, Rb2,ㆍㆍㆍ, Rbn)가, 측정시의 시간대에 따른 영역에 저장된다.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최종적인 체조성의 측정 결과이고, 제1 체조성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률의 데이터 또는 보정부(205)에 의해 보정된 후의 체지방률의 데이터이다. 즉,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이면, 제1 체조성 산출부(103)에 의한 산출 결과 데이터이며,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1」 또는 「2」 (간이 계측 모드)이면, 보정부(205)에 의한 산출 결과 데이터이다.
전신의 제지방량 데이터 Fw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제1 체조성 산출부(103)에 의해, 전신 임피던스 Zw와 추정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지방량 FFM_w의 데이터이다. 제지방량 FFM_w는, 단계 S108에서 의 체지방률 산출시에 산출되는 것이다. 전신의 제지방량 데이터 Fh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제2 체조성 산출부(204)에 의해,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추정식(3)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지방량 FFM_h의 데이터이다. 전신의 제지방량 데이터 Ff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제2 체조성 산출부(204)에 의해, 양발간 임피던스 Zf와 추정식(4)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지방량 FFM_f의 데이터이다.
실시형태 2에서,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에는, 각각 후술하는 상관계수 ah, bh 및 상관계수 af, bf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제2 체조성 산출부(204)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의 제지방량(FFM_h)을 산출한다(단계 S702). 다음으로, 제어부(12A)는, 동일한 시간대에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04).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시간대에 기억된 레코드 Rb 중, 모드 데이터 M이 「0」 인 레코드 Rb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704에서 YES), S706으로 진행한다. 한편, 측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704에서 NO), 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706에서, 상관 관계 산출부(206)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에서의 전신의 제지방량(FFM_w)의 데이터 Fw 및 전신의 제지방량(FFM_h)의 데이터 Fh를 모두 판독한다.
이어서, 상관 관계 산출부(206)는, 전신의 제지방량 FFM_w와 전신의 제지방량 FFM_h의 상관 관계를 산출한다(단계 S708).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08 및 S702에서 각각 산출된 제지방량과, 단계 S706에서 판독된 각각의 제지방량에 기초하여, 이하의 상관식을 만족하는 상관계수 ah, bh를 산출한다.
FFM_w=ah*FFM_h+bh
이상으로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상관계수의 산출은, 각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최소 제곱법을 사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제2 체조성 산출부(204)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의 제지방량(FFM_f)을 산출한다(단계 S722). 다음으로, 제어부(12A)는, 동일한 시간대에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24).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724에서 YES), S726으로 진행한다. 한편, 측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724에서 NO), 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726에서, 상관 관계 산출부(206)는, 동일한 시간대에서의 전신의 제지방량(FFM_w)의 데이터 Fw 및 전신의 제지방량(FFM_f)의 데이터 Ff를 모두 판독한다.
이어서, 상관 관계 산출부(206)는, 전신의 제지방량(FFM_w)과 전신의 제지방량(FFM_f)의 상관 관계를 산출한다(단계 S728).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08 및 S722에서 각각 산출된 제지방량과, 단계 S726에서 판독된 각각의 제지방량에 기초하여, 이하의 상관식을 만족하는 상관계수 af, bf를 산출한다.
FFM_w=af*FFM_f+bf
단계 S722∼S728의 처리는 각각, 도 22에 나타낸 단계 S702∼S708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2에서,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도 8의 단계 S118에서는, 상관계수 ah, bh가 상관 정보 Rwh로서, 상관계수 af, bf가 상관 정보 Rwf로서 기억된다. 또, 단계 S108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W가 체지방률 데이터 F로서 저장된다. 또한, 단계 S108, S702, S722에서 산출된 제지방량 FFM_w, FFM_h, FFM_f가 각각 제지방량 데이터 Fw, Fh, Ff로서 저장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단계 S308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계수 ah, bh가 판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여, 제2 체조성 산출부(204)는, 단계 S306에서 계측된 양손간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의 제지방량 FFM_h를 산출한다(단계 S4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 (3)에 기초하여 제지방량이 산출된다.
다음으로, 보정부(205)는, 단계 S3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상관계수 ah, bh에 기초하여, 단계 S422에서 산출된 전신의 제지방량 FFM_h를 보정한다(단계 S424).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에 의해 보정후의 전신의 제지방량 FFM_h'가 산출된다.
FFM_h'=ah*FFM_h+bh
단계 S424에서, 또한 보정후의 제지방량 FFM_h'를 상기 식 (1)에 대입함으로써 체지방률 %FAT_h가 산출된다.
이상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424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h가, 단계 S312에서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단계 S314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단계 S508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계수 af, bf가 판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제2 체조성 산출부(204)는, 단계 S506에서 계측된 양발간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의 제지방량 FFM_f를 산출한다(단계 S6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발간 임피던스 Zf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4)에 기초하여 제지방량이 산출된다.
다음으로, 보정부(205)는, 단계 S5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상관계수 af, bf에 기초하여, 단계 S622에서 산출된 전신의 제지방량 FFM_f를 보정한다(단계 S624).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에 의해 보정후의 전신의 제지방량 FFM_f'가 산출된다.
FFM_f'=af*FFM_f+bf
단계 S624에서, 또한 보정후의 제지방량 FFM_f'를 상기 식 (1)에 대입함으로 써 체지방률 %FAT_f가 산출된다.
이상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624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f가, 단계 S512에서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단계 S514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상관 정보로서, 전신 임피던스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는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를 설정해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간이 계측 모드에서도 피험자에게 대응한, 신뢰성 높은 전신 체조성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지방량 FFM_w와 제지방량 FFM_h 또는 FFM-f와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체지방률 %FAT_w와 체지방률 %FAT_h 또는 %FAT_f와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706 및 S726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제지방량의 데이터 Fw 및 제지방량의 데이터 Fh, Ff를 모두 판독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과거, 소정기간 이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레코드 Rb에, 소정기간 이내의 모든 제지방량 데이터 Fw, Fh, Ff를 더 포함시켜 두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데이터를 판독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상관 정보로 하였다. 또, 실 시형태 2에서는, 전신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과 팔다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를 상관 정보로 하였다.
실시형태 3에서는, 전신 임피던스와 팔다리 임피던스의 상관 관계를 상관 정보로 한다. 실시형태 3에서의 체조성계의 외관 및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형태 1 및 2에서의 체조성계(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도 도 1, 2에 나타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주로 실시형태 1과의 상이점에 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체조성계(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실시형태 3에서의 제어부는, 실시형태 1에서의 제어부(12) 및 실시형태 2에서의 제어부(12A)의 기능과는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2B)로 기재한다.
도 26을 참조하여, 제어부(12B)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 제1 체조성 산출부(103), 제2 체조성 산출부(105), 판별부(107) 및 통지부(108)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12B)는, 실시형태 1에서의 보정부(104) 및 상관 설정부(106) 대신, 보정부(304) 및 상관 관계 산출부(306)를 포함한다.
보정부(304)는, 간이 계측 모드에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를, 메모리(14)에 기억된 상관 정보(전신 임피던스와 팔다리 임피던스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상관 관계 산출부(306)는,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에 의해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와, 전신 계측 모드에서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된 팔다리 임피던스의 상관 관계를 산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체조성계(100)에서의 메모리(14)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메모리(14)에는, 아침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아침시간대 기억 영역(141)과, 낮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낮시간대 기억 영역(142)과, 밤시간대에서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밤시간대 기억 영역(143)이 포함된다.
체조성 측정 처리가 실행되면, 측정시의 일시 데이터 T, 신체 정보로서의 신장 입력치 데이터 H, 신체 정보로서의 체중치 데이터 W, 신체 정보로서의 성별 데이터 S, 신체 정보로서의 연령 데이터 A, 계측 모드 데이터 M, 전신 임피던스 Zw를 나타내는 데이터 Iw,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나타내는 데이터 Ih,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나타내는 데이터 If, 측정 결과로서의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로 이루어진 레코드 Rc(Rc1, Rc2,ㆍㆍㆍ, Rcn)가, 측정시의 시간대에 따른 영역에 저장된다.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최종적인 체조성의 측정 결과이며, 제1 체조성 산출부(103) 또는 제2 체조성 산출부(105)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률의 데이터이다.
데이터 Iw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전신 임피던스 계측부(101)에 의해 계측되는 전신 임피던스 Zw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Ih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되는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If는,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0」 (전신 계측 모드)인 경우에, 팔다리 임피던스 계측부(102)에 의해 계측되는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형태 3에서, 상관 정보 Rwh 및 상관 정보 Rwf에는, 각각 후술하는 상관계수 ch, dh 및 상관계수 cf, df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을 참조하여, 처음에 제어부(12B)는, 동일한 시간대에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80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시간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레코드 Rc 중,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전신 계측 모드를 나타내고 있는 레코드 Rc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802에서 YES), S804로 진행한다. 한편, 측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802에서 NO), 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804에서, 상관 관계 산출부(306)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에서의 전신 임피던스 Zw의 데이터 Iw 및 양손간 임피던스 Zh의 데이터 Ih를 모두 판독한다.
이어서, 상관 관계 산출부(306)는, 단계 S106 및 S110에서 각각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 Zw 및 양손간 임피던스 Zh와, 단계 S804에서 판독된 전신 임피던스 Zw 및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이하의 상관식을 만족하는 상관계수 ch, dh를 산출한 다(S806).
Zw=ch*Zh+dh
이상으로 제1 상관 정보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처음에 제어부(12B)는, 동일한 시간대에 전신 계측 모드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82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시간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레코드 Rc 중, 계측 모드 데이터 M이 전신 계측 모드를 나타내고 있는 레코드 Rc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822에서 YES), S824로 진행한다. 한편, 측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822에서 NO), 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824에서, 상관 관계 산출부(306)는, 메모리(14)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에서의 전신 임피던스 Zw의 데이터 Iw 및 양발간 임피던스 Zf의 데이터 If를 모두 판독한다.
이어서, 상관 관계 산출부(306)는, 단계 S106 및 S110에서 각각 계측된 전신 임피던스 Zw 및 양발간 임피던스 Zf와, 단계 S824에서 판독된 전신 임피던스 Zw 및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이하의 상관식을 만족하는 상관계수 cf, df를 산출한다(S826).
Zw=cf*Zf+df
이상으로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실시형태 3에서,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 상관 정보 설정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단계 S118에서는, 상관계수 ch, dh가 상관 정보 Rwh로서, 상관계수 cf, df가 상관 정보 Rwf로서 기억된다. 또, 단계 S108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W가 체지방률 데이터 F로서 저장된다. 또한, 단계 S106, S110, S112에서 산출된 임피던스 Zw, Zh, Zf가 각각 데이터 Iw, Ih, If로서 저장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1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단계 S308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계수 ch, dh가 판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0을 참조하여, 보정부(304)는, 단계 S3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상관계수 ch, dh에 기초하여, 단계 S306에서 계측된 양손간 임피던스 Zh를 보정한다(단계 S442).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식을 사용하여 보정후의 임피던스 Zh'가 산출된다.
Zh'=ch*Zh+dh
다음으로,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h'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FAT_h)을 산출한다(단계 S444).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h'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 (1) 및 (2)에 기초하여(추정식 (2)의 "Zw" 에 "Zh'" 의 값을 대입) 체지방률이 산출된다.
이상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444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h가, 단계 S312에서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단계 S314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제2 체조성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단계 S508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상관계수 cf, df가 판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1을 참조하여, 보정부(304)는, 단계 S508에서 상관 정보로서 판독된 상관계수 cf, df에 기초하여, 단계 S506에서 계측된 양발간 임피던스 Zf를 보정한다(단계 S642).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식을 사용하여, 보정후의 임피던스 Zf'가 산출된다.
Zf'=cf*Zh+df
다음으로, 제2 체조성 산출부(105)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f'에 기초하여, 전신 체조성(%FAT_f)을 산출한다(단계 S644).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정후의 임피던스 Zf'와,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식 (1) 및 (2)에 기초하여(추정식 (2)의 "Zw" 에 "Zf'" 의 값을 대입) 체지방률이 산출된다.
이상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644에서 산출된 체지방률 %FAT_f가, 단계 S512에서 전신의 체조성 데이터 F로서 메모리(14)에 저장되어, 단계 S514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는, 전신 계측 모드에서, 상관 정보로서, 전신 임피던스와 팔다리 임피던스의 상관 관계를 설정해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간이 계측 모드에서도 피험자에게 대응한, 신뢰성 높은 전신 체조성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804 및 S824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전신 임피던스의 데이터 Iw 및 팔다리 임피던스의 데이터 Ih, If를 모두 판독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과거, 소정기간 이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레코드 Rc에, 소정기간 이내의 모든 임피던스 데이터 Iw, Ih, If를 더 포함시켜 두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시간대의 직전의 데이터를 판독하기만 해도 되는 것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신 임피던스와 팔다리 임피던스의 상관 관계를 상관 정보로서 설정했지만, 전신의 전위차와 2개의 전위차의 상관 관계를 상관 정보로서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 1∼3의 체조성계(100)는, 전신 체조성으로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그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근육률 등 다른 생체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체조성계가 행하는, 체조성 측정방법을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CD-ROM(Compact Disk-ROM) 등의 광학 매체나,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 기록시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프로그램 제품은, 하드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저장부에 인스톨되어 실행된다.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자체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 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는, 어느 신체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신 체조성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치 동일한 신체 부위에서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인 것 같은 혼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5)

  1. 복수의 손용 전극(hand electrode, E11∼E14) 및 복수의 발용 전극(foot electrode, E21∼E24)과,
    상기 손용 전극 및 상기 발용 전극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전신, 양손 및 양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체 부위 각각에서의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위차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피험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체조성 산출부(103, 105)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산출에 사용된 상기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상기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부(108)
    를 구비하고,
    상기 체조성 산출부는,
    상기 전신에서의 제1 전위차에 기초하는 전신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부(103)와,
    상기 전신 이외의 상기 신체 부위에서의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104)와,
    상기 보정부에 의한 보정후의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부(105)를 포함하는 체조성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위차에 대응하는 임피던스와 각 상기 신체 부위에 관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107)를 더 구비하는 체조성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용 전극,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체조성 산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피험 자가 상기 양손으로 쥘 수 있는 제1 유닛(1)과,
    상기 발용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피험자의 상기 양발을 얹을 수 있는 제2 유닛(2)과,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유닛 또는 상기 제2 유닛에 대해 착탈가능하고,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1 유닛 또는 상기 제2 유닛과의 접속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접속 검지부(19, 107)와,
    상기 접속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107)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상기 전신으로 판별하고,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상기 양손으로 판별하는 체조성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용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피험자가 상기 양손으로 쥘 수 있는 제1 유닛(1)과,
    상기 발용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피험자의 상기 양발을 얹을 수 있는 제2 유닛(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제1 유닛이 수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수납 검지부(21, 10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3)과,
    상기 수납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107)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수납 검지부에 의해 수납되어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상기 양발로 판별하고, 상기 수납 검지부에 의해 수납되어 있지 않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는 상기 전신으로 판별하는 체조성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1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상기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제3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3 산출부(1061)와,
    상기 제1 전신 체조성과 상기 제3 전신 체조성이 일치하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의 보정치를 산출하기 위한 보정치 산출부(1062)와,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를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4)를 더 구비하는 체조성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를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제2 산출부는, 상기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는 체조성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상기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와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기 위한 상관 관계 산출부(106)와,
    상기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관계 데이터를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4)를 더 구비하는 체조성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를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상기 제2 산출부는, 상기 보정후의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는 체조성계.
  10. 복수의 손용 전극(hand electrode, E11∼E14) 및 복수의 발용 전극(foot electrode, E21∼E24)과,
    상기 손용 전극 및 상기 발용 전극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전신, 양손 및 양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체 부위 각각에서의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위차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피험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체조성 산출부(103, 105)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산출에 사용된 상기 전위차의 검출 대상의 상기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부(108)
    를 구비하고,
    상기 체조성 산출부는,
    상기 전신에서의 제1 전위차에 기초하는 전신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부(103)와,
    상기 전신 이외의 상기 신체 부위에서의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팔다리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부(105)와,
    산출된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을, 상기 제1 전신 체조성과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205)를 포함하는 체조성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임피던스와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1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제1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산출부는,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팔다리 임피던스와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전신 체조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2 추정식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전신 체조성과, 상기 제1 전위차 검출시에 검출된 상기 제2 전위차에 기초하는 상기 제2 전신 체조성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기 위한 상관 관계 산출부(206)와,
    상기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를 상기 상관 정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하는 체조성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신 체조성의 산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체조성계.
  13. 제1항에 있어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상기 음성 출력부에 출력하는 체조성계.
  14.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전신 체조성과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4)를 더 구비하는 체조성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전신 체조성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는, 판독된 상기 전신 체조성과, 상기 전신 체조성에 대응시켜 기억된 상기 검출 대상의 신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통지하는 체조성계.
KR1020087014480A 2006-01-18 2007-01-11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KR100996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0262 2006-01-18
JP2006010262A JP4529913B2 (ja) 2006-01-18 2006-01-18 体組成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27A KR20080075527A (ko) 2008-08-18
KR100996478B1 true KR100996478B1 (ko) 2010-11-24

Family

ID=3828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480A KR100996478B1 (ko) 2006-01-18 2007-01-11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31812A1 (ko)
EP (1) EP1977691A4 (ko)
JP (1) JP4529913B2 (ko)
KR (1) KR100996478B1 (ko)
CN (1) CN101370428B (ko)
RU (1) RU2396901C2 (ko)
WO (1) WO2007083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691B2 (ja) * 2007-06-11 2013-10-2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重計
DE102008051347B4 (de) * 2008-10-15 2018-12-0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korrigierten Volumenkompartiments eines amputierten Patienten,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Computerprogrammprodukt
DE112010000672B4 (de) 2009-02-20 2022-10-20 Omron Healthcare Co., Ltd. Messvorrichtung für bioilogische informationen, messverfahren für biologische informationen und körperzusammensetzungs-messvorrichtung
JP5239999B2 (ja) * 2009-03-27 2013-07-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組成計、測定結果出力方法および測定結果出力プログラム
EP2305111A1 (de) * 2009-10-01 2011-04-06 seca ag Bioimpedanzmessvorrichtung und -verfahren
JP5443297B2 (ja) * 2010-07-30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052202B1 (ko) * 2010-07-30 2011-07-29 (주) 엘비스가버 신체 균형 보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29930A (ja) * 2010-07-30 2012-02-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2348489B1 (ko) * 2015-02-26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US10842436B2 (en) 2015-02-26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body composition meas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body part to be measured
EP3376951A4 (en) 2015-11-10 2019-08-14 Impedimed Limited IMPEDANCE MEASUR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0120A (ja) 2004-02-17 2005-09-02 Tanita Corp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及び体組成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9782A (en) 1993-08-12 1996-12-03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JPH10272114A (ja) * 1997-04-01 1998-10-13 Sekisui Chem Co Ltd 体脂肪率測定方法
US6393319B1 (en) * 1997-05-06 2002-05-21 Christopher Bock Methods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livery of electrical physical modalities to a patient
JP3758132B2 (ja) * 1999-10-12 2006-03-22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DE60037763T2 (de) * 1999-10-12 2009-01-08 Tanita Corp. Messgerät für einen lebenden Körper
JP3414378B2 (ja) * 2000-10-27 2003-06-09 オムロン株式会社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AU2002218496A1 (en) * 2000-11-29 2002-06-11 Art Haven 9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s
US20040054298A1 (en) * 2000-12-14 2004-03-18 Yoshihisa Masuo Body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US7218961B2 (en) * 2002-03-19 2007-05-15 Funai Electric Co., Ltd. Percent body fat measuring apparatus using a half-wave waveform
JP4105472B2 (ja) * 2002-04-12 2008-06-25 株式会社フィジオン 身体組成測定装置
JP2005261488A (ja) * 2004-03-16 2005-09-29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0120A (ja) 2004-02-17 2005-09-02 Tanita Corp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及び体組成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7691A1 (en) 2008-10-08
WO2007083563A1 (ja) 2007-07-26
KR20080075527A (ko) 2008-08-18
JP4529913B2 (ja) 2010-08-25
RU2008133572A (ru) 2010-02-27
EP1977691A4 (en) 2010-09-29
US20090131812A1 (en) 2009-05-21
JP2007190142A (ja) 2007-08-02
CN101370428A (zh) 2009-02-18
RU2396901C2 (ru) 2010-08-20
CN101370428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478B1 (ko)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JP4586727B2 (ja) 体組成計
US7979116B2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recognizing changes in body composition
JP3943863B2 (ja) 測定者判定機能を備えた生体測定装置
JP2002045346A (ja) 多周波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による体水分量状態判定装置
JP2001190513A (ja) 分離可能型生体インピーダンス計測装置
US20130317386A1 (en) Body weight management device having function of predicting body weight variation
US20130252211A1 (en) Body weight management device
JP5204587B2 (ja) 体組成予測装置および体組成判定装置
EP1488742B1 (en) Biological data acquiring apparatus
EP1655603A2 (en) Urine sugar level measuring apparatus
EP119513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asal metabolism
CN104180887B (zh) 重量测量装置、生物体测量装置以及重量测量方法
JP2003265427A (ja) 健康管理装置
JP3963145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3647836B2 (ja) 健康歩数管理装置
JP3809926B2 (ja) 体内脂肪重量計
US20070027401A1 (en) Body composition analyzer
JP2011191088A (ja) 荷重計
KR20020088033A (ko)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