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42B1 -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42B1
KR100996442B1 KR1020080088076A KR20080088076A KR100996442B1 KR 100996442 B1 KR100996442 B1 KR 100996442B1 KR 1020080088076 A KR1020080088076 A KR 1020080088076A KR 20080088076 A KR20080088076 A KR 20080088076A KR 100996442 B1 KR100996442 B1 KR 10099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sub
shoe
support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336A (ko
Inventor
박성원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렉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to KR102008008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의 저면에 설치된 아웃솔과 별개의 부품으로 설치된 서브 아웃솔을 구성하고, 상기 서브 아웃솔이 수직방향은 물론이고 전후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행 및 러닝 시 요철 노면의 전방위적인 압력에 대응하며 아웃솔과 서브아웃솔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지지구의 반발 탄성을 이용하여 보행 및 러닝 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할 목적으로 신발의 저부에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이동공간(S)이 형성된 아웃솔(10)과, 상기 이동공간(S) 내에 상기 아웃솔(10)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된 서브 아웃솔(20)과,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서브 아웃솔(20)을 연결 고정하고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구(30)로 이루어진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 가능한 지지구가 아웃솔과 서브 아웃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브 아웃솔이 상하 방향은 물론이고 전후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요철 노면의 전방위적인 압력을 분산시켜 발을 보호할 수 있으며 서브 아웃솔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보행 및 러닝시 추진력을 높일 수 있으며 힘의 절약을 통해 장시간 러닝 및 산행시 피로도 감소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SHOE WITH ENFORCED DRIVE ABILITY}
본 발명은 신발의 아웃솔 저부에 아웃솔과 별개의 부품으로 설치된 서브 아웃솔을 구성하고, 상기 아웃솔과 서브 아웃솔 사이를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구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서브 아웃솔이 아웃솔에 대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 및 러닝 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노면에서의 충격의 흡수를 할 수 있게 하는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구조는 발바닥을 지지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부착된 아웃솔과, 발등과 발목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갑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웃솔의 후부에는 힐(HEEL; 뒷굽)이 구비된다.
인간은 여타의 동물과 달리 두발을 이용하여 직립보행을 하며 신체 구조상 보행 및 러닝 시 추진력을 얻어내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웃솔 바닥에 스파이크나 축구화 등과 같이 아웃솔의 바닥에 추진력을 높이기 위한 보조물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발 등은 하나의 기능만을 위해 특화된 신발이기 때문에 일상생활 및 산행 시 착용하기는 불편하며 아웃솔이 얇으며 딱딱하기 때문에 장시 간 착용시 발의 피로도가 높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 아웃솔 내부에 판형스프링을 삽입하여 추진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스프링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추진력을 높이기 때문에 신체적인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 후방 및 좌우측면에 대한 추진효과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요철이 많은 산길이나 비포장도로와 같이 지면의 높이가 불규칙한 도로를 걷는 경우 판형 스프링은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자칫 발목이 삐거나 겹질리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보행 및 러닝 시 발생하는 스프링의 2차 진동으로 인하여 무릎이나 발목의 부담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발의 저면에 설치된 아웃솔과 별개의 부품으로 설치된 서브 아웃솔을 구성하고, 상기 서브 아웃솔이 수직방향은 물론이고 전후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요철 노면의 전방위적인 압력에 대응하는 지지구의 반발탄성을 이용하여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저부에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이동공간(S)이 형성된 아웃솔(10)과, 상기 이동공간(S) 내에 상기 아웃솔(10)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된 서브 아웃솔(20)과,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서브 아웃솔(20)을 연결 고정하고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구(3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서브 아웃솔이 지지구의 상하 및 수평 방향의 신축 작용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의 반발탄성을 통해 추진력 생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지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공간(S)의 내부 상면에 경질의 제1플레이트(11)가 부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1)와 아웃솔(10) 사이에 하부가 개방된 환형의 제1삽입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0)의 상단에 상기 제1삽입홈(12) 내에 삽입 고정되는 제1플랜지(31)가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연질의 아웃솔(10)에 대해 지지 구(30)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브 아웃솔(20)의 상면에 경질의 제2플레이트(21)가 부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1)와 서브 아웃솔(20)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환형의 제2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0)의 하단에 상기 제2삽입홈(22) 내에 삽입 고정되는 제2플랜지(32)가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연질의 서브 아웃술의 휨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 가능한 지지구가 아웃솔과 서브 아웃솔 사이에 개재되어 보행 및 러닝 시 서브 아웃솔의 반발 탄성을 이용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전후좌우의 전방위 중 어느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요철 노면의 전방위적인 압력에 관계없이 발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발목이 삐거나 겹질리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지지구와 서브 아웃솔 및 아웃솔은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서브 아웃솔이나 지지구가 닳아서 기능을 상실한 경우 별도 구매를 통해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필요 부분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하기의 도면과 그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절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은 아웃솔(10)과 상기 아웃솔(10)에 대해 수직 및 수평 이동 가능한 서브 아웃솔(2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저부에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이동공간(S)이 형성된 아웃솔(10)과, 상기 이동공간(S) 내에 상기 아웃솔(10)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된 서브 아웃솔(20)과,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서브 아웃솔(20)을 연결 고정하고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솔(10)은 통상의 신발과 같이 신발의 저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웃솔(10)의 저면 일측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이동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 아웃솔(20)은 상기 이동공간(S) 내에 고무 혹은 실리콘과 같이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제조된 지지구(30)를 매개로 연결 고정되어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아웃솔(10)에 대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30)는 서브 아웃솔(20)의 크기나 형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브 아웃솔(2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구(30)를 매개로 한 아웃솔(10)과 서브 아웃솔(20)의 연결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설계 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지지구(30)가 서브 아웃솔(20)의 중앙에 1개, 그 주변에 4개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도 2와 같이 중앙에 설치된 지지구(30)는 구(救) 형태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환형의 제1플랜지(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아웃솔(10)의 이동공간(S) 내부 상면에는 합성수지 혹은 금속과 같이 경질의 제1플레이트(11)가 부착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1)와 아웃솔(10)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삽입홈(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삽입홈(12) 내에 상기 제1플랜지(31)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30)의 본체 하단에 환형의 제2플랜지(32)가 설치되는 경우, 서브 아웃솔(20)의 상면에 합성수지 혹은 금속과 같이 경질의 제2플레이트(21)가 부착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21)와 서브 아웃솔(20)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2삽입홈(2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삽입홈(22) 내에 상기 제2플랜지(32)가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지지구(3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31)와 제2플랜지(32)가 각각 제1삽입홈(12)과 제2삽입홈(22)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서브 아웃솔(20)이 아웃솔(10)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지지구(30)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신축 작용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 이동공간(S)의 범위 내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전방으로 보행 및 러닝 시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아웃솔(20)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 개 의 지지구(30) 역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 아웃솔(20)의 중앙에 위치한 지지구(30)의 고정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경질의 제1플레이트(11) 및 경질의 제2플레이트(21)는 선택적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각 플레이트(11)(21)를 경질로 하는 경우, 지지구(30)의 신축 작용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즉 아웃솔(10)이 통상적으로 연질로 제조되는 점을 고려하면 연질의 아웃솔(10)에 신축 가능한 지지구(30)를 설치하는 경우 지지구(30)의 복원능력이 연질의 아웃솔(10)의 의해서 감쇠하여 추진력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연질의 서브 아웃솔(20)과 신축 가능한 지지구(30)가 결합되는 경우도 지지구(30)의 신축 작용과 서브 아웃솔(20)의 복원능력이 약화하여 추진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각 플레이트(11)(21)의 적어도 하나 혹은 2개는 모두 경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구(30)의 각 플랜지(31)(32)는 각각 아웃솔(10)과 서브 아웃솔(2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고, 더욱이 지지구(3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지지구(30)를 비롯하여 서브 아웃솔(20)을 교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일 실시 형태만을 제시하여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전체적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한 것은 물론, 그와 균등한 사항까지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절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의 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웃솔(OUT SOLE)
11 : 제1플레이트
12 : 제1삽입홈
20 : 서브 아웃솔(SUB OUT SOLE)
21 : 제2플레이트
22 : 제2삽입홈
30 : 지지구
31 : 제1플랜지
32 : 제2플랜지
S : 이동공간

Claims (4)

  1. 신발의 저부에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이동공간(S)이 형성된 아웃솔(10)과,
    상기 이동공간(S) 내에 상기 아웃솔(10)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된 서브 아웃솔(20)과,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서브 아웃솔(20)을 연결 고정하고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구는 아웃솔 및 서브 아웃솔과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구 또는 서브 아웃솔이 교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S)의 내부 상면에 경질의 제1플레이트(11)가 부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1)와 아웃솔(10) 사이에 하부가 개방된 환형의 제1삽입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0)의 상단에 상기 제1삽입홈(12) 내에 삽입 고정되는 제1플랜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서브 아웃솔(20)의 상면에 경질의 제2플레이트(21)가 부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1)와 서브 아웃솔(20)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환형의 제2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0)의 하단에 상기 제2삽입홈(22) 내에 삽입 고정되는 제2플랜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KR1020080088076A 2008-09-08 2008-09-08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KR10099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76A KR100996442B1 (ko) 2008-09-08 2008-09-08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76A KR100996442B1 (ko) 2008-09-08 2008-09-08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36A KR20100029336A (ko) 2010-03-17
KR100996442B1 true KR100996442B1 (ko) 2010-11-24

Family

ID=4217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076A KR100996442B1 (ko) 2008-09-08 2008-09-08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537A (en) 1990-12-20 1995-02-28 Goldberg; Jack Footwear with turnt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537A (en) 1990-12-20 1995-02-28 Goldberg; Jack Footwear with turn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36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JP2018518232A (ja) 捻挫防止、衝撃吸収バランスソール及び履物
JP5298130B2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US20140101972A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JP2018153355A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JP202213623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CN104334044A (zh)
KR100872865B1 (ko) 충격완화 탄성신발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0996442B1 (ko)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CN105411095B (zh) 吸震助力鞋底
KR101693374B1 (ko) 충격흡수 건강신발
KR101452162B1 (ko)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JP3222446U (ja) 靴底及び靴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418672B1 (ko) 신발 밑창
KR101880228B1 (ko) 신발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CN105411096B (zh) 吸震防滑鞋底
CN219962069U (zh) 一种高弹性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