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26B1 -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26B1
KR100995126B1 KR20070135539A KR20070135539A KR100995126B1 KR 100995126 B1 KR100995126 B1 KR 100995126B1 KR 20070135539 A KR20070135539 A KR 20070135539A KR 20070135539 A KR20070135539 A KR 20070135539A KR 100995126 B1 KR100995126 B1 KR 100995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gas
main body
ball
safety
explo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775A (ko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2007013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1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Ba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루가스 최루탄에 관한 것으로, 본체(40)의 내부에는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최루탄이 내장된다. 그리고 1차폭약(44)은, 본체를 파괴하여 복수개의 최루탄을 외부로 비산시킨다. 그 후, 2차폭약(56)이 폭발하여 최루탄(42) 내부의 최루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킴으로써, 다수개의 최루탄에 의하여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최루효과를 낼 수 있게 되어 있다. 1차폭약을 점화시키는 제1도화선(52)이 2차폭약을 점화시키는 제2도화선에 비하여 빨리 폭약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순차적 폭발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40)의 내측면에는 홈(46)이형성되어 있어서, 1차폭약에 의하여 쉽게 파괴되어 최루탄이 외부로 비산할 수 있다.
최루가스, 수류탄, 뇌관, 도화선

Description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A hand grenade with a plurality of tear drop gas bomb}
본 발명은 최루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최루탄이 내장되어 있어서 폭발시 더욱 광범위한 지역에 최루가스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류탄에 관한 것이다.
최루탄은 실질적으로 시위 진압용 또는 범위 대응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최루탄은 발사장치 등에 장착되어 발사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발사장치에 의하여 발사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폭발하여 내부의 최루가스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일반적인 최루탄의 경우 발사장치라는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손으로 투척하는 종래의 최루탄은 통상 하나의 최루탄용기에 내장된 최루가스가 최루탄용기의 폭발과 동시에 외부로 분출되는데, 하나의 최루탄용기에서 바로 최루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그 최루효과를 낼 수 있는 영역이 실질적으로 좁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된 복수개의 최루탄이 각각 외측으로 이탈한 뒤 터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 최루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최루탄을 내장한 수류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수류탄은,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최루탄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폭발에 의하여 최루탄를 외측으로 밀어 본체를 파괴하기 위한 1차폭약; 상기 최루탄의 내부에 설치되어 최루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2차폭약;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고 상기 1차폭약과 2차폭약을 순차적으로 폭발시키는 점화수단; 그리고 필요시 상기 점화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점화수단의 안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폭약에 의하여 외부로 비산된 복수개의 최루탄이 외부로 일정 거리 비행한 다음 2차폭약에 의하여 최루가스가 터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최루가스가 분출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루탄은 본체 내부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의 최루탄이 본체를 중심으로 각각 원주상으로 비산하게 되어 가장 광범위한 지역에 최루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세로방향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폭약의 폭발에 의해서는 본체만이 파괴되어 최루탄이 외부로 튀어 나가야 되는데, 이와 같이 홈을 형성함으로써 본체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져서 1차폭약의 폭발에 의하여 쉽게 최루탄이 외부로 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뇌관과; 상기 뇌관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안전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뇌관을 타격하여 점화시키도록 상기 뇌관을 향하여 탄성력을 받고 있는 공이; 상기 뇌관의 폭발에 의하여 점화되고, 상기 1차폭약과 연결되는 제1도화선; 상기 뇌관의 폭발에 의하여 점화되고, 상기 2차폭약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도화선은 제2도화선 보다 빨리 1차폭약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도화선은, 예를 들면 길이를 짧게 구성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2도화선에 비하여 빨리 1차폭약을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이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내측단부가 걸리는 공이안전핀과, 상기 공이안전핀을 상기 걸림홈부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공이안전핀이 걸림홈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케이싱의 외측에서 공이안전핀을 지지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이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공이구멍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이안전핀은 상부케이싱에서 반지름방향으로 형성된 안전핀구멍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레버는 상부케이싱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된 제1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핀에 의하여 공이안전핀이 상부케이싱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제2핀의 제거에 의하여 안전레버가 상부케이싱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내장된 복수개의 최루탄이 방사상으로 비산한 다음 폭발하기 때문에, 단발의 최루탄에 비하여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최루가스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방범효과 또는 시위 진압등에 사용될 경우, 종래의 것에 비하여 충분히 광범위한 지역에 대하여 최루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수류탄은, 다수개의 최루탄(42)을 구비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40)는, 내부에 최루가스(예를 들면 최루분말)가 충진된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의 내부에는 5개의 최루탄(42)이 본체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상(원주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본체(40)는 다수개의 최루탄(42)을 내장할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1차폭약(44)의 폭발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해야 하며,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싱(10)은, 상기 본체(40)의 내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최루탄(42)을 안전상태로 유지하거나 안전레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의 폭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싱(10)의 외측에는 안전레버(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레버(12)는 제1핀(P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는 상기 안전레버(12)의 상단부는 상기 제1핀(Pa)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되고 있다.
상기 안전레버(12)는, 상단부가 상기 제1핀(P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는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핀(Pb)에 의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핀(Pb)은 상기 제1핀(Pa)의 하측에서, 상기 안전레버(12)와 상부케이싱(10)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핀(Pb)이 제거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안전레버(12)는 제1핀(P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부케이싱(10)에서 이격되거나, 안전레버(12)는 상부케이싱(1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핀(Pb)은, 안전고리(13)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고리(13)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핀(Pb)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싱(10)에는, 안전핀구멍(14)이 대략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핀구멍(14)의 내부에는 공이안전핀(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이안전핀(16)의 내측단부는 상부케이싱(10)의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단부는 상기 상부케이싱(10)의 외측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이안전핀(16)은 스프링(15)에 의하여 항상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이안전핀(16)의 외측단부는 상술한 안전레버(12)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 전레버(12)가 제거되면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공이안전핀(16)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제거된다.
상기 공이안전핀(16)의 내측단부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공이(18)의 걸림홈부(18a)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이(18)는, 상부케이싱(10)의 중심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성형된 공이구멍(19)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이(18)는 스프링(21)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이(18)가 상기 스프링(21)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이안전핀(16)의 내측단부가 공이(18)의 걸림홈부(18a)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공이안전핀(16)이 외측으로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이(18)는 도시한 위치(공이구멍 내부에서 상부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싱(10)의 하단부는 본체(4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40)의 상단부 중심에는 뇌관(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뇌관(24)은 상기 공이(18)의 충격에 의하여 폭발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공이(18)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 즉 상기 공이구멍(19)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40) 상단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뇌관(24)은 뇌관케이스(2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상기 뇌관케이스(26)은 실질적으로 상하부로 관통하는 중심공에 상기 뇌관(24)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뇌관케이스(26)는 본체(40)의 상단부 중심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뇌관(24)이 폭발하게 되면, 그 불꽃은 본체(40)의 내측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4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최루탄(42)이 동심원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최루탄(42)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본체(40)의 내부에는 약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뇌관(24)에서의 불꽃이 최루탄(42) 측으로 옮겨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최루탄(42)의 중앙부분에는 제1도화선(52)이 상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최루탄(42)에도 제2도화선(54)이 상단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도화선(52,54)의 상단부는, 본체(40)의 내부에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뇌관(24)의 폭발에 의한 불꽃이 상기 각각의 도화선(52,54)에 옮겨 붙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40)의 중심부분에 설치된 제1도화선(52)의 상단부분은, 지지구(5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최루탄(42)에 설치되어 있는 제2도화선(54)의 상단부분은 상기 최루탄(42)의 상면을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화선(52)의 하단부에는 1차폭약(44)이 연결되어 있고, 제2도화선(54)의 하단부에는 2차폭약(5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폭약(44)은 본체(40)를 파괴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것이고, 2차폭약(56)은 각각의 최루탄(42)을 파괴시켜서 최루탄(42) 내부의 최루가스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1차폭약(44)이 폭발하게 되면, 그 폭발력에 의하여 상기 최루탄(42)은 본체(40)를 파괴시키면서 외측으로 비산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으로 비산한 복수개의 최루탄(42)은 2차폭약에 의하여 폭발하게 되면서 내부의 최루가스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1차폭약(44)은 2차폭약(56) 보다 먼저 폭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순차적인 폭발을 위해서는 상기 도화선(52,54)의 길이 또는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즉, 상기 도화선(52,54)은, 그 두께 또는 길이에 의하여 각각의 폭약(44,56)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화선의 길이가 길면 폭약에 이르는 시간이 지연될 것이다. 또는 도화선(52,54)의 두께가 두꺼우면 얇은 도화선에 비하여 폭약에 이르는 시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화선(52) 및 제2도화선(54)의 길이 및/또는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1차폭약(44)이 2차폭약(56) 보다 먼저 폭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1차폭약(44)의 폭발에 의하여, 최루탄(42) 자체가 폭발해서는 안된다. 즉, 상기 1차폭약(44)의 폭발에 의해서는 본체(40) 자체가 파괴되어 각각의 최루탄이 본체(40)의 외부로 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1차폭약(44)의 폭발에 의해서는 최루탄(42)이 폭발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과 동시에, 본체(40)가 파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40)와 최루탄(42)을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본체(40)가 더욱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40)를 구성하는 케이싱의 내벽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40)의 내벽면에 상기 홈(4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본체(40) 전체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져서, 1차폭약(44)의 폭발력에 의하여 최루탄(42) 자체는 파괴되지 않고 본체(40)가 파되되어, 복수개의 최루탄(42)이 외측으로 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구성으로써, 본체(4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가, 상기 최루탄(42)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의 강도 보다 낮은 것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구성으로써, 상기 본체(40)의 두께를 최루탄(42) 자체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1차폭약(44)에 의하여 본체(40)만이 파괴되어 최루탄(42)이 외측으로 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최루탄(42)이 각각 방사상으로 비산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최루가스를 더욱 광역에 걸쳐 분사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홈(46)은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최루탄(42)이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수류탄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최루탄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본체(40)와 안전레버(12)를 같이 잡고, 다른 손으로 안전고리(13)를 잡아 당긴다. 안전고리(13)가 당겨지면 제2핀(Pb)가 이탈하게 된다. 상기 제2핀(Pb)가 이탈한 상태에서, 최루가스 수류탄을 목적지를 향하여 투척한다.
그러면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공이안전핀(16)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안전레버(12)가 상부케이싱(10)에서 분리된다. 상기 공이안전핀(16)이 스프링(15)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이안전핀(16)과 공이(18)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공이(18)는 스프링(21)의 힘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내려오게 된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이(18)는 뇌관(24)에 접촉하여 뇌관(24)을 폭발시키게 된다.
상기 뇌관(24)이 폭발하게 되면서 발생한 화염은, 본체(40) 내부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도화선(52,54)을 점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도화선(52)의 화염이 1차폭약(44)을 폭발시키는 시간은, 제2도화선(54)이 2차폭약(56)을 폭발시키는 시간 보다 짧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도화선(52,54)이 점화되어도, 1차폭약(44)이 2차폭약(56) 보다 먼저 폭발하게 된다.
상기 1차폭약(44)이 먼저 폭발하게 되면, 그 폭발 압력에 의하여 1차폭약(44)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최루탄(42)이 방사상으로 튀어나가면서 본체(40) 케이싱이 파괴된다. 그리고 이어서 복수개의 최루탄(42)은 방사상으로 외부로 비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본체(40)가 1차폭약(44)에 의하여 먼저 파괴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고, 본체(40) 케이싱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가공된 홈(46)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최루탄은 등간격을 가지는 원주방향으로 비산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뇌관(24)의 폭발에 의하여, 제1도화선(52)과 복수개의 제2도화선(54)이 동시에 점화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폭약(44)의 폭발에 의하 여 외부로 비산하고 있는 복수개의 최루탄(42) 내의 제2도화선(54)도 타면서 제2폭약(56) 측으로 화염이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2도화선(54)의 화염은 2차폭약(56)을 폭발시키게 된다. 상기 최루탄(42)의 내부에 있는 2차폭약(56)이 폭발하게 되면, 최루탄(42)은 파괴되면서, 내장된 최루분말이 외부로 분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최루탄(42)의 폭발시간은 거의 동시에 일어날 것이고, 더욱이 각각의 최루탄은 대략 본체(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비산된 상태에서 최루가스의 분출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5개의 최루탄(42)으로 구성되는 경우, 5개는 대략 원형상으로 외부로 비산한 뒤 최루가스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단발의 최루탄에 비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최루가스를 퍼뜨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루가스를 내장한 복수개의 최루탄을 외부로 비산 시킨 후, 폭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루가스 수류탄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최루가스 수류탄의 횡단면도.

Claims (5)

  1.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최루탄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폭발에 의하여 복수 개의 최루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본체를 파괴시키는 1차폭약;
    상기 최루탄의 내부에 설치되어 최루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2차폭약;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고 상기 1차폭약과 2차폭약을 순차적으로 폭발시키는 점화수단; 그리고
    필요시 상기 점화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점화수단의 안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수류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루탄은 본체 내부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수류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세로방향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수류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뇌관과;
    상기 뇌관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안전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뇌관을 타격하여 점화시키도록 상기 뇌관을 향하여 탄성력을 받고 있는 공이;
    상기 뇌관의 폭발에 의하여 점화되고, 상기 1차폭약과 연결되는 제1도화선;
    상기 뇌관의 폭발에 의하여 점화되고, 상기 2차폭약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도화선은 제2도화선 보다 빨리 1차폭약을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수류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공이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내측단부가 걸리는 공이안전핀과,
    상기 공이안전핀을 상기 걸림홈부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부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공이안전핀이 걸림홈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케이싱의 외측에서 공이안전핀을 지지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이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공이구멍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이안전핀은 상부케이싱에서 반지름방향으로 형성된 안전핀구멍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레버는 상부케이싱의 외측 상부에 결합된 제1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핀보다 하부에 결합되는 제2핀에 의하여 공이안전핀이 상부케이싱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며, 제2핀의 제거에 의하여 안전레버가 공이안전핀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수류탄.
KR20070135539A 2007-12-21 2007-12-21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KR100995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5539A KR100995126B1 (ko) 2007-12-21 2007-12-21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5539A KR100995126B1 (ko) 2007-12-21 2007-12-21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775A KR20090067775A (ko) 2009-06-25
KR100995126B1 true KR100995126B1 (ko) 2010-11-18

Family

ID=4099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5539A KR100995126B1 (ko) 2007-12-21 2007-12-21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8200A1 (de) 1992-10-05 1994-04-14 Nico-Pyrotechnik-Hanns-Jürgen Diederichs Gmbh & Co. Kg Schockmunition
US20020108526A1 (en) 2001-02-15 2002-08-15 Wes James A. Less lethal multi-sensory distraction grenade
US7275486B2 (en) 2004-11-09 2007-10-02 Chi-Peng Hsieh Hand grenade simul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8200A1 (de) 1992-10-05 1994-04-14 Nico-Pyrotechnik-Hanns-Jürgen Diederichs Gmbh & Co. Kg Schockmunition
US20020108526A1 (en) 2001-02-15 2002-08-15 Wes James A. Less lethal multi-sensory distraction grenade
US7275486B2 (en) 2004-11-09 2007-10-02 Chi-Peng Hsieh Hand grenade simu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775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82B1 (ko) 40mm 연습탄
RU2540677C2 (ru) Патрон для дробления породы и запальный капсюль
RU2493535C1 (ru) Противопехотная осколочная мина дистан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US3911823A (en) Pyrotechnic devices
CN105664407B (zh) 一种消防炮弹
US4015355A (en) Incendiary projectile and manual launcher
US3831521A (en) Mechanical-pyric device utilizable in the type of anti-man mines with a wide action range and gushing out from the ground
RU2291378C1 (ru) 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JPH09196600A (ja) 急速発煙手榴弾
JP2608952B2 (ja) 爆弾弾丸
KR100995126B1 (ko) 다수개의 최루탄을 구비하는 수류탄
KR102041828B1 (ko) 분산자탄과 고폭약을 구비한 발사체
AU2015359425B2 (en) Igniter system for hand grenades
RU2401980C1 (ru) Сигнальная мина нелет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1966900B1 (ko) 기폭신뢰성이 향상된 신관
US2787217A (en) Incendiary munition
JP6183842B2 (ja) 障害物除去装置
US1289483A (en) Aerial bomb.
US1343036A (en) Aerial bomb
US3868905A (en) Springmine
US2419854A (en) Bomb
KR101210583B1 (ko) 155mm 연습탄
JP2002541425A (ja) カートリッジ式の花火技術的なおとり閃光弾のための電気機械式の点火遅れ装置
US2240574A (en) Aircraft float light
RU2296944C1 (ru) Снаряд-постановщик ложн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це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