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950B1 -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 - Google Patents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950B1
KR100994950B1 KR1020057010787A KR20057010787A KR100994950B1 KR 100994950 B1 KR100994950 B1 KR 100994950B1 KR 1020057010787 A KR1020057010787 A KR 1020057010787A KR 20057010787 A KR20057010787 A KR 20057010787A KR 100994950 B1 KR100994950 B1 KR 10099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xis
cladding layer
photodetecto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621A (ko
Inventor
던칸 제이.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5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tapping light guides arranged sidewardly, e.g. in a non-paralle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bus light guides (light extraction or launching through cladding, with or without surface discontinuities, bent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에러 검출 시스템 및 에러 정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광을 광가이드에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각형 광가이드는 X-축 광섬유와 Y-축 광섬유와 접촉을 이룬다. X-축 광검출기는 광가이드로부터 X-축 광섬유로 연결되는 광을 감지하고, 한편 Y-축 광검출기는 광가이드로부터 Y-축 광섬유로 연결되는 광을 감지한다. 에러 검출기는 X-축 광검출기와 Y-축 광검출기로부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X-축, Y-축, 및 Z-축 위치 에러에 의존하는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이 에러 신호는 에러 정정 시스템에 인가되고, 이 에러 정정 시스템은 광 가이드와 이 광가이드 상으로 향해진 광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EFFICIENT COUPLING OF LIGHT INTO LIGHT GUIDES}
본 발명은 광을 전달시키는 광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연결되는 광을 생성시키는 광원을 구비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몇몇 컬러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하나의 백색 광원을 사용하는데, 이 백색 광원의 빔은 원색 성분들(보통 적색, 청색, 녹색)로 분리되고, 그후 이 원색 성분들은 인입 디스플레이 신호로부터 유도되는 대응하는 컬러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변조된다. 후속적으로, 변조된 컬러 성분들은 재결합되어 뷰 스크린(viewing screen) 상에 프로젝팅되는 하나의 전체 컬러 이미지를 생성시킨다.
원색 성분들의 변조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원색 성분에 대해, 하나의 분리된 전기-광학적 광 변조기, 즉 전형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또 다른 타입의 컬러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유사하지만 원색 성분들을 변조하기 위하여 단 하나의 LCD 패널만을 사용한다. 이것은, 스크롤링되는 컬러 성분에 따라 변조되는 LCD 패널을 가로질러 순차적으로 스크롤링되는 밴드-형태의 단면들로 원색 성분들을 형상화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다른 타입의, 예컨대 마이 크로-기계적 미러(MEMS: micro-mechanical mirror)에 기초한 타입의 광 변조기도 알려져 있다.
위에 기술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하나의 광원과, 예컨대 프리즘, 편광기, 및 렌즈와 같은 여러 가지 광 요소들과, 하나의 전자 서브시스템과, 하나의 변조기 또는 변조기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들이 일반적으로 성공적이기는 하지만, 이들은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경향이 있다. 이는, 시장의 요구가 더 가볍고 더 소형의 시스템에 대해 더 크기 때문에, 문제이다. 따라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이즈와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목되어야 할 점은, 더 작은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더 작은 광 요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더 작은 광 요소는 더 큰 광 요소보다 상당히 저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익하기는 하지만, 더 작은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소된 사이즈의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여러 광학적 구성요소들에 광을 내부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광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특히 작은 단면을 가지는 광가이드 안으로 광을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특히 시간, 온도, 및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 대한 물리적 충격에 대해서 그러하다. 실제로, 광원의 입력 전극들에 상대적인 아크 위치의 변화와 같은 광원의 발광 체적의 움직임은, 광원과 광가이드 사이의 광학적 연결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광가이드에 광원을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유사한 문제가 존스(Jones) 외 다수 에게 1994년 6월 7일에 허여된 미국특허 5,319,195에서 논의되어 있다. 이 특허는 광섬유 내로 레이저 빔을 연결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존스의 도 1 및 도 2와 이를 뒷받침하는 설명은, 레이저 빔을 전달하는 광섬유 안에서 전파되고 있는 광의 전력을 측정하는 트랜스듀서를 교시한다. 또한, 도 3 및 도 5와 이를 뒷받침하는 설명은, 이들 트랜스듀서를 사용하여, 레이저와 광섬유 사이의 오정렬을 결정하고, 결정된 오정렬을 이용하여 레이저에 대해 광섬유의 입력단부를 정렬시킬 것을 제안한다.
유익하기는 하지만, 존스의 가르침은 본질적으로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광섬유와 레이저 사이의 오정렬은, 단 하나의 입력 단부의 트랜스듀서를 사용하여 감지된다. 따라서, 오정렬과 관련된 방향 정보는 없거나 매우 제한적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존스는 다중-방향 정렬 에러 또는 포커싱 에러를 결정하고 정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안하고 있지 않다.
광원과 광가이드 사이의 효율적인 광학적 연결을 보장하는데 있어 한가지 어려움은, 연결이 효율적이지 않을 때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광가이드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때를 감지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이 유용할 것이다. 유익하게, 이러한 에러 검출 시스템은 연결 에러의 정도와 방향 또는 방향들 모두를 결정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 경우, 에러 검출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는, 효율적인 연결을 성취할 수 있도록, 광가이드와 이 광가이드 안으로 향하는 광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에러 정정 시스템은,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아크 램프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가이드 안으로 자동적으로 효율적으로 연결하는데 특히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이 시스템이 자체-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하지 않은 초기 셋업만이 요구될 것이므로, 또한 초기 정렬시키는 것이 더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관점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광가이드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때를 감지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하는) 광가이드를 사용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제 1 (X-축) 광섬유 코어는 광가이드의 일 측부와 접촉을 이루고 한편 제 2 (Y-축) 광섬유는 다른 (수직) 측부와 접촉을 이룬다. 제 1 (X-축) 광검출기는 광가이드로부터 제 1 (X-축) 광섬유 안으로 연결되는 광을 감지하고 한편 제 2 (Y-축) 광검출기는 광가이드로부터 제 2 (Y-축) 광섬유 안으로 연결되는 광을 감지한다. 주목되어야 할 점은, 한계 내에서, 광섬유 안으로 연결되는 광은 광원과 광가이드 사이의 연결 효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이다.
그후 전자 에러 검출기는 제 1 광검출기와 제 2 광검출기의 출력을 비교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이 광가이드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유익하게, 전자 에러 검출기는 X-축 위치 에러, Y-축 위치 에러, 및 Z-축 위치 에러를 생성한다. 또한 유익하게, 에러 검출 시스템은 연결 에러의 정도 및 방향 또는 방향들 모두를 결정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후 에러 검출 시스템의 출력은 에러 정정 시스템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효율적인 연결을 성취할 수 있도록, 광가이드와 광가이드 안으로 향해지는 광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에러 정정 시스템은 특히 모터, 압전 벤더, 광-전자 변조기, 광-전자 광밸브, 회절 결자, 및 솔레노이드와 보이스-코일 구조와 같은 전기기계적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타입의 상대적인 움직임 유도 디바이스를 병합함으로써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에러 검출 시스템 및 에러 정정 시스템은 또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사용됨으로써, 통상적으로 아크 램프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광가이드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은 또한, 정밀한 정렬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정렬시키는 것이 더 용이할 것이다.
이해되어야 할 점은, 상기의 전체적인 설명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단지 예시적이며 설명을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 이외의 실시예들과, 변형 실시예들, 및 등가물들은, 본 발명의 그 이외의 양상, 목적 및 이점과 더불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도면과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연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배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일반적인 컬러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러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러 정정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이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이해되어야 할 점은, 이 이미지 프로젝터(10)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들 원리가 일반적으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어떻게 유익할 수 있는가를 예시하기에 적합한 일반적인 이미지 프로젝터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10)의 목적은,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표면(14) 상에 변조된 광빔(12)을 프로젝팅하는 것이다. 이들 이미지는, 포트(16) 상으로 입력되는, 텔레비전 신호, 컴퓨터 생성 신호, 또는 다른 타입의 디지털화된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생성된다.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10)은, 광원(20)과 반사경/렌즈 시스템(22)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8)을 포함한다. 실제에 있어, 아크 램프가 종종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반사경/렌즈 시스템(22)은 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하는) 광가이드(24) 안으로 광을 입력한다. 광가이드(24) 내의 광은 컬러 분리기(26)로 전달되고, 컬러 분리기(26)는 광원(20)으로부터의 백색광을 적색, 녹색, 및 청색 성분(또는 그 외 다른 원색 성분)으로 분리시킨다. 적색 성분은 광가이드(28)를 경유하여 적색 변조기(40)로 인가된다. 녹색 성분은 광가이드(34)를 경유하여 녹색 변조기(36)로 인가되 고, 청색 성분은 광가이드(38)를 경유하여 청색 변조기(30)로 인가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포트(16) 상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전자 서브시스템(42)에 인가된다. 이 서브시스템은 입력된 신호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 정보를 추출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변조 신호를 생성시킨다. 적색 변조 신호는 적색 신호 라인(46)을 경유하여 적색 변조기(40)에 인가되고, 녹색 변조 신호는 녹색 신호 라인(48)을 경유하여 녹색 변조기(36)에 인가되며, 한편 청색 변조 신호는 청색 신호 라인(50)을 경유하여 청색 변조기(30)에 인가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변조기(40, 36, 30)는 이 변조 신호에 따라 컬러 성분을 변조시킨다.
그후 변조된 컬러 성분은 광프로세서(56)에 인가되며, 광프로세서(56)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변조된 컬러 성분을 결합시켜 광빔(12)을 생성한다. 광빔(12)은 프로젝션 광학기구 세트(57)를 통과하여 표면(14) 상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10)은 내부적으로 광을 전달하는 많은 광가이드{광가이드(24, 28, 34, 38)}를 사용한다. 광가이드의 사용이 유익하기는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광이 이 여러 광가이드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이미지 프로젝터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에러 검출 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에러 검출 회로는 Y-축 광섬유(102)와 X-축 광섬유(104)를 포함한다. 각각의 광섬유는 클래딩층(108)(도 3 참조)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106)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클래딩층(108)은, 코어(106)와 클래딩층 (108)을 보호하고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버퍼층과 재킷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Y-축 및 X-축 광섬유(102, 104)는 도 2와 도 3에서 광가이드(110)로서 참조되어 있는 사각형 광가이드와 접촉을 이룬다. 이해되어야 할 점은, 광가이드(1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광가이드들 중 하나 이상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110)는 외부 클래딩층(114)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112)를 포함한다. Y-축 및 X-축 광섬유(102, 104)의 클래딩층(108)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그 코어(106)가 외부 클래딩층(114)에 접촉될 수 있게 한다. 유익하게, 외부 클래딩층(114)과 코어(106)는 유사한 굴절율을 가진다. 이는 외부 클래딩층(114) 내의 광이 코어(106)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2와 도 3 모두를 참조하면, 설명하기 편리하게 광원(20)이라고 간주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142)은 광가이드(110)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142)은 반사경/렌즈(22)의 렌즈 부분을 통과하여 광가이드(110) 상에 광스폿을 생성시킨다. 이상적으로, 이 광스폿은 오직 코어(112)만을 조명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그렇지는 않다. 광(142)이 클래딩층(114)을 오버랩할 경우, 광(142)의 일부는 클래딩층(114)을 통과하여 광섬유의 코어(106) 안으로 연결된다. 도 3은 광(142)이 Y-축 광섬유(102) 아래의 클래딩(114)을 조명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광(142)의 일부는 Y-축 광섬유(102) 안으로 연결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Y-축 광섬유(102) 안으로 연결된 광은 Y-축 광검출기(150)에 의해 검출된다. 유사하게, X-축 광섬유(104) 안으로 연결된 광은 X-축 광 검출기(152)에 의해 검출된다. 광검출기(150, 152)의 출력은 전자 에러 검출기(154)로 인가된다. 전자 에러 검출기(154)는 광검출기(150, 152)로부터의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라인(156) 상에 X-축 정정 신호를 생성하고, 라인(158) 상에 Y-축 정정 신호를 생성하며, 라인(159) 상에 Z-축 정정 신호를 생성한다. 주지되어야 할 점은, 전자 에러 검출기(154)는 증폭기, 마이크로제어기, 메모리 회로, 비교기, A/D 및 D/A 변환기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X-축 정정 신호는 주로 X-축 광검출기(152)의 출력으로부터 유도되며, 한편 Y-축 정정 신호는 주로 Y-축 광검출기(150)의 출력으로부터 유도된다. 그러나, Z-축 정정 신호는 X-축 광검출기(152)와 Y-축 광검출기(150) 둘 모두의 출력으로부터 유도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Z-축 정정 신호는 광가이드(110) 상의 광(142)의 포커싱에 관련된다. 만약 광스폿이 너무 크면, 즉 포커싱이 좋지 않으면, X-축 광검출기(152)의 출력과 Y-축 광검출기(150)의 출력이 증가된다. 최적의 포커싱은, 이들 신호의 합이 최소화된 경우에 성취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라인(156) 상의 X-축 정정 신호는 X-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0)에 인가되며, 한편 라인(158) 상의 Y-축 정정 신호는 Y-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2)에 인가된다. 만약 전자 에러 검출기(154)가 광(142)이 X-방향으로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고 결정하면, X-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0)로 하여금 X-축을 따라 코어(112)의 중심을 향하여 광(142)에 의해 생성된 광스폿을 이동시키게 하는 X-축 정정 신호가 생성된다. 유사하게, 만약 전자 에러 검출기(154)가 광(142)이 Y-방향으로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고 결정하면, Y-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2)로 하여금 Y-축을 따라 코어(112)의 중심을 향하여 광스폿을 이동시키게 하는 Y-축 정정 신호가 생성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이에 더하여, 라인(159) 상의 Z-축 정정 신호는 Z-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1)에 인가된다. Z-축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1)는 광가이드(110) 상의 광(142)의 포커싱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10)은, 광(142)이 광가이드(110) 안으로 효율적으로 연결되도록 광(142)의 위치와 포커싱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폐쇄 루프형의 에러-제어형 피드백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해되어야 할 점은,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0, 161, 162)가 물리적으로 광가이드(110)나 광원(20)에 접촉하여야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 디바이스는 렌즈, 미러, 프리즘 또는 광가이드(110) 안으로 광(142)을 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요소들을 움직일 수 있으면 된다. 도 2는 반사경/렌즈(22)의 가능한 움직임(170)과 광원(20)의 가능한 움직임(172)을 도시한다. 더 나아가,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0, 161, 162)는 실제 물리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는 광밸브나 변조기와 같은 광-전자 포지셔닝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160, 161, 162)는 모터, 솔레노이드, 전자기 요소, 압전 벤더, 광밸브, 회절격자, 및 변조기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예시들은 본 발명과 그 실제 응용을 설명하고, 이에 의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과 예시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과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모든 면에서 등가물에 대한 완전한 인식을 제공하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광을 전달시키는 광가이드에 이용가능하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연결되는 광을 생성시키는 광원을 구비한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3)

  1. 광학 시스템으로서,
    내부 코어와 외부 클래딩층을 구비하는 사각형 광가이드와;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1 측부에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1 측부 내에서 전파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광섬유와;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2 측부에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2 측부 내에서 전파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광섬유와;
    상기 제 1 광섬유에 연결된 광을 감지하는 제 1 광검출기; 및
    상기 제 2 광섬유에 연결된 광을 감지하는 제 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연결된 에러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의해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X-축 에러 정정 신호와 Y-축 에러 정정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연결된 에러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의해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Z-축 에러 정정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코어에 상대적으로 광빔을 움직이기 위한 X-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코어에 상대적으로 광빔을 움직이기 위한 Y-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Z-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코어에 상대적으로 광빔을 움직이기 위한 Z-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내로 향해지는 광빔을 생성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는 제 1 코어와 제 1 클래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래딩층은 상기 제 1 코어가 상기 외부 클래딩층에 광학적으로 접촉하도록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광학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외부 클래딩층은 상기 외부 클래 딩층 내의 광이 상기 제 1 코어 내에 연결되도록 하는 유사한 굴절율을 구비하는, 광학 시스템.
  10.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으로서,
    내부 코어와 외부 클래딩층을 구비하는 사각형 광가이드와;
    상기 광가이드 내로 광빔을 프로젝팅하는 광원과;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1 측부에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1 측부 내에서 전파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광섬유와;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2 측부에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클래딩층의 제 2 측부 내에서 전파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광섬유와;
    상기 제 1 광섬유에 연결된 광을 감지하는 제 1 광검출기; 및
    상기 제 2 광섬유에 연결된 광을 감지하는 제 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연결된 에러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광검출기와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의해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X-축 에러 정정 신호와 Y-축 에러 정정 신호 및 Z-축 에러 정정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코어에 상대적으로 광빔을 움직이기 위한 X-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 상기 Y-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코어에 상대적으로 광빔을 움직이기 위한 Y-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 및 상기 Z-축 에러 정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Z-축에 상대적인 움직임-유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색 성분들로 분리시키는 컬러 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변조 신호에 따라 상기 원색 성분들을 변조하는 변조기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원색 성분들을 결합시켜 이미지 광빔을 생성하는 광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는 제 1 코어와 제 1 클래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래딩층은 상기 제 1 코어가 상기 사각형 광가이드의 상기 외부 클래딩층에 광학적으로 접촉하도록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외부 클래딩층은 상기 외부 클래딩층 내의 광이 상기 제 1 코어 내에 연결되도록 하는 유사한 굴절율을 구비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
  17.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클래딩층을 구비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딩층 안으로 향해진 상기 광의 제 1 부분을, X-축을 따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딩층 안으로 향해진 상기 광의 제 2 부분을, Y-축을 따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광의 상기 제 1 부분을 감지하여 상기 광의 X-축 오정렬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의 상기 제 2 부분을 감지하여 상기 광의 Y-축 오정렬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광의 Z-축 오정렬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오정렬, 상기 X-축 오정렬, 및 상기 Z-축 오정렬이 감소되도록 상기 광과 상기 광가이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과 상기 광가이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가이드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X-방향과 Y-방향 둘 모두에서 움직이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과 상기 광가이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광원의 이미지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상기 감지된 제 1 및 제 2 부분은 상기 X-축 오정렬, 상기 Y-축 오정렬, 및 상기 Z-축 오정렬이 감소되도록 하는 에러-정정 신호를 생성하는, 광가이드 내로 광을 연결하는 방법.
KR1020057010787A 2002-12-13 2003-12-05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 KR100994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337602P 2002-12-13 2002-12-13
US60/433,376 2002-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621A KR20050085621A (ko) 2005-08-29
KR100994950B1 true KR100994950B1 (ko) 2010-11-18

Family

ID=3259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787A KR100994950B1 (ko) 2002-12-13 2003-12-05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06227B2 (ko)
EP (1) EP1573375A2 (ko)
JP (1) JP4502816B2 (ko)
KR (1) KR100994950B1 (ko)
CN (1) CN1726415B (ko)
AU (1) AU2003302970A1 (ko)
TW (1) TWI312083B (ko)
WO (1) WO20040555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2608B3 (de) * 2005-05-11 2007-01-11 Karl Storz Gmbh & Co. Kg Lichtsystem zur photodynamischen Diagnose und/oder Therapie
US8515228B2 (en) * 2009-06-23 2013-08-20 Raytheon Canada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positioning an optical fiber end
CN103792764B (zh) * 2012-10-31 2016-02-1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
US20150309235A1 (en) * 2014-04-24 2015-10-29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light source apparatus, and vehicle
JP7127268B2 (ja) * 2017-10-18 2022-08-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結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7787A1 (fr) * 1981-06-16 1982-12-17 Jeunhomme Luc Dispositif de commutation de lumiere entre des fibres optiques par variation de temperature d'une substance dans laquelle elles sont disposees et systeme de commutation utilisant de tels dispositifs
DE3152020A1 (de) 1981-12-31 1983-07-07 Haberkern, Ottmar, 6200 Wiesbaden Bilderzeugungs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arbigen bildern beliebiger groesse
CA1262304A (en) 1985-06-28 1989-10-17 John Charles Goodwin Laser-fiber positioner
JPH0162507U (ko) * 1987-10-16 1989-04-21
US4898444A (en) * 1988-11-30 1990-02-0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Non-invasive optical coupler
EP0385135A1 (de) * 1989-02-28 1990-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sitionsempfindlicher Fotodetektor
US5039191A (en) * 1990-06-25 1991-08-13 Motorola Inc. Optical coupling arrangement
GB9106874D0 (en) * 1991-04-02 1991-05-22 Lumonics Ltd Optical fibre assembly for a laser system
JP3597927B2 (ja) * 1995-12-28 2004-12-08 有限会社ランダムエレクトロニクスデザイン レーザビームと光ファイバの位置合わせ装置
US5978051A (en) * 1996-10-31 1999-11-02 In Focus Systems Inc Image projection system with variable display format
JP3697013B2 (ja) * 1997-02-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影装置
US6400876B1 (en) 1998-08-31 2002-06-04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Ultrathin optical panel and a method of making an ultrathin optical panel
US6493485B1 (en) * 1999-08-03 2002-12-10 Astro Ter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a laser beam with an optical fiber
US6690459B2 (en) * 2001-03-05 2004-02-10 Trex Enterpris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 alignment using light leaked from clad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6227B2 (en) 2008-07-29
CN1726415A (zh) 2006-01-25
TW200417763A (en) 2004-09-16
TWI312083B (en) 2009-07-11
KR20050085621A (ko) 2005-08-29
CN1726415B (zh) 2010-06-09
AU2003302970A1 (en) 2004-07-09
EP1573375A2 (en) 2005-09-14
JP4502816B2 (ja) 2010-07-14
WO2004055564A3 (en) 2004-08-05
US20060159397A1 (en) 2006-07-20
JP2006510054A (ja) 2006-03-23
WO2004055564A2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803B1 (ko) 가시광선과 이미지를 이용한 광정렬 장치 및 그 방법
CN103324012B (zh) 交互式投影装置
JP2004531983A (ja) 光ファイバ照射を利用する投影システム
US10499023B2 (en) Proj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jection device
US20170371167A1 (en) Discrete laser fiber inputs for image projectors
CN114026483A (zh) 一种带小型均质机的显像设备
US8757818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100994950B1 (ko) 광가이드로의 광의 효율적 연결
CN211403092U (zh) 照明系统及投影装置
US8529071B2 (en) Illuminating spatial light modulators using an anamorphic prism assembly
CN113391506B (zh) 照明系统及投影装置
US20220050286A1 (en) Beam scanner with pic input and display based thereon
US64934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a laser beam with an optical fiber
CN208334704U (zh) 一种单镜头光纤熔接机
WO2022215214A1 (ja) 光モジュール、調芯システム及び光計測方法
US4850668A (en) Gyroptic visual couplers
KR20040009924A (ko) 영상 장치를 구비한 광축 정렬 장치
JPS62269909A (ja) 受光装置
US20030030758A1 (en) Liquid crystal projection display
KR101530369B1 (ko) 피코 프로젝터
JP2004077985A (ja) 光モジュール、光モジュール調整方法
TW202305470A (zh) 具有影像光轉向的顯示器
KR20230079145A (ko) 광학 디바이스들을 위한 시스루 계측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
JP2006003718A (ja) 光スイッチアレイ制御装置、光スイッチアレイ制御方法、表示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22078527A (ja) 取付部材及び投射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