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79B1 -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 Google Patents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79B1
KR100993779B1 KR1020100053408A KR20100053408A KR100993779B1 KR 100993779 B1 KR100993779 B1 KR 100993779B1 KR 1020100053408 A KR1020100053408 A KR 1020100053408A KR 20100053408 A KR20100053408 A KR 20100053408A KR 100993779 B1 KR100993779 B1 KR 10099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vertical bar
vertical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디스
Priority to KR102010005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72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ieces, e.g. by expanding the connecting pieces with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수직 바와 수평 바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및 수평 바의 결합부 사이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을 개재하고,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수개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바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바 및 수평 바 자체는 공장에서 기본적인 형태만 가공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의 수직 바 및 수평 바로 절단하고, 이들의 결합부 사이에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 수평 바 측면 고정판 및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을 일체로 구비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을 개재한 후 이를 수개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통해 간단하게 창문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 창문의 제조 및 조립과 운송에 따른 시간은 물론 인력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치수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리의 파손시 파손된 유리의 교환 및 부재의 보수가 용이하여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Assembly sliding type wood window}
본 발명은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제작되는 목재로 제조되는 창문을 시공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송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품의 하자보수시 부재의 교환이 가능하고, 제품의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택이나 아파트 등을 포함하여 학교의 교실 등의 시공시 고급화를 위하여 목재 창문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따라 목재용 창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재 창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1)의 상,하부에 결합홈 또는 결합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 바(2)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홈 또는 결합공(1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22)를 형성하여,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바(1) 상,하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 또는 결합공(12)에 양단부의 결합돌기(22)가 억지로 끼워지도록 한 쌍의 수평 바(2)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부를 접착제나 못 등과 같은 고정구로 고정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제작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목재 창문은, 구조상 시공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기 어려워 생산공장에서 조립한 다음 운송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송과 조립에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이 낭비될 뿐 아니라, 운송도중 제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렇게 파손된 제품은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유리의 파손시에는 창틀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교환하여야 하므로 제품에 대한 손상이 불가피하며, 또한 치수를 변경하여야 할 경우에도 치수수정이 불가능하여 재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바 및 수평 바 자체는 공장에서 기본적인 레일 홈이나 돌기 또는 고정판 삽입홈 등만 가공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씩 절단하여 수개의 나사못과 모서리 연결수단들을 이용, 시공현장에서 간단하게 창문으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과 운송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치수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파손된 유리의 교환 및 부재의 보수가 용이하여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 바와 수평 바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및 수평 바의 결합부 사이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을 개재하고,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수개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바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수평 바의 레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의 상,하단부에 수개의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경계선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 바의 양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측면 고정판이 일체로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외측 단부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서는 상기 수평 바 측면 고정판과 평행한 상태를 갖고 상기 수직 바의 외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평 바의 레일 홈에 대응하는 레일 홈을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삼각형의 리브 겸 유동 방지편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브 겸 유동 방지편의 경사면은 단면이 뾰쪽한 쇄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바의 외 측면에서 중심선 상에는 상기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폭과 깊이를 갖고 수직 바 측면 고정판 자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판 삽입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바 및 수평 바 자체는 공장에서 기본적인 형태(예를 들어 레일 홈이나 돌기 또는 고정판 삽입홈 등)만 가공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의 수직 바 및 수평 바로 절단하고, 이들의 결합부 사이에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 수평 바 측면 고정판 및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을 일체로 구비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을 개재한 후 이를 수개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통해 간단하게 창문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 창문의 제조 및 조립과 운송에 따른 시간은 물론 인력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치수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리의 파손시 파손된 유리의 교환 및 부재의 보수가 용이하여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 모서리 연결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모서리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중 모서리 연결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 중 모서리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목재 창문의 일부 확대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 바(1)와 수평 바(2)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1) 및 수평 바(2)의 결합부 사이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3)을 개재하고,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은 수개의 나사못(4)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바(1)(2)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은,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수평 바(2)의 레일 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못(4)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직 바(1)의 상,하단부에 수개의 나사못(4)으로 고정되는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의 경계선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 바(2)의 양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이 일체로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외측 단부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서는 상기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과 평행한 상태를 갖고 상기 수직 바(1)의 외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평 바(2)의 레일 홈(21)에 대응하는 레일 홈(322)을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두 고정판(32)(34)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절단력을 증강시켜 줌은 물론 수직 바(1)의 모서리부에 억지로 삽입되며 모서리 연결수단(3)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삼각형의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의 경사면은 단면이 뾰쪽한 쇄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바(1)의 외 측면에서 중심선 상에는 상기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폭과 깊이를 갖고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 자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판 삽입홈(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5는 유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 바(1)와 수평 바(2)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목재 창문을 조립할 때, 상기 수직 바(1) 및 수평 바(2)의 결합부 사이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3)을 개재하고, 이를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수직 및 수평 바(1)(2)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수직 바(1) 및 수평 바(2)는 공장에서 기본적인 레일 홈(21)이나 돌기 또는 고정판 삽입홈(11) 등만을 가공하여 그 자체를 시공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로 수직 바(1) 및 수평 바(2)로 절단한 후 이들의 사각 틀체 형태로 상호 결합시킬 때 수직 바(1) 및 수평 바(2)의 결합부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3)을 개재하고,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을 수개의 나사못(4)을 이용하여 수직 바(1) 및 수평 바(2)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은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이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및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을 구비시켰다.
상기에 있어서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수평 바(2)의 레일 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못(4)을 통해 고정되고,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은 상기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성형된 구성을 갖고 수직 바(1)의 상,하단부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 설치되며, 또한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은 상기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의 경계선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성형된 구성을 갖고 상기 수평 바(2)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을 수평 바(2) 및 수직 바(1)에 고정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을 수직 바(1)의 상면 또는 하면과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수개의 나사못(4)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수평 바(2)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의 외측부에 수직 바(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을 수직 바(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 설치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조립하고자 할 때 시공현장에서 줄자와 톱을 이용하여 원자재로부터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바(1)(2)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시킨 후 전동 드라이버와 수개의 나사못(4)을 이용하여 각각 한 쌍의 수직 및 수평 바(1)(2)와 4개의 모서리 연결수단(3)를 사각 틀체 형상의 목재 창틀로 간단히 조립시킬 수 있으므로 목재 창문의 제조에 따른 조립 및 운송 시간과 인력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치수는 언제든지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특히 유리의 파손시 일측의 수직 바(1)만 모서리 연결수단(3)의 일측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유리를 끼울 수 있어 파손된 유리의 교환 및 부재의 보수가 용이하여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의 상면 또는 하면에도 수평 바(2)의 레일 홈(21)에 대응하는 레일 홈(321)을 성형하여 줌으로써 미서기용 목재 창문을 창틀 내에 설치 또는 그로부터 분리하고자 하거나, 또는 창틀 내에 설치한 후 창문을 개폐시키는 데 있어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 자체가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및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이 대략 "T"자 형상 또는 "ㅗ"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할 경우 수평 바(2)와 수직 바(1)의 연결부위에 대한 강도가 비교적 약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외측 단부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 상기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과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한 상태를 갖는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을 더 돌출 성형하여, 상기 수직 바(1)의 외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직 바(1)의 상면 또는 하면 일부가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및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개의 나사못(4)을 통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여 외 측면 일부가 모서리 연결수단(3)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수평 바(2)와 수직 바(1)의 연결부위에 대한 강도가 비교적 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바(1)의 외 측면 중심선 상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폭과 깊이를 갖는 고정판 삽입홈(11)을 문틀 제작공장에서 대패 등을 이용하여 기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 자체가 수직 바(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창문을 닫았을 때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에 의해 창문의 수직 바(1)와 창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직 바(1)의 외 측면에 형성시킨 고정판 삽입홈(11) 중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이 설치되고 남은 부위에 도시 생략된 사각 바형 마감재를 설치하여 막아 주게 되면 창문의 수직 바(1)와 창틀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막아주는데 더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의 모서리부 내측에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을 더 성형시켜 주되, 상기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의 경사면은 단면이 칼날과 같이 뾰쪽한 쇄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 자체가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 사이의 절단을 방지해 주게 됨은 물론 수평 바(2)의 양단부에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31)과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을 수개의 나사못(4)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수직 바(1)의 상면 또는 하면 일부가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3)의 수평 바 측면 고정판(33)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 및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할 때 경사면의 단면이 칼날과 같이 뾰쪽한 쇄기 형상을 갖고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32)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34)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리브 겸 유동 방지편(35)이 수직 바(1)의 모서리부에 파고들어 박히게 되므로 모서리 연결수단(3) 자체가 수직 바(1)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전혀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수평 바(2) 및 수직 바(1)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목재 창문을 제조할 때 수개의 모서리 연결수단(3)과 나사못(4)을 이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생산공장에서 완제품을 제작한 다음 운송하여 시공할 필요없이 수평 바(2) 및 수직 바(1)는 원목 자체로 시공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적정 길이로 절단하여 수개의 모서리 연결수단(3)과 나사못(4)을 이용하여 창문으로 조립하면 되므로 목재 창문의 운송과 조립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시공중 치수를 변경하여야 할 경우에도 원목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다음 전동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나사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에서의 치수변경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중 유리의 파손시에도 수직 바(1)에 체결된 나사못(4)을 분리시켜 일측의 수직 바(1)만 창문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유리를 교체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창문을 손상시킬 필요없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유리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모서리 연결수단(3)은 연속 사용온도가 110-120℃를 갖고, 내약품성이 좋으며,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좋고, 내마모성이 강하여 차바퀴나 톱니바퀴, 기어, 스프라켓, 롤러, 베어링, 라이너, 슬라이드 플레이트, 스타 호일, 가이드, 팔레트, 절연재 및 시브 등을 사출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MC901(Mono Cast Nylon)로 사출 성형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온도변화 등에도 모서리 연결부재 자체가 전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수직 바 11 : 고정판 삽입홈
2 : 수평 바 21, 321 : 레일 홈
3 : 모서리 연결수단 31 :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
32 :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 33 : 수평 바 측면 고정판
34 : 수직 바 측면 고정판 35 : 리브 겸 유동 방지편
4 : 나사못 5 : 유리

Claims (7)

  1. 한 쌍의 수직 바와 수평 바를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목재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및 수평 바의 결합부 사이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모서리 연결수단을 개재하고,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수개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바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수평 바의 레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의 상,하단부에 수개의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경계선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 바의 양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 바 측면 고정판이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외측 단부에서 저부 또는 상부를 향해서는 상기 수평 바 측면 고정판과 평행한 상태를 갖고 상기 수직 바의 외 측면에 수개의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평 바의 레일 홈에 대응하는 레일 홈을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 상,하면 고정판과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삼각형의 리브 겸 유동 방지편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브 겸 유동 방지편의 경사면은 단면이 뾰쪽한 쇄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의 외 측면에서 중심선 상에는 상기 수직 바 측면 고정판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폭과 깊이를 갖고 수직 바 측면 고정판 자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판 삽입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KR1020100053408A 2010-06-07 2010-06-07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KR10099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08A KR100993779B1 (ko) 2010-06-07 2010-06-07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08A KR100993779B1 (ko) 2010-06-07 2010-06-07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779B1 true KR100993779B1 (ko) 2010-11-11

Family

ID=4340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408A KR100993779B1 (ko) 2010-06-07 2010-06-07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67B1 (ko) 2010-06-07 2011-03-29 주식회사 우디스 조립식 목재 창틀 및 문틀
CN103821431A (zh) * 2014-03-19 2014-05-28 东北林业大学 一种整体全密封内衬门窗及其制作方法
KR200478951Y1 (ko) 2015-10-05 2015-12-03 배진영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62Y1 (ko) 2006-05-26 2006-08-07 이봉학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62Y1 (ko) 2006-05-26 2006-08-07 이봉학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67B1 (ko) 2010-06-07 2011-03-29 주식회사 우디스 조립식 목재 창틀 및 문틀
CN103821431A (zh) * 2014-03-19 2014-05-28 东北林业大学 一种整体全密封内衬门窗及其制作方法
CN103821431B (zh) * 2014-03-19 2015-08-12 东北林业大学 一种整体全密封内衬门窗及其制作方法
KR200478951Y1 (ko) 2015-10-05 2015-12-03 배진영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934B2 (en) Door jamb member, door jamb assembly incorporating same and kit therefor
US8919056B2 (en) Door frame post, and door fram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US8857129B2 (en) Frame assembly having a corner key
US7937904B2 (en) Corner joint for pultruded window frame
KR100993779B1 (ko) 조립식 미서기용 목재 창문
US8316620B2 (en) Interlocking do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40102035A1 (en) Brick mold assembly, connector for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KR101024267B1 (ko) 조립식 목재 창틀 및 문틀
WO2010005330A2 (en) Wooden window frame, especially for roof window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15209656A (ja) 片引戸枠構造
KR101432883B1 (ko) 덧붙이용 창틀프레임
KR101338863B1 (ko) 창틀 조립구조
KR100726277B1 (ko) 조립식 현관도어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KR200465635Y1 (ko) 가구용 도어의 몰딩 취부 구조
KR200360521Y1 (ko) 문틀용 코너 지지구
CA2835564C (en) Door frame post, and door fram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KR101575662B1 (ko) 조립식 파렛트
RU2738684C1 (ru) Межкомнатная дверь
KR20110097332A (ko) 문틀 조립 구조
JP2008057263A (ja) 扉の框組構造
KR200421788Y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설치장치
KR200416674Y1 (ko)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200362219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