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66B1 - 솔레노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66B1
KR100993766B1 KR1020080068905A KR20080068905A KR100993766B1 KR 100993766 B1 KR100993766 B1 KR 100993766B1 KR 1020080068905 A KR1020080068905 A KR 1020080068905A KR 20080068905 A KR20080068905 A KR 20080068905A KR 100993766 B1 KR100993766 B1 KR 10099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pace
air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28A (ko
Inventor
전재하
송명근
박순식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분리 가능한 구획판을 형성하여 내부를 일측의 개방된 제 1공간과 타측의 밀폐된 제 2공간으로 양분하고 이 제 2공간에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갖는 하우징, 외부 조작에 의해 출입 가능하게 하우징의 제 1공간에 형성되는 플런저, 이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고 구획판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플런저와 동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로드,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어 로드와 함께 전진시 제 1단자와 제 2단자에 동시에 접하여 통전하는 통전부재 및 구획판 방향으로 플런저를 전진시 제 1공간 내측과 제 2공간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고 플런저의 후진시 공기를 흡기 유도하도록 플런저와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기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하우징 내부로 외부 공기를 출입 유도함으로써 단자에 아이싱을 유발시키는 물기의 응결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플런저, 로드, 공기흐름안내부재

Description

솔레노이드 조립체{SOLENOID UNI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로 외부 공기를 출입 유도함으로써 단자에 아이싱을 유발시키는 물기의 응결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계식 솔레노이드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코일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 또는 환상면 코어로 이루어져 있는 인덕터(inductor)이다. 이 코어는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놓인다. 이 코어는 공기에 대항하여 자력이 코어를 통해 완전히 흐를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 솔레노이드는 부착되는 장치의 선형발동작용을 일으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솔레노이드는 예를 들면 자동차, 재료 취급, 선박, 발전기 및 잔디/정원용품들에 사용될 수 있는 불꽃점화 및 압축점화엔진 스타팅 모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솔레노이드는 그 구조나 작동에 의해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에 따른 결합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수증기나 다른 대기 가스와 같은 내부 오염물질이 축적되면 솔레노이드 작동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솔레노이드 표면에 물이 응결되어 내부 솔레노이드의 구성요소를 산화시킬 수 있다. 응결은 또한, 내부 구성요소 상에 얼음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는 내부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양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오염물질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솔레노이드는 연결요소 주위에 공극(air gap)을 포함한다. 또 종래의 솔레노이드는 작은 직경의 배출 튜브 및 금속 스크린 배기구를 솔레노이드 구성요소의 외부 벽에 성형시켜 삽입되도록 한다. 이 사출성형은 배기구 주위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또한 배기구가 제거되는 것을 막는데 사용된다.
기존의 솔레노이드는 내부에서 어는 현상인 아이싱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아이싱현상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는 내부 표면에 물이 응결되므로 부식 및 산화 등으로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솔레노이드는 내부 공기 유동이 없으므로 제기능에 적절치 못한 방해요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가 노출된 하우징 내부로 플런저의 압축시 하우징 내부 공기를 배출 유도함으로써 내부에서 공기의 압축에 따른 물기의 응결으로 단자에 발생되는 아이싱(ic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 하우징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플런저의 왕복 이동 사이클(cycle)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분리 가능한 구획판을 형성하여 내부를 일측의 개방된 제 1공간과 타측의 밀폐된 제 2공간으로 양분하고 이 제 2공간에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갖는 하우징, 외부 조작에 의해 출입 가능하게 하우징의 제 1공간에 형성되는 플런저, 이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고 구획판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플런저와 동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로드,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어 로드와 함께 전진시 제 1단자와 제 2단자에 동시에 접하여 통전하는 통전부재 및 구획판 방향으로 플런저를 전진시 제 1공간 내측과 제 2공간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고 플런저의 후진시 공기를 흡기 유도하도록 플런저와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기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안내부재는 해당되는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로드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공간과 외부를 연통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홀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타측에 상기 로드를 삽입 고정하기 위해 삽입구를 형성하고 중간벽에 의해 상기 삽입구와 일직선상에 비연속되는 설치구를 일측으로 개방되게 함몰하며, 상기 설치구는 상기 삽입구를 향하는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면서 외부 조작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인출하는 샤프트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중간벽에 통공된 연통홀, 상기 연통홀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의 끝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도구 및 상기 유도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공간의 공기를 상기 플런저의 외측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플런저의 외측 공기를 상기 제 1공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상기 제 1공간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연통홀에 대응되면서 각 가장자리를 외측으로 개방한 함몰홈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단자가 노출된 하우징 내부로 플런저의 압축시 하우징 내부 공기를 유동 유도함으로써 내부에서 공기의 압축에 따른 물기의 응결 현상으로 단자에 발생되는 아이싱(ic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는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 시 하우징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플런저의 왕복 이동 사이클(cycle)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로드와 플런저의 분해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하우징(10), 플런저(20), 로드(30), 통전부재(40) 및 공기흐름안내부재(50)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하우징(10)에 고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터미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터미널은 예를 들면 모터, 전압원 및 스위치에 전기적 연결 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고, 가공된 황동, 청동, 열가소성 수지,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화된 황동, 니켈화된 청동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부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중공(中空)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내부에 구획판(11)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구획판(11)에 의해 내부를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한다.
특히, 하우징(10)은 구획판(11)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 1공간(12)을 갖고, 타측에 제 2공간(13)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10)은 제 1공간(12)의 외측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둘레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류가 통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은 하우징(10)에 삽입된다. 아울러, 구획판(11)은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에 접하여 연결되는데, 편의상, 구획판(11)은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의 내부 중공 부분에 삽입되도록 도시한다. 그래서, 구획판(11)은 전기적 전도체 드럼(16)과 함께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전기적 전도체 드럼(16)은 하우징(1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내측에 코일을 내포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단부 특히, 제 2공간(13)은 소켓(17)에 의해 커버링된 다. 또한, 소켓(17)은 외측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 1단자(14)와 스타트 모터와 연결되는 제 2단자(1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단자(14)는 통상적인 B단자이고, 제 2단자(15)는 통상적인 M단자이다. 물론, 소켓(17)은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공간(13)은 밀폐된다. 아울러,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가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됨은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가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일체로 형성된 소켓(17)에 형성됨을 의미한다.
하우징(10)은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축상으로 이동하는 플런저(20)를 장착한다. 아울러, 플런저(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하우징(10)의 제 1공간(12)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플런저(20)는 철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강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20)와 하우징(10)은 두 구성요소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유리가 채워진 나일론 및 황동이 하우징(10)으로 사용될 수 있고, 플런저(20)는 저마찰 도금(예를 들면 니켈)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20)는 끝단에 로드(30)를 형성한다. 로드(30)는 플런저(20)의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구획판(11)에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플런저(20)와 함께 왕복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됩니다. 이때, 로드(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로드(30)는 전기적 전도체 드럼(16)과 상호 작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획판(11)에 삽입되어 하우징(10)의 제 2공간(13)으로 돌출된 로 드(30)의 끝단에는 통전부재(40)가 형성된다. 통전부재(40)는 플런저(20) 및 로드(30)와 함께 왕복 전·후진되며, 완전히 전진시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 이때, 로드(30)는 플런저(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로드(30)는 하우징(10)의 제 1공간(12)이나 제 2공간(13) 내측면과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구획판(1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특히,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는 구획판(11)과 이에 삽입된 로드(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소정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통전부재(40)는 도전성(導電性)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전부재(40)는 제 1단자(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제 2단자(15)로 전달한다. 그래서, 제 2단자(15)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스타트 모터를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통전부재(40)는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통전부재(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구획판(11)과 통전부재(40) 사이에는 탄성부재(41)가 개재된다. 탄성부재(41)는 외부력 제거시 통전부재(40)를 단자(14,15) 방향으로 미는 힘을 작용한다. 이때, 로드(30)는 통전부재(40)와 함께 밀리게 된다.
또한, 플런저(20)와 로드(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하우징(10)의 제 1공간(12) 내부와 하우징(10) 외부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기의 내·외부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흐름안내부재(50)가 형성된다. 특히,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플런저(20)의 전·후진에 따라 플런저(20)와 구획판(11) 사이에 해당되는 제 1공간(12) 내부의 공기의 배출 또는 유입을 유도한다.
더욱 상세히, 플런저(20)가 구획판(11) 방향으로 제 1공간(12) 내부에서 전진시, 제 1공간(12)은 플런저(20)와 구획판(11)에 의해 상당히 막히게 되고, 제 1공간(12) 내부의 공기는 압축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20)가 최대한 삽입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된다. 특히, 제 2공간(13)의 공기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제 2공간(13)에 포함된 공기의 물기는 응결되면서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는 아이싱(icing) 현상이 발생된다. 이 아이싱 현상으로,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는 통전부재(4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통전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플런저(20)의 전진시,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로드(30)와 구획판(11) 사이 틈새, 및 제 1공간(12)을 순서대로 거쳐 제 2공간(13)의 잔류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플런저(20)는 기존보다 작은 힘에 의해 기존보다 빨리 전진하게 된다. 아울러, 제 2공간(13)의 물기가 외부 공기에 의해 응결되지 않기 때문에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는 아이싱 현상을 유발하지 않게 되고, 통전부재(40)는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통전 유도한다.
또한, 플런저(20)가 구획판(1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 1공간(12) 내부에서 후진시, 플런저(20)와 구획판(11)에 의해 상당히 막힌 하우징(10) 내부의 제 1공간(12) 내부 압력은 하우징(10) 외부의 대기압에 비해 훨씬 크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20)가 최대한 후진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된다.
그래서, 플런저(20)의 후진시,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외부 대기압 상태의 공기를 제 1공간(12), 및 로드(30)와 구획판(11) 사이 틈새를 순서대로 거쳐 제 2공간(13)의 내부로 유입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플런저(20)는 기존보다 작은 힘에 의해 기존보다 빨리 후진하게 된다.
이때,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해당되는 플런저(20) 또는 로드(3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제 1공간(12)과 외부를 연통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홀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플런저(20)와 로드(3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20) 또는 로드(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공기흐름안내부재(50)를 형성할 수 있다.
편의상,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플런저(20)와 로드(30)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2 및 도 3에서처럼, 플런저(20)는 하우징(10)의 제 2공간(13)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타측으로 삽입구(64)를 형성하고, 삽입구(64)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일측으로 설치구(66)를 형성한다. 그리고, 삽입구(64)와 설치구(66)는 중간벽(62)에 의해 구획된다. 물론, 삽입구(64)와 설치구(66)는 동일 축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구(64)는 로드(30)를 삽입 고정하기 위해 함몰되고, 설치구(66)는 샤프트(68)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된다.
여기서, 샤프트(68)는 설치구(66) 내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고, 탄성력에 의해 삽입구(64)를 향하는 설치구(66)의 바닥면 특히, 중간벽(62)에 접하려는 힘이 작용된다.
더욱 상세히, 설치구(66) 내측면에는 코일 스프링(67)이 장착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67)에는 샤프트(68)가 삽입된다. 이때, 플런저(20)는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68)를 제외한 설치구(66)를 커버링하기 위해 캡(69)을 구비한다. 그래서, 코일 스프링(67)의 일측은 샤프트(68)의 끝단에 걸려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67)의 타측은 캡(69)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샤프트(68)가 외부 조작에 의해 플런저(20)의 설치구(66) 내부에서 후진시, 코일 스프링(67)은 압축된다. 샤프트(68)가 외력 제거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6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간벽(62)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68)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거리는 비교적 미세하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샤프트(68)가 항상 중간벽(62)에 접한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공기흐름안내부재(50)는 연통홀(72), 유도구(74) 및 연결구(76)를 포함한다.
연통홀(72)은 삽입구(64)와 연통구를 연결하도록 중간벽(62)에 통공된다. 그리고, 유도구(74)는 로드(30)의 끝단에서 플런저(20) 방향에 해당되는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유도구(74)는 연통홀(72)과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아울러, 연결구(76)는 유도구(7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드(30)의 내·외부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때, 도 3에서처럼, 유도구(74)는 로드(3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구(76)는 유도구(74)의 끝에서 다수 개 형성되어 로드(30)의 둘레면까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플런저(20)와 로드(30)가 후진되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는 설치구(66), 연통홀(72), 삽입구(64), 유도구(74) 및 연결구(76)를 통해 순서대로 유동되어 제 1공간(12) 및 제 2공간(13) 내부로 유입된다. 그래서, 하우징(10) 내·외부의 압력차이는 줄어들게 됨으로써 플런저(20)와 로드(3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후진된다.
이때, 통전부재(40)가 단자(14,15)와 유격되도록 플런저(20)가 후진된 초기 상태에서, 연결구(76)는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을 구획하는 구획판(11)과 평면상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의 공기가 함께 연결구(76)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연결구(76)가 형성된 로드(30)의 둘레면이 구획판(11)에 직접적으로 접하면, 연결구(76)가 막히기 때문에 로드(30)는 연결구(76)를 형성한 원 궤적을 따라 외측에 안내홈(77)을 함몰 형성한다. 이때, 안내홈(77)의 너비가 연결구(76)의 직경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통로를 충분히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안내홈(77)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래서, 공기가 안내홈(77)을 통해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에 걸쳐 원활히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68)는 연통홀(72)에 대응되면서 각 가장자리를 외측으로 개방한 함몰홈(78)을 형성한다. 함몰홈(78)은 공기의 흐름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샤프트(68)가 코일 스프링(6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0) 내부로 전진하게 되면, 샤프트(68)는 중간벽(62)의 연통홀(72)을 막게 되나, 샤프트(68)는 끝단에 함몰홈(78)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구(76), 유도구(74), 연통홀(72), 함몰홈(78) 및 설치구(66)는 소정 연통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플런저(20) 및 로드(30)가 전진하게 되면, 로드(30)에 형성된 통전부재(40)는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 1공간(12)의 잔류 공기는 연결구(76), 유도구(74), 연통홀(72), 함몰홈(78) 및 설치구(6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플런저(20)는 쉽게 전진하게 된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하우징(10)의 제 2공간(13) 내부 공기는 로드(30)와 구획판(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제 1공간(12)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2공간(13)의 공기는 플런저(20)의 전진시에 응결되지 않기 때문에 제 1단자(14)와 제 2단자(15)는 아이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구획판(11)의 로드(30) 삽입 부위 틈새를 통해 제 1공간(12)의 공기와 제 2공간(13)의 공기가 하우징(10) 외부 공기와 순환되기 때문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로드와 플런저의 분해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구획판
12: 제 1공간 13: 제 2공간
20: 플런저 30: 로드
40: 통전부재 50: 공기흐름안내부재
62: 중간벽 64: 삽입구
66: 설치구 68: 샤프트
72: 연통홀 74: 유도구
76: 연결구 78: 함몰홈

Claims (5)

  1. 분리 가능한 구획판을 형성하여 내부를 일측의 제 1공간과 타측의 제 2공간으로 양분하고, 상기 제 2공간 둘레면에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갖는 하우징;
    외부 조작에 의해 출입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제 1공간에 형성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획판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와 동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와 함께 전진시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에 동시에 접하여 통전하는 통전부재; 및
    상기 구획판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전진시 상기 제 1공간 내측과 상기 제 2공간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고, 상기 플런저의 후진시 공기를 흡기 유도하도록 상기 플런저와 상기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기흐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안내부재는 해당되는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로드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공간과 외부를 연통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타측에 상기 로드를 삽입 고정하기 위해 삽입구를 형성하고, 중간벽에 의해 상기 삽입구와 일직선상에 비연속되는 설치구를 일측으로 개방되게 함몰하며;
    상기 설치구는 상기 삽입구를 향하는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면서 외부 조작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인출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중간벽에 통공된 연통홀;
    상기 연통홀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의 끝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도구; 및
    상기 유도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공간의 공기를 상기 플런저의 외측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플런저의 외측 공기를 상기 제 1공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상기 제 1공간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함몰홈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KR1020080068905A 2008-07-16 2008-07-16 솔레노이드 조립체 KR10099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05A KR100993766B1 (ko) 2008-07-16 2008-07-16 솔레노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05A KR100993766B1 (ko) 2008-07-16 2008-07-16 솔레노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28A KR20100008428A (ko) 2010-01-26
KR100993766B1 true KR100993766B1 (ko) 2010-11-12

Family

ID=4181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905A KR100993766B1 (ko) 2008-07-16 2008-07-16 솔레노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70B1 (ko) 2018-04-26 2018-08-13 주식회사 태원전장 개량된 수밀 조립구조를 갖는 스타팅 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00B1 (ko) * 2015-05-26 2016-12-1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KR101877046B1 (ko) * 2016-10-05 2018-07-1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
KR101887531B1 (ko) * 2016-10-05 2018-08-1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
KR102627992B1 (ko) * 2022-01-20 2024-01-23 보그워너창녕 유한책임회사 자동차 스타트 모터용 솔레노이드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2A (ja) 1996-06-17 1998-01-06 Tosok Corp 電磁弁
JPH1172177A (ja) 1997-06-30 1999-03-16 Nok Corp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5344780A (ja) 2004-06-01 2005-12-15 Toyota Motor Corp 電磁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2A (ja) 1996-06-17 1998-01-06 Tosok Corp 電磁弁
JPH1172177A (ja) 1997-06-30 1999-03-16 Nok Corp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5344780A (ja) 2004-06-01 2005-12-15 Toyota Motor Corp 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70B1 (ko) 2018-04-26 2018-08-13 주식회사 태원전장 개량된 수밀 조립구조를 갖는 스타팅 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28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66B1 (ko) 솔레노이드 조립체
US8451079B2 (en) Electromagnetic solenoid
EP2711959B1 (en) Electromagnetic switch equipped with built-in electronic control circuit
US8264312B2 (en) Linear solenoid
US9651164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9887056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relay
US6863041B2 (en) Engine starter
US4922965A (en) Pneumatic solenoid valve
KR0140786B1 (ko) 스타터를 위한 자석스위치
KR20020081785A (ko)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EP2040271B1 (en) Electromagnetic safety gas valve
CN104798147A (zh) 电磁调节设备
US9343217B2 (en) Electromagnetic positioning device
KR970005926Y1 (ko) 전자펌프
US20160069467A1 (en) Solenoid valve having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behavior
KR101040558B1 (ko) 전기 솔레노이드 내의 수분배출막
US20060186977A1 (en) Linear actuator, and pump device and compressor device therewith
CN111601994B (zh) 电磁阀
CN110024272B (zh) 用于电磁泵的线圈
CN109882637B (zh) 电磁阀及具有该电磁阀的汽车座椅和汽车车门
CN218004516U (zh) 电磁控制组件和电磁阀
US8653921B2 (en) Electromagnet
EP3179488B1 (en) A magnetic circuit switching device with single-sided attraction
JPH025105Y2 (ko)
CN110867292B (zh) 用于电磁开关的线圈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