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950B1 -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950B1
KR100992950B1 KR1020080023187A KR20080023187A KR100992950B1 KR 100992950 B1 KR100992950 B1 KR 100992950B1 KR 1020080023187 A KR1020080023187 A KR 1020080023187A KR 20080023187 A KR20080023187 A KR 20080023187A KR 100992950 B1 KR100992950 B1 KR 10099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casing
seesaw
pl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037A (ko
Inventor
김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to KR102008002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외측벽면에 접촉되는 전면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벽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면부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하되 상기 전면부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이동판부를 갖는 집게플레이트;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집게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제1 회동축을 축심으로 시소형으로 회동되며, 일측단은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판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시소형 버튼부;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일측단이 상기 이동판부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인접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소형 버튼부를 동작시키는 누름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동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고장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Cooking vessel tongs}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고장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기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주방용 툴(tool)이다. 냄비나 솥, 혹은 프라이팬 등이 대표적인 조리용기라 할 수 있다.
통상적인 조리용기에는 보통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조리용기를 가열할 경우에 손잡이에도 열이 전도되기 때문에 맨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보통의 경우에는 행주나 혹은 장갑을 이용하여 가열된 조리용기를 파지하게 된다.
하지만, 행주나 장갑은 주로 천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조리용기의 열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조리용기를 파지하기가 사실상 곤란하며, 주의를 요하지 않을 경우 화상 등의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각종 주방용품 제작사들에서는 가열된 뜨거운 조리용기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별도의 집게나 운반손잡이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다.
대표적인 조리용기의 집게는 가위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손잡이 부분을 쥐거나 펼침에 따라 한 쌍의 집게 부분이 접근 및 이격되면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위형태의 집게는 강력한 힘으로 손잡이 부분을 쥐지 않을 경우, 한 쌍의 집게 부분이 조리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대한민국특허청 20-0363093호에는 집게의 선단을 조리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걸어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운반손잡이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반손잡이는 그 구조상 모든 종류의 조리용기에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집게의 선단을 조리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완전하게 밀착시켜 걸지 않는다면 조리용기의 운반 시 조리용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이 따르게 된다.
이 밖에 대한민국특허청 20-0387986호 및 10-0372571호 등에도 조리용기의 집게가 개시된 바 있기는 하지만, 이들 역시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조리용기를 파지하기에는 구조상 미흡한 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공고번호 20-0183391호에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 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용기를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공고번호 20-0183391호에 개시된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는, 구조상 작동이 불편함은 물론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하기가 곤란하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고장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고장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리용기의 외측벽면에 접촉되는 전면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벽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면부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하되 상기 전면부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이동판부를 갖는 집게플레이트;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집게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제1 회동축을 축심으로 시소형으로 회동되며, 일측단은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판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시소형 버 튼부;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일측단이 상기 이동판부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인접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소형 버튼부를 동작시키는 누름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는 후방을 향해 비선형적으로 굴곡지게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전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비직선형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게부의 면적은 상기 전면부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부의 판면에는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일측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판부의 양측면에는 2개의 상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이동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축은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회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부; 상기 한 쌍의 고리부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배면에 접촉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한 쌍의 고리부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는 한 상의 제2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소형 버튼부와 상기 누름 버튼부의 접촉 영역에는 상호간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부는 제2 회동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되, 상기 누름 버튼부에는 상기 누름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3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의 볼트 조립 가능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은 사용자의 손에 대응하는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걸이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고장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작동 상태에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1)는, 케이싱(10), 집게플레이트(20), 제1 탄성부재(30), 시소형 버튼부(40), 제2 탄성부재(50), 누름 버튼부(60) 및 제3 탄성부재(70)를 구비한다.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케이싱(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강성을 위해서라면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작의 편의성 및 중량 감소를 위해 플라스틱의 사출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싱(10)은 내부 부품들에 대한 조립 및 유지보수를 위해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부 및 하부 케이싱(10a,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케이싱(10a,10b)은 볼트(B) 조립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는 하부 케이싱(10b)의 배면에서 상부 케이싱(10a) 쪽으로 조립되되 하부 케이싱(10b) 쪽에 형성된 볼트홈(B1) 내에 은닉되게 위치되는 것이 미관상 좋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케이싱(10b)은 사용자의 손에 대응하는 굴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싱(10)을 잡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미관상 혹은 파지상 편의를 위하여 상부 케이싱(10a)의 상면 역시 유선형의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의 전면은, 조리용기(미도시)의 외측벽면에 접촉되는 전면부(11)를 형성한다. 이 때, 전면부(11)는 단순한 직선형의 면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으며, 후방을 향해 굴곡지게 함몰된 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전면부(11)가 형성 되고, 후술할 집게부(21)가 전면부(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비직선형 후면을 가짐으로써, 조리용기의 파지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조리용기의 측벽은 직선형 벽면이 아니라 부분원형 타입의 벽면이기 때문에 집게부(21)와 전면부(11)가 직선형상을 갖는다면 원하는 파지력을 얻기 어렵다.
케이싱(10)의 후방에는 걸이공(13)이 더 형성되어 있다. 걸이공(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1)를 벽면의 고리 등에 걸어두거나 혹은 걸이공(13)에 별도의 루프 등을 매달기 위한 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걸이공(13)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집게플레이트(20)는, 조리용기의 내측벽면에 접촉되어 전면부(11)와 함께 조리용기를 파지하되 전면부(11)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집게부(21)와, 집게부(21)와 연결되고 케이싱(10) 내에 배치되는 이동판부(23)를 구비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집게부(21)의 형상은 케이싱(10)의 전면부(11)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집게부(21)는 케이싱(10)의 전면부(11)와 함께 실질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하는 부분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게부(21)의 면적은 전면부(11)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는 바, 집게부(21)와 전면부(11)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해도 무방하다.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집게부(21)가 전면부(11)에 대해 이격되어 전면부(11)와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 간격으로 조리용기의 일측이 배치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1)가 전면부(11) 쪽으로 접근되면서 조리용기를 밀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집게플레이트(20)는 케이싱(10)에 대해 전후진되어야 하고, 집게플레이트(2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구조들이 갖춰져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우선, 집게부(21)와 연결되어 집게부(21)와 한 몸체를 이루는 이동판부(23)의 판면에는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관통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23a)은 이동판부(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동판부(23)의 양측면에는 2개의 제1 탄성부재(30)가 결합되는 장소로서 한 쌍의 결합리브(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판부(23)의 양측면에 위치된 한 쌍의 결합리브(24)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위치에서 집게부(21)가 전면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다시 말해, 도 3과 같은 형태로 시소형 버튼부(40)가 배치될 경우에는 제1 탄성부재(30)의 탄성 반발력으로 인해 집게부(21)는 전면부(11)로부터 이격된다. 제1 탄성부재(30)는 통상의 스프링형 압축스프링으로 채용된다.
시소형 버튼부(40)는, 케이싱(10)에 결합된 제1 회동축(41)을 축심으로 시소형으로 회동되면서 집게플레이트(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조물이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은 집게플레이트(20)의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으로 삽입되어 관통공(23a)의 일단 내벽에 선 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고, 타측(40a)은 케이싱(1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시소형 버튼부(4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예컨대 시소형 버튼부(40)가 제1 회동축(41)을 축심으로 하여 도 3과 같이 회동하면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이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이 때는 제1 탄성부재(30)에 의해 집게플레이트(20)는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집게부(21)와 전면부(11) 간에 간격이 발생된다.
하지만, 시소형 버튼부(40)가 제1 회동축(41)을 축심으로 하여 도 2와 같이 회동 배치되면, 이 때는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이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으로 삽입되어 관통공(23a)의 일단 내벽에 걸리게 됨으로써 집게플레이트(2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집게부(21)는 전면부(11) 쪽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제2 탄성부재(50)는, 시소형 버튼부(40)에 결합되어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이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에 대해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즉, 누름 버튼부(60)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소형 버튼부(40)는 제2 탄성부재(5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 3과 같은 상태로 동작된다.
이 때, 제2 탄성부재(50)는, 전술한 제1 탄성부재(30)와 후술할 제3 탄성부재(70)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탄성부재(50)는, 시소형 버튼부(4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 제1 회동축(4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부(50a)와, 한 쌍의 고리부(50a)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며 시소형 버튼부(40)의 배면에 접촉지지되는 제1 자유단(50b)과, 한 쌍의 고리부(50a)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해당 위치에서 케이싱(10)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2 자유단(50c)을 포함한다.
누름 버튼부(60)는, 시소형 버튼부(40)에 인접하게 케이싱(10)에 결합되어 시소형 버튼부(40)가 도 3과 같이 동작되도록 시소형 버튼부(40)를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누름 버튼부(60)는 도 3과 같이, 집게부(21)가 전면부(11)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시소형 버튼부(4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누름 버튼부(60)는 시소형 버튼부(40)보다는 작은 크기로 제작되며, 제2 회동축(61)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시소형 버튼부(40)와 누름 버튼부(60)의 접촉 영역에는 상호간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턱(40a,60b)이 형성된다.
제3 탄성부재(70)는, 누름 버튼부(60)에 결합되어 도 3과 같이 회동된 누름 버튼부(60)가 도 2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러한 제3 탄성부재(70)는 제1 탄성부재(30)와 같이, 통상의 스프링형 압축스프링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뜨거운 조리용기를 파지하려 할 경우, 사용자는 운반손잡이(1)의 케이싱(10)을 움켜쥔 상태에서 상면의 누름 버튼부(60)를 가압한다.
누름 버튼부(60)를 가압하면, 누름 버튼부(60)가 제2 회동축(61)에 의해 회 동됨에 따라 누름 버튼부(60)와 시소형 버튼부(40) 간의 걸림턱(40a,60b)이 상호 해제된다.
이처럼 시소형 버튼부(40)가 누름 버튼부(60)에 대해 자유로워지면, 제2 탄성부재(5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시소형 버튼부(40)의 제1 회동축(41)을 축심으로 하여 도 3과 같이 비스듬히 대각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면의 일부분이 튀어나오게 된다.
이처럼 시소형 버튼부(40)가 들리면서 회동되면,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이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이 때는 제1 탄성부재(3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집게플레이트(20)는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집게부(21)와 전면부(11) 간에 간격이 발생된다. 집게부(21)와 전면부(11) 간에 간격이 발생되면 이 간격에 조리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집게부(21)와 전면부(11) 간의 간격 내로 조리용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나면, 사용자는 상면으로 튀어나온 시소형 버튼부(4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시소형 버튼부(40)는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부(60)와 시소형 버튼부(40) 간의 걸림턱(40a,60b)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시소형 버튼부(40)의 일측단(40b)은 이동판부(23)의 관통공(23a)으로 삽입되어 관통공(23a)의 일단 내벽에 걸리게 됨으로써 집게부(21)는 전면부(11) 쪽으로 접근되면서 조리용기의 내측벽면을 강하게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용기는 전면부(11)와 집게부(21)에 의해 물림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운반손잡이(1)를 들어 조리용기를 원하는 장소로 옮기 면 되며, 운반손잡이(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전술한 방법대로 다시 누름 버튼부(60)를 가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고장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에 대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작동 상태에 따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반손잡이 10 : 케이싱
11 : 전면부 13 : 걸이공
20 : 집게플레이트 21 : 집게부
23 : 이동판부 30 : 제1 탄성부재
40 : 시소형 버튼부 50 : 제2 탄성부재
60 : 누름 버튼부 70 : 제3 탄성부재

Claims (10)

  1. 조리용기의 외측벽면에 접촉되는 전면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벽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면부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하되 상기 전면부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이동판부를 갖는 집게플레이트;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집게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
    제1 회동축을 축심으로 시소형으로 회동되며, 일측단은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판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집게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시소형 버튼부;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일측단이 상기 이동판부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시소형 버튼부에 인접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전면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소형 버튼부를 동작시키는 누름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축은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회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부;
    상기 한 쌍의 고리부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배면에 접촉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한 쌍의 고리부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2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 버튼부는 제2 회동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되, 상기 누름 버튼부의 저면에는 상기 누름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3 탄성부재가 수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는 후방을 향해 비선형적으로 굴곡지게 함몰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전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비직선형 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면적은 상기 전면부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부의 판면에는 상기 시소형 버튼부의 일측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부의 양측면에는 2개의 상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이동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형 버튼부와 상기 누름 버튼부의 접촉 영역에는 상호간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의 볼트 조립 가능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은 사용자의 손에 대응하는 굴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걸이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KR1020080023187A 2008-03-13 2008-03-13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KR10099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87A KR100992950B1 (ko) 2008-03-13 2008-03-13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87A KR100992950B1 (ko) 2008-03-13 2008-03-13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37A KR20090098037A (ko) 2009-09-17
KR100992950B1 true KR100992950B1 (ko) 2010-11-08

Family

ID=4135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87A KR100992950B1 (ko) 2008-03-13 2008-03-13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9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23Y1 (ko) * 2001-11-02 2002-02-19 전한실업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23Y1 (ko) * 2001-11-02 2002-02-19 전한실업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37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9665B2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3169455U (ja) 調理器具用取手
JP2009515648A (ja) 被包性ロッキング機構を備えたトング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US10485365B1 (en) Single-handed locking tongs
US9167931B1 (en) Utensil holder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4165717A1 (en) Detachable pivoting handle for gripping a cookware vessel
KR100992950B1 (ko) 조리용기용 운반손잡이
US20120168455A1 (en) Detactable Handle For Cookware
KR200463179Y1 (ko) 냄비
JP5906353B1 (ja) 自立型蓋掴み
KR100891298B1 (ko) 주방용기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JP3140315U (ja) 調理容器の運搬具
CN211834102U (zh) 一种可调节的多用碗夹
KR200346609Y1 (ko) 가열 조리기구의 착탈식 손잡이
CN215650585U (zh) 一种可拆卸式锅把手
KR102084911B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KR200491221Y1 (ko)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KR200300274Y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20220084582A (ko) 착탈식 손잡이를 갖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