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384B1 - 소음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음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384B1
KR100992384B1 KR1020080090895A KR20080090895A KR100992384B1 KR 100992384 B1 KR100992384 B1 KR 100992384B1 KR 1020080090895 A KR1020080090895 A KR 1020080090895A KR 20080090895 A KR20080090895 A KR 20080090895A KR 100992384 B1 KR100992384 B1 KR 10099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ow
noise measuring
building
measur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978A (ko
Inventor
김회율
황중원
김형기
남상원
김경재
서재범
이해경
조완형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8009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3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2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magnetic means, e.g. reluc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3/00Portable or wheeled frames or beds, e.g. for emergency power-supply aggregates, compressor s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측정시스템은 절첩 또는 권취하여 보관 및 이동 가능하며, 펼쳐서 건물 외벽에 설치 가능한 센서지지수단; 및 상기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음측정수단을 어레이 형태로 배열하여 건축물의 모든 층의 소음을 한번에 측정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설치 및 수거가 편리하다. 또한, 권취 또는 절첩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에 편리하고, 더 나아가 무인측정이 가능하고 한꺼번에 측정 가능하므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소음측정, 건물소음

Description

소음측정시스템{NOISE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소음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음원 주변의 건물 등에 대한 소음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소음규제법안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공사장 주변, 도로 주변, 공장 주변, 병원, 학교, 주택가, 녹지 등에 대해서 소음기준을 마련하여 소음공해로부터 생활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소음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통일적인 소음측정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또한 마련되어 운용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경우 층수에 따른 소음을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다수의 층의 소음을 측정하는 것이 쉬운 작업은 아니다. 종래에는 주로 건물 해당 층의 베란다에 삼각대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해당 층을 직접 방문하여 소음측정의 양해를 구한 후에 설치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해당 층의 입주자가 없는 경우에는 그 측정에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여러 층에 걸쳐서 이러한 방문 및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소음을 측정하는 동안 측정관리자가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측정작업을 하면 소음측정에 걸리는 시간도 많고,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인력 낭비가 발생한다.
더불어, 종래의 소음측정방법은 소음 측정 장소가 건물의 베란다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측정수단을 어레이 형태로 배열하여 건축물의 모든 층의 소음을 한번에 측정할 수 있는 소음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설치 및 수거가 편리한 소음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권취 또는 절첩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에 편리한 소음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 형태로 형성되어 바람 등의 외력의 영향을 덜 받아 측정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소음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무인측정이 가능하며, 원격에서 소음측정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소음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음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절첩 또는 권취하여 보관 및 이동 가능하며, 펼쳐서 건물 외벽에 설치 가능한 센서지지수단; 및 상기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지지수단은 다수의 행 부재, 상기 다수의 행 부재를 상하로 반복 연결하는 행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행 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행 부재에 절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행 부재가 절첩 또는 권취되면 상기 행 부재에 자동으로 절첩되고, 상기 다수의 행 부재가 펼쳐지면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삼각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행 부재에 마련된 수납부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과 선 또는 유선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 및 저장하며, 외부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통신 가능한 소음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지지수단을 상기 건물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상단고정수단과 상기 센서지지수단을 상기 건물의 하단에 고정시키는 하단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측정수단을 어레이 형태로 배열하여 건축물의 모든 층의 소음을 한번에 측정할 수 있는 소음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설치 및 수거가 편리하고, 권취 또는 절첩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에 편리한 소음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발 형태로 형성되어 바람 등의 외력의 영향을 덜 받아 측정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무인측정이 가능하고, 원격에서 소음측정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소음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은 센서지지수단(10), 및 소음측정수단(20)을 포함한다.
센서지지수단(10)은 어레이 형태로 설치된 소음측정수단(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지지수단(10)은 다수의 행 부재(11)와 다수의 행 부재(11)를 상하로 반복 연결하는 행연결부재(13)를 포함한다. 행 부재(11)는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행연결부재(13)는 줄, 로프와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로 만들거나, 절첩 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센서지지수단(10)을 권취 또는 절첩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행 부재(11)는 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체 무게로 인해 바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좌우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각형 형태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로프의 휨 현상을 막아준다. 또한 수거 시에는 간단히 말거나 접어서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거 및 설치 시에 드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행 부재(11)와 행연결부재(13)는 센서지지수단(10)이 권취 또는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면, 그 재료 및 형태에 대해서는 위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센서측정수단(20)은 소음을 측정하는 모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행 부재(1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설치 간격은 측정하고자 하는 건물의 층 간격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층에 하나의 소음측정장치가 배치될 수 있도록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한 층에 여러 개의 소음측정장치가 배치되도록 여러 개의 어레이로 설계될 수도 있고, 건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그 간격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측정수단(20)은 행 부재(11)에 고정된 고정수단(21)과, 상기 고정수단(21)에 설치된 소음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23)을 포함한다. 고정수단(21)은 행 부재(11)에 절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행 부재(11)에 마련된 수납 부(11a) 삽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음측정수단(20)의 고정수단(21)은 삼각대 형태로 형성되며, 행 부재(11)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가이드봉, 행 부재(11)에 마련된 두 개의 힌지부재의 힌지점을 따라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두 개의 절첩봉을 포함한다. 이 가이드봉과 두 개의 절첩봉이 만나는 지점에 마이크로폰(23)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2의 소음측정수단(20)은 행 부재(11)가 권취되거나 절첩되면 가이드봉이 아래로 이동하여 고정수단(21)이 행 부재(11)에 자동으로 절첩되고, 다수의 행 부재(11)를 펼치게 되면 가이드봉이 위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고정수단(21)이 세워져서 마이크가 행 부재(11)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소음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은 센서지지수단(10)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 및 수거가 편리하다. 또한, 고정수단(21)이 삼각대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폰(23)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고 건물 외벽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소음을 측정할 수 있어 측정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을 편 상태와 접은 상태에서의 정면도들이고, 도 3c 및 3b는 각각 소음측정수단(20)을 편 상태와 접은 상태에서의 측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은 행부재(1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지지대(21a, 21b)와, 좌우 지지대(21a, 21b)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23), 마이크로폰측(23)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행부재(11)에 설치되며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상부지지대(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우지지대(21a, 21b)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지지대(21c)는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소음측정시에는 펴서 소음을 측정하고 이동 및 보관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은 행 부재(11)에 마련된 수납부(11a)에 일측 힌지점을 기준으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고정수단(2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원하는 방향과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물질로 만들 수도 있다.
본 구조는 고정수단(21)과 마이크로폰(23)이 행 부재(11)의 수납부(11a)에 삽입되어 보관 가능하므로, 운반 및 이동이 더욱 편리하며, 설치 시에는 수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폰(23)과 고정수단(21)을 꺼내어 세워서 소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소음측정수단(20)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였으나, 센서지지수단(10)과 일체로 형성되기만 한다면 다른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 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은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로 펼침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권취하거나 접어서 보관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소음측정수단(20)을 층에 맞게 어레이 형태로 설치하여 한번에 간단하게 소음을 측정할 수 있으며, 무인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은 소음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분석부는 다수의 마이크로폰(23)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신호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처리모듈, 분석모듈, 및 저장 모듈이 탑재된 프로세서,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소음분석부는 센서측정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더 나아가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분석부에서 분석한 소음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원격에서 소음측정데이터를 전송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소음분석부는 센서지지수단(10)에 1: 1 대응하여 구성되거나, 다수의 센서지지수단(10)에 하나 즉 N:1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소음분석부는 센서지지수단(10)에 부착되어 설치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분석부는 센서지지수단(10)의 맨 위쪽 행 부재(11)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지지수단(30)과 하단지지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지지수단(30)과 하단지지수단(40)은 각각 센서지지수단(10)을 건물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상단지지수단(30)과 하단지지수단(40)은 행연결부재(13)와 일체로 형성된 줄로 마련되어 건물 상단의 상단지지대와 건물 하단의 하단지지대에 감아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은 발 형태로 구성되어 바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건물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20)은 상단지지수단(30)과 하단지지수단(40)에 대응하는 상단지지대과 하단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단지지대와 하단지지대는 각각 상단지지수단(30)과 하단지지수단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센서지지수단(1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어느 정도의 무게가 나가도록 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측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8)

  1. 소음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절첩 또는 권취하여 보관 및 이동 가능하며, 펼쳐서 건물 외벽에 설치 가능한 센서지지수단; 및
    상기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지지수단은 다수의 행 부재, 상기 다수의 행 부재를 상하로 반복 연결하는 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발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행연결부재는 유연성이 있거나 절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지지수단이 전체적으로 권취 가능하고 펼쳤을 때 상기 발 형태로 늘어뜨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행 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행 부재에 절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행 부재가 절첩 또는 권취되면 상기 행 부재에 자동으로 절첩되고, 상기 다수의 행 부재가 펼쳐지면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삼각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측정수단은 상기 행 부재에 마련된 수납부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측정시스템은 상기 마이크로폰과 선 또는 유선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소음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 및 저장하며, 외부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통신 가능한 소음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측정시스템은 상기 센서지지수단을 상기 건물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상단고정수단과 상기 센서지지수단을 상기 건물의 하단에 고정시키는 하단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측정시스템.
KR1020080090895A 2008-09-17 2008-09-17 소음측정시스템 KR10099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95A KR100992384B1 (ko) 2008-09-17 2008-09-17 소음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95A KR100992384B1 (ko) 2008-09-17 2008-09-17 소음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78A KR20100031978A (ko) 2010-03-25
KR100992384B1 true KR100992384B1 (ko) 2010-11-05

Family

ID=4218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895A KR100992384B1 (ko) 2008-09-17 2008-09-17 소음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2633B (zh) * 2021-07-17 2024-01-26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房建施工地噪音检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417B1 (ko) * 1996-12-20 1999-08-02 정몽규 차량의 소음측정용 마이크로폰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417B1 (ko) * 1996-12-20 1999-08-02 정몽규 차량의 소음측정용 마이크로폰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78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0822B2 (ja) 建物の管理システム
JP5112765B2 (ja) 建物損傷度判定装置および建物損傷度判定方法
US109832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nvironmental parameters
KR100992384B1 (ko) 소음측정시스템
Dorvash et al. Application of state-of-the-art in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vibration evaluation of a tall building
CN200941051Y (zh) 具有自动收放结构的铅垂线
JP5372479B2 (ja) 木造家屋の耐震又は風圧強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5136785A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sonry corners
CN214200014U (zh) 一种墙体垂直度检测仪器
CN205843631U (zh) 一种多功能农业环境检测杆
KR101346658B1 (ko)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350926B1 (ko)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인식용 영상처리장치
CN111024025B (zh) 一种房地产房屋验收装置
CN212254043U (zh) 一种基础三向相对位移测量装置
CN214947919U (zh) 一种实景三维全息测绘设备
CN208588302U (zh) 竖向深孔测径装置
KR101281558B1 (ko) 막 장력 측정 시스템
CN207216925U (zh) 一种用于探究加速度与力、质量之间关系的实验装置
Hirao et al. Wireless measurement system for ground-borne vibration and vibration amplifications in buildings
CN206115678U (zh) 一种物联网环境测控装置
CN111678920A (zh) 一种检测系统
JP2000241203A (ja) 環境測定装置および環境測定システム
CN111044385A (zh) 竹子抗载能力的测量装置及竹子抗载能力的测量方法
JP6059557B2 (ja) 放射線測定システム
JPH0726696Y2 (ja) 外壁の浮き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