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136B1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136B1
KR100991136B1 KR1020080134426A KR20080134426A KR100991136B1 KR 100991136 B1 KR100991136 B1 KR 100991136B1 KR 1020080134426 A KR1020080134426 A KR 1020080134426A KR 20080134426 A KR20080134426 A KR 20080134426A KR 100991136 B1 KR100991136 B1 KR 10099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400A (ko
Inventor
오원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13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1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의 이상 유무를, 소정의 이진 패턴을 저장하고 송수신하여 센서 이외의 센서노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이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메모리부와 무선통신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다중센서, 이진 패턴, 고장 탐지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Wireless sensor nodes and method for diagnosing sensor node faults}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중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메모리부에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하고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센서 이외의 센서노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관련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와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센서노드, 상호 접속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센서 네트워크를 기존의 네트워크망에 접속하기 위한 센서 서버로 구성된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s)을 구축하는 기본 단위는 센서, 연산,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센서노드들이다. 이러한 센서노드는 대부분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작업환경에 설치 또는 살포되며,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자율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이렇게 USN기반의 기술은 원격지에서 환경의 변화 및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측하고 측정할 수 있으므로, 최근 센서 네트워크는 환경 모니터링, 생태 모니터링, 지진감시, 화재감시, 보안, 군사용등 다양한 용도로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측정 환경에 설치되는 이러한 센서노드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한 오작동 및 부정확한 데이터 전송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1. 센서의 고장 및 노화로 인한 부정확한 데이터의 출력
2. 충격으로 인한 노드의 파손
3. 노드의 배터리 고갈
4. 기타 보드상의 오류
따라서, 이러한 센서노드의 오작동 및 부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검출하여 센서노드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센서노드의 고장 및 오작동에 따른 오류를 검출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서노드의 고장 탐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특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이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메모리부와 무선통신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하나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중센서를 구비하며 각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이면 평균값을 전송하고 미리 정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센서가 존재하면 센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물리량을 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A);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센서노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및 상기 이진 패턴에 변화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서 노 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특정 물리량 측정을 위해 다중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B단계는 다중센서 각각의 측정값의 차이가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이면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전송하고,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센서가 있으면 센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은 다중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센서의 이상 유무를 진단함으로써 좀 더 신뢰성 있는 센서노드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각 센서노드의 메모리부에서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하고 서버에 전송하여 이진 패턴의 이상 유무를 판별함으로서 센서를 제외한 센서노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는 센서부(110), 메모리부(120), 제어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부(110)는 온도, 습도, 압력, 가스, 일사량, 풍향, 풍속 등의 각종 물리량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는 일반적인 센서 이외에도 MEMS 기술을 적용하여 소형화, 저소비전력화를 가능케하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제어부(130) 및 무선통신부(140)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20)를 별도의 구성부로 설명하였으나 센서부(110) 또는 제어부(13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정값과 이진 패턴은 제어부(130)의 제어 및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센서노드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부는 연료전지 또는 태양전지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는 수신한 이진 패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패턴이 동일하면 이상이 없고, 패턴이 다르면 센서노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이진 패턴은 센서의 이상 유무와 무관하고 제어부(130) 및 무선통신부(14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동일한 이진 패턴을 전송할 것이므로 센서노드에서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이상이 생겼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광대역 무선망(WAN: Wide Area Network), 수백 킬로미터를 커버하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구내 망에 이용되는 LAN(Local Area Network), 수십 미터 범위에서 사용되는 PAN(Personal Area Network) 및 단거리 무선 등이 모두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구성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센서노드는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센서부(110)가 다중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물리량 A를 측정하기 위해 A센서1, A센서2, …, A센서N과 같이 N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물리량 B를 측정하기 위해 B센서1, B센서2, …, B센서M과 같이 M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센서를 사용하여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물리량 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①먼저, 센서부(110)의 A센서1 … A센서N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을 측정한다. ②다음으로 센서부(110) A센서1 … A센서N의 각각의 센싱값을 입력받은 제어부(130)는 각 센싱값이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만약, A센서1 … A센서N의 각각의 센싱값이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평균값을 최종 측정값으로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하고, 센서의 측정값들의 차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센서가 있으면 센서 이상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물리량 A가 온도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온도센서1 … 온도센서5와 같이 5개의 센서가 존재한다고 할 때, 온도센서1은 20℃, 온도센서2는 21, 온도센서3은 20℃, 온도센서4는 22℃, 온도센서5는 30℃로 측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온도센서 각각의 오차 범위를 5℃로 설정하였다면, 온도센서5는 온도센서1 및 온도센서3과는 10℃, 온도센서2와는 9℃, 온도센서4와는 8℃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상기 오차 범위(5℃)를 초과하고 따라서 센서가 이상 작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 이상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은 위와 같이, 각각의 센서 간의 측정값 차이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센서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고 이 평균값과 각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를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하나의 센서가 고장날 확률에 비해서 여러 개의 센서가 모두 고장날 확률이 훨씬 낮기 때문에 좀 더 신뢰성 있는 센서노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진 모니터링 등의 재해대책, 침입·도난 방지 등의 방법분야, 온실관리 등의 농수산업, 전기기기 등의 시설제어, 건축물 점검 등의 구조물 관리, 산업폐기물 관리 등의 환경산업 등의 특정 물리량을 측정하여 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모든 산업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센서부 120 : 메모리부
130 : 제어부 140 : 무선통신부

Claims (4)

  1. 삭제
  2. 특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미리 정해진 이진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메모리부와 무선통신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중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의 각 센서들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는 각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평균값을 서버로 전송하고, 미리 정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센서가 존재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센서 이상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3. 삭제
  4. 특정 물리량을 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A);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센서노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및
    상기 이진 패턴을 수신한 서버에서 이진 패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서 노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C)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특정 물리량 측정을 위해 다중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B단계는 다중센서의 각 센서들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은 센서노드의 제어부에서 다중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되, 상기 다중센서 각각의 측정값의 차이가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이면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센서노드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센서가 있으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센서 이상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KR1020080134426A 2008-12-26 2008-12-26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KR10099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426A KR100991136B1 (ko) 2008-12-26 2008-12-26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426A KR100991136B1 (ko) 2008-12-26 2008-12-26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400A KR20100076400A (ko) 2010-07-06
KR100991136B1 true KR100991136B1 (ko) 2010-11-01

Family

ID=4263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426A KR100991136B1 (ko) 2008-12-26 2008-12-26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1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26B1 (ko) * 2013-06-21 2013-09-17 박병진 센서 원격 관리 시스템
WO2018117610A1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58987A (ko) 2021-10-25 2023-05-03 (주)심플랫폼 측정값 기반 측정기기 이상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1663A (ko) 2021-12-16 2023-06-23 (주)심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콜드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91B1 (ko) * 2012-05-07 2018-08-17 주식회사 케이티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55776B1 (ko) * 2015-03-04 2016-09-08 (주)한국해양기상기술 소형 자동기상관측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관측 방법
WO2017018726A1 (ko) * 2015-07-24 2017-02-02 (주)와플 센서 신호 검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플러그
KR101729762B1 (ko) 2015-10-14 2017-04-24 (주)에이치엠디지털 기미상궁 전극 오염 알림 기능을 갖는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측정장치
KR101879105B1 (ko) * 2016-12-23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무선 센서 노드, 이를 이용한 연원료 트래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로 노내 측정 장치
KR102460236B1 (ko) * 2018-01-31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9710B1 (ko) * 2019-12-19 2022-04-22 주식회사 오성전자 상황인지를 통한 레거시 가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523197B1 (ko) * 2022-11-01 2023-04-19 유봉수 고정밀 전류센서를 활용한 산업용 생산 장비의 전력 분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20B1 (ko) * 2006-09-29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 장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애 발생 보고 장치
KR100813886B1 (ko) * 2006-10-23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패킷 모니터링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제어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63126B1 (ko) 2007-01-25 2008-10-15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네트워크의 에러위치 및 에러원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20B1 (ko) * 2006-09-29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 장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애 발생 보고 장치
KR100813886B1 (ko) * 2006-10-23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패킷 모니터링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제어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63126B1 (ko) 2007-01-25 2008-10-15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네트워크의 에러위치 및 에러원인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26B1 (ko) * 2013-06-21 2013-09-17 박병진 센서 원격 관리 시스템
WO2018117610A1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 및 이의 제어방법
US11303977B2 (en) 2016-12-20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for managing home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58987A (ko) 2021-10-25 2023-05-03 (주)심플랫폼 측정값 기반 측정기기 이상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1663A (ko) 2021-12-16 2023-06-23 (주)심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콜드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400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13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62050B1 (ko) 누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859925B1 (ko) 원격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전원차단 시스템
Morello et al. Remote monitoring of building structural integrity by a smart wireless sensor network
Dudnik et al. Intrusion and fire detection method by wireless sensor network
CN107894753A (zh) 电力系统设备状态监测方法
KR102251174B1 (ko) 스카다(skada)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재감지 제어 방법
Abid et al. Centralized KNN anomaly detector for WSN
KR102486079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US10895872B2 (en) Detection of temperature sensor failure in turbine systems
CN104054116A (zh) 基于数字通信型烟囱自动测量装置的烟囱远程监测系统
CN101210931B (zh) 一种总线式可燃气体浓度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Jung et al. The possibility of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ndustrial pipe rack safety monitoring
KR20190102656A (ko) 멘홀 수위 측정 시스템
CN107655624B (zh) 压力变送器监测方法
JP2017219926A (ja) センサシステム
CN106197759A (zh) 一种温度传感器控制系统
KR101078583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오피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2253779B1 (ko) 배터리 모듈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5479B1 (ko) 다인자 계측시스템
Lei et al. Building a laboratory surveillance system via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361423B1 (ko) 자가상태체크모듈 내장형 알티유 및 이를 이용한 고장진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