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966B1 -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0966B1 KR100990966B1 KR1020100028108A KR20100028108A KR100990966B1 KR 100990966 B1 KR100990966 B1 KR 100990966B1 KR 1020100028108 A KR1020100028108 A KR 1020100028108A KR 20100028108 A KR20100028108 A KR 20100028108A KR 100990966 B1 KR100990966 B1 KR 100990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tensile
- strand
- shaped seal
- se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심재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가 형성된 강연선재와, 피복재의 단부 및 심재의 선단부를 동시에 둘러 감싸도록 압착 성형되되, 심재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원주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재와, 심재의 선단부와 외측보강재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되는 내측보강재와, 심재의 선단부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심재를 밀봉하는 캡형 씰(seal)재 및 외측보강재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심재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링형 씰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내의 습기 또는 그라우팅재의 내부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산화 또는 부식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을 증대시켜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란 고강도의 인장용 강연선을 구축물과 지반내부에 고정하고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전단파괴가 우려되는 지반의 유해한 변형을 안정화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는 실용화된 시점 이후부터 지금까지 50년 이상 높은 경제성과 탁월한 시공성 등을 이유로 국내외의 건설 및 토목 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정화 작업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현장 터파기 시공 시의 흙막이 공사를 비롯하여, 도로의 신설 및 증설을 위한 절취 사면 보강 공사, 영구벽의 보강 및 안정을 위한 공사 등에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에는 인장용 강연선이 이용된다.
인장용 강연선이란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긴장력(緊張力)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여러 가닥의 강선을 꼬아서 제작된 선재를 말한다.
그라운드 앵커 내에서 상기 인장용 강연선은 가해진 긴장력을 이용하여 토압을 지지한다. 인장용 강연선의 일단부는 앵커공의 최전방 내에 매설되어 정착체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상으로 노출된 자유단을 이루어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로써, 그라운드 앵커는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지반 조건에 따라 매 경우마다 다를 수 있다 하여도, 통상의 지반 내에는 물 또는 습기가 다소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물 또는 습기가 인장용 강연선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수분에 의해 산화 또는 부식되는 등 중대한 구조적인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앵커공의 매립 시 충전재로 이용되는 그라우팅(grouting)재 역시 인장용 강연선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상기 인장용 강연선에 심각한 구조적인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최근에는 상기 인장용 강연선에 방식을 위한 첨가제를 도포하거나, 피복 처리를 하는 등 몇몇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실효성은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땅 속의 수분 또는 그라우팅재의 내부 유입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수밀에 최적화된 구조로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탁월한 방수, 방식, 방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땅 속의 수분 또는 그라우팅재의 내부 유입을 거의 완벽에 가깝도록 차단하기 위하여, 방수, 방식, 방청 효과를 극대화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심재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가 형성된 강연선재; 상기 피복재의 단부 및 상기 심재의 선단부를 동시에 둘러 감싸도록 압착 성형되되, 상기 심재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원주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재; 상기 심재의 선단부와 상기 외측보강재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되는 내측보강재; 상기 심재의 선단부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상기 심재를 밀봉하는 캡형 씰(seal)재; 및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심재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링형 씰재;를 포함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보강재 및 상기 캡형 씰재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외측보강재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캡형 씰재의 상단까지 연결되는 최외곽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는 열수축튜브가 피복되어, 가열을 통해 수축 성형되는 상기 열수축튜브의 밀착력에 의해 수밀 기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인장강도보다 적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며, 상기 내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인장강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상기 외측보강재 및 상기 내측보강재는 방수, 방식, 방청 기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외경에 비해 1.85 ~2.05 배가 더 확장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보강재는 두께가 얇은 관(管)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보강재 및 상기 심재 사이에서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과 외주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엠보싱(embossing)면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형 씰재 및 상기 링형 씰재는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으며, 각각이 결합되는 부위에서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심재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가 형성된 강연선재와, 상기 피복재의 단부 및 상기 심재의 선단부를 동시에 둘러 감싸도록 압착 성형되되, 상기 심재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원주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재와, 상기 심재의 선단부와 상기 외측보강재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되는 내측보강재와, 상기 심재의 선단부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상기 심재를 밀봉하는 캡형 씰(seal)재와,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심재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링형 씰재 및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를 완벽히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캡형 씰재의 선단까지 외주연을 따라 연결되는 둘레면의 전 영역 상에서 피복되어 수축 성형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인장용 강연선; 주면마찰력 확보를 위해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리브부와, 선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인장용 강연선의 상기 외측보강재를 수납하기 위한 슬리브홈과, 상기 슬리브홈의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축선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재를 삽입시켜 내장하는 내부중공을 구비하는 내하체; 및 상기 내하체의 선단부에 씌움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따르면, 지반 내의 습기 또는 그라우팅재의 내부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산화 또는 부식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의 기술적 효과로 인해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의 기술적 효과로 인해 인장용 강연선 및 내하체 조립체 등 그라운드 앵커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함으로써, 제품 신뢰도 향상은 물론 제품 경쟁력 향상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이 내하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일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이 내하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인장용 강연선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용 강연선(100)의 결합된 외형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시도를 통해 개략적인 외형만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용 강연선(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용 강연선(100)은 강연선재(110), 외측보강재(122), 내측보강재(124), 캡형 씰재(130) 및 링형 씰재(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강연선재(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강연선재(110)는 심재(112)와 피복재(114)로 이루어져, 일측 또는 양측에서 가해진 인장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긴장력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심재(112)로는 여러 가닥의 강선이 꼬여져 하나의 선재로 형성되는 강연선을 이용하며, 이러한 심재(112)를 보호하도록 심재(112)의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는 피복재(114)가 형성된다.
피복재(114)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PE) 수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을 통해, 내구성 및 방수, 방식, 방청 효과가 좋으며, 적절한 인장강도를 지닌 합리적인 가격대의 재질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강연선재(110)는 그 형상에 있어서도 또 하나의 특징이 있는데, 상기 심재(112)의 선단부(도 3에서 112a)에서는 피복재(114)의 형성이 제외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외측보강재(122) 및 내측보강재(12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외측보강재(122) 및 내측보강재(124)의 형상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선 도 3에 도시된 인장용 강연선의 단면구조도를 병행 참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보강재(122)는 피복재(114)의 단부(114a)와 심재(112)의 선단부(112a)를 동시에 둘러 감싸는 형상으로 압착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내측으로, 즉 상기 심재(112)의 선단부(112a)와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사이에 내측보강재(124)가 삽입 개재된다.
이러한 외측보강재(122) 및 내측보강재(124)는 전술한 강연선재(110)의 선단의 마감부에서 수밀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사시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강성연재(100)의 그립(grip) 수단으로서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측보강재(122)는 상기 심재(112)의 인장강도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측보강재(124)는 상기 심재(112)의 인장강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외측보강재(122)의 인장강도를 T1이라 하고, 내측보강재(124)의 인장강도를 T2라 하고, 심재(112)의 인장강도를 T3라 할 때, 이들의 인장강도 간에는 T2≥T3≥T1 이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이때, 외측보강재(122), 내측보강재(124)의 각각의 기능적인 측면 및 압착 성형 시 가공성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의 인장강도 간의 관계는 T2>T3>T1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외측보강재(122) 및 내측보강재(124)는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 방수, 방식, 방청 기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외경은 심재(112)의 외경보다 더 확장되어 외형적으로 살펴볼 때에는 강연선재(110)의 선단에서 원주돌기를 이룬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상기 외측보강재(122)는 심재(112)의 외경에 비해 1.85~2.05배가 더 확장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심재(112)의 외경이 12.8mm, 외측보강재(122)의 외경이 25mm임)
만일,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외경이 심재(112)의 외경에 비해 1.85배보다 작을 경우에는 구조적인 보강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이와 반면에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외경이 심재(112)의 외경에 비해 2.05배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압착 성형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며, 그 소재비의 증가로 인해 실효성이 반감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보강재(122)의 외경에 대한 수치 범위의 한정은 상기 외측보강재(122) 및 상기 심재(112)의 재질 및 인장강도의 차이에 따라 조금씩 틀려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수치를 변경하여 합목적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내측보강재(124)는 두께가 얇은 관(管)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측보강재(124)는 상기 외측보강재(122)와 상기 심재(112)의 선단부(112a) 사이에서 이들 구조를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들이 더 견고하게 결합되게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보강재(124)의 내주면과 외주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는 엠보싱(embossing)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내측보강재(124)에 구비된 엠보싱면은 올록볼록한 표면 돌기들을 다수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면 돌기에 의해 외측보강재(122)와 심재(112)의 선단부(112a)는 결합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캡형 씰(seal)재(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캡형 씰재(130)의 형상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인장용 강연선의 단면구조도를 병행 참조할 수 있다.
캡형 씰재(130)는 심재(112)의 선단부(112a)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심재(112)를 밀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캡형 씰재(130)는 하부면 내측 중앙으로 심재(112)의 선단부(112a)를 수납하여 씌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보강재(122) 및 상기 내측보강재(124)의 상부 단면에 밀착되어 심재(112)를 밀봉한다. 이로써, 수밀 기능이 강화된다.
상기 캡형 씰재(130)로는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으며, 연성 및 인장강도가 뛰어난 고무나 합성수지재를 그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캡형 씰재(130)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밀봉이 가능하며, 이러한 밀봉을 통해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캡형 씰재(130)는 상기 외측보강재(122)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는 후술될 열수축튜브(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열수축튜브(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열수축튜브(150)는 가열시 수축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형 씰재(130) 및 외측보강재(122)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외측보강재(122)의 후단에서부터 캡형 씰재(130)의 선단까지는 동일 외경의 최외곽 외주연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최외곽 외주연 상에 열수축튜브(150)가 입혀진다.
이로써, 상기 열수축튜브(150)는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후단부를 완벽히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캡형 씰재(130)의 선단까지의 둘레면의 전 영역 상에 수축 성형된다. 이때, 열수축튜브(150)의 성형 범위는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후단보다 더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열수축튜브(150)에 의한 밀봉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열수축튜브(150)의 수축 성형에 수밀 기능이 강화된다.
상기 열수축튜브(150)의 수축 성형으로 인한 수밀 강화의 효과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형 씰재(130)와 외측보강재(122)의 접촉면 상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 틈새(C1)가 존재할 수 있다.
극히 작은 미세 틈새(C1)를 통해서라도 땅 속의 습기나 그라우팅재는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재(112) 또는 심재(112)의 선단부(112a)에서는 산화 또는 부식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튜브(150)를 이용하여 미세 틈새(C1)를 한 차례 더 밀봉해 줌으로써, 수밀 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링형 씰재(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링형 씰재(140)의 형상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인장용 강연선의 단면구조도를 병행 참조할 수 있다.
링형 씰재(140)는 외측보강재(122)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심재(112)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동시에, 열수축튜브(150)의 하단을 더 밀착하여 수밀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링형 씰재(140)는 상기 캡형 씰재(130)와 같거나 또는 유사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는데,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으며, 연성 및 인장강도가 뛰어난 고무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링형 씰재(140)의 특정 소재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링형 씰재(140)가 결합되는 부위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밀봉이 가능하며, 이러한 밀봉을 통해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링형 씰재(140)의 마감 결합에 의해 수밀 기능이 강화되는 효과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보강재(122)와 피복재(114)의 단부(114a) 및 열수축튜브(150)의 접촉 부위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 틈새(C2)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틈새(C2)를 통해서라도 땅 속의 물 또는 습기는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형 씰재(140)를 상기 외측보강재(122)의 후단부에 밀착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써, 혹시 존재할지도 모를 미세 틈새(C2)를 완벽하게 밀봉하여 수밀 기능을 더 강화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의 제조 공정을 도 4를 통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심재(112)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114)가 형성된 강연선재(110)를 준비한다(ST10). 이때, 미리 링형 씰재(140)를 강연선재(110)에 끼워서 체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보강재(124) 및 외측보강재(122)를 상기 강연선재(110)의 선단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외측보강재(122) 보다 직경이 작은 초경 다이스 장치에 상용의 유압잭을 이용하여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압착 성형한다(ST20).
그 다음으로, 심재(112)의 끝단에 캡형 씰재(130)를 씌움 결합한 후(ST30), 열수축튜브(150)를 수축 성형시킨다(ST40).
끝으로, 앞서 강연선재(110)에 체결해 둔 링형 씰재(140)를 외측보강재(122)의 후단부상에 밀착 결합시킨다(ST50).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조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이 내하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구조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내하체 조립체의 형상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특징되는 부분만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내하체 조립체의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내하체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인장용 강연선(100)은 내하체(2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슬리브홈(210)을 통해 내하체(200)의 후단부까지 관통하여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장용 강연선(100)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용 강연선(100)은 내하체(200)의 슬리브홈(210)을 통해 내하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축선을 따라 장착된다.
그리고 방수, 방식, 방청 용도는 물론 상기 인장용 강연선(100)의 위치 고정을 잡아주는 개스킷(300)이 끼움 결합되고, 끝으로 커버(400)가 씌움 결합된다.
이러한 내하체(200), 개스킷(300), 커버(400)의 결합을 위해 체결볼트(510)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볼트(510)는 각각 동일한 위치상에 구비된 체결볼트공(520)을 통해 체결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장용 강연선
110: 강연선재 112: 심재
114: 피복재 122: 외측보강재
124: 내측보강재 130: 캡형 씰재
140: 링형 씰재 150: 열수축튜브
200: 내하체 210: 슬리브홈
300: 개스킷 400: 커버
510: 체결볼트 520: 체결볼트공
110: 강연선재 112: 심재
114: 피복재 122: 외측보강재
124: 내측보강재 130: 캡형 씰재
140: 링형 씰재 150: 열수축튜브
200: 내하체 210: 슬리브홈
300: 개스킷 400: 커버
510: 체결볼트 520: 체결볼트공
Claims (7)
- 심재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가 형성된 강연선재;
상기 피복재의 단부 및 상기 심재의 선단부를 동시에 둘러 감싸도록 압착 성형되되, 상기 심재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원주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재;
상기 심재의 선단부와 상기 외측보강재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되는 내측보강재;
상기 심재의 선단부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상기 심재를 밀봉하는 캡형 씰(seal)재; 및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심재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링형 씰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캡형 씰재의 선단까지의 외주연을 따라 연결되는 둘레면의 전 영역 상으로 열수축튜브가 피복되어 수축 성형되되,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를 완벽히 밀봉하도록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보다 더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열수축튜브의 하단은 상기 링형 씰재에 의해 한번 더 밀착 가압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인장강도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며, 상기 내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인장강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상기 외측보강재 및 상기 내측보강재는 방수, 방식, 방청 기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재는,
상기 심재의 외경에 비해 1.85 ~2.05 배가 더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재는,
두께가 얇은 관(管)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보강재 및 상기 심재 사이에서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과 외주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엠보싱(embossing)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씰재 및 상기 링형 씰재는,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으며, 각각이 결합되는 부위에서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 심재의 선단부를 제외한 외주연의 전 영역 상에 피복재가 형성된 강연선재와, 상기 피복재의 단부 및 상기 심재의 선단부를 동시에 둘러 감싸도록 압착 성형되되, 상기 심재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는 원주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재와, 상기 심재의 선단부와 상기 외측보강재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되는 내측보강재와, 상기 심재의 선단부 끝단에 씌움 결합되어 상기 심재를 밀봉하는 캡형 씰(seal)재와,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심재로의 침습 또는 침수를 차단하는 링형 씰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캡형 씰재의 선단까지의 외주연을 따라 연결되는 둘레면의 전 영역 상으로 열수축튜브가 피복되어 수축 성형되되,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를 완벽히 밀봉하도록 상기 외측보강재의 후단부보다 더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열수축튜브의 하단은 상기 링형 씰재에 의해 한번 더 밀착 가압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장용 강연선;
주면마찰력 확보를 위해 외주연을 따라 횡 리브(rib)가 형성되며, 선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인장용 강연선의 상기 외측보강재를 수납하기 위한 슬리브홈과, 상기 슬리브홈의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축선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재를 삽입시켜 내장하는 내부중공을 구비하는 내하체; 및
상기 내하체의 선단부에 씌움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을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108A KR100990966B1 (ko) | 2010-03-29 | 2010-03-29 |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108A KR100990966B1 (ko) | 2010-03-29 | 2010-03-29 |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0966B1 true KR100990966B1 (ko) | 2010-10-29 |
Family
ID=4313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8108A KR100990966B1 (ko) | 2010-03-29 | 2010-03-29 |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09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7925B1 (ko) * | 2018-12-06 | 2019-10-02 |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 피복 강연선을 이용한 교량 거더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복 강연선의 정착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8896Y1 (ko) * | 2001-09-20 | 2001-12-31 |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 그라운드 앵커 |
JP2002275890A (ja) * | 2001-03-19 | 2002-09-25 |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 密閉型圧着グリップ及び密閉型圧着グリップを使用したグラウンドアンカー |
-
2010
- 2010-03-29 KR KR1020100028108A patent/KR1009909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75890A (ja) * | 2001-03-19 | 2002-09-25 |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 密閉型圧着グリップ及び密閉型圧着グリップを使用したグラウンドアンカー |
KR200258896Y1 (ko) * | 2001-09-20 | 2001-12-31 |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 그라운드 앵커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7925B1 (ko) * | 2018-12-06 | 2019-10-02 |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 피복 강연선을 이용한 교량 거더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복 강연선의 정착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41520A1 (en) | Reinforced concrete pipe | |
CN213926393U (zh) | 一种无粘结预应力防渗锚杆承载体 | |
KR101676749B1 (ko) | 현수교 주케이블 밴드장치 | |
KR101130847B1 (ko) | 영구형 앵커 | |
KR100990966B1 (ko) | 개선된 수밀 구조를 갖는 인장용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내하체 조립체 | |
CN201620356U (zh) | 拉索索端多层降压无填充动密封结构 | |
CN215561851U (zh) | 一种桥梁吊杆、斜拉索防水装置 | |
JP6471027B2 (ja) | 保護シース | |
CN218060295U (zh) | 新型建筑用的防腐抗渗锚杆结构 | |
CN105040590B (zh) | 2000MPa耐久型公铁两用斜拉桥平行钢丝斜拉索 | |
CN114561946A (zh) | 新型建筑用的防腐抗渗锚杆结构 | |
CN214656999U (zh) | 一种分段式防腐连接锚杆 | |
JPH0324665Y2 (ko) | ||
CN213709794U (zh) | 一种排水管道与检查井连接止水结构 | |
WO2000036227A1 (en) | Ground anchor capable of anchoring and removing tension members | |
CN211772856U (zh) | 一种成品拉索锚头防水装置 | |
JP3663521B2 (ja) | 地盤埋設用アンカーの頭部シール構造 | |
CN108360379A (zh) | 采用电化学保护热挤聚乙烯拉索用防腐、抗疲劳索夹结构 | |
CN211667302U (zh) | 一种管道穿地下室侧墙防水结构 | |
JP3194214U (ja) | 金属製グラウンドアンカー | |
CN217027070U (zh) | 一种止水防腐抗浮锚杆 | |
CN219175223U (zh) | 预应力锚索结构 | |
JP3225643U (ja) | グランドアンカー保護管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グランドアンカー保護装置 | |
CN215715262U (zh) | 压力型无粘结预应力抗浮锚杆的张拉锚固端防渗结构 | |
KR101002054B1 (ko) | 다공 결합 구조의 인장재 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앵커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